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 실무지침의 개선 방향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을 중심으로-

        장영인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정부의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관련 법규정 및 실무지침이 구체적으로 실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실무지침과 현장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와의 연관성을 밝히고 실무지침의 개선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조사이다. 즉 「아동복지법」의 관련규정 및 주무관청의 실무지침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이러한 법과 지침을 현장에서 실행하는 실무자, 즉 지자체 담당공무원(5명), 지역아동센터장(4명), 아동복지교사(3명)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복지교사지원사업에 관한 실무지침은 「아동복지법」 상의 지역아동센터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세부지침이라기보다 예산집행과 관리 위주의 행정사무안내의 성격이었다. 또한 실무현장에서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은 관련 실무지침의 불충분함, 모호함, 법과 지침 간의 비일관성 등과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침 중 사업의 목적, 아동복지교사의 역할에 대한 항목은 현장실무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복지법」과 실무지침에서 사업의 목적, 지원내용, 지원방법 등이 아동중심의 복지제공으로 일관되고 세부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relevant law and practice guidelines are applied to the child welfare teacher support project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his study reveals the relevance of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practice to the practice guidelines, and suggests how to improve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ject.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n the law and practice guidelines related to this support project, FGI was conducted with practitioners who implement law and guidelines in the field, namely, local government officials, heads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s, and child welfare teachers. The practice guidelines for this support project are those targeting the relevant administrative management rather than those implementing intended child welfare services to the child welfare centers.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various problems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in the field were related to insufficiently or vaguely formulated practice guidelines. In particular, the guidelines for the purpose of the project and the role of child welfare teachers caused confusion among field worker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is support project, child-centered practical guidelines for providing child welfare services should be prepare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urpose of the project, contents of support, and method of support need to be presented consistently and in detail.

      • KCI등재

        간호분야 실무지침의 수용개작 방법론에 따른 정맥혈전색전증예방 간호실무지침의 개발

        조용애,구미옥,은영,김경숙,이선희,윤지현,황정화,이경윤,박미정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목적: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근거기반의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2012년 병원간호사회에서 개발한 “간호분야 실무지침 수용개작”방법론에 따라 24단계의 수용개작 과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 권고안은 16개 영역, 163개 권고안으로 구성되었다. 영역별 권고안 수는 일반적 지침 4개, VTE 위험요인 사정 4개, VTE 발생의 중재 2개, VTE 예방을 위한 기계적 중재 14개, VTE 예방을 위한 약물적 중재 30개, 내과환자의 VTE 예방 19개, 뇌졸중환자의 VTE 예방 10개, 암환자의 VTE 예방 16개, 임산부의 VTE 예방 14개, 원거리여행자의 VTE 예방 6개, 외과환자-복부수술환자 VTE 예방 5개, 흉부수술환자 VTE 예방 10개, 정형외과 환자 VTE 예방 10개, 신경외과 환자 VTE 예방 5개, 기타 외과환자 VTE 예방 4개, 비뇨기과 수술환자 VTE 예방 2개, 이비인후과 수술환자 VTE 예방 1개, 성형과 재건수술 환자 VTE 예방 1개, 통원수술환자 VTE 예방 3개, 환자를 위한 VTE 예방 교육 3개로 총 163개의 권고안이다. 권고등급은 각 권고안별로 제시되었으며, 권고등급은 총 173개이고, 권고등급은 A 등급이 24개(13.8%), B 등급이 106개(61.3%)이고, C 등급이 43개(24.9%)였다. 결론: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의 확산은 보다 과학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표준화되며, 간호업무의 효율성이 개선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을 병원간호사회를 통하여 전국의 병원에 확산하여 실무에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useful evidence-based guideline for preventing venous thromboembolism(VTE) in Korea adapting previously developed VTE guidelines. Methods: The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was performed using 24 steps according to the nursing practic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developed by Hospital Nurses Association in 2012. Results: The newly developed VTE prevention guideline was consisted of 16 domains and 163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each domain were: 4 general issues, 4 risk factors, 2 intervention at occurrence of VTE, 14 mechanical interventions, 30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19 VTE prevention for medical patient, 10 stroke patient, 16 cancer patient, 14 pregnancy, 6 for long distance traveller, 5 for abdominal surgery, 10 thoractic surgery, 10 orthopedic surgery, 5 neurosurgery, 4 other surgical patient, 2 urological surgery, 1 ENT surgery, 1 plastic surgery, 3 day surgery, 3 education of VTE prevention. Fourteen point three percent, 61.1%, and 24.6% of the recommendations were graded A, B, and C,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w VTE prevention guideline can be more efficiently used to prevent VTE in hospital settings.

      • KCI우수등재

        「서울회생법원 실무준칙」 제정 경과 및 주요내용

        이진웅 ( Jin Woong Lee ),장규형 ( Kyuhyung Jang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6

        우리나라 최초의 회생ㆍ파산 전문법원인 서울회생법원이 2017. 3. 1. 개원하였다. 서울회생법원은 도산절차의 전문화와 발전을 바라는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개원 직후부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회생법원 실무준칙」(이하 ‘실무준칙’)의 제정은 서울회생법원이 개원 직후 가장 먼저 시작한 일 중의 하나이다. 실무준칙은 2017. 5. 12. 제정되고 2017. 8. 29. 일부 개정을 거쳐 2017. 9. 1.부터 시행되고 있다. 실무준칙은 도산절차 전반에 걸쳐 현재 법원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실무기준을 하나로 통합하여 규정함으로써 가장 합리적인 도산절차 실무기준(best practices)을 정립하는 한편, 이러한 실무기준을 도산절차 이용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절차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하여 도산절차 전반의 공정성,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무준칙은 회생, 파산, 개인회생, 국제도산 등 회생법원에서 진행하는 모든 분야에 대한 주요한 실무기준을 담았다. 실무준칙은 비교법적으로 보면 상당히 발전한 도산절차로 평가 받는 미국 연방파산법원이 개별 법원별로 local bankruptcy rules과 procedural guidelines을 갖고 실무를 운영하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필자들은 ‘실무준칙 제정연구반’에 속하여 실무준칙 제정 작업에 참여하였다. 이 글은 실무준칙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높임으로써 도산절차가 좀 더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실무준칙의 제정 배경 및 경과를 소개하고, 실무준칙 중 국제도산을 제외한 나머지 사항에 대한 주요내용을 설명한다. Seoul Bankruptcy Court(hereinafter “SBCourt”) was established as the first specialized insolvency court in Korea on March 1st, 2017. SBCourt has been making lots of efforts to make the insolvency procedure enhanced with much more expertise. SBCourt prescribed Procedural Guidelines(hereinafter “SBCourt PG”) as one of the first steps to enhance the procedure. SBCourt PG took effect as of September 1st, 2017, after being first prescribed on May 12th, 2017 and partially amended on August 28th, 2017. The goal of SBCourt PG is to enhance the fairness and efficiency of the overall insolvency procedure by making the unified court procedural guidelines which include the key points of the best practices regarding all of the insolvency procedures and making the procedure more predictable through making SBCourt PG public. To meet this goal, SBCourt PG has the statutes which can play a role as the practical guidelines with regard to rehabilitation, liquidation, individual rehabilitation, cross-border insolvency and general procedure. SBCourt came to have the idea to prescribe the SBCourt PG from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l bankruptcy rules and procedural guidelines of the U.S. Bankruptcy Court which has been referred to have very highly specialized insolvency procedure. The authors took part in the Task Force Team for the SBCourt PG. This article introduce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making SBCourt PG and explains the key points of SBCourt PG except cross-border insolvency to make the insolvency procedure more transparent and fair by improving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BCourt PG.

      • KCI등재

        수용개작방법을 활용한 유치도뇨 간호실무지침 개발

        정인숙,정재심,서현주,임은영,홍은영,박경희,정영선,박희연,박선아,최은경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수용개작의 방법으로 유치도뇨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근거기반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 유치도뇨 간호실무지침의 수용개작은 병원간호사회에서 개발한 간호분야 실무지침 수용개작 방법론에 따라 9개 모듈 24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새로이 개발된 유치도뇨 간호실무지침은 도입. 유치도뇨, 권고요약, 권고, 참고문헌,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권고는 도뇨전 사정, 물품 선정, 도뇨관 삽입, 도뇨관 유지, 도뇨관 교환, 도뇨관 제거, 합병증 관리, 교육과 상담 등 8개 영역 110개이었다. 110개 권고의 권고등급 분포를 보면 A가 7개(6.4%), B가 26개(22.7%), C가 75개(67.3%), 미해결 4개(3.6%)이었다. 결론: 유치도뇨간호 실무지침은 근거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간호사에게 배포되어 사용됨으로써 유치도뇨간호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유치도뇨간호와 관련된 합병증이 예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정기적인 개정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to prevent complications related to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IUC) in patients in Korea. Methods: A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which consists of three main phases, and 9 modules with a total of 24 steps. Results: The newly developed IUC guideline consisted of an introduction, urinary catheterization, summary of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s, references, and appendices. There were 110 recommendations in 8 sections including assessment, equipment, catheter insertion, catheter maintenance, catheter change, catheter removal, management of complications, and education/consultation. For the grade of recommendations, there were 6.4% for A, 22.7% for B, 67.3% for C. Conclusion: The IUC guideline was developed based on evidence an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is guideline be disseminated and utilized by nurses nationwide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patients with IUC and decrease complications related to IUC and that it be revised regularly

      • KCI등재

        전국 의료기관의 냉 요법 실무지침 및 임상간호사의냉 요법 실무 현황

        신용순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rsing protocols for superficial cryotherapy in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The medical institutions including general hospitals,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were randomly selected. A total of 435 nurses from 126 institutions completed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June 2015. Results: Forty-two institutions (39.5%) had nursing protocol for cryotherapy. The nurses reported that durations of cold application were 2 minutes to 5 hours. Frequently used cold therapy devices in order of frequency were frozen gel packs, ice packs, and frozen IV fluid bags. There were variances in the duration of col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x2=7.78, p=.020) and nursing units (x2=26.42, p<.001). In addition, intervals of cold applica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rsing units (x=12.23, p=.032).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d application instruments by regional groups (x=70.38, p<.001). Most of the nurses (95.6%) responded that national nursing protocol for superficial cryotherapy were needed. Conclusion: There were difficulties in providing consistent nursing interventions because of the practical differences and absenc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ryotherapy. The researchers recommend that basic studies with various instruments be conducted and proper nursing protocols be developed for cryotherapy.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의료기관의 냉요법 실무지침과 냉요법 실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적인 실태조사를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전국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을 각각 50개 기관씩 무작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의료기관과 간호사로 구분되는데, 간호사는 무작위 선정된 해당 의료기관 중 126개 의료기관의 435명이 참여하였고, 의료기관은 총 124개 기관이 참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7월까지였다. 연구결과: 전체 의료기관의 39.5%인 42개 기관에서 기관차원의 냉요법 실무지침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간호사들이 보고한 냉요법 적용시간은 2분부터 5시간까지 큰 편차를 보였다. 가장 흔히 사용하는 냉요법 기구는 냉동 젤팩과 얼음팩, 얼린 수액백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의 유형(χ2=7.78, p=.020), 간호단위(χ2=26.42, p<.001)에 따라 냉요법 적용시간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간호단위(χ2=12.23, p=.032)에 따라 적용 간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냉요법 기구는 지역(χ2=70.38, p<.001)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간호사의 95.6%가 전국 차원의 냉요법 실무지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근거기반 간호지침의 부재와 국내의 주요 의료기관에서의 냉 요법 적용 방법의 큰 편차로 인해 일관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자는 냉 요법 기구에 대한 안전성과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연구와 함께 전국적으로 활용 가능한 냉 요법 간호 실무 지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헤이그협약에 따른 가족합의에 관한 실무지침 연구

        이병화(Lee, Byung Hwa) 한국국제사법학회 2019 國際私法硏究 Vol.25 No.1

        오늘날 아동의 최선의 이익보호는 헤이그국제사법회의를 비롯하여 일반적인 국제협력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가 되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2017년에 채택된 ‘헤이그협약에 따른 가족합의에 관한 실무지침’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동 헤이그가족합의 실무지침은 아동을 포함하는 가족법의 영역에서 성립된 합의가 어떻게 외국에서 승인되고 집행될 수 있는가에 관하여 상세한 근거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는 헤이그가족합의와 관련하여 세 가지 주요 헤이그협약, 즉 1980년 헤이그아동탈취협약, 1996년 헤이그아동보호협약, 2007년 헤이그아동부양협약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고는 우선 헤이그가족합의 실무지침의 목적과 적용범위, 배경과 구성등을 개괄적으로 고찰하고, 합의의 유형에 따른 기본적 검토를 하고 있다. 또한 국제가족법 합의에서 논의되는 여러 주제들을 살펴보고, 세 가지 주요 헤이그협약이 제안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다음으로 전형적인 국경을 넘는 가족갈등 상황에 대한 접근방법을 논의하고, 끝으로 관련국에서 합의에 법적구속력과 집행가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및 합의작성을 위한 권장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헤이그가족합의에 있어서 아동탈취, 아동보호, 아동부양을 중심으로 살펴보되, 다른 국제가사사건과 관련된 헤이그협약들과의 비교법적 분석을 통해 상호 간의 연관성을 올바르게 파악하고자 한다. 헤이그가족합의 실무지침은 국경을 넘는 가족분쟁의 우호적인 해결을 권장하려는 취지에서 합의의 성립을 작성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글로벌한 국제사법제도(1980년, 1996년 및 2007년 헤이그협약)의 협조를 통해 분쟁에 관련된 둘 이상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구속력을 갖고 집행할 수 있는 합의의 기회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가능한 조치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고를 통해 헤이그아동협약들과 관련된 국내외 자료를 포괄적으로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며, 실무에서 가족합의의 통일된 법적구속력과 집행가능성 및 그 필요성을 재인식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 The protection of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these days became one of the most primary concern in general international cooperation including the 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Especially, this study is examining the specific contents focusing on Practical Guide to Family Agreements under the Hague Conventions, which was adopted in 2017. The said Practical Guide to Family Agreements under the Hague Conventions aims to offer the detailed basic information on how the agreement,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realm of family law including children, can be recognized and enforced in a foreign country. The consideration is being made here centering on three major Hague Conventions pertinent to the Hague Family Agreements, namely, Hague Child Abduction Convention in 1980, Hague Child Protection Convention in 1996, and Hague Child Support Convention in 2007. First of all, this study is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objective, scope, background and structure of the Practical Guide to Family Agreements under the Hague Conventions, and is making a basic review in accordance with an agreement type. Also, it is inquiring into many topics that are discussed in the international family law agreements, and is specifically addressing the suggestions of being made by three main Hague Conventions. It is sequentially discussing an approach to a situation of family conflict that typically crosses the border, and is finally explaining about recommendations for the checklist and the written agreement in order for the relevant country to give the legal binding force and the possibility of execution to the agreement. Therefore, the aim is to rightly grasp a mutual correl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Hague Conventions relevant to other International Family Cases while looking into the Hague family agreements focusing on child abduction, child protection and child support. The Practical Guide to Family Agreements under the Hague Conventions is concentrating on a method of preparing the establishment of agreement in an attempt to recommend the amicable solution of a family dispute, which crosses the border. In addition, it is focalizing on a measure for over two countries regarding a dispute to possibly promote an opportunity of consent available for executing with having a legal binding force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existing global Private International Law systems(Hague Conventions in 1980, in 1996 and in 2007). Through this study, an opportunity is expected to be likely arranged that makes a systematic analysis through comprehensively collecting materials at home and abroad pertinent to Hague Child Conventions. It is desired to be a starting point for practical affairs to newly understand the unified legal binding force, the execution possibility and its necessity concerning family agreement.

      • KCI등재

        기본간호학 교과서의 근거기반 도뇨관련 요로감염 예방 실무지침에 대한 반영 현황

        김윤희(Yun-Hee Kim),장금성(Keum-Seong Jang),정경희(Kyung-Hee Chung),최자윤(Ja-Yun Choi),양진주(Jin-Ju Yang),박순주(Soonjoo Park),박현영(Hyunyoung Park),류세앙(Seang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간호학 교과서의 반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출간된 기본간호학 교과서 14개로써 이론서 7개와 실습서 7개로 구성되었고, 근거기반 실무지침은 5개의 도뇨관련 요로감염예방 실무지침으로부터 포괄적으로 수렴하여 91개 권고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기본간호학 이론서와 실습서의 총 반영률은 각각 23.0%와 15.2%이었다. 이론서에 반영률이 가장 높은 영역은 도뇨관 유지 영역이었고 실습서는 도뇨관 삽입 영역이었다. 반영률이 50%이상인 개별 권고문항은 총 91개 중 16개이었고 이중 도뇨관 유지에 관한 권고문항이 8개(50.0%)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반영은 되었지만 상반되게 기술된 개별 권고문항은 총 9개이었고, 요실금 관리를 위한 도뇨, 도뇨관의 정기적 교환, 도뇨관 제거 전 방광훈련과 회음부 간호의 순이었다. 향후 기본간호학 교과서를 개정할 때 오류내용이 우선 교정되어야 하고 근거기반 실무지침 권고내용에 대한 반영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flected status of evidence-based guideline on nursing textbook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s). The subjects were 14 fundamental nursing textbooks consisting of 7 theoretical and 7 practical books published from March 2012 to March 2017. The evidence-based guideline was consisted of ninety-one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CAUTIs which were comprehensively collected from five guidelin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flected rate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fundamental nursing textbooks were 23.0% and 15.2% respectively. The most reflected domains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textbooks was catheter management and catheter insertion respectively. Sixteen out of 91 individual recommendations with more than 50% consistency rate were identified, and eight (50.0%) recommendations on the catheter maintenance area were identified. Lastly nine inconsistent recommendations were identified. And the most frequent discrepancies were indwelling catheterization for manag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followed by regular changing indwelling catheter, clamping prior to removal and perineal care. In conclusion, we found that recommendations for the CAUTIs guidelines were poorly reflected on text books. Further revising fundamental nursing textbook should correct the discrepancies between textbooks and the guidelines.

      • KCI등재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의 실무적 해석

        임진희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연구 Vol.0 No.18

        최근 공표된 국내외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은 기록관리 핵심 기능뿐 아니라 시스템관리와 선택적인 기능의 요건을 포함하여 상세한 수준에서 요건 기술을 하고 있다. 기능요건은 전자기록 관리의 실무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지는데 정보기술의 표준화를 기반으로 전자기록 실무도 표준화되는 가고 있으므로 기능요건 표준들은 점차 내용적 공통성을 확보해 가고 있다. 또한, 기록관리전문가, 정보기술 전문가, 컨설턴트, 기록관리 응용패키지 벤더 등 다양한 전문가 그룹의 참여와 협력으로 만들어진 결과 기능요건은 품질 수준이 향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표준화의 경향도 높아지고 있다.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을 벤치마킹하는 관점과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선진 모범 실무를 기반으로 만든 기능요건 표준을 실무적으로 해석하여 유용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록관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분류와 처분 영역의 기능요건을 기록관리 업무와 연관하여 해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전자기록 실무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첫 번째로 분류의 계층 수를 고정적인 개수로 제한할 필요가 있는지, 분류의 말단에만 편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으며, 두 번째로 보유기간 기산일이 이벤트 방식으로 설정되는 경우의 특징을 살펴보고 상속개념을 이용하여 다중의 처분지침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있으며, 세 번째로 기록관리가 조직의 규제준수와 위험관리에 대응하는 대안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전자개시라는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처분보류와 해제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기록관리시스템이 기록관리자의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 필수적인 기능인 대량 일괄작업에 대해 예시하고 있다. 기록관리자들은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을 실무적 관점에서 해석할 줄 알아야 하며, 실무에 필요한 요건을 도출하여 전문적인 전자기록관리 업무를 수행의 주요 도구인 기록관리시스템을 고도화해 나가야 한다. 국가기록원은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여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공통의 기반에서 전자기록관리 실무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가야 할 것이다. The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s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which have been published recently describe the specifications very precisely including not only core functions of records management but also the function of system management and optional modules. The fact that these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s seem to be similar to the others in terms of the content of functions described in the standards is linked to the global standardization trends in the practical area of electronic records. In addition, these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s which have been built upon with collaboration of archivists from many national archives, IT specialists, consultants and records management applications vendors not only obtain high quality but also establish the condition that the standards could be the certificate criteria easily. Though there might be a lot of different ways and approaches to benchmark the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s developed from advanced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actice, this paper is showing the possibility and meaningful business cases of gaining useful practical ideas learned from imaging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actices related to the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s. The business cases are related to the intelectual control tools to the records such as classification and disposal schedule which are regarded as the central function of records management. The first case is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scheme. Should the records classification be fixed at same number of level? Should a record item be filed at the last node of classification scheme? The second case is addressed a precise disposition schedule which is able to impose the event-driven chronological retention period to records and which is operated using a inheritance concept between the parent nodes and child nodes in classification scheme. The third case shows the usage of the function which holds/freeze and release the records required to keep as evidence complying with e-Discovery or the risk management of organizaitons under the premise that the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the basis for the compliance. The last case shows some examples for bulk operation required if the records manager can use the ERMS as their useful tool. It is needed that the records managers are able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specifications of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s for ERMS in the practical view point, and to review the standards and extract required specifications for upgrading their own ERMS.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provide various stakeholders with a sound basis for them to implement effective and effici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actices through expanding the usage scope of the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 for ERMS and making the common understanding about its implication. RMS standard model for the Korea public sector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baseline of the ERMS functional requirements standard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KCI등재

        혈액투석 환자의 기능부전 도관관리 실무지침개발

        이경미,김미연,홍진영,조용애,양원지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catheter dysfunc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process was done according to the De Novo development version 1.0 by NECA which consists of 12 steps. Results: The developed guideline consisted of 5 domains and 14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each domain were: 3 on catheter dysfunction assessment, 1 on conservative management of catheter dysfunction, 7 on drug management of catheter dysfunction, 1 on catheter function test and 2 onmaintenancemanagement. Of the recommendations, 7.15% were marked as A grade, 52.85% of B grade, and 50% of C grade. Conclusion: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is guideline can be added to the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s for fundamentals of practice and that this guideline can be disseminated to nurses nationwide in order to improve the care of hemodialysis patients with catheter dysfunc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환자의 기능부전 도관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법: 실무지침의 개발은 보건의료연구원에서 개발한 임상진료지침 개발 매뉴얼(de novo development)의 12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결과: 본 지침은 5개 영역 14개 권고안으로 구성되었다. 영역별로 혈액투석도관 기능의 사정을 위한 권고안 3개, 투석도관 기능호전을 위한 보존적 중재 권고안 1개, 도관 기능호전을 위한 약물적 중재에 대한 권고안 7개, 도관 기능 호전평가 권고안 1개, 도관 기능의 지속적 유지관리를 위한 권고안 2개이다. 이들 권고안에 대한 권고등급은 A 등급이 1개 (7.15%), B 등급이 13개 (92.85%), C 등급이 0개 (0%)였다. 결론: 본 지침은 근거기반실무를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도관기능부전을 가진 혈액투석환자의 간호의 향상을 위해 간호사들에게 공유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Reflecting current arbitration practice: The revision of the UNCITRAL Notes on Organizing Arbitral Proceedings

        Lee, Jae Sung 법무부 2015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72

        유엔국제상거래법위원회는 2006년과 2010년 각각 개정된 국제상사중재모델법 및 중재규칙의 내용, 나아가 최근 중재실무를 반영하기 위하여 1996년에 채택한 “중재절차에 관한 유엔국제상거래법위원회 지침서”의 개정 작업을 작년 9월부터 착수하였다. 이 글은 그간의 지침서 개정작업 경과를 살펴봄으로써 지난 20여 년간 중재실무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고 향후 중재실무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자 한다. 국제중재에 있어 보편적 활용을 목적으로 정부간 국제기구가 마련하는 지침서라는 특징을 감안하며 개정작업의 근간을 이루는 원칙들을 우선 살펴보았다. 이후 중재규칙, 중재언어, 중재지, 행정지원, 중재비용, 중재절차 및 관련정보의 기밀성 및 투자중재에 있어서 투명성, 의사표시 수단 및 방법, 각종 서면, 원만한 합의의 가능성, 서면 증거, 증인, 감정인, 심리절차, 다수당사자 중재, 중재판정과 관련된 각종 요건 등 중재판정부와 당사자들이 중재절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1996년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중재절차에 있어서 임시조치 및 중재철차의 병합 등에 대한 최근의 논의도 소개한다. 내년 여름 채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개정 지침서는 각종 중재절차에 임하는 중재판정부와 당사자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Law (UNCITRAL, or the Commission) is expected to adopt a revised version of its Notes on Organizing Arbitral Proceedings next summer to reflect the amendments to the 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2006, the revisions to the UNCITRAL Arbitration Rules in 2010 as well as developments in arbitration practices since the adoption of the Notes in 1996. Arbitration practice has developed gearing toward ensuring efficiency in resolving disputes, incorporating new techniques and technology, while at the same time, preserving the flexible nature of the process and the parties’ interests. The Notes are peculiar in the sense that UNCITRAL, an inter-governmental body, puts together a toolkit for arbitration practitioners and users of arbitration. The general applicability of the Notes and the fact that their revision is the result of a consensus-building process involving not only governments but also international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make it meaningful and allow for a universal application. By carefully examining the revision process, this paper attempts to capture the key changes in arbitration practic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and to shed light on future developments. It first looks at the basic principles applied in the revision process and then analyses the revisions made to a variety of matters for possible consideration in organizing arbitral proceedings as well as newly added elements to the No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