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인 모델 아카데미에 참여한 지도자의 인식

        마다연(Ma, Da Yeon),김해빈,강동헌,정이루리 한국모델콘텐츠학회 2021 한국모델콘텐츠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장애인 모델 아카데미 내에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지도자들의 프로그램 전과 후에 따라 나타나는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질문지, 특수체육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자료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수업지도방식의 변화로 지도자들이 장애인을 지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수업을 지도할 때 잘 구성된 교육과정에 맞추려고 하기 보다는 장애인 개개인에 대한 특성 및 장점, 단점을 이해하고,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지도자 스스로 깨닫고 그에 맞게 프로그램을 계획 후 수정을 통해 가르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인 모델 아카데미 프로그램이 끝난 후 장애인을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여자보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지도자들은 공통적으로 장애인 모델 아카데미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의 수가 많아져야 하고, 단기적인 이벤트가 아닌 장기적으로 진행되어 더 많은 장애인들이 이런 프로그램을 경험해보고,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모델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이 모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 가르치는 방식의 변화 등 기본적인 장애인에 대한 개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역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perception of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the model academ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of the model academy. We us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qualitative research and examined data from semi-structured surveys and advices from experts in the field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 the participants think when teach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hat instructors should recognize physical/mental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maintain motiv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adapting and modifying program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participants who previously experienced teaching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reviously experience. Third, all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ntly responded that this type of programs should be needed and that mor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is type of long-term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more systematic models should be developed to design model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future research. Also,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xamine variables influencing on changes of fundamental perception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changes of teaching method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행복의 커뮤니케이션

        이상철(Sang-Chul Lee) 동서언론학회 2010 동서언론 Vol.13 No.-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과 행복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했다. 인간은 첫째 생존과 원만한 사회생활을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위해하고 둘째는 행복을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인간은 커뮤니케이션 동물이기 때문에 인간이 잠시라도 숨을 쉬지 않으면 생존이 불가능한 것 같이 커뮤니케이션을 하지 않아도 생존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해 첫째, 커뮤니케이션은 행복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고 둘째,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이야기 하지만 해복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셋째, 행복은 선천적인가 그리고 선천적이라고 하더라도 의도적인 행동(intentional activities)에 의해 행복해 질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고 넷째 행복과 관련이 있는 상황적 변인들(variables)은 어떤 것들이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했고 마지막으로 행복의 모델과 행복의 실천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커뮤니케이션은 행복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인간이 왜 커뮤니케이션을 하느냐고 묻는다면 인간의 사는 목적이 행복이기 때문에 당연히 행복해 지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한다고 답할 것이다. 신도수가 4만3천명으로 미국에서 가장 큰 교회의 오스틴 목사(smiling preacher)는 웃음이라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행복의 메시지를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전파하고 있다. 한 번은 한 젊은 신도가 당신은 왜 항상 웃느냐고 질문을 하자 행복은 마음(heart)에 있는데 마음이 행복하니까 웃는다고 했다. 둘째, 행복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예수탄생 이전인 그리스시대부터 철학자들에 의해 논의되기 시작했다. 플라톤과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들이 설립한 대학(academy)에서 행복이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인가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 두 철학자들은 그러나 행복에 관한 견해를 달리해 서로 다른 학파를 이루었는데 플라톤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완전한 삶(perfectionist)을 추구했고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적의 삶(optimalist)을 추구했다. 셋째, 행복의 유전자는 선천적면도 있지만 마치 선천적으로 뚱뚱하게 태어나는 사람이라도 후천적으로 노력과 운동을 통해 날씬해 질수 (skinny)있는 것 같이 행복도 후천적인 노력과 행동에 행복의 유전자에 관계없이 행복해 질수 있다. 행복에 관한 상화적인 변인들로는 출세와 돈, 명예와 사회적인 지위 등이 있는데 이들 변인 자체가 행복을 보장해 주지는 못하지만 이들 변인을 어떤 목적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행복해 질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복의 모델로는 현재의 희생이 없이는 미래의 행복이 없다고 여기는 과당경쟁 모델(rat racer), 현재를 중시하고 미래는 생각하지 많은 쾌락 형 모델(hedonist), 현재도 없고 미래도 없다고 여기는 허무주의 형(nihilist), 그리고 현재도 중요하고 미래도 중요하다는 이상적인 모델(idealist)이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 happiness. We communicate not only to survive and to better lead the worthwhile social life as well as to be happy. The act of communication can be compared to an act of breathing in that no life is possible without breathing as well as no life is possible without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e human-being can called a communication animal. In an attempt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 happiness, this study raised the five research questions: (1) how the communication is related to happiness; (2) how the communication is defined & meant? (3) whether we are born with a set point of happiness and if so, to what extent is it? Even if we are born with a happiness set point, can we be happy by our intentional activities?; (4) what are the circumstantial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5) what are the desirable happiness model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is indispensably related to happiness. Since happiness is in our heart, not elsewhere, not outside our body, if our heart is happy, our face automatically shows it up by a sign of smile, a vital part of communication. As the Bible says that a happy heart makes the face cheerful, the cheerful face is a natural sign of happiness. Second, the study on happiness dates back even before the birth of Christ. The Greek philosophers, especially Plato and Aristotle, taught & discussed the happiness at their academies. However, they differed on the approach to happiness; Plato, Aristotle's mentor, pursued a perfectionist approach which is beyond achieving a happiness while his student, Aristotle, approached an optimalist one, which is not the best life(impossible & unrealistic) but the best possible life(possible & realistic). Third, it is true that we are born with a certain set point of happiness, say 50%, but it is possible for us to be happy even if we are born with a low set point of happiness by the various intentional activities as if a person born with a heavy weight set point can be skinny by our intentional activities like the proper diet & regular exercises. Third, even though the circumstantial variables like money, success & fame can't guarantee happiness itself, we can be happy depending on how we use these variables. Finally, there are the four kinds of model for happiness--rat racer model, expecting the present unhappiness(detriment) and future happiness(benefit), hedonist model, expecting the present happiness(benefit) & future unhappiness(detriment), nihilist model, expecting both the present unhappiness(detriment) & future unhappiness(detriment), and the ideal happiness model, expecting both the present happiness(benefit) & future happiness(benefit). Among these four models, the real happiness model is the fourth one that brings the present and future happiness.

      • KCI등재

        아카데미식 토론의 입론 전개 방식에 따른 설득 효과 : 설득 지식 모델을 중심으로

        최지원,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8 No.-

        본 연구는 아카데미식 토론에서 긍정 측과 부정 측의 입론 전개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설 득 효과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긍정 측 입론의 전개 방식은 필수 쟁점에 따른 전개, 이익 비교에 따른 전개 및 토론자의 개인적 가치에 따른 전개로 구분하였으며 부정 측 입론의 전개 방식은 직접 반박, 간접 반박 및 혼용 반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 로 긍정 측이 입론 전개 방식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익 비교에 따른 전개 방식을 사용하 고 부정 측이 입론에서 각각 직접 반박, 간접 반박 및 혼용 반박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태도 변화를 측정하여 설득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설득 지식 모델을 활용하여 메시 지의 질과 토론자의 설득 의도가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 측이 이익 비교에 따른 방식으로 입론을 전개할 때 부정 측이 직접 반박과 간접 반박 및 혼용 반박 방식으로 입론을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 모두 태도의 변화를 나타냈으며 직접 반박, 간접 반박 및 혼용 반박의 순으로 변화의 크기가 측정되었다. 다음으 로 설득 의도는 집단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메시지의 질 평가는 혼용 반박, 간접 반박 및 직접 반박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접 반박과 혼용 반박, 그리고 직접 반박과 간접 반박은 메시지의 질 평가에서 차이를 나타낸 반면 혼용 반박과 간접 반박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카데미식 토론의 진행 순서인 입론, 질의 및 답변, 반박, 및 최종 발언 중 입론과정에서 일정한 설득 효과가 발생 할 수 있다는 점을 논점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후 반박과 질의 및 답변, 최종 발언, 토론 평가 등으로 이어질 후속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의 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developed by a question as to whether there would be different persuasive effects of the proposition and opposition constructive development methods in academic debates.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we identified the three different methods of delivering the proposition constructive speech. They are the stock issues, the interest comparison, and the personal values of the debater respectively. The ways of the opposition constructive speech developed were also categorized into the three methods. They are the direct, indirect, and the mixed constructive speech methods respectively. We divide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o the three groups and measured the attitude changes of the direct, indirect, and mixed constructive speech development of the opposition respectively after the viewers had listened to the constructive speech of the interest comparison method of the proposition side, which is widely utilized among academic debate communities.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ssage quality and persuasive intention of the debater on attitude changes of the viewers by utilizing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three constructive development methods of the opposition side, the direct, indirect, and mixed speech methods brought the attitude changes of the debate viewers. The magnitude of the attitude change of the viewers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direct, indirect, and mixed constructive speech method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suasive intention among the three groups, and the assessment of message quality was highest in the mixed constructive speech method, followed by the indirect and direct speech method of the op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sessment of message quality between the direct and mixed constructive speech and between the direct and indirect constructive speech method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mixed and indirect constructive speech methods. We found that certain persuasive effects could be resulted in the constructive speech process earlier in an academic debate, long before the other parts such as the cross-examination, rebuttal, and final remarks take place.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constructive speech holds its significance much more than it has known before in an academic debat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works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후보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역량모델개발

        윤항숙,박용호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2 휴먼웨어 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고 행동지표를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재직 중인 우수 실무자를 대상으로 BEI 및 FGI를 실행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잠정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청소년전문가와 우수실무자를 통해 델파이검사를 진행하여 내용을 검증하였고 최종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팀장에게는 9개 역량 52개의 행동지표가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담임에게는 10개의 역량 59개의 행동지표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팀장과 담임 역량모델에서 5개 역량은 두 집단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었는데, 이들 공통역량도 행동지표는 팀장과 담임이 다소 다름을 확인하였다. 즉 같은 역량이라도 수행하는 업무와 직급에 따라 다른 요구되는 행동지표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델파이 조사에서는 응답자들의 평균값과 CVR값을 확인하여 기준값 이상의 역량과 행동지표만 확정하였는데 이를 통해 교육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역량모델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역량모델을 향후 교육이나 평가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태권도장의 교육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오철희 ( Chul Hee Oh ),전익기 ( Ik Ki Jeon ),오문섭 ( Moon Suep Oh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구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 20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태권도장에 방문하는 고객의 교육서비스 요구사항을 보다 집중적인 관심이 필요한 교육서비스 품질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Kano의 이원적 인식방법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모형을 바탕으로 태권도장의 교육서비스 품질의 특성 을 분류하고 그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만족도의 크기를 제시함으로써 교육서비스에서 보다 중점적인 고객요구사항을 판단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ano 모형을 활용한 평가 이원표를 통해 분석한 결과, 총 21개의 교육서비스 품질요인에서 5개의 품질요인이 태권도장을 찾는 부모들에게 매력적 품질요소로 나타났으며, 관장과 사범의 자발성 요인이 부모들에게 가장 높은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개의 교 육서비스 품질요인에서는 당연적 품질요소로 나타났으며, 교육 및 수련에 앞서 관장과 사범의 준비성요인이 부모들에게 가장 당연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3개의 요인에서 일원적 품질요소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계수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고객 지향적 프로그램 요인이 부모들에게 가장 일상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Taekwondo academy and grasp its difference on the basis of Kano``s dualistic recognition method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model in order to help Taekwondo academy that has to pay attention to customer``s education service request grasp the characteristic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The study tried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customer``s core requests in education service by suggesting the scale of satisfaction degree that can be improv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n the basis of evaluation table using Kano model revealed that among total 21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5 quality factors were attractive quality factors for the parents visiting Taekwondo academy. The spontaneity factor of owner and master was most attractive to par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3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generally considered. The preparation factor of owner and master before education and training was most generally considered by parents. Third, 13 factors were unitary quality factors. The result of researching quality characteristic depending on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revealed that customer-oriented program factor was most usual to parents.

      • KCI등재

        생명윤리 수업을 위한 "CEDA 아카데미 토론" -수업설계 및 실천적 수업모형을 위한 시론-

        이경희 ( Kyung Hee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본 논문의 목적은 ``CEDA(cross-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아카데미 토론``을 소개하고 ``CEDA 아카데미 토론``을 도덕과 수업의 생명윤리 쟁점 찬반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적 수업모형을 시도하는데 있다. ``교차조사식 토론 대회``를 의미하는 ``CEDA 아카데미 토론``은 학습자간 적극적인 상호작용으로 기초능력 ― 이해력, 사고력, 논리력, 분석력, 표현력 ― 은 물론, 한 차원 높은 고급의 비판적·창의적·종합적 판단 능력의 향상을 통해 타인의 관점을 채택, 배려하고 감정 이입 가능한 21세기 미래지향적 도덕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의 전개를 위해 2장은 도덕과 수업에서 ``CEDA 아카데미 토론``의 적절성과 실효성을 이론적으로 논하고 있다. 3장은 ``CEDA 아카데미 토론``의 구성 원리와 진행방식, 평가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4장은 생명윤리 수업을 위한 ``CEDA 아카데미 토론`` 수업 설계와 실천적 수업 모형을 도덕과 2007 개정교과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시도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강점과 효과, 그리고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후속연구의 경험적·실천적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 class and attempt a practical class model by applying ``CEDA(cross-examination debate association) academic debate`` to the class for and against an life ethics issue of morality and lessons. ``CEDA academic debate`` meaning ``cross-examination debate contest`` implies the possibility of an educational method for the 21th century future-oriented moral education that permits us to adopt and give consideration to others` viewpoints and allows empathy through, as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creased high-class critical·creative· comprehensive judgement ability as well as the basic ability - comprehension, thinking power, logical power, analytical power, expressive power. For development of this paper, Chapter 2 theoretically discusses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CEDA academic debate`` in its Morality and Class. Chapter 3 describes the composition principle, progressive mode and evaluation method of ``CEDA academic debate``. Chapter 4 describes a class design and a practical class model of ``CEDA academic debate`` for life ethics class, centering around morality and contents of 2007 amended textbook. In Conclusion, the merits and effects of this study and empirical· practical methods of follow-up studies to supplement the limit of this study are proposed.

      • KCI등재

        공학인증제도를 운영하는 지방대학의 산학협력 모델에 관한 연구

        임강빈 ( Kang Bin Yim ),조대철 ( Dae Chul Cho ),이해각 ( Hae Kag Lee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3 No.1

        This paper suggests a realistic, business engineers` model based on Coop projects run by regional universities or colleges, in which students must meet the guidelines for engineering design that ABEEK requires. Many of current activities such as Coop programs and Internships aimed for engineering majored-undergraduates have notled them either to a satisfactory level of business skill at entrepreneur side, or to their higher chance of employment opportunities. Under the circumstances like this, we need a revised version of Coop activities: for example, launching a project that will be fully supported intrust by both sides, and thus improving students` business skill while they are working on that project. We demonstrate in this study how students have greatly improved their business skill through a model project that was planned by a working group,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on real job positions, and many of the students in the working group were job-offered finally as this new model suggested.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활성화를 위한 주민대학 사례연구: 강점모델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

        김남숙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promote residents' participation as an important key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hancing urban competition.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The cas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academy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New Ddeul Village Project) in the S district of Busan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strength model. Based on the job, this study presented some empirical discussions for a successful community engagement program. First, move away from the pathological model based on regional problems and approach it as a positive and potential-oriented strength model. Second, it is co-prosperity by utilizing the resources of local universities around the village. Third,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they should seek regional support and exchang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llege majors. 쇠퇴하고 노후되는 도시재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글로컬 시대는 국가단위보다는 주민의 실질적 삶에 근거를 둔 지역, 즉 마을 중심의 도시재생에 무게를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쇠퇴하는 도시의 재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핵심축으로써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부산광역시 S구 일대를 대상지로 한 도시재생사업(새뜰마을사업) 일환의 주민대학을 강점모델 기반으로 설계하고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주민참여프로그램을 위해 몇 가지 경험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의 문제에 기반을 둔 병리적 모델에서 벗어나 지역과 주민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이고 가능성을 지향하는 강점모델로 접근한다. 이러한 접근은 주민들이 마을에 대한 자긍심과 소속감을 갖고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주민의 주체적 태도와 주민역량강화를 증진한다. 둘째, 마을 주변의 지역대학 자원을 활용한 지역과 대학의 상생이다. 셋째, 지역주민의 다각적인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대학전공의 융합을 통한 지역 지원과 교류를 모색한다.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수학 수업모형 개발

        오택근 한국영재학회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4

        영재교육의 양적인 확장과 함께 과학영재학교의 증가를 고려할 때, 고등학생 영재를 대상으로하는 적절한 수학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수학적 창의성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제시하는 현재의 수학 교육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과학영재학교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 위주의 지식 전달 방식의 수업이 아닌 학생 중심의 토론식 수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의 정규 수학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토론을 위한 예습 활동에 많은 부담을 가지면서도 토론 활동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보다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이 과학영재학교 정규 수학 수업에서 의미있게 적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gifted education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the Gifted Science Academy, it is important to seek the appropriate methods of mathematics teaching for 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o reflect current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that the mathematical creativity is being presen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Now is the time we need student-centered discussion model for regular mathematics classes, not teacher-centered instruction in the way of knowledge transfer. In this study, class model of preparation-based discussion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regular mathematics classes for the Science Academ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had a lot of pressure in preparation activities for discussion, but they said that the discussion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 was mathematically meaningful exper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lication that class model of preparation-based discussion can be meaningfully applied to the regular mathematics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