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식민주의 생태비평과 라틴아메리카 문학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제국주의는 단순히 피식민지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배에 그치지 않고 문화, 사회, 그리고 환경에 이르는 피식민지 세계의 전반적인 기형화를 야기한다. 이 글은 제국주의가 동반하는 생태계 파괴에 주목하여 탈식민주의와 생태비평의 관계를 천착해 보고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이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문학 작품을 분석한다. 그런데 서구 중심으로 전개된 근대사에서 정작 가장 많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존재는 바로 자연이며 자연에 대한 통제와 착취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더욱 가열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이 탄생하게 된다. 라틴아메리카는 근대가 개막한 이래 제국주의의 폭력을 감내해 왔던 대표적인 지역으로 그 자체가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의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및 자연 생태계 파괴를 야기한 생태학적 제국주의를 인식하는 작품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파블로 네루다와 니콜라스 기옌은 식민주의와 환경 파괴가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생태문학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두 시인은 우선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비극이 유럽의 신대륙 ‘발견’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한다. 이후 아메리카의 자연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서 투쟁하지만 끝내 패배하고 기나긴 침묵을 강요당한다. 제2세대 탈식민주의라 할 수 있는 하위주체 연구는 침묵을 강요당한 주변부의 기억을 찾아내고 그 목소리를 대변한다. 그런데 기옌과 네루다는 그 하위주체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사람뿐 아니라 자연을 포함시키고 이들의 잊힌 기억을 살려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에서 주인공이 되는 자연은 인간의 투쟁이 무언의 형태로 새겨진 역사적 기록으로서, 단지 묘사되는 것으로 만족치 않고 이해되기를 바란다. 시인은 이들의 대변인을 자임하면서 무관심과 억압에 의해 묻혀버린 인간과 대지의 역사를 환기해 주는 것이다. The imperialism means not only political, economical and military domination on its colonial territory but also the all-round deform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of colonial world and its people. In regard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ccompanied by imperialis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general survey of the relation between postcolonialism and ecocriticism and to analyze how postcolonial ecocriticism is embodied in Latin American literature. Latin America is, we might say, an emblematic region that has suffered european imperialism, a living text in itself of postcolonial ecocriticism. It was in the middle of twentieth century that Latin American literary works appeared which recognized ecological imperialism. Pablo Neruda and Nicola?s Guille?n are representative poets of ecocritical literature, among others, with the poetic figuration of the system where colonialism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re intermingled. These two poets shar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 tragedies of Latin America began with its "discovery" by Columbus. Since then, Latin American nature fought with the natives against white invaders but found herself defeated and forced into silence. The Subaltern Theory as postcolonialism of second generation looks for the subaltern memories and speaks for them. Neruda and Guille?n include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nature among the subaltern beings and try to restore their forgotten memories. The Nature as historical documents carving the human struggle in a tacit form wants not only to be described but also to be understood. These two poets wake us the buried history of men and nature by indifference and suppression and set themselves up as their spokesman. 제국주의는 단순히 피식민지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배에 그치지 않고 문화, 사회, 그리고 환경에 이르는 피식민지 세계의 전반적인 기형화를 야기한다. 이 글은 제국주의가 동반하는 생태계 파괴에 주목하여 탈식민주의와 생태비평의 관계를 천착해 보고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이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문학 작품을 분석한다. 그런데 서구 중심으로 전개된 근대사에서 정작 가장 많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존재는 바로 자연이며 자연에 대한 통제와 착취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더욱 가열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이 탄생하게 된다. 라틴아메리카는 근대가 개막한 이래 제국주의의 폭력을 감내해 왔던 대표적인 지역으로 그 자체가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의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및 자연 생태계 파괴를 야기한 생태학적 제국주의를 인식하는 작품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파블로 네루다와 니콜라스 기옌은 식민주의와 환경 파괴가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생태문학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두 시인은 우선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비극이 유럽의 신대륙 ‘발견’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한다. 이후 아메리카의 자연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서 투쟁하지만 끝내 패배하고 기나긴 침묵을 강요당한다. 제2세대 탈식민주의라 할 수 있는 하위주체 연구는 침묵을 강요당한 주변부의 기억을 찾아내고 그 목소리를 대변한다. 그런데 기옌과 네루다는 그 하위주체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사람뿐 아니라 자연을 포함시키고 이들의 잊힌 기억을 살려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에서 주인공이 되는 자연은 인간의 투쟁이 무언의 형태로 새겨진 역사적 기록으로서, 단지 묘사되는 것으로 만족치 않고 이해되기를 바란다. 시인은 이들의 대변인을 자임하면서 무관심과 억압에 의해 묻혀버린 인간과 대지의 역사를 환기해 주는 것이다. The imperialism means not only political, economical and military domination on its colonial territory but also the all-round deform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of colonial world and its people. In regard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ccompanied by imperialis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general survey of the relation between postcolonialism and ecocriticism and to analyze how postcolonial ecocriticism is embodied in Latin American literature. Latin America is, we might say, an emblematic region that has suffered european imperialism, a living text in itself of postcolonial ecocriticism. It was in the middle of twentieth century that Latin American literary works appeared which recognized ecological imperialism. Pablo Neruda and Nicola?s Guille?n are representative poets of ecocritical literature, among others, with the poetic figuration of the system where colonialism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re intermingled. These two poets shar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 tragedies of Latin America began with its "discovery" by Columbus. Since then, Latin American nature fought with the natives against white invaders but found herself defeated and forced into silence. The Subaltern Theory as postcolonialism of second generation looks for the subaltern memories and speaks for them. Neruda and Guille?n include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nature among the subaltern beings and try to restore their forgotten memories. The Nature as historical documents carving the human struggle in a tacit form wants not only to be described but also to be understood. These two poets wake us the buried history of men and nature by indifference and suppression and set themselves up as their spokesman.

      • KCI등재

        김병익의 초기 비평 연구

        김세령 ( Se Ryoung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5

        이 글은 김병익 비평의 기원이 되는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그의 비평 세계를 재구성하고, 그 비평사적 의의와 한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4·19세대 비평가라는 당대의 비평적 맥락 속에서 김병익 비평이 갖는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김병익은 전후세대 문학을 비판하고 4·19세대 문학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면서 4·19세대 문학을 차별화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전후세대와의 연속성도 강조한다. 나아가 그는 한국 문학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세대교체론에 대한 반성을 보여주면서, 다른 세대에 대한 이해와 대화를 강조하는 세대 연대론을 주장하고 있다. 4·19세대로서 자유와 다양성을 지향하는 한편 세대 간의 연대를 강조할 때 그의 비평은 끊임없이 지나간 세대의 문학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동시에 새로운 세대의 문학과도 소통할 수 있었다. 둘째, 김병익은 다른 4·19세대 비평가들과는 달리 작품에 대한 이해와 치밀한 분석을 통해 작품이나 비평가들과 소통하며 독자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가고 있다. 성실한 작품 분석이 중심이 된 비평 작업은 이론적인 깊이나 창조적인 문학성과는 거리를 두게 하였고, 작품에 대한 애정 어린 평가는 때때로 상반된 견해가 종합되지 못한 채 이질적으로 드러나도록 하였다. 셋째, 김병익은 문학의 내재적 가치에 주목하며 작품에 대한 섬세한 분석과 평가가 돋보였던 『문학과 지성』 계열 비평가들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4·19가 정치적으로는 실패했지만 4·19세대에게 문화적인 변혁과 전망을 가능하게 했다는 깨달음은 문학이 현실에 직접 참여하기보다는 현실을 초월하며 문학적 전망을 제시해야 한다는 그의 문학관을 형성해 주었다. 그런데 주목되는 것은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모색할 때 다른 4·19세대 비평가들에 비해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김병익 초기 비평의 특징은 이후 비평 활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4·19세대 문학에 대한 차별화와 자기반성, 세대 연대 의식은 급격한 현실의 변모 속에서 김병익이 4·19세대 비평가로서 자신이 갖고 있었던 한계를 수정해 나가는 한편 1980년대 운동권 문학, 1990년대 이후의 신세대 문학의 가능성을 발견하도록 이끌었다. 또한 그의 비평이 이론적인 체계보다는 분석을 통한 소통과 작품을 기반으로 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김병익은 새롭게 변화된 다양한 작품, 다양한 입장들과도 열린 시각으로 소통해 나갈 수 있었다. 특히 그는 문학과 현실의 균형을 모색하며 새로운 문학적 전망을 끊임없이 제시해 나감으로써 현장 비평가로서 의미 있는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Kim Byoung-ik`s early criticism with attention to the origin of his criticism and to turn out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in view of criticism histor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his criticism in the context of the 4·19 generation critic were investigated and reconstructed in the meaning of criticism history. Kim Byoung-ik had common ground of the 4·19 generation criticism, especially literary and intellectual. But he revealed the unique criticism. the first, he differentiated 4·19 generation literature from postwar generation literature and argued the generation solidarity. the second, he sought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n the literary work. the third, he pursued balance of the literature and the reality, and showed the literary view.

      • KCI등재

        해방 이후의 비평-비평과 국가

        구모룡(Gu Mo-ryong)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1

        식민지 시대와 해방 이후의 사회를 구분하는 가장 주된 준거는 민족(국민)-국가(nation-state)라 할 수 있다. 해방 공간(1945~1948)은 ‘국가부재’라는 상황에서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가능성이 전면적으로 열리는 역사적 맥락을 갖는다. 이러한 역사적 단절의 의미를 고려하여 해방이후의 비평을 현대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현대비평은 그 처음부터 민족-국가 이데올로기에 비평의 이데올로기가 종속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두 개의 민족-국가로 나누어지고 고착화되어 현대비평의 지체와 왜곡을 파생시킨다. 한국현대비평은 항상 국가(state)의 상태(state)에 대한 탐문과 분리될 수 없고 이러한 이유에서 ‘민족문학’이 현대 한국비평사의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된다. 국가의 상태와 관련하여 민족문학의 비평적 주류화는 국가주의에 상응하여 현대 한국문학비평을 한정하는 요인이 되는데 이와 같은 비평적 문제틀은 그 발생론적인 차원에서 대부분 해방 이후 10년 동안 형성된다. 한국현대비평은 그 기원에서 민족-국가에 포박되었다. 민족의 이상과 국가의 이념에 종속된 것이다. 해방공간의 좌우 비평은 남북한이 각기 다른 체제의 국가를 형성함과 더불어 나누어진다. 국가의 탄생과 비평의 선택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현대 문학비평은 분단체제 혹은 두 개의 민족-국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식민지에서 벗어나 민족-국가가 형성되면서 제국과 식민의 관계는 일국 내에서 국민과 비국민의 관계로 변전된다. 좌파 문인들이 추방되거나 배제되면서 민족-국가는 제국에 의해 추진되었던 1940년대의 ‘국민문학’을 새로운 역사적 문맥에서 부활시킨다. 그리고 한국전쟁은 반공주의 체제에 기반을 둔 국민문학의 이데올로기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자연스럽게 ‘민족문학’은 사라지거나 침묵하고 ‘국민문학’ 중심의 흐름이 전면화되는 것이다. 한국현대비평은 그 기원에서 민족문학이라는 이상 형태를 내면화하면서 미학의 국가 종속이라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런데 해방공간의 비평은 현대비평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이론적 거점들을 지니고 있다. (A)본질주의와 사회구성주의 (B)유기론과 유물론 (C)근대 초극과 근대 기획. 이들 가운데 한국 현대비평에서 전자들의 지향이 주류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본질주의의 미학은 다른 영역에 대한 미적 지배 혹은 미적 기득권을 보장하는 정치적 논리를 내포하게 되고 유기론은 이론적 유연성을 상실하고 단의성 체계로 경화된다. 근대 초극론 또한 민족-국가의 구체적인 역사와 이반된 매우 추상적인 관념형태로 존속한다. 한국현대비평의 기원에서 제기된 비평적 논리들은 현대비평사에서 순수-참여론, 구조주의와 문학사회학, 민족문학론, 근대성론 등의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심화된다. 그 기원에서 국민-국가에 포위된 이론적 단순성이 다양하게 변주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평적 다양성과 이론적 수준은 1950년대 민족-국가의 상태에 대한 다각적인 반성과 비판을 통해 얻어진다. 다시 말해서 4월 혁명은 민족-국가의 족쇄에서 현대 한국비평이 비록 완전한 상태는 아니나 상대적인 자율성을 획득하는 계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비평의 기원을 4월 이후로 보는 관점이 제기될 수도 있다. 비평의 다양성, 이론의 전개, 각기 다른 지향의 많은 비평가들의 해석 공동체 형성 등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 외형과 내용에서 비평의 현대성이 형성되었다 하겠다. 그럼에도 민족-국가와 비평이라는 관점에서 아무래도 현대 한국비평의 기원은 해방이라는 역사적 단층 위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In Korean history, what clearly discriminated the colonial period and post-liberation was forming the nation-state. Some time after the liberation(1945~1948) was when no state existed, but historically, there was a full possibility of nation-state formation. If such discrimination as above is considered true, modem criticism in this country didn't start until the liberation. From its start after the liberation, Korean modem criticism became ideologically dependent on the very ideology of the nation-state. This relationship became more firmly established as this country was divided into twos, resultantly making Korean modem criticism less developed and distorted. Modem criticism is not separable from inquiring about the state of a state. In a similar vein, 'national literature' has been one of the most concept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m criticism. In this country, a mainstream of the criticism was based on nationalism. In other words, nationalism became the very factor on which the criticism of modem Korean literature was dependent. From a standpoint of embryology, such framework of criticism was formed for a decade since the liberation. In terms of origin, Korean modem criticism got locked in the concept of nature-state, depending itself on the ideal of the nation and the ideology of the state. Post-liberation criticism was divided into rightist and leftist ones when Korea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political regimes, South and North Korea. In other words, Korean modem criticism's choice of its own way coincided with the foundation of the two Koreas. In Korea, modem literature criticism is not still beyond the awareness of South-North division, that is, the existence of two nations and two states. As Korea became a nation-state after the liber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was substituted by those between nation and non-nation in one state. Expelling or excluding literary leftists led this nation-state to form a new historical context of 'state-oriented literature that was originally sought in the 1940s of the imperialism. The Korean War made the ideology of state-oriented literature more strengthened based on anti-communism. Naturally, 'national literature' was disappeared or kept silent and 'state-oriented literature emerged itself as a mainstream. Ideally, Korean modem criticism internalized national literature, but actually it became what was aesthetically dependent on the state. Post-liberation criticism had some theoretical bases on which the archetype of modem criticism was formed. Out of them, today, (A) essential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B) organology and materialism and (C) overcoming the modem and planning the modem are regarded as main basic theories of modem criticism. In nature, aesthetics has a political logic that ensures an aesthetic rule or vested rights over other fields. Organism is likely to be less theoretically flexible, but more simplified and hardened. Overcoming the modem is a very abstract concept that is seemingly far from the history of a nation-state. Arisen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Korean modem criticism, critical logics have been continuously reiterated and deepened as they have made exchanges with the principle of purity-participation, constructionism, literal sociology,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the theory of modernity all of which are found in the history of modern criticism. This means that Korean modern criticism has been theoretically diversified escaping from its theoretical simpleness based on the ideology of the nation-state. In fact, such diversity is an outcome of reflecting on and criticizing in many respects what the nation-state was like in the 1950s. The April revolution made Korean modern criticism free from its dependence on the nation-state relatively, though not completely. In this sense, some may say that Korean modern criticism started after the April incident. After the incident, a number of critics wh

      • KCI등재

        김현 비평에서 “공감의 비평”론과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의 상관성 연구 -아도르노 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래희 ( Lae-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3

        이 글은 김현의 『문학과 유토피아』라는 평론집에 ‘공감의 비평’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문학은 유토피아에 대한 꿈’이라는 명제가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것이고 ‘공감의 비평’이 김현이 비평가로서 작품을 대할 때 지향하는 태도와 관련된 것이라고 할 때 제목과 부제의 연관성은 겉보기보다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공감의 비평’이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어떻게 연결되며 그것이 가진 비평사적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김현이 문학론을 정립할 때 영향을 받았던 아도르노 미학의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그것을 김현이 어떻게 수용, 재구성하였는지에 대한 논의를 우선적으로 진행하였다. 수수께끼, 가상, 비존재자의 드러남, 유토피아 등의 아도르노적 개념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도르노 미학에서 예술이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 것은 예술이 사회에서 물화의 상태에 빠진 존재자와 다른 ‘비존재자’를 드러내고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초월’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김현의 비평적 태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김현이 아도르노 미학을 어떤 방식으로 수용, 재해석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김현이 아도르노 이론에 주목했던 것은 직접적 방법을 통한 문학의 사회 참여가 예술이 자기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통찰이다. 부정적 사회에 대한 저항과 부정은 형식을 통한 형상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아도르노적 관점은 김현이 문학적 형식을 강조하게 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그런데 문학적 형상화가 사회에 대한 부정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매개가 필요한데 김현 비평에서 그것은 본질을 형태 속에 잡아내려는 의지이다. 이런 의지는 예술 탄생의 내재적 요인이 아리라는 점에서 아도르노 미학과 김현 비평이 갈라지는 지점이 된다. 이렇게 미적 계기와 구별되는 요소로서의 의지가 주체의 ‘감시’와 ‘반성’에 의해 보충될 때 비로소 문학적 체험은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김지하의 시 <무화과>에 대한 김현의 평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감의 비평이 사회를 부정하는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되는 양상과 조건을 살펴보았다. 공감의 비평은 미적 가상을 통한 화해의 체험이지만 그런 화해는 불가능한 비존재를 통한 초월이라는 점에서 허위의식으로서의 화해이기도 하다. 화해이자 허위의식인 공감의 비평이 부정적 사회와의 싸움의 계기가 되려면 매개 고리가 필요한데 그것이 자기 대상화를 통한 욕망의 분석과 ‘고문하는 의식’을 통한 자기반성이고 이것이 김현의 공감의 비평을 사회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시키는 매개임을 살펴보았다. 문학을 통한 초월이 하나의 ‘물신’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경계, 예술은 허위의 진실을 진실의 허위성에 대한 인식으로 바꾸는 과정이라는 김현의 문학적 입장은 문학이 물신이기를 자처하는 오늘의 사회적 현실에 그의 비평이 던지는 메시지 중 하나일 것이다.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why Kim Hyun`s book, ‘Literature and utopia’ has a subtitle criticism of sympathy. It seems that there is not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and subtitle because the title ‘Literature and utopia’ means literature is the dream about utopia, and the subtitle is 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literary work.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Kim Hyun`s theory of the literature as the power of reality negation. The theory of Th. W. Adorno has a big impact on the Kim Hyun`s criticism. First of all, I examine how Kim Hyun adopt and reinterpret he theory of Th. W. Adorno. The main concept of Adorno`s aesthetics is the puzzle, aesthetic illusion, revelation of nonexistence. In Adorno`s aesthetics, the reason art is the antithesis of society is that art reveals the nonexistence and we can experience the transcendence which is impossible in real world. Kim Hyun`s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society is another main issue. Understanding the way Kim Hyun adopt and reconstruct the Adorno`s theory is a good way to grasp the issue. Kim Hyun is influenced by the Adorno`s idea that the direct participation in society could bring about the self-negation of art. Adorno`s theory that the resistance through the literary form is the only way to fight the oppressive society contributes the formation of Kim Hyun`s literary theory. Kim Hyun emphasize the will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reality. This will is the intersection between Adorno and Kim Hyun. Reflection is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literature`s function as negation of society.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Criticism of sympathy and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in Kim Hyun`s criticismby analysing of Kim Hyun`s essay on the poem ‘fig’. Criticism of sympathy is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through the aesthetic form, but it also means false awareness because such transcendence is not real. There needs to be an intermediation between the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Self-reflection and torture is the key of that intermediation.

      • KCI등재

        계급문학론을 통해 본 김우진의 비평관 연구― 문학 비평 「我觀 ‘階級文學’과 批評家」을 중심으로

        김남석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3 No.-

        김우진은 1925년 4월에 집필한 비평문 「我觀 ‘階級文學’과 批評家」을 통해 비평가로서의 강한 자의식을 드러낸 바 있다. 이 비평문에서 김우진은 기존의 문학 성향을 부정하고 계급문학론을 옹호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기존 조선 문단의 문학가들의 발언과 비평 의식 그리고 창작 활동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김우진은 이광수를 비롯하여 김동인, 염상섭, 박종화와 김기진, 박영희 등 당대의 문학가(비평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면서 그들의 문학관이 계급문학론을 수용하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였다. 아울러 김우진은 이러한 비평적 응수를 통해 자신의 계급문학론을 정립해 나간 흔적을 내보였다. 결국 김우진은 「我觀 ‘階級文學’과 批評家」의 연장선상에서 「이광수류의 문학을 매장하라」를 발표하면서, 자신이 겨냥하는 계급문학론의 실체를 정립해 나갈 수 있었다. 이러한 김우진의 비평관은 결국 그의 창작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확인된다. Kim Woojin revealed his strong self-consciousness as a critic through the critical text 「Class Literature and Critics from My Perspective(我觀 ‘階級文學’과 批評家)」 written in April 1925. In this critical text, Kim Woojin denied the existing literary tendency and advocated the Literary Theory of Class Literature. And for this purpose, Kim Woojin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emarks, critical consciousness, and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literary writers. Kim Woojin expressed his views on Lee Gwangsu, Kim Dongin, Yeom Sangseop, Bak Jonghwa, Kim Gijin, and Bag Yeonghi, who were literary figures of the time and criticized the reality that their view of literature did not accept the Literary Theory of Class Literature. In addition, Kim Woojin showed traces of establishing his own Literary Theory of Class Literature through this critical response. In the end, Kim Woojin published 「Bury the Literature following Kwangsoo Lee」 as an extension of 「Class Literature and Critics from My Perspective」, and Literary Theory of Class written aimed by Kim Woo-jin himself could be established. It is confirmed that Kim Woojin’s view of criticism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his creation. It is confirmed that Kim Woojin’s view of criticism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his creative activities.

      • KCI등재

        유종호의 문학비평에 투영된 언어관 내지 어문(語文) 의식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0 No.-

        유종호 문학비평의 기저를 이루는 일반론의 하나는 모국어를 사랑하는 사람만이 문학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연구사 개관은 전용호, 이광호, 권영민의 자료를 통해 되살펴볼 수 있다. 유종호의 첫 번째 비평집인 『비순수의 선언』은 문학의 토착어가 가치지향적인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가치의 개념을 제한적으로 유보하고 있다. 비평집 『비순수의 선언』에 투영되어 있는 중용적인 언어관은 토착어와 산문정신, 토착주의적인 미의식과 근대적인 심미관 등과 같은 이질적인 세계에 대한 양가감정이며 균형 감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가 장용학의 소설 「상립신화(喪笠神話)」를 두고 비판을 가한 것이 문제가 되어 그는 장용학과 더불어 1964년 5월부터 10개월간 한글 전용에 관한 찬반 논쟁을 벌인다. 그는 일본어 세대의 소설가인 장용학과 논쟁을 하는 과정에서 그가 문학의 언어를 통한 새로운 감수성이 얼마나 절실한가를 깨닫게 된다. 그가 1960년대에 발표한 회심의 비평문인 「감수성의 혁명」은 일본어를 습득한 마지막 세대로서 해방 후 영어를 배우고 영문학 교양의 바탕 위에 비평적인 안식(眼識)과 경험을 얻은 그가 자신보다 바로 아래인 세대의 후배들인 한글세대가 이룩한 문학의 첫 장을 열었다는 데 대한 비평적인 고무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유종호의 문학적이거나 비평적인 언어관은 유보적이고 중립적인 데서 서서히 의식의 지평을 확대해가고 심화해 가면서 뚜렷하고 확고한 어문(語文) 의식으로 발전해 간다. 그의 문학비평에 투영된 토착어지향성이 그 자신 문학비평의 구경적인 의미 내지 의의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종호는 도상(途上)의 시인작가보다는 문학사적으로 검증된 시인들을 실제비평의 대상으로 주로 삼았다. 유종호 문학비평의 중요한 향방으로 설정된 토착어지향성의 문제는 다음 두 편의 비중 있는 비평문에 의해 믿음직하게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 하나는 「시와 토착어지향」(1981)이며, 또 다른 하나는 「시인과 모국어」(1984)이다. 이 두 비평문은 유종호의 문학관 및 가치지향과 사유의 폭과 깊이가 집약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1. Yu Jong-ho i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critic. He has been a prominent literary critic from the 1950s to the present. He has published several books of literary criticism since his first book of criticism, The declaration of Impureness. 2. The importance of his criticism is found in the concept of the vernacular (aboriginal language) in our literature. The value of our language is indescribably important in literature. 3. But the discussion on the beauty of our language and writing rightly disappears in the academic and critical world these days. This study focuses on the true value of our literature, managing the standard and value of listening and reading of literature rather than written literature. 4. Some of contents the author doesn’t deal with in this paper would be dealt in the next paper. The following is the contents of the next paper. 5. He categorizes poets as being positive and as being negative in according to his view of them. Those poets of being positive are who contribute the refinement of Korean language and those poets of being negative are who don’t. For example, the former is Kim Seowol, Jung Jiyong, Seo Jungju, Park Mogwol, Sin Kyeongrim, and the latter is Lee Sang, Lim Hwa, Lyu Chihwan. 6. From this point of view, we have to understand and reflect his value of criticism in a new way.

      • KCI등재

        대중서사와 문학의 ‘윤리적 전회’ - 녜진자오의 문학윤리학비평을 중심으로

        이진형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2

        문학비평의 ‘윤리적 전회’는 포스트구조주의 혹은 해체주의 이후 문학과 현실(사회)의 관계를 복원하고, 또 그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시도하려는 중요한 흐름이다. 이 글은 중국의 문학이론가 녜진자오의 文学伦理学批评导论을 중심으로 문학비평의 ‘윤리적 전회’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문학과 사회의 관계 방식 또는 문학(비평)에 대한 윤리(학)의 개입 방식에 관해 논의하려고 한다. 중국 문학에서 윤리의 결여 문제를 다루기 위해 녜진자오는 윤리적 존재로서의 인간 규정, 문학의 윤리적 재정의, 문학 텍스트의 윤리적 구조 해명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우선 녜진자오는 다윈의 진화론에 기초해서 인간을 윤리선택에 의해 형성된 존재로서 정의한다. 선악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윤리의식)이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기준이라는 것이다. 이때 인간의 두뇌와 동물의 신체의 결합이라는 스핑크스의 특성은 ‘스핑크스 인자’로 명명되고, ‘인간성 인자’와 ‘동물성 인자’의 혼종 형태는 인간의 본질적 속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으로 그는 윤리적 존재로서의 인간 규정을 토대로 문학 개념의 윤리적 재정의를 시도한다. 이 재정의를 위해서 그는 스핑크스 인자를 구성하는 두 인자가 문학작품 속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형태에 관해 설명하고, 문학의 윤리적 기원을 인류학적으로 추적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는 문학 텍스트의 윤리적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문학 텍스트의 윤리적 구조는 윤리선들과 윤리매듭들로 구성되어 있고, 윤리매듭들이 윤리선을 따라 전개되면서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 역설, 윤리적 혼란, 윤리 정체성 등을 형성한다. 녜진자오의 문학윤리학비평은 두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역사주의적 접근법과 탈역사주의적 접근법 사이에서의 동요이고, 다른 하나는 문학의 사회적 기능(‘도덕 교화(moral teaching)’)의 모호성이다. 그렇지만 문학의 윤리 혹은 사회적 책임은 오늘날 한국에서도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문학윤리학비평이 한국의 대중서사 연구와 비평에 시사하는 바는 적지 않다. 이와 관련해서 문학윤리학비평은 이론적 단순화를 피하기 위해 다른 이론들과의 ‘협업’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시고(試攷)

        최지훈(Choe, Jun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0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8

        한국아동문학비평사는 1950년 6월을 기점으로 일단 전기(前期)와 후기(後期)로 나눈다. 그것은 광복으로부터 6.25전쟁 발발 때까지의 해방공간 5년을 일제 강점기의 비평사의 연속으로 본 것이며, 그 이후는 완전 분단 상태로 반도 남쪽만의 비평사이기 때문이다. 전기를 다시 비평 맹아기, 오욕수난기로, 후기는 비평모색기, 기초 형성기, 비평전문화기, 비평발전기 등으로 세분했다. 비평 맹아기(1908-1925)는 최남선(崔南善)의 『소년(少年)』이 창간 될 때부터 소파(小波)의 『어린이』지를 비롯한 어린이 잡지가 속출하기 시작하던 1920년대 전반까지이다. 이때는 비평의 맹아라 할 수 있는 투고 작문을 꼲고 평하던 글을 발견할 수 있었던 때이다. 오욕 수난기(1925-1950)는 일제강점기 후반에서 해방공간 5년간을 포함한 기간으로, 이 시기에 본격적인 비평과 이론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는 주로 문학을 사회주의 운동의 방편으로 삼고 이 이념을 문학 가치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던 주장(카프 문학 활동)이 일색을 이루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광복이 되기까지 10여 년간은 일제의 탄압으로 우리말과 글로 된 모든 문학 활동이 정지된 암흑기여서 비평도 사라졌다가 광복이 되자 카프의 활동이 그대로 복원되어 나타났다. 비평모색기(1950-1967)는 6.25전쟁과 전후기로 일컬어지는 1950년대와 그리고 4.19와 5.16으로 시작되는 60년대 전반기의 비평 활동이다. 이때는 남북이 적대적인 관계로 완전한 분단을 이루고, 국토와 국민의 삶이 완벽하게 피폐해진 때다. 50년대 전반은 비평이 사라진 진공 상태로 있다가 50년대 후반부터 연평, 계평, 월평 등의 시평 위주로 발표된다. 이때는 ‘반공’ 이념이 절대적인 사회와 국가의 가치로 지배되던 때로서 전 시기에 있었던 사회주의 이념은 완전하게 배격되었다. 이런 때에 아동문학 전문지로서 비정기 간행물인 《아동문학》이 약 10년간 10호까지 발행되어 아동문학 기초이론의 전개를 중심으로 아동문학 비평의 재건이 시도되었다. 기초형성기(1967-1976)에는 전국에 초등교육을 맡을 교사 양성 기관으로서 국립 교육대학이 설립됨으로써 아동문학도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비평 문학의 토대가 되었다. 서민 문학론이 등장하면서 열도 높은 논쟁이 전개되었다. 그것은 이재철의 「아동문학개론」과 같은 탁월한 아동문학연구서와 이오덕의 「시정신과 유희정신」과 같은 평론집, 무크지 《아동문학사상》와 월간 《횃불》과 같은 아동문학 비평 전문지가 간행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시기(1967-1976)는 아동문학 연구와 함께 그 이전의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비평이 전개되었다. 그 대표적 연구자와 논객들은 이재철, 박경용, 임헌영, 오규원, 김요섭, 이상현, 유경환, 이오덕 등이었다. 비평 전문화기(1976~1990)는 계간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 전문지 <아동문학평론>가 창간된 1976년을 시발점으로 한다. 이는 이 논문이 발표되는 2010년 현재까지 35년간 계속 발간되고 있는 아동문학사 초유의 전문잡지이면서 비평전문지다. 이 잡지의 존재는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평론가가 존재하게 하였으며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이 상존하게 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신진 전문 평론가들이 잇달아 나타나 한국아동문학 르네상스라고 할 전성기를 열어가는 세력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아동문학을 학문의 대상으로 연구하는 신진학자들도 여러 대학에서 배출되었으며 중요한 논문들이 계속 생산되었고 한국아동문학학회가 조직되어 오늘까지 활동하면서 한국 아동문학 연구와 비평의 중심이 되고 있다. 비평 발전기(1990~현재)는 한국 아동문학의 르네상스로 일컬어질만한 시기였다. 특히 이 시기에는 동화문학이 융성해졌고, 아동문학 전문지가 속속 창간되었으며 아울러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젊은 전문 평론가가 대거 등장했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 ①아동문학 평단의 여성화 추세가 가속화했다. ②많은 젊은 어머니들이 아동도서에 대한 모니터 능력이 탁월해졌다. ③사업이 된 독서지도 운동이 전개되어 비평의 바탕적 분위기를 형성했다. ④ 아동문학 전문지의 족출(簇出)과 좌우 이념적 평단이 형성되었다. The Criticism history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C.h. 한국아동문학비평사} is divided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from June 1950. I consider that C.h of 5 years, from the Liberation(Aug. 1945) to the Korean war(Jun. 1950)[to be called the time of liberation(해방공간)] is continuity of C.h under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I consider that C.h after the Korean war is distinguished from C. h before it C.h because of only the Southern Korea without the N. K. C. h of the Former term [the Former] is subdivided in two, the Bud term and the Suffering term. C. h of the Latter term[the Latter] is subdivided into four, the Groping term, the Forming Basic term, the Professional Criticism term, the Developing Criticism term. The Bud term(1908-1925) is from when Namsun Choi published the 1st edition of magazine Sonyun[boy] (1908) to the ist half of 1920s when all sorts of magazine headed by Orini[Children](by Jungwhan Bang) for children were published. This term is when the comment for contributions are found that the words is called buds of review(or criticism). The Suffering term(1925-1950) is the last term of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the time of liberation. This term was beginning to be developped in earnest criticism and literature theory. Such operations are exclusively occupied by KAPF that the critics who use the literatures as an instrument for the socialism or communism movement make the socialism the standard of the value of literature. About 10 years, from the latter half of 1930s to the Liberation of Korea(1945), Korean literatures were the dark term because could not use the Korean words and latters by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refore the criticism of literature were disappeared. But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 operations of KAPF were intactly restored to the former state. The Groping term.(1950-1967) is the time of the criticism works from the Korean War(1950) to the first half year of 1960s that began with the 4.19(the democratic revolution) and the 5.16(the military coup). This term was the days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completely divided into two domains on South and North, and S. Korea have made hostile relations with N. Korea. And the term was the days when the life of people have thoroughly become impoverished. On the postwar days -the first half of 1950s, there were not the criticism, but there were the views of year or month or season. On this term, the national worth and ideology was only The Anti-communism. To say nothing of communism, even any socialism cannt be admitted, because anti-communism was the national doctrine or dogma in the boundary of Korea society. At such a time, a mook Adong-Munghak(아동문학/ the Childrens literature) that had been published vol-number from 1st to 10th for about 10 years. These magazines had attemptted rehabilitation of the criticism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theory. On the Forming Basic term(1967-1976), the Childrens literature became the subject of study, because there are founded the national teachers collages for elementary education on all parts of country. And the criticism of the childrens literature was based on these situations. On this term, there was full of controversial ardor according to advent of the literature for the humble classes[서민문학]. A cause of these states of the controversy was because of prominent works to be published. There were books of research about the childrens literature as Jeachul Lees The survey of Childrens literature[아동문학개론], essays in criticism as Oduk Lees The spirit of Poet and the spirit of Pastime[시정신과 유희정신], and the children literary journals as mook Adongmunhak Sasang[아동문학사상/ the thought of Childrens literature] and monthly Hwetbul[횃불 / the tor

      • KCI등재

        프랑스문학교육에서 비평의 역할

        김진하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4 No.-

        La critique littéraire est toujours controversée comme objet d'enseignement. Elle ne peut pourtant être exclue de l'enseignement supérieur. En tenant compte des enjeux de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on pourrait constater que l'esprit critique en est un élément essentiel. Et la formation de l'esprit critique est favorisée et confirmée par des exercices de critique littéraire. En particulier, dans le département des études françaises à l'université en Corée, même s'il y a un certain problème relatif à l'apprentissage et à la compréhension de la langue étrangère, la critique littéraire reste un objet d'intérêt important pour les étudiants. Mais le cours de critique littéraire française n'est pas forcément le seul moyen d'introduire la critique littéraire dans le cursus universitaire, parce que celle-ci est nécessaire dans presque toutes les classes de littérature française. Le recours à la critique permet une meilleure compréhension du texte. Il faut aussi une réflexion critique pour les différentes pratiques comme l'explication de texte, le commentaire composé et la dissertation. Le commentaire ou la dissertation d'aujourd'hui exigent plus ou moins des connaissances en critique littéraire. Notamment la nouvelle critique du XXe siècle est solidement implantée dans l'éducation institutionnelle depuis les années 1980 en France, et de plus, elle est devenue maintenant une technique pédagogique qui permet d'éviter l'éclectisme informel. Il est donc indispensable que les méthodes critiques trouvent leur place pleine et entière dans l'enseignement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en Corée. 비평은 문학연구에서나 교육에서나 똑같이 논란의 대상이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비평이라는 개념 자체가 논쟁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품의 가치에 대해 평가하고 시비를 가리는 것은 언제나 객관성, 정당성, 일관성, 적절성 등의 기준의 문제를 제기한다. 주관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심미적 가치판단이 끊임없이 개입하는 비평은 그야말로 그 자체가 문제적인 사태이다. 하지만 반성적 성격이라고도 규정할 수 있는 비평의 문제적 성격이 바로 그것의 필요성의 근거라고 말할 수도 있다. 비평은 문학이나 예술의 기원과 기능과 가치에 대한 미학적 질문뿐만 아니라 작품의 의미 자체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문학작품은 종종 특정한 결론보다는 질문을 제기하는 것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데, 그렇다고 그 질문들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일도 드물다. 사실 어떤 질문들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작품들은 오히려 낮은 평가를 받는다. 그러므로 문학작품들이 은밀히 제기하거나 수수께끼처럼 감추고 있는 질문을 포착해내는 것은 사실상 비평적 접근을 통해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문학교육은 비평보다는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문학의 역사, 갈래 등에 대한 이해와 수사학에 대한 학습을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현대 프랑스문학교육, 더 구체적으로 20세기 전반기 프랑스문학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귀스타브 랑송은 문학교육을 문학사(문학의 역사와는 조금 다르게)로 대체시키면서 비평과의 거리를 뚜렷이 두고자 했다. 그래서 문헌설명을 위주로 하는 문학사는 19세기 말엽부터 수사학의 자리를 대신하였다. 그리고 그 뒤로 반세기가 넘게 대학에서의 문학연구방법론이 되었다. 또한 중등교육의 문학은 문학사를 위주로 짜여졌다. 한편 1960년대의 신비평논쟁은 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논쟁이기도 했다. ≪라씬론≫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 논쟁에서 롤랑 바르트가 제기한 근본적인 문제는 문학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한계에 대한 것이었다. 그가 ≪라씬론≫을 통해, 그리고 그 다음에 나온 ≪비평과 진실≫을 통해 지적한 것은 문학연구에서 불가피한 주관성, 특히 비평적 주관성의 옹호였다. 그가 줄곧 지적한 문학사의 한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근거를 둔 모방론(mimésis)에 대한 비판은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였다. 더욱이 그가 1969년에 스리지-라-살의 <문학교육> 집담회에서 발표한 <교과서에 대한 성찰>은 비교적 짧은 글이지만 기존의 문학교과서가 가진 특성을 명확히 지적하였다. 그는 문학교육에서 고전중심주의를 바로잡을 것과, 작가나 학파, 문예 운동 대신에 텍스트를 우선시하며, 텍스트의 다의적 독서와 '일종의 다의적 비평'을 수립할 것을 주장하였다. 요컨대 그는 문학사교육이 이데올로기적이고 독단적인 기준에 근거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구조적 분석 방법을 통한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문학비평가로서의 샤토브리앙에 관한 시론

        이순희(Lee, Soo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49

        본고는 문학비평가로서의 샤토브리앙과 그의 비평적 글쓰기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의 준비 작업에 해당한다. 비평사 일반연구에서 샤토브리앙에 대한 개괄적인 언급들은 있었지만 문학비평가로서의 샤토브리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비평사에서 주로 언급되는 『혁명시론』이나『기독교의 정수』를 통한 샤토브리앙의 비평적 담론에 대한 연구는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본고에서는 작가가 신문·잡지상에 발표한 서평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보고자 했다. 이는 19세기의 다양한 문학비평의 장 중 하나인 신문·잡지의 기사문들의 문학적 가치에 대한 재고의 계기를 마련하는 동시에 샤토브리앙의 기사문들을 연대순으로 읽어가는 가운데 작가가 드러내는 문학비평 관점의 항상성과 변화 및 진보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샤토브리앙의 서평들에서는 작가의 ‘고른 글쓰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그의 ‘에세’류의 작품들에서처럼 작품 소개에서 당시 정황에 대한 고찰로, 서평 대상이 되는 작품의 분석에서 작가 자신의 문학론으로, 자유롭게 다양한 주제를 넘나든다. 이는 비평가라기보다는 시인, 작가였던 샤토브리앙이 비평가로서 가질 수밖에 없었던 한계점, 혹은 비평가의 시선에 끊임없이 작가의 시선이 개입될 수밖에 없었던 비평가-작가로서의 고유한 비평적 글쓰기를 보여준 것일는지도 모른다. 문학비평가로서의 샤토브리앙 읽기는 이제 그 시작점에 놓여있다. 그의 비평적 담론은 첫 작품, 『혁명시론』에서『사후 회상록』에 이르기까지 숱한 작품들 속에 단편적으로 담겨있다. 이러한 글들의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때, 비평가-작가로서의 샤토브리앙의 고유한 비평적 글쓰기에 대한 논의가 보다 본격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ur study is a preparatory step to process "Chateaubriand as a literary criticism" and his critical discourse. Chateaubriand, as a literary critic is discussed in the Histories of literary criticism but quickly and general and the aspect of Chateaubriand has not yet been a serious study. In the Histories of literary criticism, we have often spoken of the Essai sur les revolutions or Genie du christianisme,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thorough study more concrete. Before starting this research, we wanted this study to observe and analyze Chateaubriand as literary critic through his reports published in various newspapers of the time. This gives us the opportunity to consider the literary value of newspaper articles, a major fields of literary criticism of the time and to see the consistency and evolution of Chateaubriand literary critic through a chronological reading of Articles. However, we can not expect the regular writing of the writer in these texts. Quick sketches to personal reflections, sometimes to his own quotes, these texts are constructed of different materials. This is perhaps his own limits as a creator rather than critic or his own writing as writer-critic who can not help put his eyes as writer in his discourse of literary criticism. Read Chateaubriand as literary critic is at its beginning. Because his discourse of literary criticism are inserted fragmentarily in his various works, once these discourses considered as a whole, we can conduct a more serious study about his own literary criticism to him as writer-critic. 본고는 문학비평가로서의 샤토브리앙과 그의 비평적 글쓰기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의 준비 작업에 해당한다. 비평사 일반연구에서 샤토브리앙에 대한 개괄적인 언급들은 있었지만 문학비평가로서의 샤토브리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비평사에서 주로 언급되는 『혁명시론』이나『기독교의 정수』를 통한 샤토브리앙의 비평적 담론에 대한 연구는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본고에서는 작가가 신문·잡지상에 발표한 서평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보고자 했다. 이는 19세기의 다양한 문학비평의 장 중 하나인 신문·잡지의 기사문들의 문학적 가치에 대한 재고의 계기를 마련하는 동시에 샤토브리앙의 기사문들을 연대순으로 읽어가는 가운데 작가가 드러내는 문학비평 관점의 항상성과 변화 및 진보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샤토브리앙의 서평들에서는 작가의 ‘고른 글쓰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그의 ‘에세’류의 작품들에서처럼 작품 소개에서 당시 정황에 대한 고찰로, 서평 대상이 되는 작품의 분석에서 작가 자신의 문학론으로, 자유롭게 다양한 주제를 넘나든다. 이는 비평가라기보다는 시인, 작가였던 샤토브리앙이 비평가로서 가질 수밖에 없었던 한계점, 혹은 비평가의 시선에 끊임없이 작가의 시선이 개입될 수밖에 없었던 비평가-작가로서의 고유한 비평적 글쓰기를 보여준 것일는지도 모른다. 문학비평가로서의 샤토브리앙 읽기는 이제 그 시작점에 놓여있다. 그의 비평적 담론은 첫 작품, 『혁명시론』에서『사후 회상록』에 이르기까지 숱한 작품들 속에 단편적으로 담겨있다. 이러한 글들의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때, 비평가-작가로서의 샤토브리앙의 고유한 비평적 글쓰기에 대한 논의가 보다 본격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ur study is a preparatory step to process "Chateaubriand as a literary criticism" and his critical discourse. Chateaubriand, as a literary critic is discussed in the Histories of literary criticism but quickly and general and the aspect of Chateaubriand has not yet been a serious study. In the Histories of literary criticism, we have often spoken of the Essai sur les revolutions or Genie du christianisme,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thorough study more concrete. Before starting this research, we wanted this study to observe and analyze Chateaubriand as literary critic through his reports published in various newspapers of the time. This gives us the opportunity to consider the literary value of newspaper articles, a major fields of literary criticism of the time and to see the consistency and evolution of Chateaubriand literary critic through a chronological reading of Articles. However, we can not expect the regular writing of the writer in these texts. Quick sketches to personal reflections, sometimes to his own quotes, these texts are constructed of different materials. This is perhaps his own limits as a creator rather than critic or his own writing as writer-critic who can not help put his eyes as writer in his discourse of literary criticism. Read Chateaubriand as literary critic is at its beginning. Because his discourse of literary criticism are inserted fragmentarily in his various works, once these discourses considered as a whole, we can conduct a more serious study about his own literary criticism to him as writer-cri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