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정신新羅情神'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최재목(崔在穆),김태연(金泰然)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신라정신新羅情神"이라 거론되는 특징들을 성찰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성찰’ 이란 종래의 논의를 재음미해보고 반성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경상북도를 위시한 경주등지에서 지역의 정체성을 찾을 경우 대게 ‘화랑花郞’문제를 포함한 ‘신라정신’운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신라에 대한 주목과 재음미론이 나오는 것은 사실 현재의 일만이 아니고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이승만 및 박정희 정권기로 이어니즌 이른 바 ‘북고구려 정신’에 대항하는 ‘남-신라정신’의 확립과 계승이라는 정치사적인 측면을 갖는다. 천년왕국이었던 신라는 문물교류를 통해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였으며. 한반도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또 천년 전 통일신라는 신라방, 해상무역네트워크, 실크로드를 통해 아랍권으로부터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장신구를 수입하였으며, 철기를 수출하였다는 등의 사실史實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라의 특성은 포용성개발성국제성ㆍ자유성ㆍ다양성ㆍ융합성ㆍ조화성이 공존한 사회였다고 평가되는 것처럼, 우리 역사상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물론 거기에는 정치사사적인의미도 해석도 관여해 있지만, 적어도 신라정신을 현실의 맥락에서 다시 인식, 수용하고자 한다면, 취사선택할 점을 제대로 평가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갈 지혜가 필요하다. 그렇지 못하다면 나날이 퇴락하는 듯한 현재 경주의 모습처럼 ‘신라정신’ 운운의 논의도 실효성 없는 ‘과거에 대한 낭만적 회상’에 불과할 것이다. 더욱이 ‘신라정신’ 운운이 지차제의 근시안적인 사업차원이나 정치권의 알팍한 지역생 이데올로기 확보를 위한 논리전개를 넘어서서, 통일신라의 해외 무역로와 실크로드의 문화, 정보 네트워크 등을 어떤 방식으로 깊이 있고도 새롭게 인식해야 하는가를 다시 성찰하는 일에서 출발하는 냉정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is a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 of silla.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Gyongju recently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for finding its identity. If so, traditionally, they usually pay attention to some concepts, Hwarang, Silla, Gyongju and so on. Paying attention to the Hwarang Silla, Gyongju origina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at , this tradition continues, even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president Lee Sung-man and PARK Chung-hee, now days. South Korea respect the spirit of Silla face the North Korea’s policy respecting in Koguryo. We can not be ign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political ideas. Silla was a kingdom that lasted one thousand years. They trade with the Arab world through a network of international marine transportation. Such as that, Silla is progressive, and has opened mind. Many students went to study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Silla has an open discussion institutions as Hwabak. This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agin in nowday also. However, overemphasizing th espirit of Silla only is no right. Because we must respect Goguryeo, Baekje’s sprit and tradition buried in our history too. We habe to do not lost the balanc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our society. Because, in the history of Korea, Silla is very important, but not in Korea only Silla history.

      • KCI등재

        '신라정신'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최재목,김태연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This is a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 of silla.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Gyongju recently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for finding its identity. If so, traditionally, they usually pay attention to some concepts, Hwarang, Silla, Gyongju and so on. Paying attention to the Hwarang, Silla, Gyongju origina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at, this tradition continues, even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president Lee Sung-man and Park Chung-hee, now days. South Korea respect the spirit of Silla face the North Korea's policy respecting the Koguryo. We can not be ign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political ideas. Silla was a kingdom that lasted one thousand years. They trade with the Arab world through a network of international marine transportation. Such as that, Silla is progressive, and has opened mind. Many students went to study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Silla has an open discussion institutions as Hwabak. This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again in nowday also. However, overemphasizing the spirit of Silla only is not right. Because we must respect Goguryeo, Baekje's sprit and tradition buried in our history too. We have to do not lost the balanc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our society. Because, in the history of Korea, Silla is very important, but not in Korea only Silla history.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신라정신(新羅情神)’이라 거론되는 특징들을 성찰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성찰’이란 종래의 논의를 재음미해보고 반성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경상북도를 위시한 경주 등지에서 지역의 정체성을 찾을 경우 대개 ‘화랑(花郞)’ 문제를 포함한 ‘신라정신’ 운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신라에 대한 주목과 재음미론이 나오는 것은 사실 현재의 일만이 아니고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이승만 및 박정희 정권기로 이어지는, 이른바 ‘북-고구려정신’에 대항하는 ‘남-신라정신’의 확립과 계승이라는 정치사적인 측면을 갖는다. 천년 왕국이었던 신라는 문물교류를 통해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 들였으며, 한반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또 천년 전 통일신라는 신라방, 해상무역네트워크, 실크로드를 통해 아랍권으로부터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장신구를 수입하였으며, 철기를 수출하였다는 등의 史實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라의 특성은, 포용성ㆍ개방성ㆍ국제성ㆍ자유성ㆍ다양성ㆍ융합성ㆍ조화성이 공존한 사회였다고 평가되는 것처럼, 우리 역사상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물론 거기에는 정치사적인 의미의 해석도 관여해 있지만, 적어도 신라정신을 현실의 맥락에서 다시 인식, 수용하고자 한다면, 취사선택할 점을 제대로 평가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갈 지혜가 필요하다. 그렇지 못하다면 나날이 퇴락하는 듯한 현재 경주의 모습처럼 ‘신라정신’ 운운의 논의도 실효성 없는 ‘과거에 대한 낭만적 회상’에 불과할 것이다. 더욱이 ‘신라정신’ 운운이 지차체의 근시안적인 사업 차원이나 정치권의 알팍한 지역색 이데올로기 확보를 위한 논리전개를 넘어서서, 통일신라의 해외 무역로와 실크로드의 문화, 정보 네트워크 등을 어떤 방식으로 깊이 있고도 새롭게 인식해야 하는가를 다시 성찰하는 일에서 출발하는 냉정함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신라정신’의 번안으로서의 『질마재 신화』와 그 윤리적 의미

        남기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5 No.-

        This paper aims to reveiw poems of “Myth of Jilmajae(질마재)” by Midang Seo Jung-joo(미당 서정주) in terms of ethical consciousness. In particular, the problems of Silla-spirit(신라정신) appearing in these poems were analyzed. Midang looked upon Jilmajae’s stories that preserved the traditional lifestyle, the religious conviction and the nature-oriented mind as a translation of Silla’s stories. In these poems, the narrator frequently interferes actively in the represented world to interpret and reinstruct the customs and the ethics of Jilmajae. In other words, Midang’s ideology and the ethical view contained in the poetics of Silla-spirit became the absolute standard to interpret life and ethical consciousness. In this respect, the nationalistic ideology contained in the poetics of the Silla-spirit is problematic. Despite the sexual morality, the images of abjection and the laugh have the elements of negating the symbolic order or liberating the oppressed in the poems of “Myth of Jilmajae”; the ethical order always retrieves equilibrium. In this process, the morality in the individuals’ inner world, or ethical reflexivity ceases entirely. In addition, the voices and the desires of the individuals integrate into thatthose of the ethical community. The attitude of conformity with destiny that people in Jilmajae had in this context can be understood. Similarly, the Midang’s political (un)consciousness operates vividly in the represented stories handed down orally in Jilmajae. Midang’s poetic work to operate the post-modern aesthetics at the very point of the borderline between the poetic word and the shamanistic language, myth and history, morality and art, individual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Midang’s poetic work led to a regrettable result. 본고는 미당 서정주의 시집 『질마재 신화』(1975)에 반영된 신라정신론과 여기에 담긴 윤리의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주지하듯이 미당은 한국 전쟁을 전후로 ‘신라’라는 고대적 시간과 설화 세계를 탐색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라정신’론을 자신의 시론으로 정립하고 시집 『신라초』와 『동천』등에 수록된 전통주의 시를 창작했다. 『질마재 신화』는 미당이 신라정신론과 전통주의 시 창작에 쏟아지는 문단 내외의 비판을 의식하면서, 신라정신이 오늘날까지 민간에 전승되어 역사적 실체로서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질마재’는 ‘신라’의 번안에 해당된다. 어쩌면 질마재는 ‘신라’라는 선험적 시니피에가 없었다면 재현될 필요도 없고 재현될 수도 없는 세계였다. 시집 『질마재 신화』의 서술자는 재현되는 세계에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질마재의 풍속과 윤리를 재해석 혹은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신라정신론의 이념과 윤리관이 질마재의 삶과 윤리를 해석하는 절대적 심급으로 작동한다. 문제는 신라정신론에 내재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이다. 사실 『질마재 신화』에 넘쳐나는 성적 이미지, 풍속, 배설물의 이미지, 해학적인 웃음 등은 지배 체제의 상징적 질서를 부정하거나 해체할 만한 해방의 요소를 풍부하게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질마재의 풍속과 윤리를 재현하는 서술자의 언어는 이 모든 것을 평형의 상태도 되돌리고 공동체의 인륜 질서를 보존한다. 공동체의 도덕 규율이나 인륜 질서와 대립하는 개인의 내면적 모럴, 혹은 윤리적 성찰성은 완전히 작동을 멈추고 질마재를 살아가는 구성원 개개인의 목소리나 욕망은 집단의 그것으로 흡수, 소멸된다. 이와 같이 ‘질마재’의 이야기 속에는, 신라를 소환하고 전유했던 미당의 정치적 (무)의식이 생생하게 작동하고 있다. 미당은 시적 언어와 주술적 언어, 신화와 역사, 윤리와 예술, 개인과 집단의 경계가 무너지는 그 지점에서 탈근대의 미학을 작동시켰다. 하지만 그의 신화 탐색은 끝내 당대 현실에 대한, 기성의 정치 현실에 대한 순응으로 귀착하였으며, 이는 미당 자신이 신라정신론에 내재한 국가주의 윤리의 바깥을 상상하지 않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당의 신라 정신 탐색 초기에 나타난 선덕여왕의 시적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선덕여왕찬(善德女王讚)」과 「선덕여왕(善德女王)의 말씀」을 중심으로 -

        정상원 ( Jung Sangw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6 한국어문교육 Vol.20 No.-

        미당의 ‘신라 정신’은 그가 탐색한 ‘신라’ 표상에 바탕을 두어 산출된 것인데, 그 구체적인 면모는『신라초』를 통해 살필 수 있다. 신라 정신은 물론『신라초』를 통해 담대하게 전개되지만, 이 시집 전후(前後)에 출간된 시집들을 통해 추적할 수 있는 미당의 전통 지향적이고 동양적인 사유의 노정(路程)에서 함영(涵泳)하고 있다. 또한, 신라 정신의 각 내용들은 개별작품에 전일(全一)하게 반영된 것만은 아니며, 때로는 교합(交合)하여 조봉(遭逢)한다. 본고는 당대의 사회.문화.역사.정치적 현실에 대한 미당의 문학적 실천보다는 신라 정신을 기조(基調)로 펼쳐지는 시세계 내부에서 나타나는 통시적 움직임의 한 단면에 주목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신라 정신 탐색 초기의 작품으로서 그간 주목 받지 못했던「善德女王讚」을 재독(再讀)하고 분석하고, 아울러 이 시편과 농밀한 관계에 있는「善德女王의 말씀」을 비교.고찰함으로써 신라 정신 탐색 초기의 궤적을 살폈다.「선덕여왕찬」은 현세적 삶의 긍정과 사랑의 실천이라는 신라 정신을 담지하고 있는 최초의 시이다. 이 작품을 계승한「선덕여왕의 말씀」에서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변화는, 이상적인 신라 세계에 대한 미당의 목마름이 한층 커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염원은 선덕여왕을 넘어 다양한 신라 정신을 수용하여 본격적으로 시화한『신라초』의 작업으로 이어진다 Midang’s Silla Spirit is come out based on his exploration of Silla representation. The specific aspect of Silla Spirit is can looking through『Shilla-Cho』. But by it is deployed with confidence in this collection, Silla Spirit is included in Midang’s tradition directed and Oriental thoughts as can be seen the front and the rear collections. This study aims at poetic imagery and its implications of Queen Seondeok which is exposed in Midang`s early exploration of Silla Spirit rather than the creator``s response of contemporary society, culture, history, and political realities. Tried to read again「善德女王讚」and compared with「善德女王의 말씀」. And revealed part of early exploration of Silla Spirit Through this work. The contents of two pieces is temporal life of optimism and symbol of love.「善德女王의 말씀」inherited「善德女王讚」. Important changes that can intercept in「善德女王의 말씀」is the widening of thirst for Silla Spirit. Midang tried to quench his thirst by『Shilla-Cho』

      • KCI등재

        풍류로서의 신라, 다시 쓰기로서의 신라

        이유미(Lee, Yu-Mi)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7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함유한 의미망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시집 『신라초』와 함께 영원성 혹은 초월적 미학의 성격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시집 『신라초』 전에 출간한 『신라연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라연구』는 박사논문자격으로 제출한 텍스트로서, 서정주의 신라관련 논의를 고찰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정주의 『신라연구』가 김범부의 『화랑외사』와 비슷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의 신라정신이 어떠한 동일성과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는 『신라연구』와 『신라초』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신라정신의 핵심인 풍류를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로서 형상화했으며, 현대에 신라정신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접합할지 실험하였다. 그 결과, 그는 『신라연구』에서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와 사회적 상상으로서의 신라를 그려냈으며, 시집 『신라초』에서는 영적 성격을 구체화했을 뿐만 아니라 신라를 질마재로 전유함으로써 질마재 사람들이 신라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영원성뿐만 아니라 영적 성격, 자연 융화적 속성, 풍류를 통한 삶에 대한 사유를 담지하고 있다. 따라서,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문학 활동 전반에 유기적인 관련성을 지님으로써 다양한 의미를 함유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eaning network of Seo Jeong-ju’s Silla spirit. Seo Jung-ju’s spirit of Silla has been discussed in combination with his poetry, SillaCho, as eternal or transcendental aesthetics. However, there is a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Silla Studies that were published prior to the poetry Sillacho. Silla Studies is a text submitted as a doctoral dissertation, and it is material that has potential to examine the discussion of Seo Jeong-ju’s Silla.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Seo Jung-ju’s Silla Studies are similar to Kim Bum-boo’s Hwa-rang-oi-sa,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tail the identity and difference of their Silla spirit. In the process of examining Silla Studies and the Sillacho, Seo Jeong-ju has shaped the spirit of Silla as the attitude of the life of Silla, and experimented on how to creatively connect the spirit of Silla to the modern age. As a result, he depicted Silla as the attitude and social imagination of Silla’s life in Silla Studies, and not only embodied the spiritual character in the poetry Sillacho, but also inherited the spirit of Silla by appropriating Silla as jilmajae. In this way, the Silla spirit is bearing not only eternity, but also spiritual personality, natural harmonious property, and reason for life through Pungryu. Therefore, Seo Jeong-ju’s Silla spirit contains various meanings through its organic relation to the entirety of his literary activities.

      • KCI등재

        일본 고대문학 속의 신라인 -8세기자료를 중심으로-

        사이토 아사코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6 No.-

        본고는 8세기의 문헌인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풍토기(風土記), 회풍조(風藻), 만엽집(万葉集)에 기술된 ‘신라인’에 초점을 맞추어, 고대일본인의 타자인식을 고찰한 것이다.고사기에서는 윤공천황이 즉위할 때, 신라의 명의가 윤공천황의 지병을 치료했다고 기술되어 있다. 신라왕자의 자손인 다지마노 모리(多摩毛理)가 도코요노 구니(常世, 불노불사의 낙원)에서 불노불사(不老不死)할 수 있는 나무를 가지고 왔던 전승을 소개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일본이 신라가 주술에 뛰어났음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일본서기에도 신라인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여기에서는 윤공천황의 즉위할 때 신라의 명의가 왔던 일, 또 윤공천황을 조문하기 위해 온 신라조문사절이 일본어를 제대로 구사할 수 없었던 일, 신라인의 산악신앙에 대한 지식이 일본 측에서도 어느 정도 있었던 사실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풍토기에서는 신앙형태가 다른 타자로서 신라라는 국명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신라인을 파괴자로 명기하고 있는 점은 주목된다. 이것은 고래부터 전승되어 온 내용과는 다른 새로운 신라관이 형성된 것으로, 신라를 침입자파괴자로 보았음을 말해준다. 풍토기 편찬자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 진다.이와 같이, 이들 문헌은 신라인의 정신적 세계관과 관련된 조약(調藥)에 대한 지식, 산악신앙 등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인에 있어서 신라인의 모습이 물질보다는 지식 또는 정신적인 면이 부각되어 있음을 말해 준다. 회풍조의 신라인은 한시를 통해 일본인과 함께 문예세계를 형수(享受)할 수 있는 사람이었다. 여기에서는 ‘筆海’가 행해지고, 나가야 오(長屋王,나라(奈良)시대 전기의 정치가)의 주변관료는 신라인과의 한시를 통해 창작의욕에 자극받았다. 또, 만엽집의 신라 비구니는 오오토모(大伴)씨의 사호(佐保)저택에서 30여년을 가족과 함께 보냈고, 만엽을 대표하는 일본의 여성가인의 정신세계에도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비록 국가는 다르더라도, 인간으로서의 따뜻한 교류가 전개되었음을 보여 준다.이들 문헌은 공히 8세기라는 시대에 편찬된 자료이지만, 다양한 신라인에 대한 타자인식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이 같은 차이는 각 문헌의 편찬사정, 또 시대적 배경에 따른 것이다.

      • KCI등재

        『삼국유사』의 ‘淨神王’ㆍ‘淨神太子’에 대한 재해석

        서정목(Suh, Chung m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19 No.-

        『삼국유사』의 「대산 오만 진신」조와 「명주 오대산 寶叱徒 태자 전기」조에는 ‘淨神’을 포함한 명사구가 6번 나온다. 그런데 신라에는 ‘정신왕’이 없다. 이 명사구가 어떤 인물을 가리키는지가 불분명하다. 지금까지의 모든 연구와 번역서에서 이 ‘정신’을 포함한 명사구들은 다양하게 해석되었고, 나타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인물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해석되었다. 이는 중요 문장들에서 중요 글자들이 缺落되거나 오류가 난 결과 문장들이 불완전하게 적혀 있어 내용을 제대로 독해할 수 없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정신’은 「오만 진신」조의 세주에서 말하듯이 ‘신문’을 가리킨다. 이 글은 ‘정신’은 면밀하게 검토하면 어떤 위치에서나 ‘신문’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논증한 것이다. 「오만 진신」의 두 왕자 입산 기록의 ‘신라 淨神大王의 태자 보천, 효명 두 형제가 하서부에 이르러’의 ‘정신대왕’은 ‘신문왕’이다. 이는 「태자 전기」의 ‘신라 정신의 태자 보ㅅ도가 아우 효명태자와 더불어 하서부에 이르러’를 재구성한 것이다. 이 ‘정신의 태자’는 ‘寶叱徒’와 동격이다. 그러므로 ‘보천태자’와 ‘효명태자’의 아버지인 신문왕이 ‘정신대왕’, ‘정신’으로 표현된 것이다. 「오만 진신」의 성덕왕 즉위 기록의 ‘淨神王의 아우가 왕과 왕위를 다투었다. 국인들이 폐하고’의 ‘淨神王’은 ‘淨神太子’로 써야 할 것을 ‘정신왕’으로 잘못 쓴 것이거나 ‘정신왕태자’에서 ‘태자’가 결락된 것이다. 이는 「태자 전기」의 ‘정신의 태자가 아우인 부군(과) 신라[서라벌]에서 왕위를 다투다가 주멸했다.’를 재구성한 것이다. 여기서의 ‘정신의 태자’는 ‘효소왕’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이 두 문장은 ‘효소왕의 아우가 (효소)왕과 왕위를 다투었다. 국인들이 (효소왕의 아우인 부군을) 폐하고’로 해석된다. 이 사건은 700년의 ‘경영의 모반’을 가리키는 것이다. 「오만 진신」의 세주의 ‘신라에는 정신, 보천, 효명 3부자에 대한 명백한 글이 없다.’의 ‘정신’은 ‘신문왕’을 가리킨다. 나머지 하나의 ‘정신’은, 이 말이 아마도 ‘정명’{이나, 과} ‘신문’의 訛일 것이라는 데서 關語的言語(meta language)로 사용된 것이다. 「태자 전기」에 2번 나오는 ‘정신태자’는 위에서 본 대로 모두 ‘정신의 태자’라는 뜻이다. 여기서의 ‘정신’은 ‘신문’인 것이다. ‘정신의 태자’는 한 번은 ‘보천태자’, 다른 한 번은 ‘효소왕’을 가리키는 말이다. 「민지 기」의 ‘寶叱徒淨神太子兒名也’는 ‘보ㅅ도는 정신의 태자의 아명이다.’로 번역된다. ‘정신태자’는 어느 경우나 ‘정신의 태자’로 읽어야 한다. ‘정신태자’는 실재하지 않았다. ‘정신은 울면서 머무르기를 청하였다[淨神泣請而留].’의 ‘정신’은 ‘정신의 태자[보천태자]’를 의미하는 ‘정신태자’에서 ‘태자’가 결락된 것이다. In ‘Daesan Oman Jinshin’ and ‘Myeongju Odaesan Botto Thaeja Jeonki’ of Samkukyusa, there appear six cases of ‘Jeongshin’. However, we cannot find ‘King Jeongshin’ in the history of Shilla. These ‘Jeongshins’ have been interpreted as referring to more than three persons mainly due to miswriting and misreading. This paper insists that all the ‘Jeongshins’ should be interpreted as only one person, ‘King Shinmoon’. As is usually known, ‘the Great King Jeongshin’ in the phrase ‘The Great King Jeongshin’s Crown Prince Bocheon, Hyomyeong, two brothers’ in ‘Daesan Oman Jinshin’ of Samkukyusa justly refers to King Shinmoon. However, ‘King Jeongshin’ in the phrase ‘King Jeongshin’s younger brother has a quarrel with King over the crown’ in ‘Oman Jinshin’ is a miswriting of ‘Jeongshin’s Crown Prince’s younger brother.’ For King Jeongshin had died ten years before 702 A.D. The phrase ‘Crown Prince’ must have been changed with the word ‘King’ by mistake. The phrase, therefore, should be read ‘King Jeongshin’s Crown Prince’s younger brother has a quarrel with King over the crown.’ ‘Jeongshin Crown Prince’ in the phrase ‘Jeongshin Crown Prince Botto with Hyomyeong Crown Prince’ in ‘Thaeja Jeonki’ of Samkukyusa should also be read as ‘Jeongshin’s Crown Prince’. Because Crown Prince must be an appositive of not ‘Jeongshin’ but ‘Botto’. So ‘Jeongshin’ is no one else but King Shinmoon, and his Crown Prince is naturally ‘Botto’. Just alike, ‘Jeongshin Crown Prince younger brother Vice King died having a quarrel over the crown in Shilla’ in ‘Thaeja Jeonki’ must be read as ‘Jeongshin’s Crown Prince died having a quarrel with his younger brother and Vice King over the crown in Shilla.’ ‘Crown Prince’ after ‘Jeongshin’ refers to Jeongshi’s first son, King Hyoso, who died in a quarrel over the crown in Shilla. There must be a ‘與[with]’ between 太子[Crown Prince] and 弟[younger brother]. And all the other ‘Jeongshins’ in various contexts such as ‘Minji Ki’ and footnotes of ‘Oman Jinsin’ can also be read as referring to King Shinmoon.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와 ‘신라-질마재’의 발견

        박옥순(Park, Ok-S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를 주목한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 1930년대 경주 기행시를 통해 서정주가 어떻게 ‘신라’를 처음 발견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경주 여행에서 발견된 ‘신라’가 이후 서정주의 만주 체험을 거치면서 어떻게 ‘질마재’라는 장소성과 만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서정주는 시 창작 초기부터 기행시라는 형식과 경주로 상징되는 ‘신라적 공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 기행시 「경주시」는 신라정신의 기원에 대한 서정주의 모색이 신라 천 년의 고도 경주에 대한 장소정체성과 함께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무엇보다 「경주시」의 존재론적 가치와 위상은 서정주의 신라정신 탐구의 기원을 1930년대 후반으로까지 앞당기게 하는 결정적 증거로 작용한다는 데 있다. 경주 여행 이후 1940년 9월부터 1941년 2월까지 이어진 만주 체류는 서정주에게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계기로 작용했다. 이른바 ‘만주 드림’으로 이상화된 당대의 만주담론과 달리 서정주에게 만주는 ‘무간지옥’이자 ‘외국인의 외국인’이라는 주변인의 실존적 위치를 실감케하는 세계상실의 공간이었다. 이렇듯 절망적인 현실인식은 서정주에게 모든 장소의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장소이자 대안적 공간인 헤테로토피아를 상상하게 했다. 실질적인 장소이면서 일종의 반(反)배치이자 실제로 현실화된 유토피아적 장소인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것이다. 이처럼 경주와 만주 체험은 서정주 시세계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작용했다. 서정주는 경주 체험을 통해 ‘신라’에 대한 정신적 지향성을 모색하고, 이후 만주 체험을 통해 자신의 고향 ‘질마재’를 새롭게 발견했다. 그리고 이 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신라-질마재’를 이후 자신의 시세계를 지탱할 상상력과 시학의 내핵으로 자리매김시켰다. This paper, which may be the initial step to a study on Seo Joeng-ju’s travel poetry, has two purposes. First it attempts to identify how Seo Jeong-ju discovered ‘Silla’ through his poems about Gyeongju travel in 1930s. Second, it explores how this ‘Silla’ that was discovered through travelling Gyeonju, meets the placeness of ‘Gilmajae’ through Seo Jeong-ju’s Manju experiences. Since his early stage of poetry writing, Seo Jeong-ju has had a deep interest in the poetic form of travel poetry and the ‘Silla-ic spac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Gyeongju. Gyeongjusi (Gyeongju poem), the early travel poetry is an important work revealing Seo Jeong-ju’s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Silla spirit and the place identity of Gyeongju as the ancient capital of the thousand year Silla. Most of all, the existential value and status of Gyeongjusi acts as a critical evidence transferring the origin of Seo Jeong-ju’s exploration of Silla spirit to late 1930s. His stay in Manju from September 1940 to February 1941 after his Gyeonju travel acted as the opportunity for Seo Jeong-ju to conceptualize ‘Silla-Gilmajae’ as the heterotopia. Unlike the Manju discourse of the time, which was idealized as the so-called ‘Manju Dream’, Manju was a ‘Naraka (hell)’ and the space of world loss making him to experience the existential status of a marginal man as a ‘foreigner of foreigners’ for him. As such, the hopeless perception about the reality made Seo Jeong-ju to imagine heterotopia, an alternative space and the other place outside of all the places. This let him to conceive ‘Silla-Gilmajae’, an actual place and a sort of anti-placement as well as the actual realistic utopian place. The experiences of Gyeongju and Manju act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Seo Jeong-ju’s poetic world. Through experiences of Gyeongju, Seo Jeong-ju explored spiritual directions of ‘Silla’ and through experiences of Manju, he newly discovered his hometown, ‘Gilmajae’. As a concept embracing the two worlds, he positioned ‘Silla-Gilmajae’ as the inner core of his poetics and imaginations supporting his poetic world.

      • KCI등재후보

        서정주의 시 세계에 비추어진 반(反)근대성의 생각틀 -불교,신라정신,풍류도-

        송희복 ( Hui Bog Song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3 No.-

        서정주의 시 세계에 드리운 생각틀의 부분들, 이를테면 불교와 신라정신과 풍류도는 서로가 서로에게 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반근대성의 대안적인 생각의 틀로 자리를 잡기에 이르렀다. 서정주 시에 투영된 불교적인 것의 의미는 소재주의적인 것에서부터 주제의식, 세계 이해의 방식, 시인 스스로의 표현인 정신태(精神態)라는 것 등에 이르기까지 두루 포회하는 개념을 두고 말하는 것이다. 이미 오래 전부터 서정주의 시 세계와 불교의 텍스트 상호관련성에 관해 언급되어 온 바 있었다. 신라정신으로 이름된 용어는 정확히 언제부터 비롯했는지 잘 알 수 없지만, 대체로 보아 서정주가 1950년대 중반에 처음으로 사용했던 것 같다. 그의 신라에의 관심은 교수 자격 심사위원회에 제출한 일종의 소논문인 『신라연구』(1960)와 자신의 네 번째 시집인 『신라초(新羅抄)』(1960)에 이르러 한껏 고양되기에 이른다. 그의 소논문과 시집에 실려 있는 내용물은 1950년대에 씌어진 것들이다. 그가 창안하고 제안한 신라정신이란 이름의 개념틀은 1950년대라는 시대의 소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신라정신이 1950년대 후반에서부터 196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비평적인 쟁점으로 문단에 초미의 관심사로 나타나게 되었던 것이다. 서정주의 시 세계를 이룩한 또 하나의 생각들이 있다면, 자금까지 이야기 한 불교와 신라정신 외에 풍류(도)가 있다. 서정주의 시 세계에 드리운 생각의 틀이 불교적 사상의 기저에 역(易)과 노장(老莊) 등의 유현한 동방적인 사색을 받아들이고 토착적인 샤머니즘을 접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면, 그 틀은 아무래도 풍류도라고 이름되는 사유 체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정주의 풍류도가 가장 적실하게 반영된 사례는 시집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1982)이다. 이 시집은 일종의 역사시집이다. 이 시집은 서정주가 1951년 이후 역사를 기록하는 자의 자각에 따라 썼다. 1. The meaning of Buddhism projected in the poems of So Jongju is important. This concept is used for selecting materials, subjects and the ways of understanding. It has been mentioned that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poetic world of So Jongju and Buddhism for a long time. 2. For So Jongju, the sprit of Silla is related to the desire of utopianism. The sprit of Silla was one of controversial items which evoked extraordinary attention and sharp debate in the 1960`s Korean literary world. His attention of Silla is heightened in a small article 『The research of Silla』(1960), submitted for qualification screening committee of professors, and his fourth book of poetry 『Sillacho』(1960). 3. It seems that he takes pungryudo as poetrical priciple after 1950`s. In fact, it is his poetic essence. The reason that his poetic world is influenced or condensed by pungryudo comes from the impact of the thought of a Orientalist, Kim Jongsul who was an influential thinker of that period. Kim Jongsul is a novelist, Kim Donglee`s eldest brother. Recently, a poet, Kim Jiha, insists that we should shed new light on Kim Jongs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