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도덕윤리의 기초정립을 향하여

        김형효(Kim, Hyong Hyo)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5

        도덕적 선은 엄숙한 당위의 명령이라기보다 오히려 인간의 본성이나 본능이 갈구하는 것으로 보야야만 선의 자발적 실현이 수월해진다. 본고는 그런 각도에서 선의 자발성의 가능한 길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인간의 능력은 지성과 지능에 바탕한 학습적 길과 선천적 자연적 본성과 본능에 기초한 능력의 두 가지로 나뉜다. 이것을 노자는 무위적 길이라고 불렀다. 더구나 하이데거가 서양 철학에서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를 강조한 것은 대단히 중요한 철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그것은 서양 철학이 철학사적으로 존재자적인 소유론의 범위를 벗어나서 존재론의 차원으로 진행하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동안 서양 철학사에서 등장한 모든 인식론과 도덕론이 소유론적 차원의 말임을 뜻한다. 그리고 역사의 진보라는 개념도 소유론적 차원의 말임을 뜻한다. 이것을 니이체(F.W. Nietzsche)의 개념에 따라 옮기면 모든 것이 역사에서 권력 의지로 평가된다. 그리고 데카르트(R. Descartes)의 사유도 결국 인식론적 소유의지의 천명에 다름 아니다. 이런 의지는 다른 말로 바꾸면 라캉(J. Lacan)이 말한 남근 중심주의의 재천명과 같다. 남근 중심주의 재천명은 서양에서 기독교적 신학의 부계 중심주의와 동양에서 유교의 부계 중심사상과 함께 맥을 통하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세계사에서 존재론적 사유를 처음으로 제창한 이는 노자(老子)이고 부계 중심주의에 항거한 최초의 철학자가 노자다. 노자는 수컷을 멀리하고 암컷을 철학적으로 찬양한 철학자다. 그에게 수컷은 영토적 종자적 소유의식의 화신과 같고, 암컷은 자궁적 공동 존재의 의미를 부여해 주는 공동 존재의식을 상징한다. 이런 공동 존재의식을 노자는 화광동진(和光同塵)이라고 불렀다. 이 암컷의 존재론의 차원에서 본다면, 니이체가 말한 소유론적 권력 의지도 힘의 의지로 변한다. 암컷의 존재론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sm)적인 사유의 본질과 서로 만난다. 암컷의 존재론은 수컷의 주장과 같은 도덕적 원리주의를 선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의와 같은 허구적 신화를 찾지도 않는다. 그리고 도덕적 선의 세계도 실천이성의 판단과 의지가 관여하는 곳이 아니고, 자연적 본성이 사랑하는 일일 뿐이다. 선은 자연적 본성의 경향이 지향하는 것으로서 자연 속에 존재하는 경향이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이익이다. 이익에로 향하고자 하는 마음이 곧 선이다. 그런데 그 이익은 데리다가 갈파한 바와 같이 일종의 이중적인 파르마콘이다. 이익의 약의 측면은 자리이타적(自利利他的)인 경향이고, 이익의 독은 이기배타적(利己排他的)인 성향이다. 이 이중성은 노자가 갈파한 현(玄)의 의미와 만난다. 그러므로 도덕교육은 이익처리의 방편론이 되어야 한다. 자리이타적 이익은 힘의 의지요, 신바람이 나는 에너지의 발양기운이요, 존재론적으로 아낌없이 주는 자연의 보시(布施)와 같다. 그에 반하여 이기배타적 이익은 권력 의지요, 소유론적 지배의지의 다른 이름이다. 선(善)행위는 자기의 기호를 성찰하고 그 기호에 따라 삶을 사는 것이다. 그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것이 도덕교육이다. 그것은 명분론에 얽매인 유교적 당위성이 아니다. Moral good is what comes out from human nature or instinct rather than what is ordered solemnly from moral obligation. This is an easy destination to moral goal. My article is a philosophical research to make us spontaneously act good. Human ability is divided in two ways; a way of learning aposteriori based upon intelligence, and another way comprehended apriori and based on human nature or instinct. The second way is called intransitive action by Lao-tse. Moreover, what Heidegger said on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entities(being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philosophy. It means that western philosophy is passing historically toward ontological realm over the possessive point of view. But, all the Kinds of epistemology and moral philosophy which appeared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re no more than of possessive dimension. And the concept of historical progress is no more than a possessive truth. Being transferred, according to Nietzsche’s terminology, is everything in history and is interpreted as will to power. The Cartesian way of thinking is also evaluated as an epistemological will to have. This will is no more than a reaffirmation of phallocentrism, in other words already mentioned by Lacan, a French Psychoanalyst. Historically tms phallocentrism is represented to have the same root as the Confucian Father’s authority and Christian God-father’s belief system. The case being so, it is Lao_tse who declared first the ontological thinking in the world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who stood up first against that Phallocentrism. Lao-tse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praised the female over the male. As for him the male stands for the incarnation of territorial and seedy possession, while the female is symbolized to bestow the meaning of Being-together formed in the common womb. Lao-tse points this community-consciousness as the mind in which man is both friendly to light and cohabitating with dust. Seen in the ontological world of the female, the Nietzschean will to power viewed from the possessive dimension shoud be changed into the ontological one. The female ontology is getting closer to the essence of the post-modern way of thinking. Female ontology does not choose the moral fundamentalism proposed by the male. It doesn’t look for fictitious myths such as justice. And moral good is no more suitable for the will ana judgment of practical reason, but and it is only the real effect human nature loves spontaneously. Good aims naturally at the lovable, it is the action present and vivid of our natural tendancy. It is a tendency which exists within real nature. It is benefit. The mind which is searching for benefit is, in a word, good. But benefit is double sided as a Derridean pharmakon. The good aspect of benefit is of altruistic tendancy, whereas its bad aspect is egoistic. This double aspect meets at the same point as the ambiguity(玄) which Lao-tse mentioned several times in his Tao-te-ching. Benefit in the sense of altruism is the Nietzschean will to power in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at word, a kind of elan vital in the Bergsonian sense of that word, can be interpreted as charity, as gift of nature shared without stinginess. On the contrary, egoistic benefit is just eager to possess, and is another name of the will to dominate. Good behavior consists in meditating one’s self-taste and in living one’s life according to ms taste. Moral education is helping to live one’s life according to his natural tendancy. It is never obligatory. And it is never Confucian.

      • KCI등재

        모종삼의 칸트 철학과 유학 비교

        유흔우 ( Heun Woo Yoo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논문은 모종삼의 "도덕적 형이상학"에 나타나 있는 칸트철학과 유가철학의 비교를 살펴본 것이다. 모종삼은 "도덕적 형이상학"과 "도덕의 형이상학"을 구분하고, 칸트의 철학은 "도덕의 형이상학"에 속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도덕적 신학"이며, 이는 유가철학의 도덕적 형이상학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한다. 모종삼은 칸트 또한 본래는 "도덕적 형이상학"의 건립을 철학의 목적으로 하였으나, 그는 "자유의지 자체의 객관존재상의 절대 필연성이 어떻게 가능한가"와 "순수실천이성이 어떻게 그 자체로 실천적일 수 있는가"라는 두 가지 문제에 대답을 하지 못함으로써 그것을 이룰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칸트가 이를 이룰 수 없었던 것은 `도덕이성`의 정확한 함의에 대해 잘못 판단한 것과 양지(실천이성, 도덕이성)가 바로 사람의 본성(性)과 본심(本心)임을 파악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 모종삼이 말한 `실천이성`(양지)은 도덕실체인 동시에 우주의 본체이고 `지의 직각`의 `드러남`이다. 칸트는 `지의 직각`이 하느님에게만 가능하다고 하여 결국 인간을 유한한 존재로 파악하고 말았기 때문에 "도덕적 형이상학"을 건립할 수 없었다. 모종삼에 의하면, 이것이 칸트철학의 최대 약점이다. 양지는 한편으로 자기부정을 통해 칸트가 말한 `인식주체`를 건립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의 직각`을 드러냄으로써 성인(聖人)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유가철학은 칸트철학보다 뛰어나며, 모종삼은 칸트가 말한 것이 철학이라면 이것도 덕을 이루는 유가의 가르침(成德之敎)이 극복한 철학이라고 한다. 모종삼의 칸트철학과 유가철학의 비교는 결국 `유가철학의 우수성`을 확인하려는 것이었지만, 칸트철학을 통해 유가철학의 부족한 점, 즉 `과학`과 `민주`를 가능하게 하는 `지성주체`를 보충하려 했다는 의의는 갖는다. 하지만 모종삼의 이러한 견해는 여전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과학적 세계관의 도전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과학적 세계관이란 물리주의라는 존재론적 논제와 인과주의라는 방법론적 논제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만약 이러한 세계관이 참이라면, 그것이 함축하는 바는 인간은 자유 존재가 아니며, 따라서 인간이 해야만 하는 도덕적 당위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도덕적 세계관을 가진 이들에게 과학적 세계관은 지성적 도전인 동시에 장애이다. 그래서 칸트는 과학적 세계관에 제한을 가하려고 했다고 말할 수 있다. 모종삼의 말대로, 칸트는 과학을 현상계에, 그리고 도덕을 본체계에 놓는다. 이럼으로써 과학과 도덕, 혹은 현상과 실재의 이분법이 성립한다. 이러한 이분법의 대가가 과학과 현상의 영역에서 필연적이고 보편적 지식이 성립하지만, 도덕과 실재의 영역에서는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철학적 지식, 혹은 형이상학적 지식을 포기해야 한다. 모종삼의 "도덕적 형이상학"은 바로 이 지점을 파고든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comparison of Kant and Confucianism described in Mou Zongsan`s theory of moral metaphysics. Mou has distinguished the `道德底形上學(Metaphysics of morals)` from the `道德的形上學(Moral Metaphysics)`, and insisted that Kant`s philosophy could be understood not as a moral metaphysics but a metaphysics of morals and so it originally belongs to a `moral theology`. Therefore he has criticized Kan`s philosophy cannot be reached to Metaphysics of morals of Confucian philosophy. According to Mou, Kant has also aimed to establish a `metaphysics of morals`. but he has failed at it because he could not answered the next two questions; `How is it possible the absolute necessity of objective free-will itself?` and `How the pure practical reason can be practical in-itself?` To answer these questions, Kant has had to judge correctly the real meaning of `moral reason`, and so he has not considered the `Liang-zhi(良知)` as the human nature(Xing, 性) and the true mind(Ben-xin, 本心). To Mou, the practical reason is `Liang-zhi(良知)`. And it is moral substance and true substance of cosmos at the same time, and also emergence of intuitive cognitions. But Kant assumed that the intuitive cognition can be only by God, because those faculty is not possible to finite being like human. Therefore the metaphysics of morals could not be established by Kant, and this is the weakest point of his philosophy. But `Liang-zhi(良知)` can be not only a foundation of cognitive subject like Kant, but also a possible ground to be a Sage(Sheng-ren, 聖人) to man. Mou`s comparison of Kant`s philosophy with Confucian philosophy was to expose the excellency of confucian philosophy, but it was also an attempt to supply the weakness of confucian philosophy to an attack of the western scientism and democracy to confucian intellectual subjects through his criticism of Kant`s philosophy. But this attempt also has weakness its own. Because he understand these attack too superficial. The main point of western scientific world-view is grounded on the physicism and causality, and this is the main reason of giving limitation to human freedom. In this view, the moral `ought to` is impossible. And Kant`s attempt was to limit the western scientism. In this way, the science is limited in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moral is located in the noumenal world. Mou`s attempt was to get into the gab of this dualism constructed with the phenomenal and noumenal world. And it was the `metaphysics of morals`, not the `moral metaphysics`.

      • KCI등재

        인간의 경제적, 도덕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 - 애덤 스미스의 경제학과 윤리학을 넘어 왕양명과 키에르케고어의 종교적 존재로 -

        양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인간은 영혼과 함께 육체를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육체적 욕망인 이기심을 극대화하려는 욕망과 욕구를 실현하려고 한다. 애덤 스미스((Smith, A., 1723 ~ 1790))는 인간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자연스런 인간의 욕망이며 이러한 욕망이 결과적으로 타인에게도 이익을 제공한다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상호이익의 관점이 타인의 자비심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인 사회라고 간주하였다.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은 인간이 육체적 욕망과 영혼의 복합체인 형기(形氣)를 지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욕(私慾)을 극대화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는 점을 인정한다. 이런 차원에서 현실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주류 경제학은 인간을 기본적으로 이기적인 존재로 본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지닐 수 있는 근거는 바로 현실에 매몰되지 않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인간은 경제적 모습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도덕적 삶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사실이다. 애덤 스미스는 인간이 자신의 이웃에게 또는 자기 자신에게 자산의 성품과 행위가 드러날 때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도덕법칙, 즉 도덕감(moral sentiments)이 존재함을 인정한다. 왕양명의 심즉리는 인간의 마음이 자신의 비도덕적인 이기적 격정과 욕망을 제거하고 인간 내부의 양지(良知)의 목소리에 따라서 행동한다면 인간의 마음이 곧 도덕적 원리와 이치에 부합한다는 관점(心卽理)이다. 왕양명의 도덕적 원리는 사적인 욕망을 제거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유익이 되는 행동을 촉구하는 인간의 도덕적 감정(良知)을 의미한다. 키에로케고어(Søren Kierkegaard: 1813-1855)는 심미적, 윤리적 그리고 종교적 단계로 나눈다. 그는 인간의 정신 또는 인간의 영혼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 영혼의 근원자인 절대자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 영혼의 기원자에 접근하는 방법은 이성이나 감성이 아닌 인간이 지닌 신앙(영성)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인간의 본래적 본성을 회복하는 길은 바로 인간의 종교적 단계인 신앙 속에서 신과의 만남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왕양명은 인간이 지닌 생리적 욕구 또는 이기적 욕망이 인간 안에 자리 잡은 하늘의 이치와 원리를 제압하지 못하도록 통제하고 다스릴 것을 강조한다. 인간의 본성이 참다운 본성인 자연의 지배를 받는다면 인간이 인간다운 선한 도덕성을 발현할 수 있지만 인간과 자연이 하나라는 본성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인간이 자연의 본성에 거역하는 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비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두 철학자를 이러한 3 단계로 나눠서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층위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오늘날의 인간의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차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차원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감각적(심리적)단계 및 사욕의 단계를 경제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경제적 차원 이외에 인간의 도덕적 차원이 우리 사회에 어떠한 문화적 위상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인간의 도덕적 문화를 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 종교적 차원이 왜 중요한지도 살펴볼 것이다. Adam Smith (1723-1790) found it efficient to pursue one's own interests within the scope of satisfying others' interests, and to rely more on mutual interests than to expect of others' benevolence. As such, human beings are physical beings with their souls, so they try to realize the desire and desire to maximize their selfishness, the physical desire of human beings. If understood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f Wang Yang-Ming (1472-1528), the human term means a complex of physical desires and souls, and the human term naturally flows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one's self-interest. In this regard, mainstream economics, which approaches at a realistic level, sees humans as basically selfish beings. The reason why human beings can be human is that they are not buried in reality but rather seek the values and meanings that life pursues. In this regard, human beings are both economically-looking and at the same time seeking moral life. Adam Smith explored the moral laws, or moral sensibilities, that occur in the mind when a human being enters into the nature and act of an asset to his neighbor or himself. Wang Yang-Ming's point of view is that if the human mind removes its immoral selfish passion and desire and acts according to the voice of the sheep within the human body, the human mind corresponds to the moral principle and reason. Wang Yang-Ming's moral principle refers to the moral feelings of humans that urge individuals to take actions that are beneficial to others' positions and remove desires for their own sake. Kierkegaard(1813-1855) argu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human mind or of the human soul, one must move on to the absolute, the source of the human soul. The originator of the human soul was not accessible by reason or sensibility, but only through the faith of man. Kierkegaard is divided into aesthetic, ethical and religious levels. And he saw that the path to restor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man becomes human through meeting with God in faith, which is the religious stage of man. Wang Yang-Ming stresses that men's physiological or selfish desires should be controlled and governed to prevent them from subdueing the reason and principle of heaven, where they are located in humans. If human nature is governed by nature, which is a true nature, human beings can express good morality like human beings, but if human beings do not recognize the nature of being one of nature, they can act against nature and act immorally.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complex and diverse strata of human beings by dividing the two philosophers into these three stages. In particular, we want to look at the lowest level of sensory (psychological) and self-interest at an economic lev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human nature of today. And besides the economic dimension, we will look at what cultural status human moral dimension has become in our society, and finally, why religious dimension is important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human moral culture.

      • KCI등재

        페스탈로치의『탐구』에 나타난 인간의 존재방식과 다문화교육의 과제

        정기섭(Chung, Kis-eob)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4

        이 연구는 페스탈로치의 인간이해와 그에 기초한 교육관을 이해할 수 있는 주요 저작인『인류의 발전에 있어서 자연의 과정 에 대한 탐구 Meine Nachforschungen über den Gang der Natur in der Entwicklung des Mensche ngeschlechts』(1797, 이하 『탐구』)에 나타난 인간의 존재방식에 대하여 살펴 보고, 그로부터 다문화 교육의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그를 위하여먼저 『 탐구 』에 나타난 인간 존재방식의 세 유형인 자연적 존재방식, 사회적 존재방식, 도덕적 존재 방식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런 다음 인간의 존재방식과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결론으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도덕적 존재방식에서 자신의 삶을 구성할 수 있는 인간 형성에 두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그 근거로 사회적 존재방식은 동물적 이기심이 유지되면서 동물적 야만과 도덕적 고상화의 사이에서 취하는 존재방식임으로 위선이고, 언제든지 동물적 상태로 추락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는 페스탈로치의 관점을 취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existence way of human being in the book 『My inquiries in to the course of natur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1797) which enable d to comprehend human understand ing of Pestalozzi and his view of education, and suggested tas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ree types of existence way: natural, social and moral existence way. In a next place, I examined 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way of human being and education. As a result , I suggested that task s of multi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Pestalozzi’s concept about mora l existence way. In a viewpoint of Pestalozzi, socal existence way is hypocritical because it is too k in somewhere bet ween savagery and morality an d is maintained by selfishness of animal. Also, this existence way can have a ris k to put human being into animal status.

      • KCI등재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에 대한 유가(儒家) 철학의 한계 및 그 새로운 대안의 모색

        길훈섭 ( Gil Hunseop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5

        이 글에서는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에 대해 유가 철학이 갖는 한계를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할 새로운 대안으로 오늘날의 현대 과학적 성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유가 철학이 오늘날 과학의 성과를 빌려 재창조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 이 글의 최종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유가의 대표 인물들, 즉 이황, 주희, 맹자 등을 선택하여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방식으로 그들이 생각했던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그들 각각의 시대에서 사용한 도덕적 용어들을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가능한 한 편지글과 같은 대화체 글을 인용하였다. 이러한 추적 방법을 통해 필자는 유가를 대표하는 이황, 주희, 맹자 등이 이해한 도덕의 기원은 믿음에 근거한 ‘천(天)’이었고, 도덕의 정당성은 ‘천명(天命)’을 따르는 인간 존재 자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제기한다. 첫째, ‘천’이라는 것은 더 이상 의심을 품을 수 없는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인가? ‘신’을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으로 삼고 있는 신학적 윤리이론이 ‘믿음’에 기반하고 있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천’ 또한 믿음에 기반한 것 아닌가? 둘째,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당위를 행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 또한 신학적 교리와 다르다고 볼 수 있는가? “천(하느님)이 명했으니, 너는 마땅히 그것을 지켜야 한다”는 논리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 않은가? 이것은 유가뿐만이 아니라 오늘날 형이상학에 치중한 철학 일반의 문제이며 한계이기도 하다. 이를 극복할 대안으로 필자는 현대 과학에서 말하는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 대표 인물로, 찰스 다윈, 마이클 가자니가, 에드워드 윌슨, 스티븐 핑거, 안토니오 다마지오를 선택하고 그들의 주장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도덕의 기원과 정당성에 대해 현대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은 도덕이란 진화의 산물이며, 두뇌 속에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선천적인 도덕적 모듈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도덕의 기원을 ‘천(리)’에 근거하고, 그 정당성을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에 두었던 유가의 도덕 철학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먼저, 유가 철학이 도덕의 기원을 믿음을 전제로 한 ‘천’에 두었던 문제점에 대해, ‘천’을 진화의 시간을 거친 자연선택의 압(壓)으로 보면 해결될 수 있다. 즉 오늘날의 진화윤리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오랜 진화의 시간을 통하여 다양한 상황 속에서 생겨난 도덕적 직관들이 두뇌의 여러 부분에 고착화되었다고 본다면, 이것은 믿음이 필요하지 않는 사실의 문제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유가 철학에서 전제하고 있는, 즉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에서 당위를 이끌어내는 도덕의 정당성 문제도 도덕적 모듈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어떤 A라는 상황에 직면하면, B라는 행동을 하게 하는 도덕적 모듈이 있다고 하자. 그러면, 우리는 A라는 상황을 만날 때마다, 당연스럽게 B라는 행동을 할 것이다. 이것은 B라는 도덕적 모듈을 가진 사람의 존재자체가 도덕적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정당성을 보장해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imitation of Confucian philosophy on the origin and justification of morality and presents today's modern scientific achievements a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it. It is the final purpose of this article to show that Confucian philosophy can be recreated with the achievements of science today. For this purpose, I first tried to look at the origin and justification of morality, which I chose by choosing representative figures of Confucianism such as Yi Hwang(李滉), Zhu Xi(朱熹) and Mencius(孟子) in a way that goes back in time. In addition, I have quoted dialogues such as letters as much as possible to convey the moral terms used in their respective eras. Through this tracking method, I have found that the origin of morality understood by representative figures of Confucianism such as Yi Hwang, Zhu Xi and Mencius is 'Tian(天)' based on believing, and that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is the existence itself as a human being following 'Tian-Ming(天命)'. However, this pose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s 'Tian' the most fundamental that can no longer be doubted? What is different from the theological theory of ethics, in which 'God' is the origin and justification of morality, is based on 'believing'? Is not 'Tian' also based on believing? Second, does the claim that the existence itself as a human being is inevitable to do right is also different from theological doctrine? Could it be accepted as meaning that "Because Tian(or God) has commanded you, you should do it"? This is not only Confucianism but also the problem and limit of the general philosophy that is focused on metaphysics today.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is, I tried to examine the origin and justification of morality in modern science. Charles Darwin, Michael Gazzaniga, Edward Wilson, Steven Finger and Antonio Damasio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figures and briefly presented their arguments. To summarize, what modern scientists claim about moral origin and justification is that morality is the product of evolution, and there is a congenital moral module in the brain capable of moral behavior. This makes it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onfucian moral philosophy, which has its origin in morality based on 'Tian' and put its justification in the existence itself of human beings. First, it can be solved by the pressure of natural selection through the time of evolution, about the problem that Confucian philosophy puts on the origin of morality, which is based on believing. In other words, if the moral intuitions that have arisen in various contexts through the time of long evolution, as modern evolutionary ethicists argue, have been fixed in various parts of the brain, this will be a matter of fact that does not require believing. Secondly, moral modules can solve the problem of justification of morality, which derives its merits from the existence itself as a human being, which is presupposed in Confucian philosophy. If you are in a situation like A, let's suppose you have a moral module that makes B behave. Then, whenever we meet the situation A, we will behave as B of course. This guarantees the justification of the existence of a person with the moral module B, which is bound to do moral action. This guarantees the justification that the existence itself of person with a moral module B is bound to do moral conduct.

      •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과 정언 명령

        허유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6 철학·사상·문화 Vol.0 No.3

        This dissertation aims to show the meaning of the 'Formula of Humanity as End In Itself',which is the third formula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ant's ethics.The formula of Humanity as End In Itself is the third formula of Kant's categorical imperatives. It is as follows : "So act that you use Humanity, whether in your own person or that of another, always at the same time as an end, never merely as a means."Now the question is: what this formula means. Namely, what does it mean that you use a person as an end? Moreover, what does it mean further that you use a person 'always at the same time' as an end?If the idea and uniqueness of Kant's deontological-practical ethics can be well conceived, we must acknowledge the view of his moral philosophy that human being itself is not a relative end but an absolute-highest end, and is also a moral agent of practical reason as an 'thing-in-itself'.Since human beings should not be a means, but must be an end in itself, we should not treat a person and his act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causation, but understand him and his act i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is means that a person is not only a means phenomenally but also an absolute end as a moral subject.But I don't think that Kant denied a person to be treated as a means in the real world. For example, when we go to a restaurant and want to order a dish, there is a waiter and we use him as a means in order to order and to be served. At this moment,he is a means of 'medium' to reach the common and same end which both of us have. In other words, it is an 'mediated' relationship through the common and same end. By this relationship, both of us as an absolute end itself take part in the absolute end autonomically in every action. 본 논문은 칸트의 정언 명령 중 세 번째 정식인 목적 자체의 정식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를 밝힌다.칸트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행위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지를 정언 명령 중 세 번째 정식인 ‘목적 자체’의 정식을 통해 설명한다.모든 인간은 이성을 가졌기 때문에 스스로 자기 행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자율적 존재이다. 인간은 스스로 자기 행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자기의 행위에 책임을 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인간은 어떤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내부에 도덕의 기준과 도덕적 존재로서의 소질을 지닌다. 이성적·자율적·도덕적 존재로서 인간은 최상의 가치인 존엄성을 지닌다. 인간은 사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사물의 가치에 대한 궁극적인 원천으로, 무조건적 가치를 갖는 존재이다. 이러한 이성적 존재가 인격이고, 인간성은 이성적 의지를 소유한 인간의 본질적 특성이다. 그래서 인격 안의 인간성은 목적 그 자체이다. 최상의 가치를 지니는 인간은 다른 가치 아래에 놓일 수 없으며, 최상의 목적인 목적 그 자체이다.이는 나뿐 아닌 모든 이성적 존재자 일반에게 적용되며 따라서 인격은 단순한 주관적인 목적이 아니라 객관적인 목적이다. 또한 수단은 경향성과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 인간을 수단으로 삼는 것은 경향성의 만족을 위해서, 혹은 그에 기초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도구로만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목적 자체의 정식은 이성적 존재자 일반을 경향성의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삼지 말 것을 명령한다. 인간은 자신을 비롯한 모든 인간을 언제나 상대적 목적인 수단으로만 대해서는 안 되며, 나아가 언제나 목적 자체인 목적으로 대우해야 한다. 인간을 목적 자체로 대한다는 것은 그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으로, 모든 인간의 자율적 의지 결정을 존중하고, 그의 행위를 방해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장려하는 것이다.그러나 목적 자체의 정식이 현실적인 이용 관계, 임의적 목적을 위해 자신을 비롯한 타인과 맺는 관계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절대적 목적인 인간이 자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조건들을 촉진하는 한에서, 자신과 관계하는 다른 행위자와 공통된 목적을 공유하며 행위할 때, 인간은 절대적 존재자로서 타자와의 접점을 갖는다. 절대적 존재자들의 자율적 행위가 자신과, 자신과 관계한 타인의 임의적 목적의 성취를 돕는 것이다.

      • KCI등재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유호종(Ho Jong Yu) 철학연구회 2003 哲學硏究 Vol.60 No.-

        낙태의 정당성 논의에서 과거 가장 쟁점이 되었던 것은 `태아는 인간인가`라는,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물음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태아는 생명권을 갖는가`라는, 태아의 도덕적 위상에 대한 물음이 주로 쟁점이 되고 있다. 더 나아가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물음은 낙태 논의에서 더 이상 필요 없다고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사람이 있는데 D. Marquis가 대표적이다. Marquis의 주장대로 `태아는 인간인가`라는 기존의 존재론적 물음의 탐구는 낙태의 정당성 논의에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임이 밝혀진다. 이 물음이 유용하려면 `인간`에 대한 유일하게 올바른 하나의 정의가 존재해야 하는데 과연 이런 정의가 존재하는지 이론적으로 구명하기 힘들 뿐 아니라 이런 정의가 존재하더라도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밝히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물음에 대한 논의 없이 직접 태아의 도덕적 위상을 밝힘으로서 낙태 논의를 해결하려는 Marquis의 시도는 불가피하게 다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다른 물음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낙태에 대한 Marquis의 논의를 그가 했던 것보다 더 철저하게 진행시켰을 때 이 물음에 다다를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태아는 그 태아로부터 자라날 어린이나 성인과 동일한 존재인가`라는 자아동일성 물음이다. 이 물음에 대한 해명 없이는 태아의 도덕적 위상을 밝힐 수 없고 따라서 낙태의 정당성 여부도 판단하기 힘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모종삼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불성과 반야(佛性與般若) 』를 중심으로-

        김제란 ( Je Ra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이 글은 중국 근현대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인 모종삼(牟宗三, 1909-1995)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저인 『불성과 반야』를 중심으로 모종삼이 불교 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였는가 하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모종삼은 ‘도덕적 형이상학’을 건립하기 위해 유학 뿐 아니라 불교 사상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는 불교의 내재적 발전은 반드시 중국 불교의 진상심(眞常心) 계통으로 나타난다고 본 전제 위에서 『기신론』의 ‘일심개이문(一心開二門)’ 도식을 선택하고, 이문(二門)에서 각각 일체법을 존재론적으로 포섭하고 있다는 ‘이중 존재론’을 제기하였다. 심생멸문은 생멸하는 현상계를 설명하는 ‘집착의 존재론’이고, 심진여문은 진여계를 설명하는 ‘무집착의 존재론’이 된다. 그러나 모종삼은 중국 불교의 대표적 발전 유형이라고 할 화엄종과 천태종에 대해서 전혀 다른 태도를 보였다. 화엄종의 성기론(性起論)보다 천태종의 성구론(性具論)에 훨씬 큰 가치를 두었던 것이다. 그는 화엄종은 중생과 격별해있으므로 그 원교(圓敎)는 단지 ‘탑의 정상’과 같은 형식에 그치게 되고, 성불은 반드시 일체의 생사오염법을 단절해야 하므로 성불의 방식에 ‘격별’의 성질이 있게 된다는 점을 한계로 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화엄종이 궁극의 원교가 아니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모종삼은 천태종의 일념삼천(一念三千)설이 ‘일념무명법성심(一念無明法性心)’으로 표현되고, 삼천세간법을 보존하게 하여 현상계의 모든 존재에 존재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점을 중시하였다. 일체법의 존재를 보존한 뒤에야 ‘불교식의 존재론’이 성립하게 되고, 이것이 천태종이 진정한 원교가 되는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천태 원교는 일체법을 일종의 평지로 보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시각은 천태종 교판을 새롭게 수정한 교판에서도 잘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모종삼은 천태종 ‘원교(圓敎)’ 모델을 활용하여 현대신유학의 도덕적 형이상학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유식종이나 화엄종의 성기론(性起論)은 모두 불성을 다르게 이해하지만, 가장 원만한 불성론은 천태종의 성구론(性具論)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덕적 형이상학을 확립시킨 만큼, 모종삼 철학에 불교 사상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Buddhism represented in the philosophy of Mou Zhongsan, wh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history of modern Chinese philosophy. Therefore I examined how he interpreted Buddhism to set his philosophy, especially focused on Buddha-nature and Prajna.( 『佛性與般若』) Mou utilized not only Confucianism but also Buddhism to establish ‘Moral Methaphysics’, the doctrine of Modern New Confucianism in modern China. His analysis of Buddhism centered on the concept of ‘Buddha-nature’. He chose the idea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大乘起信論』) and proposed ‘Double Ontology’(兩層存有論). The idea of ‘the One Mind Opens Two Gates’(一心開二門) means the high valuation of realism, through the unity of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He argues that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means ‘Ontology of detachment’, which explains the phenomena world, and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is related to ‘Ontology of non-detachment’, which explains ‘the world of Suchness’. Among the teachings of various Chinese Buddhist schools, Mou regards Hua Yen Buddhism (華嚴宗) and Tian-Tai Buddhism(天台宗) the most important. But Mou shows a totally different attitude about them. Through analysis of Tian-Tai`s theory of ‘three thousands worlds in one moment of thought’(一念三千說), he demonstrated how Tian-Tai Buddhism can explain the origin of both impure and pure dharmas. He valued the Tian-Tai`s doctrine that the Buddha-nature includes both good and evil(天台宗 性具論) more than Hua Yen Buddhism. And he insisted that Hua Yen teachings contain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from everything, so he thought that is the reason why Hua Yen doctrines are not ‘perfected teachings’(圓敎). He insisted that Tian-Tai`s theory of ‘three thousands worlds in one moment of thought’(一念三千說) can give everything of the phenomena world the ground of ontology, which is called ‘Buddhistic Ontology’. In conclusion, Mou insisted that the theory of ‘Perfected Goodness’(圓善) is the ultimate goodness, using the model of Tian-Tai`s ‘Perfected teaching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Buddhist thought has a great role in establishment of Mou Zhongsan`s philosophy.

      • KCI등재

        모종삼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

        김제란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Buddhism represented in the philosophy of Mou Zhongsan, wh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history of modern Chinese philosophy. Therefore I examined how he interpreted Buddhism to set his philosophy, especially focused on Buddha-nature and Prajna.( 『佛性與般若』) Mou utilized not only Confucianism but also Buddhism to establish 'Moral Methaphysics', the doctrine of Modern New Confucianism in modern China. His analysis of Buddhism centered on the concept of 'Buddha-nature'. He chose the idea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大乘起信論』) and proposed 'Double Ontology'(兩層存有論). The idea of 'the One Mind Opens Two Gates'(一心開二門) means the high valuation of realism, through the unity of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He argues that 'the Mind in terms of phenomena' means 'Ontology of detachment', which explains the phenomena world, and 'the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is related to 'Ontology of non-detachment', which explains 'the world of Suchness'. Among the teachings of various Chinese Buddhist schools, Mou regards Hua Yen Buddhism (華嚴宗) and Tian-Tai Buddhism(天台宗) the most important. But Mou shows a totally different attitude about them. Through analysis of Tian-Tai's theory of 'three thousands worlds in one moment of thought'(一念三千說), he demonstrated how Tian-Tai Buddhism can explain the origin of both impure and pure dharmas. He valued the Tian-Tai's doctrine that the Buddha-nature includes both good and evil(天台宗 性具論) more than Hua Yen Buddhism. And he insisted that Hua Yen teachings contain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from everything, so he thought that is the reason why Hua Yen doctrines are not 'perfected teachings'(圓敎). He insisted that Tian-Tai's theory of 'three thousands worlds in one moment of thought'(一念三千說) can give everything of the phenomena world the ground of ontology, which is called 'Buddhistic Ontology'. In conclusion, Mou insisted that the theory of 'Perfected Goodness'(圓善) is the ultimate goodness, using the model of Tian-Tai's 'Perfected teaching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Buddhist thought has a great role in establishment of Mou Zhongsan's philosophy. 이 글은 중국 근현대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인 모종삼(牟宗三, 1909-1995) 철학에 나타난 불교 사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저인 『불성과 반야』를 중심으로 모종삼이 불교 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였는가 하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모종삼은 ‘도덕적 형이상학’을 건립하기 위해 유학 뿐 아니라 불교 사상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는 불교의 내재적 발전은 반드시 중국 불교의 진상심(眞常心) 계통으로 나타난다고 본 전제 위에서 『기신론』의 ‘일심개이문(一心開二門)’ 도식을 선택하고, 이문(二門)에서 각각 일체법을 존재론적으로 포섭하고 있다는 ‘이중 존재론’을 제기하였다. 심생멸문은 생멸하는 현상계를 설명하는 ‘집착의 존재론’이고, 심진여문은 진여계를 설명하는 ‘무집착의 존재론’이 된다. 그러나 모종삼은 중국 불교의 대표적 발전 유형이라고 할 화엄종과 천태종에 대해서 전혀 다른 태도를 보였다. 화엄종의 성기론(性起論)보다 천태종의 성구론(性具論)에 훨씬 큰 가치를 두었던 것이다. 그는 화엄종은 중생과 격별해있으므로 그 원교(圓敎)는 단지 ‘탑의 정상’과 같은 형식에 그치게 되고, 성불은 반드시 일체의 생사오염법을 단절해야 하므로 성불의 방식에 ‘격별’의 성질이 있게 된다는 점을 한계로 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화엄종이 궁극의 원교가 아니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모종삼은 천태종의 일념삼천(一念三千)설이 ‘일념무명법성심(一念無明法性心)’으로 표현되고, 삼천세간법을 보존하게 하여 현상계의 모든 존재에 존재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점을 중시하였다. 일체법의 존재를 보존한 뒤에야 ‘불교식의 존재론’이 성립하게 되고, 이것이 천태종이 진정한 원교가 되는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천태 원교는 일체법을 일종의 평지로 보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시각은 천태종 교판을 새롭게 수정한 교판에서도 잘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모종삼은 천태종 ‘원교(圓敎)’ 모델을 활용하여 현대신유학의 도덕적 형이상학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유식종이나 화엄종의 성기론(性起論)은 모두 불성을 다르게 이해하지만, 가장 원만한 불성론은 천태종의 성구론(性具論)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덕적 형이상학을 확립시킨 만큼, 모종삼 철학에 불교 사상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지향된 인간상의 존재론적 이념형

        강두호(Kang, Du 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6

        도덕 교과는 당위의 주체에 대하여 일정한 존재자의 모습을 전제로 한다. 행위는 존재를 따르기 때문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역시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설정하여 목표로서 지향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특히 그 내용 구성의 틀로서 관계 개념을 중시하며, ‘자신, 타인, 사회 · 공동체, 자연 · 초월’을 주체와 연결된 관계의 대상으로 규정한다. 우리는 교육과정이 그 범위로서 정해 놓은 각 내용 영역들 및 그 하위 내용 요소들에 제시되어 있는 성취 기준들을 통하여, 도덕 교과가 지향하는 인간상을 추론할 수 있다. 도덕 교과에서 지향된 인간상은 존재론적 측면으로 볼 때, ‘도덕적 주체, 사회적 존재, 영적 존재’의 세 가지로 압축된다. 이러한 인간상의 이념형은 교사 및 학습자의 의지와 노력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axiom of agere sequitur esse gives us a hint, the Moral Studies premises some definite figure or image of human being(ens) to the subject of ought-ness. The current curriculum of Moral Studies points to an ideal type of the figure of human being. The curriculum makes much of the concept ‘relation’ as the frame of content organization, and sets up ‘oneself, others, society and community, nature and transcendence’ as the objects of relation. We can infer the figure of human being aim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from the standards of achievements described in the content domains as its scope and their subordinate units. The ideal type of the figure of human being aimed in the curriculum from the ontological viewpoint has three kinds of patterns; ‘moral subject, social being, and spiritual being.’ This ideal type of the figure of human being can be realized by our will and endeav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