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야간시인성에 대한 운전자 시감 평가

        이동민,박용진,한지원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현재 국내 간선도로의 80% 이상이 무조명구간이고, 도로 야간시인성 증진 시설의 설치 및 운영관리 미 흡으로 야간 주행환경이 열악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교통사고 사망자의 50% 이상이 야간에 발생하고 있 는 문제해결을 위해 야간 주행환경 개선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 인지행태 기반으 로 모의실험을 수행함으로서 선형유도시설의 밝기 수준별 운전자 시감과의 관계를 도출하고, 야간 도로의 시인성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여러 선형유도시설 중 갈매기 표지, 시선유도표지, 델리네이터의 밝기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 다. 이를 통해 야간 도로 선형유도시설의 밝기와 운전자가 느끼는 만족도와의 시감 관계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각 시설별 자체밝기와 시감과의 관계는 선형관계를 보이지만 대비값과 시감은 선형관계를 나 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두 요인의 시감에 대한 영향도를 자세하게 추정하기 위해 통계모형을 개발하였다. 종속변수로 설정하 는 시감이 리커드 5점 척도이기 때문에 범주형 변수이며 순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순서형 로짓 모형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자체밝기와 대비값을 설정하였는데, 두 요인의 범위가 상이함에 따른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독립변수의 범위를 0~1로 변환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시감에 대한 자체밝기와 대비값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자체밝기는 크게 영향을 주는 것 으로 보이며, 대비값은 차선을 제외하고는 영향정도가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국제 학술 논의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이동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rticles discuss primary school teachers’ geography subject knowledge (GSK). This study examined 34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rticles on primary school teachers’ GSK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18 in Journal of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The detailed and contextual meanings of the sentences, phrases, and passages that discussed primary school teachers’ GSK were analyzed using van Manen phenomenology. As a result,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four themes to explain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primary school teachers’ GSK. First,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basic GSK that tended to be fragmented and factual rather than highly conceptualized and procedural because of the problems with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imary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Second, primary school teachers’ accurate and in-depth GSK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primary school geography teaching, the cultivation of a child’s geographical thinking and perspective, and integrated citizenship education. Third, primary school teachers should have accurate and relevant knowledge of geography concepts and procedures, knowledge of geography-specific logic and skills, and an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re concepts of geography. Fourth, effective, concrete, and geography-oriented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cultivate teachers’ GSK and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cepts and logic of geography, such as geography fieldwork, strongly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primary school teachers’ GSK and the direction of primary school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국제적인 학술 논의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위해서 Journal of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에 1999-2018년간 게재된,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관한 내용을 다룬 34편의 논문들을 연구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대상 논문들에 수록된 논문들이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해서 논의한 구절, 문장, 문단 등을 van Manen 현상학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초등교사의 지리 교과 지식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지리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기본적으로 인식하였고 기초적인 지식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기도 하였으나, 지리 교사교육이나 초등학교의 교육환경, 교육정책 등과 관련된 문제로 인하여 효과적인 지리 수업에 요청되는 심층적인 지리 개념이나 절차적 지식 등을 충분하게 갖추고 있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다고 지적되었다(주제 1). 둘째, 초등교사의 정확하고 깊이있는 지리 교과 지식은 지리 수업의 효과와 성취도, 아동의 지리적 사고력과 안목 형성은물론, 통합교육 및 시민성교육과 관련해서도 중요성이 높다고 알려졌다(주제 2). 셋째, 초등교사는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지리 개념 및 절차적 지식, 지리학 고유의 지식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지식, 지리학의 핵심개념에 대한 지식등을 충실하게 갖출 필요가 있다는 논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주제 3). 넷째, 초등교사들에게 효과적인 초등지리수업의 계획 및 실천에 필요한 지리 교과 지식을 길러주기 위한 교사교육 방안이 모색·실천될 필요가 있으며, 답사 지리 고유의 지식 구조나 논리 체계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교육활동은 이와 관련하여 특히 많은 의의와 가능성을 가진다고 논의되었다(주제 4).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초등지리교육의 개선 및 발전에 요청되는 초등교사 양성및 교육 방안의 모색, 초등지리교육 및 사회과교육 학술연구의 방향성 탐색 등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있으리라고 기대된다.

      • KCI등재

        韓日における対ベトナム無償資金協力の比較: 事業評価を中心に

        이동민 한일경상학회 2021 韓日經商論集 Vol.91 No.-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grant aid projects from KOICA and JICA, the development aid agencies of both Korea and Japan,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nt proj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above, we will present the point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support Korea’s development in the fu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statistical data from international cooperative organizations such as the World Bank, OECD, DAC, JICA, and KOICA are used to closely compare the ODA policies of Korea and Japan. In particular, as a case study method, i will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aid project to Vietnam after examining and comparing the efforts and cycles of JICA and KOICA’s grant aid projects, their evaluation methods and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the insurance and medical fields, most of KOICA’s workplaces ar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hospitals, and JICA’s is related to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hospital equipment. In addition, JICA focuses on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such as ports and roads, while KOICA focuses on public administration reform, capacity building, and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energy. JICA also said that KOICA differs in the way it evaluates its work from one another, but both organizations are actively supporting to meet their respective development goals in line with the OECD DAC’s evaluation criteria. Implications: It can be said that JICA and KOICA are similar but completely different. However, for both organizations,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goa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support. It is especially notable that Vietnam, one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was cited as an example in this study, so the possibility and valu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ase studies in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세계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이동민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global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Geography,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during 2000-2017 were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se journals a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geography education, and therefore provide insight into global research trends in geography education. The titles, abstracts, and keywords of the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a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trend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KrKwic and UciNet 6, and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under consideration of the five agenda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ed in A Road Map for 21st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s a result, 38 core concepts related to the five agendas were drawn. These included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 preparation, field trips, geospatial technologies, and geography curriculum. These core concepts composed a close and tightly interconnected pattern in the semantic network. The semantic network included concepts related to several agenda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comparison, South Korean research tends to focus on geography learning and curriculum. This suggests that South Korean geography research needs to approach more diverse subjects in a more intensive manner, including geography teacher preparation and field trips. In addition,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international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on geospatial technologies, geography teaching and assessment, and field trips in order to improve future research on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본 연구는 세계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으로는 2000년∼2017년 발간된 Journal of Geogrpahy,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의 4개 국제학술지에 수록된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들 4개 학술지는 지리교육 연구논문을 주로 게재하는 SSCI 및 SCOPUS 등재 학술지이기 때문에, 지리교육 분야의 세계 연구동향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국제저명학술지’로 판단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이 체계적, 구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요 개념들 간의 언어적 연결성 및 체계성을 분석하는 기법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하여 논문들의 제목, 요약, 핵심어를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KrKwic 및 UciNet 6를 활용하였으며, A Road Map for 21st Geography Education Research에 언급된 지리교육 연구의 5대 방향을 참고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리 교수 및 학습, 교사교육, 공간정보기술과 답사, 지리 교육과정 등 지리교육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들과 관련되는 38개의 핵심개념들이 추출되었다. 이들은 의미연결망 내부에서 상호긴밀하게 연결되는 패턴을 형성하였다. 전체적으로 지리 학습이나 교육과정 등에 치우친 측면이 보이는 국내 지리교육 연구동향에 비해, 국제학술지의 동향에서는 지리 교사와 교수 및 평가, 공간정보기술 등 보다 폭넓은 주제들을 망라하는 특징이 관찰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지리교육 학술연구들도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들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공간정보기술, 교사교육, 평가 등에 대한 국제적인 학술연구의 성과와 함의가 향후 우리나라 지리교육 연구에 구체적으로 어떤 함의를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 또한 제기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