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 프로그램 구성요소개발활동의 실태 및 구성요소의 동질적인 범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3단계 디자인 활동 중심으로

        서인해 ( In Hae Seo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개발 활동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디자인작업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개별 구성요소의 디자인 작업정도가 프로그램 실행지침개발단계 및 수행·평가단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질적인 범주로 구성 및 변화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분석틀은 프로그램 디자인 및 구성요소 개발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3 단계 디자인 활동’ 모형 속에서 8개의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에서 24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복지관에서 외부 재정지원 단체의 공식적인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지원·선정되어 성공적으로 수행된 실제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이며, 이에 대한 자료 수집은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책임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95개의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기술 분석과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2단계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생각보다 활발하였으나 3단계 프로그램 수행·평가과정단계에서의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별로 디자인 활동의 정도는 편차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입모델, 프로그램 직원교육, 개입윤리 및 가치, 개입절차 및 과정과 같은 항목은 실행지침 및 수행·평가과정 디자인활동 단계 모두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디자인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동질적 범주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나온 8개의 디자인영역이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는 6개, 프로그램 수행·평가단계에서는 4개의 동질적인 범주(blocking)로 묶이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각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의 성격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학술적인 함의와 현장의 사회복지 구성요소 디자인 활동을 보다 체계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describe the feature of the program components, and to identify their chang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social work programs in the community service agenc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n analytical framework including 24 program components derived from the related literatures.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swered by the social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exam the features of the program components in 195 social service programs developed by the funds from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a private funding founda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ree noticeable features are found; (1) the agencies have very actively involved in the designing work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 however they have less involved in the designing work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program; (2) program components which are low level in design activities are intervention models, staff education, and practical ethics; (3) 8 categories of component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re reduced to 6 categories in the process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inally to 4 categories in the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programs. The implications of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s in Korea, including future research works in the area.

      • KCI등재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연구

        송지성(Song, Ji Sung),이원복(Lee, Won Bo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스마트 모바일 시대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성장으로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은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바꿔놓았다. 기업에 입장에서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재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해졌고, 기업 아이덴티티를 위한 디자인 시스템에도 변화가 생겼다. 고정적이고 일방적인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보여주던 기존의 스태틱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이 일반적인 시스템이었지만, 기술과 매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연하고, 다이나믹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시스템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 기업들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이런 변화된 시스템을 활용하는 사례가 해외사례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거나 제한적 활용에만 그치고 있다. 이런 현상에 주목하여 본 연구자는 국내기업이 현 사회 트렌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국내 맞춤형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실질적 디자인 방향제시를 위해 시기적절해 보이는 국내 기업 한 곳을 선정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로 국내 가구 및 인테리어 시장의 유행을 선도하는 ‘H’사로 선정하고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자료 및 해당기업의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2장에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유연한 아이덴티티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사이의 관계를 도식화를 한다. 다이나믹 아이덴티티에 대한 본 연구자의 정의와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이에 합당한 분류방법과, 표현요소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다이나믹 아이덴티티가 활용된 해외 및 국내의 리뉴얼 사례로 각각 다섯 기업을 선정하고, 표현요소에 사용 빈도에 따라 사례 분석을 하였다. 4장에서는 기업 ‘H’사의 아이덴티티, 과거와 현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 및 관련된 기업 및 사회 트렌드 조사를 바탕으로 3장의 사례분석결과와의 개연성을 따져 5장에서 실질적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추출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 연구 방법으로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표현요소를 내적, 시각적, 상호작용적 요소로 세분화하였다. ‘H’사의 디자인 개발순서는 첫째, ‘H’사의 내적 요소 분석을 통한 키워드 추출을 한다. 둘째, 3장의 사례 분석의 사용 빈도 결과에 따라 빈도가 낮은 표현 요소에 대해 상대적 사용비중을 높게 둔다. 셋째, 시각적 표현 요소에 대한 디자인 리뉴얼 개발을 진행 하였다. 넷째, 상호작용적 표현 요소에 대한 디자인 리뉴얼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H’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제시에서 내적 표현 요소를 시각적 표현으로 전환 할 때의 유연성을 기본 요소로 겹겹이 쌓아 올리는 레이어 방식을 활용하여 곡선과 직선의 조화, 규칙성과 유연성 사이의 조화, 서양과 동양의 조화를 표현하였다. 운동성(모션)과 일관성의 파괴를 사용하여 역동성, 도전정신을 표현하고, 상호작용적 표현 요소를 통해 소비자와의 소통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디자인 방향제시를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앞으로 한국적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적용에 대한 다양한 시각화 혹은 상호작용적 표현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Smart Mobile era and the growth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today’s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the way that people communicate. Thus, for companies, a process of re-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trategy with consumers has become necessary, and the design system for the corporate identity changed. While a static identity design system that shows the corporate identity to consumers in a fixed and general way has been a common system, a flexible and dynamic identity design system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echnology and media has emerged. However, thus far, identity designs of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relatively passive or limited in utilizing such a changed system compared to overseas cases. Noting this phenomenon,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domestically specific dynamic identity design system for domestic companies to respond properly to the current social trends. Thus,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domestic company, which seemed timely in order to suggest a substantive design direction. As for the research scope, selecting ‘H’ Company that is leading the trends in the domestic furniture and interior marke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dynamic identity design and to propose a design for the company. As for the research scope, Chapter 2 schemat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design system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dentity design an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flexible identity. Based on the researcher’s definition of dynamic identity and the preceding theories, this study summarized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and the elements of expression, appropriate for this. Chapter 3 selected five enterprises, respectively as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renewal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use of the elements of expression. Chapter 4 verified the probability as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n Chapter 3 based on the identity of ‘H’Company, identity design elements in the past and present, the related enterprises and social trend, and Chapter 5 conducted a study for extracting a design that could be actually applied. As a concret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ubdivided the elements of the expression of dynamic identity design into internal, visual and interactive elements. The order of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for ‘H’ Company is as follows: First, key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an analysis of internal element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use in the case analysis, relatively higher weight of use was given to the elements of expression with a lower frequency. Third, the development of design renewal of visual elements of expression was made. Fourth, the development of design renewal of interactive elements of expression was mad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expressed the harmonies between curve and straight line, between regularity and flexibility, and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utilizing the layer method of laying one upon another with flexibility in the conversion of internal elements of expression to visual elements of expression in the presentation of a direction of ‘H’ Company’s identity design as the basic element. This study expressed the dynamics and challenging spirit using the destruction of mobility (motion) and consistency and expressed the image of the enterprise tha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through interactive elements of expression.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direction of design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will conduct a more concrete study of various visualizations or interactive expression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Korean dynamic identity.

      • KCI등재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의 관련성 분석

        김영석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제품디자인의 평가요소가 되는 다양한 특성, 즉 조형성, 합목적성, 사용성, 만족성, 사회성, 친환경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이들 요소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내용을 디자인 애호와 브랜드 애호로 나누어 이들 요소와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조사설계에 따라 단계적인 통계처리로 진행하였다. 표본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로 114명으로 정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수집기간은 2012년 4월 12일부터 동년 5월 11일까지 1개월간이었으며, 통계적 분석방법은 실증적 분석에서 단계적으로 이용되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디자인 애호와의 관련성 분석에서 조형성, 합목적성, 사용성, 만족성, 사회성, 경제성 요소는 디자인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환경성 요소는 디자인 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디자인 애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조형성, 사용성, 합목적성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어 조형성과 사용성 요소가 타 요소에 비해 디자인 애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브랜드 애호와의 관련성 분석에서 조형성, 합목적성, 사용성, 만족성, 경제성 요소는 브랜드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성과 친환경성 요소는 브랜드 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소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애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용성, 합목적성, 조형성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어 사용성과 합목적성이 타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브랜드 애호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디자인 애호는 브랜드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디자인 애호가 높을수록 브랜드 애호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에 디자인 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중심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nsider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oduct design assessment factors such as formativeness, fitness, usability, satisfaction, sociality, eco-friendliness and economics to analyze any relation of such with brand image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contents of brand image improvement into design preference and brand preference. For an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set a hypothes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with statistical analysis by stages. 114 adults living in Seoul and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a market survey was used as a questioner method. The period of collection of data was one month from May 12th2012 to June 11th 2012.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ed in the step-by-step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product design assessment factor and design preference, formativeness, fitness, usability, satisfaction, sociality and economics had an influence on design preference, but eco-friendliness did not influence on design preference. The relative level of influence on design preference was formativeness, usability and fitness from the highest order, which demonstrates that formativeness and usability had a great effect on design preference compared with other factors. Secondly, in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product design assessment factor and brand preference, formativeness, fitness, usability, satisfaction, and economics had an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but sociality and eco-friendliness did not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The relative level of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was usability, fitness and formativeness from the highest order, which demonstrates that usability and fitness had a great effect on design preference compared with other factors. Thirdly, design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which indicates higher design preference may generate higher brand preference. Thus, it can be said that factors affecting design preference may improve brand image.

      • KCI등재

        퍼스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유니버설 사인디자인 시각체계 제안 - 광역시 청사 사인시스템을 중심으로 -

        노만섭,남호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현대의 유니버설디자인은 제품과 시설중심의 물리적 측면 위주로 설계되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조건의 사람들이 쉽고 편안한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이고 평등성에 기반을 둔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의 목적과 대치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리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인지적 측면의 사인시스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스의 기호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사인디자인 시각요소에 대한 의미해석을 전개하여 기호구성 요소와 시각요소의 수평적 관계설정을 통해 유니버설 사인디자인의 4원리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인시스템 현황분석에 따른 현장실측은 인구 1백만 명 이상 거주하고 있는 광역지방자치단체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요소는 사인의 시각요소 선호도 설문조사 대상지 선정을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기준으로 활용하였고, 시각요소는 선호도 설문조사 통계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항목은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여 검증한 후 SPSS 12.0 for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분석 실시 결과 ‘문자(유도사인):광주, 픽토그램(유도사인):부산, 레이아웃(유도사인):서울, 색채(안내사인):서울’의 선호도 값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사인의 시각요소가 유니버설사인디자인으로써 최소 시각요소임을 검증하기 위해 퍼스의 삼분법적 기호구성 요소인 도상, 지표, 상징을 기호학적 의미해석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사인의 시각요소별 의미를 분석한 결과 ‘지표-문자, 상징-픽토그램, 도상-레이아웃, 상징-색채’의 유사성이 확인됨에 따라 수평적 관계설정에 의한 기본적 시각요소임이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평적 관계설정을 보다 확장시켜 분석함으로써 사인을 구성하는 시각요소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유니버설 사인디자인의 조건으로 충족되기 위해서 문자의 시각요소는 ‘언어성’을 갖추어야 하고, 픽토그램의 시각요소는 ‘상징성’을, 레이아웃은 ‘도형성’을, 색채는 ‘색채성’을 갖추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니버설 사인디자인 4원리에 대한 조건을 ‘언어성(Language), 상징성(Symbol), 도형성(Type), 색채성(Color)’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Today, universal design is often studied and created mainly for its physical aspects: products and facilities. Such an approach, i.e., focus on physical aspects alone, conflicts with the original vision of a universal design, which is to create easy and comfortable environments that meet idiosyncratic individuals’ needs. In that regard, the role of human cognition in sign systems should gain more attention and be further studied in order to ensure signs should deliver information accurately thereby fulfilling the purpose of communications. With this rationale, this study will show semantic interpretation of visual elements of sign designs from the semiotic approach developed by Charles Sanders Peirce, based on which horizontal relation between semiotic elements and visual elements is determined and four principles of universal sign design is proposed. Major metropolitan cities with over one million population were selected to conduct a field study on sign systems. Spatial elements were used as the criteria to assess the extent up to which universal design is applied when selecting subject areas of the preference survey about visual elements, and visual elements were used as a basic resource when analyzing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survey. Survey items were verified based on reliability coefficient and the SPSS 12.0 for WIN 12.0program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of the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value of visual elements peaked in Gwangju for text (induction sign); Busan for pictogram (induction sign); and Seoul for layout (induction sign) and for color (guide sign). To verify that the four visual elements are the minimum visual elements in universal sign design, icon, index and symbol (Peirce’s Trichotomy) were used as the criteria to interpret semiotic functions of signs. The analysis found similarities and horizontal correspondence between index and text; symbol and pictogram; icon and layout; and symbol and color, which verifies the four visual elements build up the basic ground for visual elements in universal sign design. Based on the result,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extending the horizontal correspondence.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in order for the visual elements to meet conditions of universal sign designs for facilitated communications, text requires language aspect; pictogram, being symbolic; layout, being type-appropriate; and color, being functional. Accordingly, language, symbol, type and color are proposed as conditions of the four principles of universal sign designs.

      • KCI등재

        감각기반의 실내공간디자인요소 평가 요소 구축

        이샘(Lee, Saem),박경진(Park, Kyung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감성디자인은 지금까지는 주로 공산품에 한정하여 적용되었지만 근래 들어 “공간” 에 대한 디자인이 공간속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이미지와 매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공간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간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에 관해 “감성디자인”이 화두가 되고 있다. 감성디자인(Emotional design)이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개성화됨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하는 디자인 방법을 말한다. 특히 실내 공간에서의 감성디자인은 이용자가 어떤 형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감성 욕구를 공간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물리적 디자인 요소와 연결시켜서 디자인 요소의 특성을 이미지나 감성 욕구에 알맞게 결정하는 디자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기능보다는 자신의 감성에 이끌려 가치를 부여하는 소비 형태가 등장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감성을 자극하고 휴식과 위안을 주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공간영역에 있어 인간의 감성이 중심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감각이론을 통한 감성자극요소인 표현감각 연출 특성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또한 실내공간디자인요소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크게 구조적요소, 가구 요소, 장식적 요소, 조명연출요소, 색채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각 구조 요소마다 빈도수가 높은 요인들로 추출하여 표현감각연출 요인들과 관계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감성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을 연출에 대한 평가항목으로써 실내공간디자인요소에 관계를 통해 평가항목시트를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감성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을 연출에 대한 평가로 감각표현에 따른 실내디자인요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Emotional design is so far mainly industrial products applied in the case, but days have become a “space” for the design of products sold in the space images and sales. A lot of influence growing perception is that,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space is increasing. Specifically in relation to how will design the space has become an issue at “Emotional Design”. Emotion Design to (emotional design) Iran, idiosyncrasies and consumer needs of diverse as emotional design to apply to the need to design Method of consumers. say. Emotional design in Interior Space, in particular is image that has for some sort of a specific physical design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and emotional needs. Image or emotional needs of design elements and attributes for determining design and technology can do it. Further, such function than the pattern of consumption is to assign a value of the sensitivity of the emerging trend. Therefore, it stimulates the emotion and relaxation and comfort consumers need space. As a result, located in the space area were the center of the human emotion, Rudolf Steiner (rudolf steiner)at this point being directed Emotional Elements of expression through the senses theory. I would like to make the attribute.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is also leading research and literature search via big structural elements, furniture, decorative elements, as classification, and each color, of lighting design elements. structural elements every sense and expression as factors which has high production factors and about the relationship was required. This study is assimilated with the emotional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by the space design for the evaluation item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criteria sheet presented based on this. Emotional is assimilated with the space design with an assessment of expression according to the sense of interior design elements can provide.

      • KCI등재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요소 연구

        최우철 ( Woochul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성범죄를 비롯해 각종 강력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범죄 위험에 불안을 느끼는 시민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의 골목 거리는 시민들이 매일같이 거닐고 활동하는 곳이나, 범죄의 두려움·불안감과 불필요한 오인·오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지자체별 CPTED 관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CPTED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하고 물리적 개선작업만 수행되어 시민들의 방범 개선 체감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여 실질적 개선사업 수행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거리/가로/공공공간 범죄예방연구, 거리 디자인요소 개발 연구, 다세대·다가구 주택 연구 등의 관련연구와 CPTED 구성원리 및 관련 법규 등의 이론적 고찰, CPTED 사업 사례지를 종합 분석하여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가로의 범죄예방 디자인요소를 제시한다. 실질적인 실증사업 적용을 위해 건축물 및 거주자 비용발생요소는 배제하고, 지침 역할로써 시각적요소, 건축적요소, 사회적요소로 구분하여 거리개선 디자인요소를 제시한다. (결과) 선행연구, 가이드라인/지침/법규, 사례 등을 통해 주거지역가로 범죄예방디자인 요소를 크게 시각적요소, 건축적요소, 사회적요소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자연적 감시, 영역성 강화, 접근 통제, 명료성 강화, 활동 활성화, 유지관리 등 CPTED 구성원리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CPTED 실증사업을 고려하여 세부요소별 디자인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인 범죄예방 시설물 설치 위주의 시각적 요소(도로, 조경, 안내, 조명), 건축물 이격공간 활용 및 필로티형 주차공간 개선 등을 위한 건축적 요소(건축물, 주차장), 안전지킴이집, 쓰레기 적치시설, 커뮤니티시설 등 지역유대 및 이웃신뢰도 향상을 위한 사회적요소(공용시설, 용도 및 배치)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범죄에 취약한 다세대·다가구 주거지역 가로를 대상으로 CPTED 실증사업이 고려된 범죄예방 디자인요소를 제시하였다. 해당 디자인 요소를 기반으로 범죄예방이 필요한 지역의 체크리스트를 설정한 후 지자체별 자체 점검 및 개선사업을 진행하면 그 효과가 크고 효율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보안스크린, 비상전화부스 등 ICT기술을 접목시킨 면목동 범죄예방디자인 사례와 같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지능형 방범 연구사업 등과 연계하여 기초조사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리적 유해환경 지도(시각자료)를 제작하는 등의 범죄예방을 위한 방범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CPTED 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방안, 추진체계 등 정책적 대안 연구과 복합적이며 상호관계성을 갖는 도시공간 구조를 고려한 복합적 유형화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범죄예방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Violent crimes such as sex crimes and random street assaults, have been on the rise of late. So citizens who fell uneasy about crime risk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the streets of multiple-household areas caused fear, anxiety and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of crime. Although CPTED-related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pproach to CPTED, and only a physical improvement work is carried out. So citizens' feelings are very lo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of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and lay the basis of practical improvement project. (Method) This study set the CPTED street improvement design element using crime prevention research(street, public space, etc.), CPTED theoretic consideration (composition principle, related laws, etc.), analysis case.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it excludes the element of building and resident cost. As a guiding role, we derive distance improvement design elements by dividing into visual elements, architectur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Results) In this study, the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in multiple-household residential street were set into visual elements, architectural elements, and social elements through prior research, guidelines, laws, and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CPTED street improvement element applying to CPTED composition principle such as Natural surveillance, Territoriality, Natural access control, Legibility, Activity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management. As a result, in view of the CPTED demonstration project, this study was analyzed as the visual elements of physical crime prevention facilities installation(roads, landscaping, guidance, lighting), architectural elements(architecture, parking lot) for the utilization of space apart from the building and improvement of the parking space of the pilotty type, social elements(public facilities, use and disposi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local ties and neighborhoods such as safety guard houses, garbage compartment facilities, and community facilities. (Conclusion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ractical crime prevention design element of the streets of multi-family housing areas considering the CPTED demonstration project.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will be large and efficient if the self-inspec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are carried out by the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levant design elem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urity service to produce safety map based on the data acquired through the basic investigation i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crime prevention research projects which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as with case study in Myunmok-dong(ICT technology, including security screens and emergency phone booths). I expect that future research related to policy alternative research such as financial measures/organization system and to complex typification study considering interrelated urban spatial structure will be conducted, and efforts to prevent crime will continue.

      • KCI등재

        심미성요소를 척도로 적용한 디자인유사판단 툴(Tools) 개발에 관한 연구

        서홍석(Seo, Hongseok),홍정표(Hong, Jungpy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3

        연구배경: 현행 디자인보호법상 디자인유사판단은 형태를 중심으로 정성적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유사여부의 객관적 근거 제시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디자인 유사판단에 있어 형태적 유사여부 판단을 보완할 수 있는 객관적 척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의 조형구성원리로서 심미성요소가 디자인유사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제품유형별 중요 심미성요소가 디자인유사판단의 객관적 척도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로서 디자인유사판단에 있어 심미성요소의 연관관계를 제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디자인유사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심미성요소를 선정하였다. 다음은 실증연구로서 설문조사를 통해 제품유형별 중요심미성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척도로 적용한 디자인유사판단 툴의 기본 개념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유사판단에 심미성요소가 영향을 미치며, 영향을 미치는 심미성요소는 단순/복잡, 비례, 신규성, 강조, 율동, 조화, 통일, 균형이다. 또한 제품유형별로 중요 심미성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공통 중요 심미성요소는 단순/복잡, 비례, 신규성, 강조이며, 제품에 따라 중요 심미성요소를 척도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공통 중요 심미성요소인 단순/복잡, 비례, 신규성, 강조를 척도로 디자인유사판단 툴의 기본 구조를 모형화하였다. 이는 디자인심사 실무에서 형태적 판단에 대한 보완적 방법으로 2차적 유사판단 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Background: Similar design protection law determines the current design is made there around the form, because it sees a lack of objective scale suggested the need for complementary research methods similar judgment. This study affect the shaping organizing principle similar to the aesthetic judgment as a design element in the design was to demonstrate that the product type is important aesthetic element can be used as a design similarity judgment tools. Methods: As previous studies in similar design aesthetic judgments clarify the relationship of elements, and through expert interviews were chosen on aesthetic factors influence the design similar judgment. The following was set with the basic concepts of design tools similar judgment in this measure by setting a hypothesis as empirical studies and extract the product type is important esthetic elements from the survey. Result: It exerts an influence on the aesthetic elements design similarity judgment, aesthetic elements influence is simplicity/complexity, proportion, novelty, emphasis, rhythm, harmony, unity, balance. Also important esthetic elements that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of product. The overall esthetic important common elements are simplicity/complexity, proportion, novelty, and emphasis, it will be judged as an important aesthetic elements, depending on the product. Conclusion: The derivation of this study is important esthetic elements of a common simplicity/complexity, proportion, novelty and emphasis, modeling tools to determine the basic structure of similar design.

      • KCI등재

        인포그래픽 시각적 요소 활용에서 나타난 디자인 사고 연구

        이광득 ( Lee Gwang Deuk ),이진호 ( Lee Jin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정보를 가공하고 조직화하는 제작자 중심에서 시각적 요소 활용과 디자인 사고의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크 버틴(JacqouesBertin)의 정보의 시각화 요소, 그래픽 요소를 정리하였다. 더불어 인포그래픽의 편집은 내용과 구성에 따라 시각적 요소를 적절히 배분하고 적용하는 관점과 틸(Teal)의 “디자인 사고란 확산적 사고를 기반으로 가능성을 도출하여 해결책을 찾는 사고법”이라는 것을 통해 인포그래픽 제작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기 위한 과정을 디자인 사고 중 하나라는 관점을 가진다. 사례연구에서 정보의 가공과 시각화 단계의 결과물을 대상으로 회상적 보고 중 하나인 리뷰의 방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타이포는 사용자에게 주목성을 이끌고, 아이콘 역할을 하여 세부적인 설명글을 이끌어주는 요소로, 평면도형은 정보의 내용을 구분 지어주는 요소와 시각적 저해요소로도 활용되었다. 일러스트레이션은 편집 레이아웃에서 단순한 요소와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요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색상은 정보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인근한 요소들의 색상, 정보의 의미를 반영한 색상이 표현되기도 하였다. 개념적 정보가 시각화 되는 과정에서 디자인 요소의 활용과 편집의 복합적인 개념이 작용하겠지만 정보가 가지는 개념적 내용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시각적 표현의 결과물이 정보전달의 요소라고 할 때 디자인 제작 단계에서 디자인 사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보의 조직화 시각화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최소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using visual elements and design thinking centered on makers who process and organize information. Jacques Bertin's visualization and graphical elements are summarized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the editing of infographic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ppropriating and applying visual elements according to contents and composition, and Teal's "design thinking is a thinking method of finding solutions based on diffuse thinking" The process to utilize the element has a viewpoint as one of design thinking. In the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of the information were confirmed through review method, which is one of the recurring reports. As a result, the typo is a factor that leads the attention to the user and serves as an icon, leading to detailed explanations. The plan type is also used as a factor for discriminating the content of information and a visual obstacle factor. Illustrations were sometimes used as simple and metaphorical elements in edit layouts. The color is expressed by the color of the nearby elements and the color reflecting the meaning of the information when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is not ful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conceptual information, a complex concept of utilization and editing of design elements will work, but the conceptual contents of information should be delivered efficiently. If the result of visual expression is an element of information transfer, it can be minimized by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through research on design thinking at design stage.

      • KCI등재

        창의성요소와 감성디자인의 평가방법 관계에 대한 연구

        이성필 ( Sung Pil Lee ),홍정표 ( Jung Pyo H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1

        현대사회를 감성사회라고 말한다. 감성사회에서 感性디자인은 상품의 가치를 높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많은 연구자들이 감성디자인에 대하여 주장을 하고 있지만 감성제품과 일반 제품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판단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거나 무엇이 감성제품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디자인요소가 무엇이며, 감성디자인의 분류와 판단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된 디자인 창의성 평가 요소와 감성디자인의 관계,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감성디자인은 어떤 창의성평가요소와의 디자인요소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고, 두 번째로, 감성디자인유형별로 중요하게 표현되는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보여주고 감성디자인이라고 생각하는 제품을 선정하게하고, 선정된 제품을 디자인유형별로 나누어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정된 제품에서 느끼고 있는 디자인이미지를 알아보고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성디자인은 시대의 변화, 환경, 사용자에 따라 중요한 창의성평가요소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은 어떤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modern society is said to be more typical of an emotional society. In such a society, emotional design adds value to products, hence bringing about value-enhanced products. Despite many claims of little substance about emotional design,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that have identified what criteria to be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products and generic products or even have clearly defined what emotional products are. This leads to a clear need for providing more definite criteria for defining and classifying design elements useful and available for users. To fill the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elements for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design, and, based on that, identify some of the most importantly valued elements, and secondly, to examine how the images importantly used for expression relate to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classified types of design. In this study, chosen products were presented to selected users so that they can choose what they think possesses emotional design elements. Then the products so chose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esign type for examination of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 with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of perceived design images about the selected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images and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essential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can vary depending on changing times, environments, and users, and as well, to offer an insight into what images design should be possessive of for it to be preferred by consumers.

      • KCI등재

        동적디자인 제품 중요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 야외운동기구, 자세교정기, 재활기기, 헬스기기를 중심으로 -

        권종대,조광수,홍정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2

        With increasing average life expectancy, the development of various healthcare products has been demanded to satisfy the human needs to live long. A lot of investment and efforts have been demanded in design of healthcare products in addition to their functions. Howeve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general design, but almost no studies have been done on design which can be applied to dynamic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valuation factors which can be applied to dynamic products by identifying important design evaluation factors for dynamic products and factors affecting the design evaluation factors. We conducted 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o find the homogeneity between factors after 12 dynamic products were selected by extracting factors evaluating product design, factors evaluating awarded product desig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factors evaluating design of dynamic products.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to identify influential factors, and observed the changes in important consideration factor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use. As a result of analysis on factors evaluating design of dynamic produc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a group of accessibility, functionality, usability, operability, convenience, mobility, learnability, and playfulness, a group of safety, durability and aesthetics, and a group of profitability. Groups 1, 2 and 3 were defined as Behavior, SDFORM (Safety Durability FORM), and Economics, respectively. Among factors in each group, factors of Behavior affected each other, while they were not related to items of SDFORM and Economics. In conclusion of this study, design factors of dynamic products to be considered are 12 items such as accessibility, functionality, convenience, learnability, safety, aesthetics, usability, operability, mobility, playfulness, durability and profitability. Among important factors, safety, durability, functionality and mo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particular, as safety is extracted as the important factor regardless of time, it is the most important design factor in design of dynamic products. 평균 수명이 늘어감에 따라 건강하게 오래 살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에 맞춰 여러 가지 헬스 케어 제품들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헬스 케어 제품은 주로 동적인 움직임을 많이 갖는 제품인데, 지금까지의 연구는 동적 요소에 대한 적용 가능한 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동적디자인 제품 개발 시 중요 디자인 평가요소가 무엇이며 이 요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아 동적디자인 제품 개발 시 활용 가능한 평가요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국내·외 시상제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동적디자인 제품 평가요소를 추출하여 동적디자인 제품 평가요소를 추출하여 동적디자인 제품 12개를 선정 후 요소들 간의 동질성을 찾기 위해 클러스터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소들 간의 관계와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는 관계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사용횟수에 따른 중요고려요소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동적디자인 제품 평가 요소를 분석한 결과 접근성, 기능성, 사용성, 조작성, 편의성, 운동성, 학습성, 유희성의 그룹과 안전성, 내구성, 심미성의 그룹과 경제성의 그룹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1그룹은 Behavior, 2그룹은 SDForm(Safety Durability Form, 3그룹은 Economics 이라고 정의하였고, 각 그룹의 요소 중 Behavior의 요소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반면 SDFORM 이나 Economics 의 항목과는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동적디자인 제품의 고려요소는 접근성, 기능성, 편의성, 학습성, 안전성, 심미성, 사용성, 조작성, 운동성, 유희성, 내구성, 경제성의 12가지 항목이다. 특히 안전성은 시간에 관계없이 중요 요소로 추출되어 동적디자인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디자인 요소 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