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크기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의 예후를 고려한 조직학적 고찰

        신선혜 ( Sun Hye Shin ),나민아 ( Min Ah Na ),강양호 ( Yang Ho Kang ),손석만 ( Seok Man Son ),김인주 ( In Ju Kim ),김용기 ( Yong Ki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1

        목적: 예후와 연관되어 있는 갑상선 유두암의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종양의 크기 1.5 cm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고 크기가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의 치료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부산대학병원에서 갑상선 유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 받은 1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의 병력 기록지를 조사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병리조직학적 검체는 수술을 통해 얻어졌고 병리학자에 의해 기술되었다. 예후와 연관하여 중점적으로 조사한 병리 조직학적 특징은 진단 당시의 림프절 전이, 다발성, 갑상선외 침범, 양 엽의 침범이었다. 결과: 갑상선 유두암으로 수술한 환자는 총 178명으로 이 중 여자는 150명으로 84.3%이었으며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은 총 48명(27%)이었다.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1.5 cm 이하의 종양군과 1.5 cm 보다 큰 종양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림프절 전이는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43) 다발성, 갑상선외 침범, 양 엽의 침범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1.5 cm 이하의 작은 갑상선 유두암도 진단 당시 1/3에서 림프절 전이를 보이며 1.5 cm 보다 큰 갑상선 유두암과 비교하여 유사한 정도로 다발성, 양 엽의 침범, 갑상선외 침범이 발견되므로 일반적인 갑상선 유두암의 표준치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papillary microcarcinomas have a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do the larger tumors. However, some microcarcinomas may have a negative outcome. So, we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features of small (≤1.5 cm)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and we compared them with the larger (>1.5 cm) tumors. Methods: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0, 178 patients were diagnosed and operated on for their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reviewed the charts and pathologic records of these patients and we analyzed them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 tumor size 1.5cm, we divided the tumors into two groups and then compared the histological features. Results: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have a favorable outcome in most cases. However,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present with signs of aggressiveness at presentation, including lymph node metastases (33.3%), multifocality (12.5%), bilateral involvement (12.5%) and extrathyroidal extension (16.7%). Compared with larger tumors, the frequency of theses signs was similar, except for lymph node metastases, in the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Conclusions: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 small papillary thyroid cancer 1.5 cm and less in size had neck lymph node metastases at presentation and the signs of aggressiveness were similarly present as compared with the larger tumors. We suggested that the standard treatment is desirable as a therapeutic strategy of small papillary thyroid carcinoma.(Korean J Med 73:44-49, 2007)

      • KCI등재후보

        유두상 갑상선암 발생에 대한 내인성 스테로이드의 영향

        정웅윤,서진학,정봉철<SUP>1<.SUP>,박정수,Woung Youn Chung,Jin Hak Suh,Bong Chul Chung<SUP>1 <.SUP>and Cheong Soo Park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1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 No.2

        목적: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다양한 종양의 성장에 기여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여러 보고에서 외인성 안드로겐이 갑상선 호르몬과 갑상선 세포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으나, 갑상선 암에서의 안드로겐의 역할은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최근의 연구에서는 갑상선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존재에 관하여, 갑상선암의 에스트로겐 의존성의 가능성을 제안해왔으나,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율과 종양의 생물학적 양상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얻지는 못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갑상선 암에서의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두상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전과 수술후의 소변 견본과 정상여성의 소변 견본에서 안드로겐, 코티코이드(corticoid), 에스트로겐 호르몬 프로파일의 변화를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monitoring (GC/ MS/SIM) system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호르몬의 불균형 이나 산화대사가 갑상선 암과의 연관성이 있는지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관계 있는 호르몬 농도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전 측정된 11-DOKS/17-OHCS비가 17-OHCS 양의 감소로 인하여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Catechol 과 2-OH E1을 포함한 에스트로젠의 측정량이 다른 에스트로겐의 대사산물에 큰 변화 없이 수술전 유두상 갑상선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술전 16-OH E1/2-OH E1 비는 수술후 측정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부신피질 홀몬 결핍에 의한 안드로겐의 체내 변화는 유두상 갑상선암의 발생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에스트로겐 대사과정 중에 2-hydroxylation 과정의 증가는 유두상 갑상선암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orean J Endocrine Surg 2001;1:259-266)

      • KCI등재

        갑상선 암의 경부 절개와 내시경 갑상선절제술의 비교

        정현석 ( Hyeon Seok Jeoung ),곽금희 ( Geum Hee Gwak ),한세환 ( Se Hwan Han ),김영덕 ( Young Duk Kim ),김홍주 ( Hong Ju Kim ),김기환 ( Ki Whan Kim ),배병노 ( Byung Noe Bae ),양근호 ( Keun Ho Yang ),김홍용 ( Hong Yong Kim ),박성진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2

        목적: 내시경적 갑상선 수술은 양성 갑상선 질환뿐만 아니라 갑상선 암에서도 널리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갑상선 암의 내시경적 수술이 기존의 경부절개를 통한 갑상선 수술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유두상 갑상선 암으로 갑상선 전 절제술, 아전절제술, 혹은 엽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부 절개 갑상선 절제술과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의 단기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내시경 갑상선 절제 군은 22예, 경부절개 갑상선 절제 군은 79 예였다. 내시경적 갑상선 수술을 받았던 환자 군에서 나이가 40.1±09.1세 (25-57세)로 경부 절개 군의 51.1 ± 9.9세 (33-73세) 보다 적었고(p<0.00001) 종양의 크기도 0.64 ± 0.28 cm로 1.06±0.72 cm 보다 더 적었다(p<0.009). 수술시간은 내시경 군에서 231.8분으로 경부절개 군의 147.9보다 80분 정도 더 걸렸다(p<0.0001). 하지만 수술 후 입원기간이나 장액종, 제거 술이 필요할 정도로 증상을 야기한 혈종, 일시적인 저칼슘혈증, 영구적인 저칼슘혈증, 회귀 후두신경 손상, 식도 손상, 기도 손상 등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률은 경부 절개 군이나 내시경적 수술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결론: 내시경 갑상선 절제술은 최소한의 수술적 위험도로 크기가 적은 유두상 갑상선 암에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수술법이었다.

      • 측경부 낭성 종괴로 발현된 갑상선 유두상 미세암종

        이동욱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1

        갑상선암은 모든 악성종양의 약 1%를 차지하며 약 80%이상이 유두상 암종이다. 갑상선암 은 경부림프절 전이율이 높지만 매우 완만한 임상경과를 가지며, 경부림프절 전이가 환자의 이환율이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은 높지 않다. 유두상 미세암종(papillary microcarcinoma)는 WHO에서 유두상 갑상선 암과 같은 조직학 적 소견을 보이나 직경이 약 1cm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주로 부검이나 다른 갑상선 질환으로 절제된 갑상선의 병리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유두상 미세암종은 갑상선 호르몬으로 인한 증상이나 갑상선 부위에 만져지는 종물 없이 무증상으로 발현된 측경부 종괴를 주소로 환자들이 내원한다. 저자는 무증상의 측경부 낭성 종괴를 주소로 방문한 63세 남자환자에서 병리조직검사상 갑 상선 유두상 미세암종으로 판명되어 갑상선 전절제술(total thyroidectomy)을 시행하여 원발 부위를 발견하고 치료한 증례가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yroid cancer is known to represent 1 percent of all malignancies. It may run an indolent course over many years and has a variable prognosis,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Papillary microcarcinoma are a specific subgroup of papillary thyroid cancer. Papillary microcarcinoma is defin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s a tumour focus of 1.0 cm or less in diameter. These tumours are a common incidental finding at autopsy and in thyroid glands excised for other pathology. The presence of cervical node metastasis is a well recognized presentation of papillary microcarcinoma without palpable mass in thyroid glands. I report a case of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yroid gland with contralateral solitary cystic metastatic neck mass.

      • KCI등재후보

        예후결정인자를 고려한 갑상선 미소암(微小癌)의 임상상

        이준호 ( Jun Ho Lee ),이시훈 ( Si Hoon Lee ),이유미 ( Yu Mie Rhee ),안철우 ( Chul Woo Ahn ),차봉수 ( Bong Soo Cha ),김경래 ( Kyung Rae Kim ),이현철 ( Hyun Chul Lee ),김승일 ( Seung Il Kim ),박정수 ( Cheong Soo Park ),임승길 ( Sung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5

        목적 : 갑상선 초음파 검사와 미세침흡인세포검사가 널리 시행되면서 갑상선 미소암의 빈도가 많이 증가하였다. 갑상선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환자의 성별, 진단 당시의 연령, 종양의 다발성이나 양측성, 주위 조직으로의 침범 유무, 임파선 침범 유무, 원격전이 유무가 중요한 것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한편 최근 TNM 병기 기준이 갱신되면서 임파선의 전이 정도가 강조되었다. 이에 갑상선 미소암의 경우 이런 예후인자들이 나타나는 양상과 새로운 병기 기준을 적용해 보았을 때의 병기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갑상선 미소암으로 수술을 한 3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기록을 포함한 임상 기록을 조사하여 보았다. 특히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갑상선암의 예후결정인자가 나타나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미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와 수술 후 조직병리검사 결과를 포함시켜 조사하였다. 결과 : 갑상선암으로 수술한 환자 601명 중 미소암은 302명(50.2%)이었고, 그 중 여자가 275명(91.1%)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종양의 수가 2개 이상인 다발성으로 보인 경우는 80명(26.5%)이었고, 양측성인 경우는 50명(16.6%)이었다. 조직 형태는 300건이 유두암으로 거의 전부를 차지하였고, 여포암과 수질암은 각각 1건 뿐이었다. 주위 조직으로 침입을 한 경우가 85명(28.1%)이었고, 임파선을 침범한 경우가 91명(30.1%)이었지만,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는 없었다. 새로운 병기 기준의 적용으로 제 3 병기에서 제 IVA 병기로 바뀐 경우가 7명(2.3%), 제 3 병기 그대로인 경우가 65명(21.5%)이었다. 결론 : 갑상선암은 미소암이라도 불량한 예후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높은 병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으므로 수술요법, 방사성요오드 치료 및 갑상선호르몬 억제요법 등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incidence of thyroid microcarcinoma is increasing due to the more frequent use and improvement of ultrasonography an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There are several prognostic factors for thyroid carcinomas. The patient`s sex, age at diagnosis, muliplicity or bilaterality of tumor masses, extrathyroidal extensions, lymph node metastasis, and presence of distant metastases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ince the recent update of the TNM (Tumor, Node, Metastasis) staging system, the importance of lymph node metastasis is increased. There are, however, a paucity of studies on thyroid microcarcinoma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cords of 302 patients diagnosed with, and treated for, thyroid microcarcinomas from January through December 2004. Results : 302 (50.2%) out of the 601 cases of thyroid cancers were microcarcinomas. Women comprised 275 (91.1%) of these cases. Eighty cases (26.5%) contained multiple tumor masses (>2), and 50 (16.6%) cases exhibited bilaterality. Evaluation of the histology revealed that nearly all of the cases (300 of 302) were of the papillary type. There was only one case each of the follicular and medullary histological type. There were 85 (28.1%) cases of extrathyroidal extensions, and 91 cases (30.1%) of lymph node metastasis, but no cases of distant metastases. Conclusions : Thyroid microcarcinomas have bad prognostic factors and appear to exist at relatively higher cancer stag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reat them as early and as vigorously as possible with extensive surgery, radioactive iodine therapy, and thyroxine suppression.(Korean J Med 69:503-509, 2005)

      • KCI등재

        초음파영상에서 갑상선 결절의 컴퓨터자동진단을 위한 Texture Features 알고리즘 응용

        고성진(Seong-Jin Ko),이진수(Jin-Soo Lee),예수영(Soo-Young Ye),김창수(Chang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초음파영상은 갑상선 질병에서 결절성 갑상선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로서 결절의 위치, 크기, 개수, 내부 에코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암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결절을 선별하며, 세침흡인 검사 시 정확한 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갑상선 결절 중 악성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5% 미만이지만 초음파에서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병리학적으로 갑상선 유두암으로 진단된 증례를 실험 대상으로 하며, 영역을 묘사하는 알고리즘으로 그 질감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질감특징 분석(TFA)를 적용하여 컴퓨터자 동진단의 검출 효율을 실험하였다. 초음파영상에서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50x50 픽셀 크기, 히스토그램 평활화로 전처리하여 실험영상을 획득하였다. 전체영상 70증례에서 갑상선 유두암의 영상 35증례를 테스트 영상으로 하고, 고유영상 생성의 정상영상 35증례를 학습영상으로 실험하였다. 질감특징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결과 GLavg, SKEW, UN, ENT 4개 파라미터의 질병 검출 효율이 91∼100%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갑상선 결절 질병을 감별하는 컴퓨터자동진단의 응용을 나타내며, 갑상선 질병의 감별진단에 전처리 자동진단 가능성을 나타낸다. 향후 추가적인 관련 알고리즘의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갑상선 질병의 컴퓨터자동진단의 실용화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고, 다양한 초음파영상의 질병에 대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yroid nodular disease i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hyroid disease. Thyroid ultrasonography offers location of nodules, size, the number, information of internal echo characteristic. Thus, it makes possible to sort high-risk nodule containing high possibility about thyroid cancer and to induct precisely when take a Fine Needle Biopsy Aspiration. On thyroid nodule, the case which is diagnosed as malignant is less than 5% but screening test is very important on ultrasound and also must be reduced unnecessary procedure. Therefore, in this study an approach for describing a region is to quantity its texture content. We applied TFA algorithm on case which has been pathologically diagnosed as papillary thyroid cancer. we obtained experiment image which set the ROI on ultrasound and cut the 50x50 pixel size, histogram equalization. Consequently, Disease recognition detection efficiency of GLavg, SKEW, UN, ENT parameter were high as 91∼100%. It is suggestion about possibility on CAD which distinguishes thyroid nodule.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to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nodule. If the study on additional parameter algorithm is continuously progressed from now on, it is able to arrange practical base on CAD and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disease in the thyroid US.

      • KCI등재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진단한 국소 전이된 갑상선 유두암 1예

        강효승,박상현,김대진,원태식,조상진,이태웅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6

        Papillary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of the thyroid gland, and it only infrequently invades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When such invasion does occur, it is a source of significant morbidity as well as mortality. Although most thyroid tumors first clinically manifest as a neck mass,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patients whose initial compliant was a disturbance of the aerodigestive tract. The patient in our present study had no significant past medical history, and esophagoscopy and biopsy revealed papillary adenocarcinoma. We report here on a case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that was diagnosed by esophagoscopic biopsy. 갑상선 유두암은 국소 침범을 잘하지 않고 예후가 매우 좋은 암이지만, 기관이나 식도 등으로 국소 침범을 하게 되면 사망률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갑상선 암의 첫 증상은 대부분 목의 종괴로 나타나며, 드물게 호흡기나 소화기 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갑상선 질환에 대한 과거력이 없는,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식도 내강으로 돌출한 종괴가 있었으며, 그 조직 검사에서 갑상선 유두암을 진단하였다. 저자들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 조직검사로 갑상선 유두암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갑상선 유두암의 크기에 따른 초음파 특징 분류

        박소영(So-Yung Park),김연민(Yun-Min Kim),이현복(Hyun-Bok Lee),조남수(Nam-Soo Cho),윤준(Joon Yoo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3 방사선기술과학 Vol.36 No.2

        대한갑상선학회는 0.5 cm 보다 큰 경우에만 미세침흡인술을 권고하고 있으나, 본원에서는 0.5 cm 이하의 결절에서도 갑상선 유두암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의학센터에서 미세침흡인술을 시행하여 갑상선 유두암으로 확진된 결절을 토대로 크기에 따른 초음파 특징을 분류해 보고자 한다. 결절의 크기를 장경 0.5cm 이하, 0.5∼1 cm, 1 cm 보다 큰 결절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에서의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288개의 악성결절 중 0.5 cm 이하 크기는 21.5 % (62/288), 0.5∼1 cm 54.9 %(158/288), 1 cm 보다 큰 결절은 23.6 % (68/288)로 나타났다. 앞뒤가 긴모양의 특징은 0.5 cm 이하 그룹 90.3% (56/62), 1 cm 보다 큰 그룹 48.5 % (33/68)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0.5 cm 이하 그룹에서 well defined smooth 결절은 1예도 없었으며, 침상(spiculated) 혹은 불규칙한 경계는 크기가 클수록 빈도가 증가하였다(p=0.024). 내부에코는 0.5 cm 이하 그룹에서 고에코(hyperechogenicity)와 동에코(isoechogenicity)의 결절은 1예도 없었으며, 각 그룹별로 현저한 저에코(marked hypoechogenicity)보다 저에코(hypoechogenicity)가 많았다(p=0.034). 미세 혹은 거대석회화는 0.5 cm 이하에서 77.4 % (48/62)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0.5 cm 이하 그룹부터 21.0 % (13/62), 48.1 % (76/158), 64.7 % (44/68)로 결절 크기가 증가할수록 관찰빈도가 증가하였다(p<0.001). 초음파에서 0.5 cm 이하의 결절은 앞뒤가 긴 모양과 침상 혹은 불규칙한 경계, 불분명한 경계를 보였고, 저에코 혹은 현저한 저에코가 많았다. 그러나 미세 혹은 거대석회화는 없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따라서 0.5 cm 이하의 작은 크기의 결절에서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적 특징은 미세침흡인술이나 추적검사에 대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Korean Thyroid Association recommends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for nodules more than 0.5 cm in diameter. But nodules, smaller than 0.5 cm have been found in papillary carcinomas of the thyroid (PTC)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SMC. We wanted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according to size of nodule in proven PTCs by FNAB, especially less than 0.5 cm. All nodu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longest diameter : less than 0.5 cm, more than 0.5 cm but less than 1 cm, and more than 1 cm. Sonographic findings suggesting malignanc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size groups. Of 288 malignant nodules, 21.5 % (62/288) were less than 0.5 cm , 54.9 % (158/288) were more than 0.5 cm but less than 1 cm, 23.6 % (68/288) exceeded 1 cm. A taller-than-wide shape was observed in 90.3 % (56/62) of nodules less than 0.5 cm, and 48.5 % (33/68) of nodules exceeding 1 cm (p<0.001). There were no well-defined smooth nodules among nodules less than 0.5 cm, and spiculated or irregular margin nodules increased as the size increased (p=0.024). Nodules of size less than 0.5 cm did not showed hyper or isoechogenicity. Hypoechogenicity was greater than the marked hypoechogenicity in each group (p=0.034). Micro- or macro-calcifications were not founded in 77.4 % (48/62) of the nodule group sized less than 0.5 cm. From the small size of the group, micro- or macrocalcifications were observed 21.0 % (13/62), 48.1 % (76/158), 64.7 % (44/68), so the number of nodules containing micro- or macro-calcification increased as size increased (p<0.001). PTCs less than 0.5 cm in size on ultrasonography had taller than-wide shape, spiculated or irregular and ill-defined margins, and exhibited hypo and markedly hypoechogenicity, but microor macro-calcifications were not common. These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nodules less than 0.5 cm can be useful in reporting and guiding FNABs or follow-up exams.

      • KCI등재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미세유두암을 동반한 이소성갑상선유두암 1예

        한원규,오경호,권순영 대한갑상선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Vol.13 No.2

        Ectopic thyroid is known to be a very rare disease. Its prevalence is 1 in 100,000-300,000, and it is the mostcommon form of thyroid dysgenesis.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primary thyroid cancer arising from ectopicthyroid tissue is rare. A 41-year-old male patient with mass in the anterior of the neck was admitted to ourdepartment of Otolaryngology. A surgical excision of the neck mass was carried out and the histopathologyreveal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Total thyroidectomy and bilateral central neck dissection were then performedafter 3 months from previous operation. As a result of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fter surgery, we incidentallyidentified papillary microcarcinoma in the right thyroid lobe. We report a case of ectopic thyroid papillarycarcinoma with incidental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wit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증례 : 내분비-대사 ; 융모 상피성 종양을 진단받은 환자에서 발병한 갑상선 유두암 1예

        김재현 ( Jae Hyun Kim ),김송이 ( Song Yi Kim ),이미영 ( Mi Young Lee ),신장열 ( Jang Yel Shin ),신영구 ( Young Goo Shin ),정춘희 ( Choon Hee Chung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4

        갑상선 암은 가장 흔한 내분비암 중 하나이다. 갑상선은 성호르몬과 β-HCG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β-HCG가 증가되는 임신시나 융모 상피성 질환에서 갑상선 질환의 발생이 촉진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융모 상피성 종양 환자에서 갑상선 암이 동반된 경우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는 융모 상피성 종양 환자에서 갑상선 유두암이 동반된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hyroid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endocrine malignancies. It is known that thyroid cancer can develop during reproductive periods, possibly due to the effects of sex hormones and growth factors such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Some data suggest that elevated HCG levels during pregnancy or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can stimulate thyroid cellular proliferation and promote cancer formation; however, a case of papillary thyroid cancer accompanied by a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has not been reported.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44-year-old woman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during treatment for a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Korean J Med 2011;80:464-46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