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 탐색

        유영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infant's play at a child care center.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7 infants and 1 class teacher in J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K city. Gangwon Province. This study use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for analysis. which included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playing free selective activities in the morning, 2 or 3 times per week.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0. a total number of 40 sess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infant's play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rhythmic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action. which means “I want to continue playing”,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concrete description and explanation. which means “I can play”,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obvious and rigorous attitude. which means “I will play again”,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question and asking. which means “I can play like this”,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permission and praise. which means “I can play alone”, and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direct showing. which means “Let's play together.” Therefore, teachers' direct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caused infants to understand and learn their play easily and recognize its value. Infa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sustain and expand their play with a sense of confidence and accomplishment.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의 놀이에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강원도 K시의 J어린이집 영아 7명과 그 반의 담임교사 1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0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40회 이루어졌는데, 주로 오전 자유선택활동의 놀이를 주 2~3회 참여 관찰하여 문화기술적인 연구방법에 의해 실행·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는 행동을 수반한 운율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계속 놀이 하고 싶어요, 구체적 묘사와 설명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도 놀이 할 수 있어요, 분명하고 엄한 태도를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다시 놀이 해 볼 거야, 질문과 발문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이렇게도 놀이 할 수 있어요, 인정과 칭찬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혼자서도 놀이 할 수 있어요, 직접 보여주기를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우리 함께 놀이 하자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놀이에서의 직접적인 교사-영아간의 다양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영아들에게 보다 쉽게 자신의 놀이를 이해하고, 놀이 행동을 배우며 인정받게 하여 놀이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함으로써 영아 놀이를 유지·지속하고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자유놀이 시간에서의 유아의 싸움놀이 특성 탐색

        손유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In this study 54 episodes of combat play were observed during free-play time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analysis reveals 3 categories of combat play patterns. In the first category, the children play at fighting without the use of tools. In the second, the fighting play uses tools of some kind. In the third category, heroes predominate and the children act as heroes. The character of combat play is very dynamic and depends on the diverse play contexts using imaginary discourse in imaginary play situations. Engaging in imaginary discourse and collaborating in imaginary combat play support positive social interaction in other classroom contexts just as other pretend play activities do. Since imaginary discourse has been shown to play a powerful, positive role in children’s development, the study conclud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gnize the positive role of combat play during free-play activities. 본 연구는 싸움놀이를 하는 유아들의 경험을 토대로 싸움놀이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로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의 싸움놀이 일화를 수집하고 일화가 가진 다중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2008년 3, 4월과 7, 8월로 기간을 2회로 나누어 모두 11주에 걸쳐 매일 유아의 자유놀이를 관찰하였으며 모두 54개의 에피소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유아들의 싸움놀이는 놀이를 하다가 서로 싸우는 척하는 놀이, 잡으러 가고 도망 다니면서 싸우는 척하는 놀이, 치고받으면서 싸우는 척하는 놀이, 블록 등의 장난감을 칼이나 총 등의 무기로 만들어 싸우거나 로봇으로 만들어 싸우는 놀이, 자신이 직접 로봇 등의 영웅이 되어 싸우는 놀이 그리고 가상 상황을 만들어 싸우는 놀이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싸움놀이는 현실과 가상의 구분, 놀이의 규칙과 역할에 대한 암묵적 합의, 가상적 내러티브를 통한 변형과 확장, 커뮤니티 내 역동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유아의 싸움놀이는 다른 가상놀이와 함께 좀 더 긍정적으로 다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놀이의 교육적 기능

        김윤종(Kim, Yoon-Jong),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3

        이 연구는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놀이의 교육적 기능을 구명(究明)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놀이이론의 특징과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놀이의 특징을 고찰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놀이의 교육적 기능을 구명하였다. Caillois는 놀이를 문화 그 자체라고 강조한 Huizinga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 Caillois는 놀이를 자유로운 활동, 분리된 활동, 확정되어 있지 않은 활동, 비생산적인 활동, 규칙이 있는 활동, 허구적인 활동으로 정의하고, 경쟁, 우연, 모의, 현기증이라는 네 개의 역할 중 어느 것이 우위를 차지하는가에 따라서 놀이를 아곤, 알레아, 미미크리, 일링크스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Caillois의 놀이구분은 놀이 각각의 특징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Caillois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놀이는 문화의 한 현상으로서, 어린이들의 전인적인 성장에 도움을 주며, 특히 정서발달과 사회성 발달, 문화형성 및 신체발달에 도움을 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function of play through analyzing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lay in Caillois’ socio-cultural perspectives, and to investigate into a new direction of study on Korean play. Caillois critically succeeds to Huizinga who insists that play is culture itself and develops it. He also defines play as a free, separate, uncertain, unproductive, governed by rules, and make-believe activity. Caillois categorizes play as Agôn, Alea, Mimicry, or Illinx as based on whether the role of competition, chance, simulation, or vertiea, is dominant. This devision of play in Caillois systematically divided into each play's distinctive features and that has high applications. Play in Caillois’ socio-cultural perspectives is a culture phenomenon, and can be educationally helpful to growth of for the whole man, especially improvement of emotion and Sociality, growth of cultural and physical condition.

      • KCI등재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유능성 및 또래인기도와의 관계

        이지영(Lee Ji-Young),이경옥(Lee Y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바깥놀이에서 발생하는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을 분석하여 거친 신체놀이와 또래 관계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의 만 5세 2학급 5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바깥놀이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들의 바깥놀이에서 대상물 놀이(29.1%)와 더불어 거친 신체 놀이(23.8%)가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는 또래유능성과 또래인기도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남아의 거친 신체 놀이는 또래유능성 중 사교성 및 주도성뿐만 아니라 또래인기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유아의 바깥놀이에서 나타난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추적 놀이가 유사 싸움보다 빈번하게 일어났으나 성별에 따라 매우 다른 특성을 보였다. 나아는 여아들보다 팔이나 발을 휘두르거나 태권도ㆍ권투 흉내내기 소리치기 장난으로 싸우기 쫓고 쫓기기 장난으로 끌어당기기 등과 같은 도구적 놀이가 많이 관찰된 반면 여아들은 장난으로 놀리거나 찝쩍거리기 장난으로 밀기 장난으로 때리거나 찌르기 등과 같은 관계적 놀이가 주로 관찰되어 친구에게 친근한 표시로 거친 신체 놀이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in kindergarten outdoor play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rough and tumble play with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eer popularity.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concluded that rough and tumble play is a play that frequently occurs during children's outdoor play. Boys are more involved in rough and tumble plays than Rough and tumble pla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eer competence and peer popularity, especially for boys.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is recognizedas a natural it not a negative play. Rough and tumble play is a play type in which children try to improve their harmonious peer relationships. In order to advance young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as a better play, appropriate understanding and guidance from the teachers or adults are needed.

      • 전래놀이의 가치와 활용방안

        정미식 ( Jung Mi-sik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9 지역문화연구 Vol.18 No.1

        전통놀이는 민속놀이라고도 하며 어린이 스스로 놀이감을 제작 활용함으로써 고도의 창의성을 기를 수 있으며 한 가지 놀이만으로도 놀이가 갖는 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가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 전통놀이는 어린이가 전통놀이를 하는 중에 자연스럽게 건강 생활 영역 뿐 아니라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등 여러 영역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통합교육 활동으로서 전인적 성장 발달을 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동 교육 측면에서 전통놀이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즐거움을 준다. 아동은 모든 놀이에서 그러했듯이 민속놀이에서 목적물을 맞추고 여럿이 함께 움직이면서 정서를 거침없이 표출한다. 둘째, 건강하게 자라게 한다. 아동들은 온 몸을 움직여 놀면서 신체적으로 성장해 간다. 셋째, 공동체의식을 기른다. 또래들과 어울려 놀이규칙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하고 규칙에 따르는 과정에서 상호 의존성과 존중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깨닫게 될 것이다. 전통놀이문화가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전통 놀이에 대한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언어로 창작하거나 번역되어야 한다. 전통놀이를 통해서 세계 모든 아동들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정서와 자기성장을 이루는 이니시에이션과 미성숙했던 여주인공이 ‘널뛰기’와 ‘윷놀이’를 통해서 바깥세상을 엿보고, 마침내 내적, 외적 갈등을 겪고 한 개인으로서 사회화 되는 과정을 그린다. 또 ‘연날리기’와 ‘제기차기’를 통해 호연지기와 정당한 스포츠 정신을 기르고, 남성성을 드러내면서도 권위주의적 관점을 해체시키는 소년의 모습은 주인공들의 성장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오늘날 한국의 다문화 사회 문제는 아직도 타문화에 대한 배타성이 존재하고, 특히 타 문화권 아이에 대한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 문제나 편견은 새로운 학교문제로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런 시점에서 작가들로 하여금 사라져 가는 한국 전통놀이문화를 재확인케 하고, 그것을 원천 소스로 하여 민족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세계적 보편성을 가진 스토리텔링 창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전통놀이 문화가 구현된 문학작품을 통해서, 아동 청소년 독자들은 타문화도 일차적으로 주류 문화에 동화되기 위한 동질성 확보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동시에 그들만의 고유한 정체성인 차별성도 다양성이란 관점으로 수용해야 함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play is also called folk play, and can foster high level creativity by creating and utilizing play itself, and can include all the intellectual, 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values of play in just one game. In addition, traditional play is not only a healthy living area but also a social life, an expression life, a language life, and an exploratory life while children play traditional game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lay in terms of children's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gives pleasure. As in all games, children set their targets at folk games and move together and express their emotions freely. Second, it makes me grow healthy. Children grow up physically, playing all over the body. Third, cultivate a sense of community. You will naturally realize the value of interdependence and respect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your thoughts and actions and following the rules to make play rules in harmony with your peers. For traditional play culture to be made into new cultural content, first of all, interesting storytelling of traditional play must be created or translated into various languages. Through traditional games, the world’s young heroine, who is immature and universal in which all children can empathize beyond the times and space, peeps into the outside world through "nul-jump" and "yut-nori," and finally portrays the process of socializing as an individual after experiencing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lso, the boy's image of fostering a show of good performance, just sports spirit, and dissolving authoritarian views through "Kite Flying" and "Jegi Chagi" is a good example of the growth of the main characters. Multicultural social issues in Korea today still exist in exclusivity to other cultures, and the issue or prejudice of teenagers especially against children from other cultures is emerging as a new school issue. At this point, writers should reaffirm the fading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and use it as a source so that they can create storytelling with a global universality while having a national cultural identity. Through literary works embodied in this traditional play culture, children's youth readers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other cultures are also striving to achieve homogeneity to assimilate into mainstream culture, while at the same time accepting their own unique identity, discri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 KCI등재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과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 및 또래유능성의 구조적 관계 연구

        김성연(Kim Seongyeon),김윤희(Kim Yun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과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 및 또래유능성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61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은 Hill과 Bundy(2012)가 개발한 평정척도를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은 황윤세(2008)가 개발한 유아의 창의적 성향 놀이행동평가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또래유능성은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은 창의적 놀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은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성인의 이해와 허용신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creativity in children’s play,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1 children aged 4 and 5, who were enrolled in preschool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Gyeonggi-do, and their mothers.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was used by modifying and translating the mother’s tolerance to risk in play scale developed by Hill and Bundy (2012). The young children’s play assessment for creative disposition developed by Hwang(2008)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and peer competence developed by Park & Lee (2001) were used to measur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ith the SPSS AMOS program to reveal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the ke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and had a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through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was likely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parent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beliefs and attitude about risky play.

      • 음악놀이를 활용한 초등 3학년의 수업지도안 지도방안 연구

        김샤론,함인아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6 음악예술연구 Vol.6 No.1

        고대로부터 여러 학자들은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특히, 놀이와 학습, 놀이와 교육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성인과 다르게 아이들은 놀이를 하나의 활동으로 인식하면서 다른 종류의 활동과 연계시키기가 용이하다. 놀이가 가진 특성으로 인하여 아이들은 놀이를 하면서 신체 발달에 긍정정인 영향을 받고, 특정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물론이고, 사회성, 창의성, 표현력도 함께 기를 수 있다. 초등 3학년들은 음악 교과 시간에 악보 읽기를 본격적으로 배우는데, 음악 구성 요소들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 중 하나가 놀이를 통한 학습이다. 초등 3학년 아이들에게 놀이는 수업 시간에 흥미와 재미를 제공하여 집중력을 높이고, 음악 교과 학습의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효용성이 매우 크다. 또한 음악 구성 요소의 개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창작 학습도 가능하다. 표현력도 놀이를 통해 발달되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구성 요소 중에서 리듬과 가락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리듬놀이, 가락놀이의 다양한 놀이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리듬과 가락의 개념을 이용한 창작놀이의 예시도 구성해 보았다. 리듬놀이, 가락놀이, 창작놀이는 서로 다른 놀이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개념과 목적은 서로 연관성이 있고 다르지 않다. 또한 각각의 놀이들을 이용한 학습지도안을 작성했는데, 초등 3학년 음악 교과서에 나오는 제재곡들을 선별하여 작성하였다. Play is crucial to learning and a highest phase to human development. Since Greek time, many scholars have emphasized on the role of play and fueling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teachers can do to prepare the children for their future life and career. Play helps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promotes socialization. Play enhances the abilities of organization and helps the children express their emotions. Imaginative play stimulates creativity. Moreover, play engage children’s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play often relate children’s physical rhythm so that play could be very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music education at school. Elementary 3rd graders in Korea begins to learn concepts of musical elements, which are rhythm, melody, harmony, texture, articulation, dynamics and etc. Play fully conducts to cause elementary 3rd graders’ musical interest and maximizes their learning effects. Especially in association with music, activities of rhythm, melody, and creativity take the important roles to instructive learning. For music itself is originated from festivals of ancient Greece, playful activities could accompany well with music. Activities of rhythm, melody, and creativity include at least three sub-plays per each. Every play represents actual goals of musical elements. Attached teaching guidances for selected three songs from the music textbook of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re with one or two playing activities at the end.

      • KCI등재

        북평원님놀이의 원형과 전승

        이창식 ( Chang Sik Le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민속놀이 중에서 대동놀이는 민간에서 내려오면서 연극적 연희적 국면이 있는 경우가 있다. 흔히 민속연희는 마을의 대동적 신앙행사의 한 부분으로 베풀어지던 예능적인 행위였으며, 민중계층에서 생업활동, 마을신앙, 세시풍속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놀이와, 의례적 행위들이 놀이로 전향되어, 현대에까지 전승되었다. 그 가운데 마당 또는 마을 길목에서 행했던 원놀음 형태의 놀이가 여러지역에 분포하였다. 특히 답교(踏橋)와 연결된 원놀음이 주목된다. 원님놀이와답교의 원형은 동아시아 정월 대표적인 의례, 놀이로 알려져 있다. 북평원님놀이는 동해시 북평 일대에 정월 대보름 전후 전승된 집단적 대동놀이다. 다리밟기형태도 수용한 이 놀이는 복합적인 전통연희 요소를 지니고 있다. 송사해결의해소와 세시놀이의 대동을 역사적 맥락 위에 보존해야 한다. 최근 북평원님놀이의 또다른 대동적 일체감과 겨루기의 몰입성에 대하여 전통적으로 전승화하는노력을 보이고 있다. 원님놀이의 원형은 정월 답교에서 비롯되었으나, 강원도 동해지역에서는 민선지향의 전통연희다. 이는 주민들의 의사에 의해 선출된 원님을 모시고 모의재판을 하며 대사와 춤과 놀이를 중시한다. 민속극 형태의 판결놀이는 향유층에게관심 집중과 신명 몰입을 드러낸다. 원님놀이는 놀음의 연희적 연극적 요소가있다. 무대가 공연화 방식을 통해 모의극의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세련된 탈춤처럼 민속극의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으나 부분적으로 구전대본과 민속연희의 극적 요소가 나타나 있다. 민속놀이의 전통연희 관련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자료이기도 하다. 놀이대본이 즉흥성과 현장성을 지닌다. 교훈적인 내용이 많다. 그러면서 민속층위가 다면적이다. 대동놀이 전승양상을 보이지만 경합, 모의, 재미, 신명 등을두루 드러낸다. 재담(才談) 위주 모의극의 세시축제는 마을 놀이꾼과 이야기꾼이민선 지도자의 집 마당 또는 마을 공터에서 구연하면서 만들어지는 이야기판 형태이다. 1930년대 민속연희의 전승방식으로 복원하는 데에는 어렵다. 마당놀이의 정통성 차원에서 전승방안을 제시하였다. 원님놀이는 구비전승의 자생적 공연문화로서 세시지향형 문화재적 가치-초기 발굴자 이기원, 김일기 등-가 있으며, 변화하는 공동체 사회에 대동놀이의 복원과 전승은 매우 값진 국면이다. Folk games come down to play in the private sector, local synthesis of various forms play a leading said. For the dynamic performance faith of the town as part of the event was given entertainment acts, the people in the hierarchy livelihood activities, village, faith, life, and various play three wind speed, and the game turned into ritual acts are modern was handed down.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dapgyo(踏.) courtesy of the East Asian New Year`s representative, has been known to play. Donghae`s play won Bukpyeong after one full moon to the New Year tradition is a collective accompany play. Dapgyo WoenNim play reeve elected reeve of the people by the doctor for a mock trial and committed an emphasis on dance and to play. Play Attention in the form of folk drama decision reveals the commitment and Deuteronomy. Dapgyo performance reeve of insipid entertaining play has ever theatrical elements. Tues stage performances of the play through the use of simulation is to show patterns. Does not reach the level of folk drama, the stylish but partially entertaining folk are given the dramatic elements. Humor-driven simulation of a three-pole festival in the village storyteller elected leaders or traditional village green yard, and made a story board Playing in shape. Thus, the oral transmission reeve play as a cultural heritage of indigenous cultural performances ever it is worth. Greater chang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folk-play art very important to restore the tradition. Bukpyeong-WoenNim play is the dynamic viitality of folk-performance.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사회와 놀이의 인문학

        김겸섭 ( Kyoum Sup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6 No.-

        이글은 한국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위기 상황들에 맞설 인문학적 대응으로 놀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른바 사회적 신진대사의 원활한 작용을 회복하기 위해 놀이 담론의 복권과 놀이성 회복의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촉구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재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경제지표를 국력의 전부인양 선전하는 각종 데이터의 ‘배신’에 현혹되지 않고 삶을 직시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야 말로 인문학의 소명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놀이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프레임을 몇몇 개념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21세기가 한국 사회에 요구하는 놀이학의 정립은 전면적 지구화 과정에 휩싸인 한국 사회에 대한 진단에서 출발해야 한다. 왜냐하면 놀이학은 이론적ㆍ철학적 담론이면서 현실의 다양한 현상들에 개입하고, 그에 대한 대안들을 모색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사회적 기획으로서 놀이는 자본주의적 노동 윤리에 따른 근대적 인간형으로 주체를 훈육하는 과정에서 상실된 인간 고유의 총체적 잠재 능력을 회복하는 문제에 관심을 둔다. 물론 근대를 넘어서는 탈근대적 주체성의 층위는 사회구조적 변화, 즉 놀이의 주ㆍ객관적 환경의 구축이라는 실천적 차원을 내포한다. 따라서 놀이학은 주체의 역능들뿐만 아니라 정치ㆍ경제ㆍ문화 등을 아우르는 사회의 총체적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여기서 ‘역량``은 지적ㆍ감성적ㆍ윤리적 능력 등 인간의 다면적 능력이 지닌 사회적 기능, 특히 문화적 역량을 의미한다. 놀이하는 인간의 능력과감성은 사회 주체의 문화적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eed of play studies based on the Humanities and analyze a various meanings of play in the Korea. The recent research underlines that the country`s economic volume now ranks 14th in the world, while with quality it lags behind at 19th and quality of life at 26th. It disturbs long-lasting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ety, by attach greater importance to economic size than to quality of life. But we must constitute a new guidepost that examine comprehensively situations of the Korean society. This paper suggest the play studies, paidialogy, as an alternative that can help to overcome symptoms of the risk society. The humanistic play studies tend to see play as the basis of balanced social progress. The reflexivity of play includes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meanings, which try to reflex social structure and principles of social repressions. The ludic reflexivity provides creative ideas for conquest of the existing instrumental play studies such as play therapy and play education, because its goal is recovery of social solidarity. The play has a variety of emancipative properties that can encourage alternative life. Thus one may use them as the materials of the social projection. ‘The ludic politics’ take notice of ‘liminal space’ of the play as liminal area. It provokes deconstruction of the instrumental reason and everyday stresses, by creating active and reflexive subjects as ‘Homo Ludens’ who can dream other life than the existing one. One may call the practical properties and social meanings of the play as ‘ludic justice’ or ‘paidial justice’ because the play can play the important role for changing and reshaping the social textures. We must be interested in the humanistic play studies to imagine other life and society.

      • KCI등재

        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불안장애 아동의 놀이주제 및 치료진보 분석

        최진현 ( Choi Jin-hyeon ),유미숙 ( Yoo Mee-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불안장애를 가진 만 7세 여아의 아동중심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주제 특성과 치료진보에 대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놀이주제 분석 결과, 전체 회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된 놀이는 ‘관계’와 ‘불안/걱정’, ‘힘/통제’의 주제로 나타났다. 아동은 초기 단계에서 ‘관계’, ‘불안/걱정’, ‘슬픔/상실’, ‘의존’의 주제를 통해 라포 관계를 형성하였다. 중기 단계에서 아동은 ‘힘/통제’의 주제에서 ‘양육’과 ‘안전’, ‘보호’의 주제로 나아가며 점차 정서적 안정감과 안전기지를 형성하였다. 이후 놀이주제는 ‘혼돈/불안정’에서 ‘힘/통제’, ‘숙달’, ‘재생’의 주제로 변화되었다. 후기 단계에서는 ‘자기만족’과 ‘회복성’, ‘통합’의 주제가 주로 표현되었다. 다음으로 아동의 주증상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치료진보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장 두드러진 치료 진보가 나타난 영역은 정서 영역의 ‘긍정적 감정’과 동기 영역의 ‘숙련놀이’, ‘좌절 견디기’, ‘놀이가 어려울 때도 계속 시도함’, 행동 영역의 ‘제한에 적절히 반응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안장애 아동의 놀이 치료 과정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놀이주제의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아동의 성장과 치유가 어떤 역동적 과정을 거치며 나타나는지 진보 추이를 확인하고 치료성과를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lay themes and the therapy progress of a 7-year-old girl with anxiety disorder in child-centered play therapy. Anxiety and Power/Control themes were observed intensively and repetitively. The themes in the initial phase comprised Relationships, Anxiety, Grief/Loss, and Dependency. The themes in the middle phase were changed gradually from Power/Control to Nurturing, Safety/Security and Protection. Self/sufficiency, Resiliency and Integration themes were mainly shown in the final phase. When the results of the progress of the play therapy was evaluated, there was significantly growth in the areas of Positive affect, Mastery play, Frustration tolerance, Keeps trying, and Responds to limits. The significances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help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play themes and the dynamic therapy progress of anxiety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