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호현시 순서와 통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지체도 분석

        김수지,이주영,권영민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3

        This study compared the delays of scramble crosswalks and general crosswalks, considering the pedestrian and vehicle traffic at intersections. Based on the signal theory, this study used traffic delays as a measure of feasibility of installing scramble crosswalks. The road structure and length of signal lights were assumed to be specific numbers to calculate the delays in vehicles and pedestrians. With the computed delays, this study compared general crosswalks and scramble crosswalks, and evaluated the feasibility sections on the installation of scramble crosswalks using circular and non-circular signal phases, respectivel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scramble crosswalks might be more appropriate when the traffic ratio on the main roads is high.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non-circular signal phases is more proper for the operation of scramble crosswalks than circular signal phases. In the non-circular signaling system, however, it was shown that diagonal crosswalks might not be practical if the demand for diagonal crossing is too low.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asic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installment feasibility of scramble crosswalks in terms of traffic operation and efficiency. 본 연구는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 구축을 목표로 교차로의 보행량 및 차량 교통량을 고려하여 대각선 횡단보도와 일반 횡단보도의 지체도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도로구조와 신호현시를 가정하고 신호이론에 근거하여 지체도를 시간단위로 계산하였으며, 이때 차량 통행의 지체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지체시간을 고려하였다. 산출한 지체도를이용하여 일반 횡단보도 교차로와 대각선 횡단보도 교차로를 비교하고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적정구간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교차로의 신호현시를 순환식과 비순환식으로 나누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주도로의 차량 통행비율이 높은 경우에대각선 횡단보도의 도입이 일반 횡단보도의 운영보다 적절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대각선 횡단보도의 운영을 위해서는 순환식 신호현시보다 비순환식 신호현시의 적용이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순환식 신호현시의 적용에서도 대각 횡단의 수요가 너무적은 경우에는 대각선 횡단보도 적용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가능성 판단을 위해 신호현시순서와 교통량에 따른 지체도 비교분석연구로써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기준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도로기능별 횡단보도 적정 설치간격 기준 연구

        조준한,오동희 대한교통학회 2023 대한교통학회지 Vol.41 No.6

        The standards for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in Korea follow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Road Traffic Act, and apply a uniform standard of 100m or 200m from overpasses, underpasses, and other crosswalks, excluding protection zones for mobility handicapped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mong these, it was confirmed through accident statistics that the crosswalk installations interval is an important factor in relation to the mobility and safety of pedestrians on local roads. This study determined that crosswalk clearance and pedestrian jaywalking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crosswalk clearance and pedestrian jaywalking accidents was examined, and standards for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considering road traffic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Through a survey of areas with frequent jaywalking acci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osswalk clearance and pedestrian jaywalking accidents was identified, and the appropriate pedestrian detour distance was calculated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s to derive pedestrian traff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results, the final standard for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was prepared by using the number of lanes by two-way, speed limit, and vehicle traffic volume as variables for determining appropriate standards. The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 was subdivided into 50-200m, and the standards were flexible, allowing autonomous appl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environment. If the standards for appropriate crosswalk installation intervals presented in the study are supported by road facilities, signal operation, and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we can expect to improve safety against traffic accidents while crossing pedestrians that occur in places other than crosswalks in the future. 우리나라 횡단보도 설치간격 기준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을 따르며, 교통약자 보호구역(어린이, 노인, 장애인)을 제외하고 육교, 지하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100m 또는 200m로 일괄적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사고통계자료를 통해 이면도로에서 보행자의 이동성과 안전성과 관련하여 횡단보도 설치간격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횡단보도 이격거리와 보행자 무단횡단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횡단보도 이격거리와 보행자 무단횡단 사고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도로교통특성을 고려한 횡단보도 설치간격 기준을 제시하였다. 무단횡단 교통사고 다발구역 실태조사를 통해 횡단보도 이격거리와 보행자 무단횡단 사고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였으며, 보행자 통행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이론적 방법, 경험적 방법 등을 근거로 보행자 적정 우회거리를 산출하였다. 기존 문헌과 공학적 이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적정기준 판단변수를 고려하였으며, 최종 판단변수로 왕복 차로수, 제한속도, 차량 교통량을 활용하여 최종 설치간격 기준을 마련하였다. 횡단보도 설치간격을 50-200m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고, 교통환경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기준에 유연성을 두었다. 연구에서 제시하는 적정 횡단보도 설치간격 기준과 더불어 도로시설, 신호운영, 법·제도 측면이 함께 뒷받침된다면, 향후 횡단보도가 아닌 곳에서 발생하는 보행자 횡단중 교통사고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도시부 횡단보도 제원 산정에 관한 연구 - 폭과 정지선을 중심으로 -

        김윤미,박제진,권성대,하태준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5

        Recently, with a high level of economic growth, rapid urbanization, population, environment and housing problems were accompanied in Korea. In particular, the traffic problem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As the current transportation policy has been carried out, concentrating on traffic flow, in 2015, death rate for pedestrians while walking (1,795 persons) is 38.8% compared to entire death rate in car accident (4,621 persons), so there is need to solve it. Although, crosswalk should make pedestrian cross it safely, it has beenmade on the basis of the width of road without exact standard for current width of the crosswalk and the location of stop line. Moreover, in the area around many campuses or commercial facilities, crosswalks are set with not considering pedestrian passage, but designed uniform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reasonable dimension of crosswalk considering pedestrian traffic and walking speed and it makes the accident rate lower in the crosswalk, which has a lot of problems including decisions of vehicle traffic signal time, lack of pedestrian's signal timing, pedestrian's crossing of long-distance. The following are the thodology of the study. Firstly, for crosswalk calculation of specifications, examination relating existing regulations and researches dealing with crosswalk, pedestrians and stop line is needed. After analyzing problems of current width of crosswalk and stop line, present the methodology to calculation of specifications and basing on these things, calculation of specifications for crosswalk will be decided. In conclusion, the calculation of spec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op line for crosswalk laid out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e data in case of establishing relevant safety facilities and standards. 최근 우리나라는 고도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인구, 환경, 주택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특히 교통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의 교통정책 방향은 차량소통 중심으로 시행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 관점이 아닌 보행자 관점의 교통정책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2015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수(4,621명) 대비 보행 중 사망자수(1,795명) 비율은 38.8%로 보행자 교통사고 해결 방안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행 횡단보도의 폭원 산정 및 정지선 설치위치에 대한 명확한 기준 없이 도로의 폭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보행량이 많은 대학교나 상업시설 주변 지역은 횡단보도 설계 시 보행자 통행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고 있는 실정이다. 횡단보도 녹색시간 동안 수용할 수 있는 보행자 통행량보다 실제 통행량이 많을 경우, 대기 보행자가 주어진 녹색시간 동안 횡단하지 못하거나 주어진 횡단보도 면적을 벗어난 상태로 무리하게 횡단하여 교통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소통 위주의 신호시간 결정, 보행 신호시간 부족, 대로 상에서의 보행자 횡단거리 등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횡단보도 내 보행자 사고율을 낮추고자 보행자 통행량과 보행속도를 고려한 횡단보도 제원을 산정하고자 한다. 먼저 횡단보도 제원 산정을 위해 횡단보도, 보행자, 정지선에 관한 법규와 기존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기존 횡단보도 제원과 정지선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횡단보도 제원 산정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횡단보도 제원을 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횡단보도 제원 및 정지선 개선방안은 해당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및 기준 정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보행자 통행안전성을 고려한 회전교차로의 고원식횡단보도 설치기준 연구

        임창식,최양원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6

        In order to calculate the optimum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that are installed continuously in succession, this study examined the speed of a vehicle that passes different intervals between speed humps and hump type crosswalks from the approach section of a roundabout having a maximum speed limit of 30km/h; analyzed the effects of speed humps and hump type crosswalks installed continuously in succession on vehicle driving speed; and simulated the optimum installation height of hump type crosswalk.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interval between a speed humpand hump type crosswalk,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traffic calming techniques for reducing vehicle speed, to control vehicle speed under 30km/h is 30m.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celeration of a vehicle that pass hump type crosswalks, it was found that if the installation interval is 65 m and above,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had no effec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maximum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for controlling vehicle speed within a fixed road section should not exceed 65m. Thir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ptimum installation height of hump type crosswalk is 6-8cm in case vehicle speed at the approach section is 20km/h or lower, 8-10cm in case of 30km/h, and 10cm in case of 30km/h or higher, respectively. Fourth, even at a road section on which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are installed, speed reduction effects may sometimes be insignificant due to a driver's studying effect, traffic conditions and so on. Thus, it is judged that speed reduction effects will be greater if several traffic calming techniques such as speed hump, chicane, and choker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case of applyingtraffic calming technique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vehicle speed in order to promote pedestrian safety, the composite application of several technique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에서는 과속방지턱과 연속으로 설치된 고원식횡단보도의 적정 설치간격을 산정하기 위하여 최고속도제한이 30km/h로 운영되는 회전교차로의 접근부에서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 간 서로 다른 간격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조사하여 연속으로 설치된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가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고원식횡단보도의 적정 설치높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는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대표적인 교통정온화 기법으로 차량의 속도를 30km/h 이하로 제어하기 위한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의 적정 간격은 30m로 나타났다. 둘째, 고원식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의 감속도를 비교한 결과 설치 간격이 65m 이상인 경우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차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과속방지 턱과 고원식횡단보도의 최대설치 간격은 65m 이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고원식횡단보도의 설치높이는 차량의 접근부 속도가20km/h 이하일 때 6~8cm, 30km/h일 때 8~10cm, 30km/h 이상일 때 10cm의 설치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가 설치된 구간이어도 운전자의 학습효과, 교통상황 등에 의하여 속도감소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있으므로 과속방지턱, 시케인, 초커 등 여러 가지 교통정온화 기법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속도감소 효과가 더 클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교통정온화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여러 가지 기법의 복합 적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통량과 보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기준 정립 방안 연구

        남찬우,고승영,조신형 한국ITS학회 201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8 No.6

        Nowadays, interest in safety of pedestrians who are relatively weak when compared with vehicles increases. Also, concern for pedestrian accidents on crosswalks increases. For these reasons, scrambled crosswalks which are considered to contribute pedestrian safety by reducing conflicts between vehicles and pedestrians are actively discussed and there are also a few intersections where they are actually installed. However, scrambled crosswalks must include all-red phase for all vehicle traffic flows, which inevitably leads to increase of lost time per cycle. Therefore, evaluation in terms of efficiency should be done before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This research suggests installation criteria for scrambled crosswalks so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is appropriate only by surveying vehicle traffic volume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This research derives optimum cycle length from signal optimization models which considers both vehicle traffic volume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From this optimum cycle length, this research compares total delay time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From an analysis, two research results are derived. Firstly, there is critical traffic volume above which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can not efficient. Secondly, appropriate areas for installation of scrambled crosswalks are different by each signal intersection or by each signal system and those difference vary. From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installation criteria for scrambled crosswalks which consists of two steps. The delay time of the pedestrians may be increased after the diagonal crosswalk is installed, but it may be desirable to install in consideration of the appropriate traffic level to ensure safety. 최근에 교통사고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나 상대적으로 심각도가 높은 보행자 사고에 대한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횡단보도 상의 보행자 사고에 대한 개선을 위해 차량과 보행자의 상충을 줄여 안전한 보행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대각선 횡단보도가 설치되고 있다.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에 앞서 효율성 측면에서의 평가와 설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통량과 보행량 조사만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교통량과 보행량을 모두 고려한 신호 최적화 모형을 통하여 최적 주기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 총 지체시간을 비교한다. 최적주기를 산출한 결과, 크게 두가지 연구의 함의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에 있어 비효율을 초래할 수있는 차량 교통량 기준점이 존재한다. 또한, 신호 시스템별, 교차로 유형별 적정 설치 용량이다르기 때문에 설치를 고려하는 횡단보도의 교통량 수준에 따른 적절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검증하였다.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한 후 보행자의 지연시간이 증대될 수 있으나,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적정 교통량 수준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부가로 이단 횡단보도 교통섬 설치 준거에 관한 연구 - 보행자 안전과 서비스수준을 중심으로 -

        심관보,김중효,박경우,하동익 한국ITS학회 201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2 No.6

        단횡단보도는 보행자가 도로를 두 번에 나누어 횡단하게 하는 횡단보도로 이는 보행대기 시간 을 단축할 수 있고 주방향 녹색시간 비율을 증가시켜 신호주기감소 및 차량지체 감소에 효과 적이다. 또한 보행자의 횡단거리 감소와 교통섬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보행자의 안전 측면에서 도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하구조와 보행자의 행동패턴들을 고려한 보행섬의 폭과 길이 등 단일로 상의 이단횡단보도의 설치 준거를 마련하고, 이단횡단보도와 기본형 횡단보도 의 사고율을 비교 분석하여 보행자 교통안전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단횡단보도 의 1억대 km당 사고율은 18.3으로 기본횡단보도 사고율 28.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고발생위치 및 유형분석을 통해 이단횡단보도의 위험지역이 횡단 시작 지점 임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행자 안전지대(여유공간)설치 준거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단횡단보도의 설치준거는 4차로이상 도로에 설치하며 설치시 보행섬의 폭은 유 효 보도폭 2.0m 이상이 되도록 차로폭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행섬의 최소길이는 횡단 보도폭의 2배 길이, 최대길이는 보행자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보행자 안전 과 이용측면에서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On the Staggered Crosswalks, pedestrians cross the crosswalks two times. This method can reduce the cycle, the vehicle delay and the walking distance by increasing the major direction of green time. The safety of pedestrians is also effective. This study suggests the warrant of the facilities of island width and length etc. by considering the road structure and pedestrian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standard of the safety through the accident analysis of Staggered crosswalks and General Crosswalks. In the results, accident rate of the Staggered Crosswalks 18.3(100 million vehicle-km) was lower than the accident rate of the General Crosswalks 28.3(100million vehicle-km). By understanding the start point of crossing of the Staggered Crosswalks,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and types of accident suggests the safety zone(spare space). The setting warrants of Staggered Crosswalks are 4 lane over the road and the 2 meter over sidewalk width of island. The minimum length of the Pedestrian island was doubled compared to the crosswalks width. And the maximum length was set by considering the wait time of the pedestrians.

      • KCI등재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를고려한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기준 연구

        이수범,강태욱,강동수,김장욱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2

        현재 국내의 횡단보도 설치 관련 기준은 육교․지하차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200m 이내는 중복설치를 금하고 있다. 만약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지방경찰청장이 타당성을 검토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횡단보도의 설치형태와 세부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 배치형태(접근부, 유출부)에 따른 각각의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고건수와 사고심각도를 종속변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을 독립변수로 하는 포아송 회귀모형식을 개발하였다. 유출부 모형의 경우 연간 교통사고 심각도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고, 접근부 모형의 경우는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지만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는 음(-)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는 횡단보도 접근형과 유출형의 혼합형인 횡단보도의 경우는 이격거리 65m일 때 최적의 배치형태로 분석되었으며, 유출부와 접근부 사고 모형식을 통해서 얻은 최적 이격거리가 60m~70m로 나타났다. The national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crosswalks prohibits installation of crosswalks within 200 meters of nearby overpasses, underpasses, or crosswalks. In case the exceptional installation is required, the feasibility study is to be thoroughly conducted by the local police agency. However,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specific installation standards for optimal types and locations of crosswalks are not yet to be established.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pplicable to different types and locations of bus stops(type A and type B) at mid-block intersections. Furthermore, it develops the poisson regression model which set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 severity”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using “traffic volumes”, “pedestrian traffic volumes” and “the distance between crosswalks and bus stops” as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pplicable to the type A bus stop location,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increases relative to the number of traffic volumes, the number of pedestrian traffic volumes, and the distance between crosswalks and bus stops. In case of the type B bus stop model, the further the bus stop is from crosswalk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decreases while it increases when traffic volumes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s increas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tate that the bus stop design which minimizes the traffic accidents is the type C design, which is the one in combination of type A and type B, and the optimal distance is found to be 65 meters. In case of the type A design and the type B design, the optimal distances are found to be within range 60~70meters.

      • KCI등재

        지방지역 도로 횡단보도 조명 개선 방안

        이석기(Suk-Ki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지방부 도로는 도시부 도로에 비하여 교통량은 적은 편이나 주행속도가 높으며 그 차이가 도시부 도로에 비하여 큰 편이다. 이러한 지방부 도로의 주행 특성은 연속조명이 없는 구간에서의 시거불량, 불필요한 신호 대기로 인한 운전자 인내심 자극 및 신호 위반을 조장하여 보행자 사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횡단보도만 밝게 비추는 기존 조명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방법과 기술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 횡단보도 조명의 문제점 및 한계는 너무 밝고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글레어(Glare)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 및 조명에 의한 통행이 방해되고 있다. 또한 지방지역 횡단보도 야간 교통사고는 주로 50~70세의 고령자에게 발생하였으며 자동차 진입 방향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보행자 이동시 사망자 수가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하여 약 2.3배 높았다. 그 이유는 자동차 전조등 조사 범위의 한계로 인하여 보행자 인식 불능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횡단보도 보행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횡단보도 조명설치 현황 및 문제점과 이용자 서면 설문을 통한 횡단보도 조명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보행자 안전을 위한 최적조명 방향을 설정하였다. 운전자 및 보행자에 대하여 서면 설문을 한 결과, 횡단보도 조명 설치로 인한 야간 시환경 개선일 필요하며 횡단보도 및 보행자 대기 공간까지 비추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너무 밝지 않고 횡단보도뿐만 아니라 보행자 대기 공간까지 비춰지는 조명환경 구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While rural highways carry on lower traffic volumes, the deviations of running speeds between vehicles appear to be higher on rural highways than urban highways. The speed characteristic of rural highways is adding to pedestrian-related accidents which occur on a crosswalk with poor sight distance due to the limits of car headlights and lighting. Specially, the aged was mostly occupied in nighttime-related accidents on crosswalks, and pedestrians crossing on the far side of approaching vehicles appear to have the probability of fatality higher than the near side. An alternative is needed to resolve the compounded accidents, and then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approach to an optimum lighting environment on a crosswalk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survey and a field study on the lighting of existing crosswalks. The field study shows that the existing lighting has the problem of wasting energy and impeding walking due to glare. The survey shows that nighttime sight distance on a crosswalk is required to improve and that road users prefer to be brighter pedestrian waiting space together with the crosswalk. Thus, a lighting environment that is not too bright and illuminates the crosswalk and the pedestrian waiting space is needed to implement.

      • KCI등재

        VISSIM분석을 통한 회전교차로 인접 신호횡단보도의 최소이격거리 산정

        김영범,이동민,전진우,조한선 대한교통학회 2015 大韓交通學會誌 Vol.33 No.4

        Since the application of roundabouts by 2010 have been started, more than 350 roundabouts were installed in Korea. Recently the types of constructed roundabouts become various, and the intersection conditions for installing roundabouts were also variou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to install roundabouts around school zone due to safety problems. In this study, appropriate distance from adjacent signal crosswalks to roundabouts were estimated for securing pedestrian safety and operation efficiency around school zone. With the analyses, the minimum distance standard was suggested to obtain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roundabout according to traffic volume, traffic flow, pedestrian green time and secures pedestrian safety and convenience. In this paper, average delay of roundabout as various length of distances between an adjacent crosswalk and a roundabout as different pedestrian signal times, traffic volumes, traffic flow rates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bout four times of delay in a roundabout was generated if there was adjacent signal crosswalk. However if there is enough distance between an adjacent crosswalk and a roundabout, the value of increasing delay on roundabouts with adjacent a signalized crosswalk can be considerably reduced. Critical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a roundabout and a signal crosswalk in case of roundabouts within 200-500 vehicle/hour/lane entry traffic flow, 20-40% of left turn traffic, and over 15 seconds pedestrian green time was about 50 meters. In conclusion, if there is minimum 40 meter distance from roundabouts, adjacent signal crosswalks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for students’ safety around school zone. 교통문화 선진화 사업의 일환으로 2010년 회전교차로건설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약 350개 이상의 회전교차로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회전교차로 설치에 따른 효과가 검증됨에 따라 도시부 도로 뿐만 아니라 일반국도 등의 지역 간선도로로 확대되어 설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 설치를 추진되고 있는 교차로 조건이 점점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조건들을 검토를 하기 위해 수행되었는데, 특히 어린이보호구역 등에 설치된 신호횡단보도의 영향을 분석하고, 회전교차로와 인접한 신호횡단보도 설치를 위한 최고 거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안전한 도로환경을 위한 어린이 보호구역 같은 지역에서 회전교차로를 설치할 경우, 인접 신호횡단보도의 설치를 통해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회전교차로의 운영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이격거리를 산정해야 한다.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이용하여 어린이보호구역 내 회전교차로 설치 시 인접한 신호횡단보도의 이격거리에 따른 평균지체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회전교차로 인접 신호횡단보도 설치 시 교통량, 방향별 교통량비율, 보행녹색시간 별 회전교차로의 운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 이격거리 기준을 제시하였다. 각 조건별로 일정 이격거리 이후부터는 어린이보호구역 같은 지역에서 신호횡단보도를 설치하여도 기존에 회전교차로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진입교통량이 200-500대/시 이하, 좌회전 비율이 20-40%, 보행신호시간이 15초 이상인 경우 평균적으로 50m의 최소이격거리가 필요한 것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회전교차로 인접 신호횡단보도 이격거리 산정결과는 어린이보호구역과 인접한 도로에서 최소 40m이상의 이격거리를 고려한다면 회전교차로의 설치 가능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컴퓨터 비전 기반의 횡단보도 내 차량-보행자 간 잠재적 충돌 위험 인식 방법 및 분석에 관한 연구

        노병준,조햬찬,이헤진,가동호,여화수 대한교통학회 2023 대한교통학회지 Vol.41 No.1

        Most of the traffic accidents involving vulnerable pedestrians occur on crosswalks. To reduce the collision risk between vehicles and pedestrians, we need to identify the risky situations and find the factors affecting it. We propose a method identifying the potential collision risks of vehicle-pedestrian interactions near crosswalks by applying computer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on videos. First, we employ a mask R-CNN model and transformation matrix in OpenCV to recognize the precise positions of the road users (e.g. vehicle and pedestrian) in orthogonal view. Next, we track their trajectories using the modified Kalman filter method. After extracting their interactions from trajectories of road users, we analyze their potential collision risks near crosswalks. In our experiments, we collected the video footage from 9 cameras in Osan City, tracked road users in videos, and analyzed the potential collision risks between them. On this video, the accuracy of road user detection was about 90% for both the vehicles and pedestrians when the distance tolerance is 50cm. For the tracking accuracy, our modified Kalman filter outperformed the threshold and minimum distance method by 3%. In analysis part, we elicited the valuable information that the vehicle speed is high on a wide road without a speed camera and the pedestrian safety margin is small on unsignalized crosswalks. We further observed that around 50% of cars do not stop before crosswalk when pedestrians cross the un-signalized crosswalk without having special warning signs such as red urethane road pavement and school zone marking on road. 보행자는 도로상에서 가장 위험에 자주 노출되는 도로 이용자 중 하나로써, 횡단보도와 같은 차량과 공간을 공유하는 영역에서 그 위험도가 높게 발생한다. 따라서, 횡단보도에서의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을 줄이기 위한 연구는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위에 기설치된 카메라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횡단보도 영역 내 차량과 보행자의 잠재적 충돌 위험 상황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영상 내 객체 탐지에서 위치 탐지에는 mask R-CNN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시점변환행렬을 활용하여 일반적으로 비스듬하게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탑 뷰(top-view) 시점으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객체의 추적(tracking)에는 칼만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추적방법론을 활용한다. 이처럼 획득된 객체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과 보행자의 행동 특징을 추정한 후, 이러한 정보를 분석하여 횡단보도 근처에서의 잠재적 위험 상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의 실험에서는, 오산시 내 9개의 횡단보도에서 수집된 CCTV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도로 이용자의 위치 탐지는 위치 허용 오차가 50cm일 때 차량과 보행자 모두에서 평균 정확도가 약 90%였고, 변형된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객체의 경로를 추적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하던 임곗값과 최소 거리 방식보다 평균 정확도를 3%만큼 향상하였다. 차량과 보행자 간 잠재적 충돌 위험 상황을 분석한 결과 차선 수가 많고 과속 단속 카메라가 없으면 그 횡단보도를 지나는 차량의 속력이 높고,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안전 간격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는 붉은색 우레탄의 도로포장 및 도로 위의 스쿨존 표식이 되어있지 않은 지역에서 50% 정도의 차량이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상황에서 정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