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활동이론을 통한 마을교육공동체 분석

        김회수,윤혜정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교육적 한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혁신의 요구에 따라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를 Engeström의 활동이론을 통해 활동의 갈등과 모순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G시 N구 M동에서 이루어지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와 공동체이다. M동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체제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나타난 다양한 갈등과 모순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주체인 학생, 교사,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둘째, 마을은 시청과 교육청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해 눈에 보이는 성과를 요구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느낀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해 관련 주체들 간의 목표나 기대결과가 다르다. 넷째, 마을교육공동체 공모 사업에 대한 마을이 느끼는 행정적 절차의 어려움과 활동을 위한 지원체제의 부족함이 있다. 다섯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불안함이 있다.

      • KCI등재

        교육공동체 개념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새로운 교육공동체 사유를 향하여

        이규빈,유성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육공동체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총 16편의 ‘교육공동체’ 개념을 다루는 문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로 초기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교육공동체’의 형태를 구상하다가, 이후에는 ‘개별 주체를 드러내는 교육공동체’ 개념을 논의했다. 그리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타자를 향하며 다름을 인정하는 교육공동체’로 재정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육공동체의 ‘참여주체’와 ‘교육’의 정의가 교육공동체 정의방식에 따라 상이함을 드러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공동체 사유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기존의 논의가 ‘기존 공동체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공동체를 사유’한다는 점을 들어 낭시와 블랑쇼의 존재론적 공동체를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체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교육공동체’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살핌으로써 공동체 사유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교육공동체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를 비판적으로 망라하고자 했던 시도는 극히 드물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그 간극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been conceptualized and how the new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can be discussed. To achieve this purpose we looked at 16 literature dealing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published in Korea since 2000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itial studies mainly envisioned the form of an ‘educational community to achieve a common purpose’ but later discussed the concept of an ‘educational community that reveals individual subjects’. Recently discussions have been taking place to redefine it as an ‘educational community that recognizes Other who entails differences’. It also revealed that the definitions of ‘participants’ and ‘educ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diff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fin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ossibility of the new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discussed. On behalf of the ontological community of Jean-Luc Nancy and Maurice Blanchot, we discussed how new educational communities could emerge since existing discussions are try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existing communities’ and ‘conceptualize educational communities around relationships’. This study insists how the new concept of educational community can be conceived to make a meaningful shift to the existing concept by examining how the ‘educational community’ has been conceptualized in Korea. Though there have been many bibliographies about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Korea, there have been very few attempts to critically cover those. Hence, this study plays a role in supplementing the academic deficiency in the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분석: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

        최민석(Choi, Minseok),박수정(Park, Soo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교 개선을 위한 ‘전문적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가 주목을 받게 되면서, 시·도교육청에서 이와 관련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19학년도 시·도교육청의 주요업무계획에 나타난 전문 적학습공동체 정책의 주요 특징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적학습공동체’와 전문적학습공동체 유사 개념을 주제어로 설정하고, 시·도교육청 누리집에 탑재된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학습공동체 목표 및 성취기대로 ‘수업’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전문적학습공동체 관련 명칭은 ‘전문적학습공동체’, ‘교원학습공동체’, ‘교사학습공동체’가 많았고, 그 중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주요업무계획에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정의가 진술된 교육청은 강원, 경기, 광주, 인천이었다. 넷째,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주체로는 교사가 가장 비중이 높았고, 다음으로는 교육전문직원, 교육행정직 및 학교관리 자 순이었다. 다섯째,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도교육청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의 일반화와 다변화, 수업변화 목적의 운영, 명칭의 혼재,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활용 한 과도한 교육정책 편성,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 연수 등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highlighted as a tool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ty and school improvemen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introducing related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guring out the key features of the education-office-support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from the major work plan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s in 2019. For this purpose, the main work plan of the local education offices in 2019 was analyzed based on the keyword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e other similar terms related to 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lass was the highest frequency for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goals and achievement expectations. Second, there were three kinds of terms related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mong thos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Third, Gangwon, Gyeonggi, Gwangju, and Incheon education offices have their own definitions abou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the main work plans. Fourth, teachers were the most frequent agents for runn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llowed by education professio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school administrators. Fifth, all education offices operate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in school uni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eatures such as gener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ies, operation of the purpose of class change, mixed and unestablished terms referring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xcessive educational policies us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 KCI등재후보

        배려공동체를 위한 다문화 인격교육 탐색

        문정애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인격교육 Vol.5 No.2

        Modern society is changed into multicultural society mainly owed to globalization. Thus we live with people whose values may differ from our own. But wrong comprehension of multiculturalism has raised new and pressing ethical problem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this paper examines the necessity of searching a new ethics which based on caring and community of caring. First, this article defined the concept of core ethical as caring to apply global ethics, second, try to find a new form of solidarity which is global community and community of caring. And Last, It is discussed as follow: how to construct community of caring in education emphasizing membership with responsibility and duty. First, Multiculturalism education for co-existence is required in order to devote in the other and the human being, the belief of the community makes the emotional caring origin of human behavior understand. Second, Community of caring and multiculturalism identity education will have to be based on ethical self-understanding with the other together. Last, Learning community serves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education practical criterion which community of caring aims.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들이 공존하며 그 각각의 고유한 가치와 삶의 유형을 수용한다. 하지만 여러 공동체간의 다양한 삶의 문화적 차이와 가치를 인정하는 다문화주의의 잘못된 적용은 가치관의 충돌을 유발하여 윤리적 혼란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공동체들이 지향하는 다양한 가치와 그 차이의 인정이 대립과 갈등의 유발이 아닌 대안적 타협과 절충을 도출해 가는 새로운 윤리의 가능성으로 배려윤리와 공동체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공동체 구성원 각자의 책임과 타자에 대한 의무를 강조하는 배려공동체가 지향하는 다문화의 담론을 형성해 나갈 수 있는 인격교육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공존을 위한 다문화교육’은 공통의 문화를 추구하는 타자와의 만남을 배우는 교육이다. 또한 타자와 인류에 헌신하도록 하는 공동체의 신념은 인간 행동의 정서적 근원을 이해하게 될 때 더 좋은 공동체를 위한 적극적인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둘째, 배려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배려공동체와 다문화 정체성교육’은 단순히 윤리적 지식 획득 수준을 넘어서 타자와 함께 하려는 윤리적 자기이해를 통해 능동적인 도덕적 의미를 구성해야 한다. 셋째, 배려공동체 교육과 실천적 준거’에서 학생과 교사의 유대를 강조하고 타자와 함께 행복을 추구하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배움공동체 교육을 통해 타자와 인격적 만남을 통하여 함께 살아가는 배려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교육적 준거와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뉴질랜드 학교・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징과 시사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새로운 모델

        임유나(Lim Yoo Na)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뉴질랜드에서 최근 구현되고 있는 학교․교사 학습공동체에 대해 탐색하고, 뉴질랜드 학습공동체가 우리나라 학습공동체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 교육 체제와 교육과정, 학습공동체에 대한 보고서, 학술논문, 홈페이지 정보 등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뉴질랜드의 학습공동체는 일반적인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학교 밖 공동 목표의 설정과 협력”을 통해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습공동체의 새로운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는 교육 개혁과 지속가능한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학습공동체에 대해서도 학교단위의 시스템적 접근을 취하였으며, 교육부는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도구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고 있다. 학교단위의 네트워크 형성은 학습공동체 내 교직원의 유연한 활용, 시설 공유, 비용 절감 등을 가능하게 하여 체제 전반의 변화를 가동시키는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권화, 지역화, 자율화에 따른 학습공동체의 역할 재모색과 운영 방식의 재구조화,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와 교사의 지속가능한 역량 강화, 학습공동체 내 인적・물적 자원의 협력적 활용과 운영 지원, 시간과 비용의 행・재정적 지원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recently implemented Communities of Learning (CoL) in New Zealand. Resources for this investigation included academic articles and government reports on New Zealand’s educational governance, curriculum, and CoL. Analysis revealed that New Zealand’s CoL are playing a role as an axis of curriculum governance by setting and working with shared goals outside of school as well as having features of the genera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school capacity for educational reform and sustainable improvement, New Zealand has taken a systematic approach to CoL at the school level,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ctively supporting the CoL. The networking of CoL schools functions as a means by which CoL can flexibly utilize teachers and staff, share facilities, and reduce costs, thereby increasing the feasibility of systemwide chang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on the role of Korean CoL and reorganization of its operating system based on a policy of decentralization, localization, and autonomy; strengthening the sustainable capacity of schools and teachers through CoL; collaborative use of resources in CoL and support for CoL operation;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time and cost.

      • KCI등재후보

        정의 공동체 접근(Just Community Approach)에 대한 도덕 교육적 고찰

        박병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콜버그(Kohlberg)의 정의공동체 접근이 지니는 도덕교육적 특징과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인지도덕 발달론자인 콜버그는 블라트의 연구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교육을 주장하였다. 이 방법은 기존의 덕목주의와 행동주의 교육이론에 내재된 도덕적 상대주의와 교화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콜버그는 이 방법을 학교 및 교도소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판단과 행위간의 불일치 문제, 실제적인 문제의 경시 문제,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력 경시 등의 문제를 인식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있는 대안으로 모색한 것이 정의 공동체 접근이다. 이 접근은 키부츠 방문을 통하여 그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었고, 교도소에서 처음으로 적용한 다음, 그 긍정적인 연구 결과에 고무 받아 클러스터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정의 공동체 접근은 참여 민주주의 원리를 구현하여 도덕교육에 대한 정의의 관점과 공동체적 관점 즉, 개인주의적인 도덕교육과 듀르케임의 집단주의 도덕교육과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즉, 실제적인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개인 및 집단의 도덕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고, 잠재적 교육과정 즉 공동체의 분위기가 도덕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구성원들의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과 소속감, 동료집단의 영향력, 도덕적 옹호자,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 형식에 대한 교육과 함께 내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가상적인 딜레마보다는 학교 안에서 실제로 직면하는 도덕적인 문제에 대한 토론을 강조하였다. 콜버그가 주장한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수업과 정의 공동체 접근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도덕교육의 목적은 도덕발달의 촉진에 있고, 그 방법은 딜레마 토론이어야 한다는 점은 중시하였다. 덕교육 및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중요한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및 교실의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중요한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은 이러한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실 도덕 공동체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의공동체 접근이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덕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통합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nd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in moral education is based on a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from visits to a kibbutz and the structural psychological theory of individual moral judgment development that has been tried in prisons and cluster high schools. This approach focuses on building a moral community by involving students in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 core of these approaches was group moral discussions of hypothetical and practical dilemmas. This approach represents an effort to balance justice and community. Moral education in a just community school has to deal with content as well as structure. The teacher not only facilitates discussion among students, but also leads them in decision making by advocating. Finally,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search 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re addre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에 대한 소고

        이은주(Lee, Eunju),류미향(Ryu, Mihy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활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함께 생성의 철학자로 불리는 Deleuze의 철학에 입각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습공동체의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학습공동체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예비교사교육 연구에서 학습공동체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학습 내용 선정과 선정된 학습 내용의 변화 가능성 및 존재의위치성에 따른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역할과 관계에 초점을 맞춰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공동체에 담겨 있는 본질적인 의미를 고려할 때 학습공동체는 학습하고 싶은 것을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함께 탐구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생성의 가능성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공동체의 특성을 Deleuze의 철학에 근거해 학습공동체의 방향성에 대해 다음과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학습공동체에서는 계획된 학습 내용을 변화 없이 유지하는 수목적체계가 아니라 변화와 생성을 지향하는 리좀적 체계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학습공동체에서의 관계는 고정적이고 변화 가능성에 닫혀 있는 이기가 아니라 마주침과 생성에 열려 있는 얽힌 되기를 지향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며 예비교사교육에서의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 along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use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this en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was first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Next, in the study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how the learning community is being used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s and the role and relationship of members of the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positionality of the participants. Conside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community,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in a way tha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that can change the content and method of learning in the process of participants autonomously deciding what they want to learn, exploring and practicing togeth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earning community were discussed as follows based on Deleuze s philosophy of becoming. First,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directed toward a rhizome system that essentially aimed for change and creation rather than a root-tree system that maintains planned learning contents without change. Second, the relationship in the learning community should aim for becoming entangled, open to encounter and creation, rather than ‘being’, which is fixed and closed to the possibility of chan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the awareness of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explores various possibilities for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전략 탐색

        김재식 ( Jae Sik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적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 교육적 전략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살펴보고, 그 대안적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표로 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은 개인의 덕 함양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도덕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 도덕과 교육은 개인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인지, 정의, 행동적 도덕성 함양을 도모하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계획한다. 이러한 도덕 교육적 계획은 도덕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그리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위한 전략으로 구체화된다.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해 보면, 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는 개인의 덕 함양을 통해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겨냥하고 있고, 교육 내용은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여러 덕목을 선정하여 지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부록을 통해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 조성을 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덕과 교수-학습 전략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전략이 미흡하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탐구와 공동체가 동시에 고려될 수 있는 탐구 공동체 접근을 보완적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complementary part through analysis of teacher`s guidebook and curriculum of moral subject directing at harmonious communal life in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rmonious communal life that aims at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quires to cultivate personal virtues and creates morality of school community. In view of this, elementary moral education plans to rais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morality of the individual and build school and classroom into moral community. These moral educational plans is embodied in strategies for formation of moral community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of moral subject. By analyzing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teacher`s guideboo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could be found. First, educational goals of moral subject aim at harmonious communal life through cultivating personal virtues. Second, educational contents of moral subject are composed of the important virtues for harmonious communal life. Third, teacher`s guidebook presents a varie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ur, strategies for building of moral community in the school and classroom is presented in the supplement of teacher`s guidebook. But insufficiency is found in th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tri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approach of inquiry community as a complementary strategy considering at the same time inquiry and community to cultivate the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최고은(Choi Go Eun),김지현(Kim Ji Hyeon),정혜영(Jung Hy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교사배움공동체를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최근 주목하고 있는 Bruno Latour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서 ‘행위자, 네트워크, 번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에 대한 복잡성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교사들의 교육적 실천행위와 함께 배움공동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배움공동체에서 관계하는 비인간의 행위성을 인간과 동등한 위치에 놓음으로써,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에서 교육적, 사회적 관계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비인간 행위자들의 영향력과 행위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는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교육적 상황과 얽혀 있음으로써, 미리 정해진 고정적인 요인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생성적 되기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배움공동체에서 교육현상과 연결된 다양한 행위자와의 관계 맺음을 번역의 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육실천 행위의 변화 과정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배움공동체에 대한 다면적이고 복잡한 실천의 현상을 다시 이해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혁신의 주체로서 함께 배우고, 성찰하고, 공유하며, 협력하는 교사배움공동체를 정책적⋅실천적으로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dynamic process of teacher-learning community, through Actor-Network Theory. Metho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s conducted to explore the complex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main concept of Actor-Network Theory, ‘actor, network, and translation’.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are derived, focusing on how the learning community works with pedagogical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s Firs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influence and agency of non-human actors which are connected through educational and social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by placing non-human actors on the same level as human actor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intertwined with an unpredictable and complex educational situation, so it is not defined as a predetermined element but is viewed as a process of becoming generative connected by a network that repeats creation and extinction. Thir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nge proc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practice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actor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phenomen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 process of trans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an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multifaceted and complex practi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also offers new implications on how to support teacher community that learns, reflects, shares, and cooperates together as major a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novation in policy and practice.

      • KCI등재후보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공동체 연계 모델 개발

        서우석,정철영,정지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공동체 연계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유학기제 관련 교육공동체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교육공동체의 실태 및 국내·외 교육공동체 우수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공동체 연계 모델(안)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토대로 모델(안)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모델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공동체 연계 모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공동체 연계 모델은 중앙정부 차원, 시·도 교육청-광역지자체 차원, 교육지원청-기초지자체 차원, 단위학교 차원별로 협의기구인 ‘자유학기제협의회’와 실무추진기구인 ‘자유학기제추진단’으로 이원화한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공동체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자유학기제협의회’에서 협의 및 의사결정한 사항을 ‘자유학기제추진단’에서 계획하며 이를 실제로 추진하는 조직인 ‘실무센터’를 함께 제시하였다. 둘째, 각 교육공동체의 역할과 기능, 각 교육공동체 간의 연계 및 교육공동체들과 지역인프라의 연계, 교육공동체와 자유학기제 통합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포함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모델의 활용과 추후 연구를 위하여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to develop the integrated model of educational community for the free-semester.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literatures of education community and free-semester were investigated, and practice of research school of free-semester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in educational community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tegrated model of educational community for free-semester was developed and the model was validated through assessment by experts. Integrated model of educational community for free-semester proposed by this research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level, local education offices-local government level, office of education support-lower local government level, and school level. Each level of educational community consists of the council and working group for free-semester. In addition, center for free-semester, which is the agent for implementing the plan set by the working group, was also proposed. Role and func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ies, links among the educational communities, links among the local infrastructure, an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f free-semester and educational community integrated model were also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Model and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