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감 • 농문화 • 장애인식에 대한 배경변인별 분석과 구조관계 연구

        김은정,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lural relationship among identity, deaf culture, disability awareness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The 258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college or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designed by survey method. SPSS 20.0 and AMOS 19.0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degree of hearing loss, parental sign language skill, age of onset, and the experience to attend hearing impaired special school were important background variables to identity and deaf culture factors, and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unique variable to disability awareness factor: and (b) the identity factor was offered by the factors of the degree of hearing loss and the experience to attend hearing impaired special school, however the deaf culture factor was no related with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directly. Als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were no related with the disability awareness. And the disability awareness was no related with the deaf culture factor directl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o identity, and the identity factor was related to deaf culture.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dentity was prior factor rather than deaf culture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이 연구는 전국의 청각장애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정체감 • 농문화 장애인식에 대한 배경 변인별 분석과 구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SPSS 20.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감과 농문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장애등급,부모의 수화 사용 능력,장애시기,청각장애 특수학교 경험 유무로 나타났다.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인식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배갱변인은 장애등급이었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등급과 특수학교 경험은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고,정체감은 농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청각장애 대학생의 배경변인이 직접적으로 농문화에 영향을 마치는 구조는 아니었다. 청각장애 대학생의 배경변인은 장애인식 요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또한 장애인식 변인은 농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도 아니었다. 또한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등급과 청각장애학교 경험 등과 같은 배경변인은 청력손실 정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대학생의 청력손실 정도가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며, 이는 다시 농문화로 연계되는 경로 구조를 보인다. 청각장애대학생은 농문화보다 정체감이 먼저 형성되는 구조를 보인다고 이 연구에서는 또한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체육전공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사회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김찬룡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university social capital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s university life adaptation. Methods : For this purpose, 240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in the B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with several facto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we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Conclusion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Motivation of Major Choice on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is as follows. Future outlook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member relationship, Job searching, Major learning, Job Searching Stress, which are sub-factors of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Seco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in University on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is as follows. Professor’s expertise, Information exchange with department members, Relationship with department memb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member relationship. Sharing of departmental vision, Information exchange with department members, Trust to department Member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earching. Information exchange with department members, Sharing of departmental vision, Trust to department Members, Emotional support of Professor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earching. Information exchange with department members, Sharing of departmental vision, Trust to department Members, Emotional support of Professor has a positive effect on Major learning.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및 대학사회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8년 B광역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체육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 3개 대학의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고, 수거된 설문지 중 일부 미응답한 설문지 60부를 제외한 240부의 유효 표본을 결과 분석에 이용했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분석을 하고, 요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 첫째, 전공선택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래 전망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 요인 구성원관계만족, 취업준비적응, 전공학습적응, 취업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사회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활적응 중 구성원 관계 만족에는 대학사회자본 중 교수의 전문성, 학과 구성원과의 정보 교류, 학과 구성원과의 관계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 중 취업준비적응에는 학과 비전의 공유성, 학과 구성원과의 정보 교류, 학과 구성원에 대한 신뢰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 중 전공학습적응에는 학과 구성원과의 정보 교류, 학과 비전의 공유성, 학과 구성원에 대한 신뢰, 교수의 정서적 지원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 중 취업스트레스에는 대학사회자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체육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대학사회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용 인생과제 수행방식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성복,이소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life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test its effectiveness. Methods: For the study, five steps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step 1, the overall five goalsand detailed 16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40 college students’questionnaires. In step 2, the 20 groupings found in the sessions were composed through the validityevaluation of six experts. In step 3, the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six college students. In step4, the program was finally developed through the evaluations of the six experts. In step 5, the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sample, were 12 collegestudents from K university of Korea.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six studentsfor the treatment group and six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for the treatment group was intended to be implementedfor a total of 15.5 hours, divided into seven sessions, with one session per week. To evaluate the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 Life Tasks Scale, Social Interest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and the College Life Adaption Scale were used for pre and post analysis. The post score was analyzedby ANCOVA, with the pretest score as the covariate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 irst, the level of life tas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improved i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life task performance for college students. Second,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ife tasks for college students developed in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level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social interest, andhappiness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for improving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인생과제에 대한 수행방식을 검토하고 재정향할 수 있도록돕기 위해 Adler 개인심리학에서 제시한 인생과제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향상하는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5개 전체 목표와 16개의 세부목표가 대학생 240명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수립되었고, 2단계에서는 20개의 회기별 활동내용이 6명 전문가의 타당성 평가를 거쳐 구성되었다. 3단계에서는 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4단계에서는 6명 전문가 평정을 통해 프로그램을최종 개발하였다. 5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 대학생 12명이며, 각각6명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주당 1회기씩7회기, 총 15시간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대학생의 인생과제수행방식을 알 수 있는 인생과제 척도,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알 수 있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대학생의 사회적 관심을 알 수 있는 사회적 관심 척도, 대학생의 행복을 알 수 있는 행복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척도들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공변량분석(ANCOVA)으로 사후점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않은 대학생들보다 인생과제 수행방식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대학생활 적응 수준, 사회적 관심 수준, 행복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돕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개발되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열등감과 대학생활부적응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윤민우 ( Yun Min Woo ),황경열 ( Hwang Kyoung Ryoul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사회불안, 열등감, 대학생활부적응의 수준을 파악하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열등감과 대학생활부적응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혀 사회불안을 줄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와 C시 소재 2개 대학교 재학 중인 장애학생 130명과 대조군 201명으로 사회불안 척도, 열등감 척도 그리고 대학생활 부적응 척도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장애대학생과 대조군의 사회불안 수준과 열등감 수준, 대학생활 부적응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장애대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공변량분석(ANCOVA)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은 대조군에 비해 사회불안과 열등감이 전반적으로 높고, 대학생활부적응에서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둘째, 장애대학생의 인구 사회적 변인과 장애관련 변인에 따라 대부분의 변인은 차이가 없었고, 성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은 열등감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장애대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정열등감과 학업열등감, 개인-정서적응도로 나타났다. 이에 장애대학생은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업이나 사회, 대학환경적 적응보다 개인정서적 적응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데, 장애대학생의 개인 정서적 측면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심리 지원 서비스를 확대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reducing social anxiety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social anxiety, college life maladjustment, inferiority feeling and difference the conform to background variabl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quiring into the factors that affect on social anxiety. The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the 331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iding in Daegu and Cheonan. Learn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anxiety and inferiority feeling, college life maladjustment level of disabilities college students and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anxiety disabilities college students were used as covariates in th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er social anxiety, inferiority feeling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university life was a similar lever of maladjustment. The social anxiet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overall high, especially in interaction situation out of the other sub-factors. Second, had most of the variables are in accordance with the college``s disability and disability-related variables demographic variables differ, women feel more inferiority feeling than men in gender. Third, factors affecting social anxiety of disabilities college students were appeared assumed inferiority and inferiority study, individual-emotion adjustment. In short, social anxiet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relatively high. active style affect on social anxiet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rucial factors that affect on social anxiety were domestic inferiority feeling, study inferiority feeling, and individual-emotion adjustm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ggests tha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chool or society as a whole has a problem of emotional adjustment than private universities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eed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to develop and promote a program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pers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disorder arises college.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박종희(Park, Jong-Hee),박성희(Park, S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생 433명이며, 연구 자료는 상관분석, 회귀분 석,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방법과 Sobel Test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세 요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셀프리더십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변수임이 검증되었고, 셀프리더십은 진로준 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을 고려한 통합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9 college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we use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diation test procedure and Sobel Test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self-leadership,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rd,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as demonstrated the partial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roved that self-leadership are major variables to boos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directly through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to promot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integrated program considering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 대학생, 대학교 취업담당관, 기업체 인사담당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김성남,변정현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ived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unselors of university, and HR officers of company toward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competency an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for each part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university students,career counselors and HR officers all perceive university students' present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as middle (approximately 3 point). Specifically, perceived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for ‘employment competency-attitude’ and ‘employment competency-adaptation’ is higher than those of career counselors and HR officers. Secondly,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unselors and HR officers perceive required level of employment competency as middle- high (approximately 4 point). Overall, perceived required level of career counselors is higher than that of HR officers. Thirdly, the result of educational needs analysis suggests that perceived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counselors for ‘employment competency-knowledge’ and ‘employment competency-skills’ is relatively high while perceived level of HR officers for ‘employment competency-attitude’ and ‘employment competency-adaptation’ is comparatively high.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일자리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데에 필요한 구직역량에 대해 주요 관계자의 인식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의 구직역량 수준 제고를 위한 개발요구를 분석하였다. 즉, 대학생, 대학교 취업담당관, 기업체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생의 구직역량에 대한 현재수준과 필요수준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고용시장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 우선순위로 포함시켜야 할 구직역량이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해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취업담당관 및 인사담당자 모두 대학생이 취업을 위해 갖추어야 할 전반적인 역량이 현재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3.0/5점)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취업담당관 및 인사담당자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것보다 대학생들의 구직태도 및 직무적응 관련 구직역량의 현재 보유수준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이 갖춰야할 구직역량의 필요수준에 대해 대학생, 취업담당관, 인사담당자는 공통적으로 중요성(4.0/5점)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인사담당자들이 중요하거나 필요하다고 여기는 수준에 비해 오히려 대학생과 취업담당관이 높은 수준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직역량 개발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과 취업담당관은 취업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취업기술(구직지식, 구직기술 역량)에 대한 개발 요구를 강하게 지니고 있는 반면, 기업체 인사담당자는 예비 직장인으로서의 태도와 향후 조직적응가능성(구직태도, 직무적응 역량)에 포함된 역량에 대한 개발요구를 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차이: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백근영 ( Keun Young Baek ),최바올 ( Baole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방법을 활용하여 남녀 대학생이 인식하는 페미니즘의 내용을 추출하고, 페미니즘을 인식할 때 활용하는 차원과 군집을 살펴보며, 동의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남녀 대학생들의 생각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남자대학생 57명, 여자대학생 56명에게 페미니즘을 떠올리면 드는 생각을 적도록 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대학생으로부터 42개의 진술문, 여자대학생으로부터 39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이를 남자대학생 9명에게 남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고 여자대학생 10명에게 여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였다.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부정”과 “직관-판단”의 2개의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남자대학생은 “직관적 인식,” “인지적 긍정적 인식,” “부정적 정서와 인지”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으며, 여자대학생은 “부정적 정서와 인지,” “긍정적 직관적 인식,” “능동적 지향적 인식”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 150명씩 총 300명에게 각 진술문에 동의하는지를 조사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진술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기초하여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related to feminism and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those perceptions. Based on the process of concept mapping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content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nd identifi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s a result, three clusters of “Intuitive Perception,” “Cognitive Positive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were extracted from male students, whereas three clusters of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Positive Intuitive Perception,” and “Active Oriented Perception” from female students. Lastly, each of 150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whether they agreed to each statement.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성향적 낙관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경미(Park, Kyungmi),이진령(Lee, Jinyoung),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성향적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향적 낙관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2개의 전문대학교 재학생 4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회귀분석과 Bootstraping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성향적 낙관성과 자기효능감 모두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향적 낙관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대학생의 성향적 낙관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개인 및 학교, 지역사회 차원에서 성향적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적 접근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 등의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ispositional optimism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on the adjustment of college life and to verify whether self-efficacy has a med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al optimism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460 college students from two colleg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ing. The result show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inclination dispositional optimism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Second,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dispositional optimis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is suggests that the dispositional optimism of college students not only directly affects college life adjustment but also indirectly affects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to provide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counseling approach and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o improve dispositional optimism and self-efficacy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community level in order to improve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 대학생 실연 심리의 위기 분석 및 개입의 연구

        이건신 ( Li Jianxin ),황해신 ( Huang Haixin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구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9 현대교육연구 Vol.31 No.2

        대학생은 국가의 중견 역량이고, 전 민족의 미래와 희망에 관계되어, 몸과 마음의 건전한 발전은 매우 중요한 단계에 처해 있다. 또한 이 때가 그들의 예민한 심리가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 중에서도 실연으로 인한 이별은 대학생들의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의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나는 원인은 대학생들이 남녀 관계에 대한 전반 이해가 부족하며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치유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생의 미숙한 심리(예를 들어 대중심리, 허영심리, 공리심리, 민감 다의성)도 주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남녀 간의 연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나 태도는 오해와 갈등을 불러 결국 실연을 초래하여, 대학생의 심신건강을 심각하게 침해하게 된다. 이에 대한 적극적 대처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부 대학생들은 실연을 당했을 때, 소극적인 대응 조치를 함으로써 쉽게 자기 의심(사랑받을 자격이 있는지 의심),불안과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적대 심리와 불평 심리, 복수의 심리를 가지게 되며 심지어 범죄의 주체가 될 가능성도 있게 된다. 장문기에 의하면 실연 후 대학생들은 보통 10가지 행동 유형; 히스테리형, 답답한 형, 자해형, 자살형, 보복형, 변태형, 왜곡형, 정신분열형, 신경질형, 정상형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면 공격, 탐닉, 전의, 정서 유출, 인지 재건과 도피도 대학생들이 실연에 대처하는 주요 방식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부정적인 대응 방식은 엄중한 심리 위기를 조성하여 대학생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기 쉽다. 여러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이미지 대화 기술, 체육 요법, 합리적인 정서 요법, 단체 지도 등과 같은 적극적 개입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문은 저자가 오랜 대학교 심리지도의 실무와 결합한 것으로서 어떻게 대학생 실연심리의 위기를 지도하여 좋은 결과를 가져 올 것인지 및 그 과정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그래서 논문의 취지는 이 과정의 개입 조치 및 구체적 절차를 탐구하여 대학교 심리지도 업무에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우선은 대학교 심리 지도자는 실연 심리의 위기에 처해 있는 대학생을 지도함에 있어서 주동적으로 ‘기회’를 찾아 개입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심리 위기 이후의 성장에도 시선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싶다. 실연으로 하여 대학생들은 현실에 맞지 않는 연애를 경험하게 되는데, 성숙한 마음으로 장래 연애를 맞이하도록 인도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내적 동력을 충분히 일깨워 주관의 적극적 요소로 부정적 영향을 극복하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셋째, 대학에 대학생 실련의 위기 개입 시스템을 세워서 위기 개입의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대학의 여러 부서와 기존 사회의 지원 시스템을 동원하여 대학생 간의 유대관계, 학교와 가정 간의 소통, 학교와 사회의 상호 작용 등을 잘 처리하는 것도 자못 중요하다. College students are the backbone of the country and are related to the future and hope of the entire nation. Whether it is physical development or psychological development, college students are in a special and important stage. This is the high incidence of psychological crisis. Among them, the loss of love is one of the main stress events of the college students. The reason for this situation is mainly because the college students themselves lack a correct understanding of lov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active and effective guidance. The immature psychology of college students (such as herd mentality, vanity psychology, utilitarian psychology, sensitive and suspicious) is the main reason. This incorrect attitude towards love can easily lead to misunderstandings and contradictions, leading to the result of loss of love, seriously jeopardizing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health. It is precisely because of the lack of a correct understanding of love, and no active and effective guidance, some college students have taken negative countermeasures in the face of the incident of lovelorn, easy to generate self-doubt (suspicion of whether they are worthy of being loved), anxiety, depression, even suicide, creating hostile psychology and complaints, forming revenge, and even going to the criminal path. Zhang Wen ji pointed out that college students after the loss of love generally have 10 kinds of behaviors: hysteria,stuffed gourd, self-mutilation, suicide, retaliation, metamorphosis, distortion, schizophrenia, neuroticism, normal. other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Attack, indulging, seeking transfer, emotional catharsis, cognitive reconstruction and escape are the main ways for college students to deal with the stressful event of lovelorn. Negative coping styles will easily lead to serious psychological crisis, which will have serious negative impacts on college students. Many scholars have also proposed corresponding intervention measures, such as image dialogue technology, physical therapy, reasonable emotional therapy, group counseling, etc. The intervention method is mainly reflected in the reactive intervention system, and each method ha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certain limitations. As a college counselor, how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intervention and counseling of the psychological crisis of lovelorn is the author's concern. The article aims to summarize the relevant interventions and specific steps to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college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author points out that, first of all, college psychological counselors should see the "opportunity" in the psychological crisis of lovelornism, pay attention to the growth after the psychological crisis: the loss of love can make college students change some unrealistic love motives, and urge college students to sum up experience to be more reasonable. Mature psychology to meet the next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experience of loss of love will also enhance their psychological endurance and frustration. Secondly, fully mobilize the internal motivation of the individual and overcome the negative influence with the subjective positive factors of the individual. Third,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crisis intervention system, improve crisis intervention methods, and prevent micro-duration. Finally, universities must coordinate multiple forces and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including mutual assistance among peer groups, home-school intercommunication, and school-society interaction.

      • KCI등재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 개발 및 효과

        방희원,조규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urse dealing with life in university and career explor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its impac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a pre-post-test of each variable was conducted on 297 students in the course of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at D University in Busan, and data of 195 people who responded to both pre-post-test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subjec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motivation. Thir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mplies that a college life and career exploration subject positively affects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pports systematic career exploration through self-understanding, career world understanding, career/job information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career goal setting and execution, and career development. Ultimately, such a subject can be considered as successful in helping students adapt to university life.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tha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ubject focused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can be the basis for future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과목이 진로발달 관련 변인인 대학생활적응,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 소재 D대학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 수강자 297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사전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 모두 응답한 19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은대학생의 진로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은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는 대학생활과 진로탐색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기이해, 직업세계 이해 및 진로/직업정보탐색과 진로의사결정, 진로목표설정 및 실행, 경력개발을 통한 체계적인진로탐색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관련한 진로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은 향후 진로교육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토대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