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현대시 교육과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 - 자국어 문학교육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소연(Jin, Xiao-ya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7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과 한국 현대시 읽기의 연관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국어 교육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국인 학습자가 받은 어문(語文) 교육을 교육과정, 교재, 대학입시시험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자국어 교육 경험이 한국 현대시 읽기에 전이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해석학, 독자반응비평, 경험과 관련된 이론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문학작품 읽기와 선행 경험 간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이 한국 현대시 읽기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탐구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축적한 풍부한 문학 경험은 한국 현대시 읽기의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되는 동시에 관습적 의미 구성을 양산하는 한계도 지닌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교육은 ‘중국인 학습자’라는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학습자의 교육 경험을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학습자가 한국 문학에 대한 상호문화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는 지향을 밝혔다.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교육 경험에 주목하여, 한국 현대시 읽기와 자국어 교육 경험의 관계를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의 특수성을 반영한 한국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hinese education received by Chinese learners and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and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modern poetry education where learners can be active in exercising the Chinese education experiences of their own. First of all, the Chinese education received by Chinese learners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curriculum, textbooks, and college entrance exams, so as to demonstrate that this experience in Chinese educa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literary works and prior experiences was elaborated on through hermeneutics, reader-response criticism and the theories related to experience, and an exploration was conducted in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xperiences gained by Chinese learners in domestic Chinese education on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The extensive literary experience accumulated by Chinese learners can be taken as a useful resource for the reading of modern Korean poetry and it has a negative impact as well. On this basis, it is proposed that the modern Korean education intended for Chinese learners shall be designed in a way that allows learners to be active in exercising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careful consideration given to the particularity of “Chinese learn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Korean modern poetry and domestic Chinese education experience is examined from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with suggestions made on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that reflects the particularity of Chinese learn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시의 문화 요소 분석

        오수연(Soo Yeo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문학적인 측면보다는 문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며, 문화 요소를 기반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시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를 위하여 학문목적 학습자의 분포가 가장 높은 서울 소재의 12개 대학교의 한국어교재 141권에 수록된 현대시 75편에서 중복된 시편을 제외한 55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교재에 수록된 현대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마련된 ‘표준 교육과정’ 중 3단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의 문화 범주를 활용하여 시를 문화 요소로 분류하였다. 결과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 및 보완 연구」3단계의 문화 범주를 활용하여 55편의 현대시를 문화 분류 항목인 ‘의식주문화’, ‘생활문화’, ‘언어문화’, ‘정신문화’, ‘역사문화’, ‘예술문화’, ‘전통문화’, ‘제도문화’, ‘지리문화’, ‘정보문화’의 문화 요소로 분류하였다. 문화 요소로 분류한 문화 항목 빈도수로는 ‘언어문화’가 55회, ‘지리문화’가 37회, ‘정신문화’가 36회, ‘생활문화’가 18회, ‘의식주문화’가 17회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어교재 141권에 수록된 현대시 55편을 ‘표준 교육과정’의 문화 요소로 분석한 결과 ‘언어문화’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지리문화’, ‘정신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낮은 빈도의 ‘제도문화’, ‘전통문화’, ‘역사문화’, ‘예술문화’가 포함된 다양한 문화 요소로 분류할 수 있는 시편들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modern poetr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a literary aspe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sent a way to use modern poetry more effectiv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cultural elements. Methods For this study, 55 modern poems, excluding overlapping psalms, were analyzed from 75 contemporary poems contained in 141 Korean textbooks at 12 universities in Seoul, which have the highest distribution of aca-demic learners. In order to analyze modern poetry contained in Korean textbooks, poetry was classified as a cul-tural element using the cultural category of the third stage of the “Standard Curriculum”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Results Using the cultural category of the “Checking and Complementing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55 modern poems were classified into cultural elements such as “Living Culture,” “Language Culture,” “History Culture,” “Art Culture,” “Traditional Culture,” “Instrumental Culture,” and “Information Culture.” The frequency of cultural items classified as cultural elements was 55 times for “language culture,” 37 times for “geographic culture,” 36 times for “spiritual culture,” 18 times for “living culture,” and 17 times for “receiving culture.”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55 modern poems contained in 141 Korean textbooks as cultural elements of the “standard curriculum,” they were concentrated on “language culture,” followed by “geographical culture” and “mental culture.” Psalm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ultural elements including low frequency ‘institutional culture’,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culture’, and ‘art culture’ should be added.

      • KCI등재

        3D creation & coding SW를 활용한 현대시의 ‘공간’ 교육 방안

        박준형(Park, Jun-hyeong)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6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시 교육의 시의적 변화를 도모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학제간 융복합이 보편화된 현재, 과거에서부터 이어진 현대시 교육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포노 사피엔스, 디지털 네이티브로 명명되는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교수 방안을 구안함으로써 앞으로의 현대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하는 창의·융합적 인재 양성이라는 기치에 현행 교과서에서 현대시와 공간 교육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어과 교육과정, 특히 문학 교육과정이 부응하지 못한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한다. 현대시에서 공간이 가지는 중요성이나 표현법적 이해를 위한 교육 제재들은 있으나, 학습자 중심교육과정에서 모색할 수 있는, 탐구 및 활동과 관련한 부분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3D Creation & Coding SW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현대시의 공간을 이해하고, 직접 구상, 구현해보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현대시가 가지는 독자 해석 사이의 간극들을 학습자는 주체적으로 고안하고, 메워나가며 주체적 독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modern poetry education by facing the problems of modern poetry education, which has been common since the past, and by finding suitable teaching methods for learners named Ponosapiens and Digital Native. In addition, the current textbook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modern poetry and spatial education under the banner of foste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presented i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raising the problem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literature curriculum, does not live up to. There are educational sanctions for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r expression of space in modern poetry, but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exploration and activities that can be sought in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refore, 3D Creation & Coding SW was used to propose activities for students to understand, envision, and implement the space of modern poetry. Learners will be able to devise, fill, and grow into independent readers in the gaps between reader interpretations of modern poetry.

      • KCI등재후보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에 대한 검토와 방향

        김낙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and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etry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 with the analytical criticism of new criticism which dominated the early poetry education used to examine the elements of poetic style piece by piece and was constructed with one-sided analyses and explanatory notes of the instructors. In consequence, the passive learners recognized poetry not as the subject of enjoyment and pleasure but as the burden which learners had to memorize and learn. In an attempt to improve and reform these problems, Aesthetics of Reception and Reader-Response Criticism were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Focusing on learners' cognitive progress whil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oetic texts, this teaching method attached importance to diversities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n poetry. However, this method was also confronted with the problems of various understandings without objective criteria and of a gap between desirable readers and lacking readers. Subsequently, the poetry education shifted its focus to writing a poem. After studying these situations, this article is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etry education as follow. First, reconstruct the existing way of the poetry education and apply it to the poetr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unification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re are pros and cons in the respective theories and from a unified and communicative view they should be combined and reflected into the poetry education. Second, to make learners take part in the lecture more productively and actively, a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odel should be introduced Third, to concretely develop and intensify the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odel, the educational circumstance should be set up that learners write their own poet, introduce them at class and discuss or share the opinions one another.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by the mutual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bove all, it is desirable that the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should be achieved under the circumstance learners appreciate poems without constraint and accept and share others' perspectives and opinions so that they could enhance and improve rational communication skills. 본고는 대학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에 대한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초기 현대시 교육을 지배했던 신비평의 분석주의에 의한 교육방법은 시의 형식적 요소를 낱낱이 쪼개서 파악하였고, 교수자(전문가)의 일방적인 분석과 주해에 의해 진행된 교수·학습법이다. 그 결과 수동적으로 전락한 학습자는 시는 더 이상 향유하고 즐기는 대상이 아닌 익히고 암기해야할 구조물로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교육방법이 학습자 중 심의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교육이다. 이 교육방법은 학습자가 시 텍스트의 의미를 형성해가는 인지적 과정에 관심을 두고 시 해석과 감상의 다양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이 교육방법 역시 이상적인 독자와 현실적인 독자의 간극의 문제, 그리고 객관적인 기준이 없는 시 해석의 다양성의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후 시 교육은 문학적 표현을 강조한 시 쓰기의 문제로 변화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검토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기존의 시 교육의 방법을 재구조하여 통합과 교섭의 원리에 따라 교육에 적용하자는 것이다. 각각의 이론이 장, 단점이 있기에 이를 통합과 교섭의 견지에서 현대시 교육에 반영하자는 것이다. 둘째, 보다 더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대화 중심 학습 모형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화 중심의 학습 모형을 구체적으로 심화, 발전시키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창작한 자작시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병행하는 교육방향을 설정하자는 것이다. 현대시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간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이루어져야하고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적당한 자극을 줄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도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들이 시에 대한 자유로운 감상을 통해 서로 다른 관점과 사고를 인정하고 공유함으로써 동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합리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문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이명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2

        본 연구는 중국에서 최근 10년간 출판된 9종의 문학교재를 선정하여, 각 교재에 실린 한국 현대시 연습문제의 설정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대시 교육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한국 현대시 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들 자기 자신의 맥락에서 능동적으로 시 텍스트 의미를 구성하기보다는 아직 신비평적으로 시 텍스트를 분석하고 시인의 의도 등을 찾는 데 집중한다. 시를 인지적으로 이해하는 데 집중하여 학습자들이 시적 정서를 체험하는 연습 문제가 부족하다. 그리고 연습 문제들이 주로 수용의 측면에 주안점을 두어 생산 활동이 부족하다. 이상과 같은 한국에서의 한국 현대시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바람직한 현대시 교육 방향을 제시한다. 우선, 학습자 중심, 과정 중심, 활동 중심의 연습 문제를 많이 제작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자신의 맥락에서 시 텍스트 의미를 구성하고 사실적 지식보다는 방법적 지식을 많이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개별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소집단 토론 등의 사회적인 활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정서 체험 활동을 많이 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시에서 형상화된 정서를 느낄 뿐만 아니라 자신이 그 정서를 수용하여 내면화하고 자신의 삶에 활성화시켜야 한다. 셋째, 생산 활동을 많이 하도록 해야 한다. 감상문이나 비평문 쓰기 등의 생산 활동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개작과 모작 등의 창작 활동도 많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창작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시를 더욱 잘 이해하고 문학 경험을 확대시킬 수 있다. This paper selects nine kinds of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over the last 10 years, and critically analyzes the modern Korean poetry exercises in these textbooks. The study finds some deficiencies in the teaching of modern Korean poetry,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this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 in China is still in the traditional teaching stage of cramming, allowing the student analyze new criticism of poetic structure, rhetoric, image, etc. and find the poet's writing intention—but constructive student-oriented thought is not yet. These exercises primarily let the students cognitively understand and analyze a poem, but they lack the kinds of activities that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poetry emotionally. Moreover, the practice exercises in these textbooks concentrate primarily on acceptance of the poetry and In light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teaching of domestic modern Korean poetry, this paper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poetry education that will overcom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ent-oriented reading, process-oriented reading, and activity-oriented reading. Let the students construct the meaning of a poem by themselves, and teach them rather than factual knowledge. This will allow not only individual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tudents, but also group discussions and other social activities. Second, students should carry out more activities in which they experience emotions. Students can experience the image of emotion in the poetry and also accept the feelings, to enrich their own lives. Third, there should be more writing and other activities.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poetry more deeply and expand their literary experience.

      • KCI등재

        현대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연구 :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이지엽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This study investigated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modern Sijo focusing on Sasul-Sijo. As modern society becomes highly advanced and high-tech, human becomes smaller and isolated. To well express individuality and complicated mind of each individual, Pyeong sijo focusing on being closed has its limitation. Furthermore, to express complete human emotion with Sijo, more open structure is needed and modern Sasul-Sijo can make it possible. Accordingly, first of all, this study set basic form of Sasul‒Sijo for creation of modern Sasul-Sijo. Basic form should meet following conditions. 1) Basic form has the first line(初章), the middle line(中章), and the final line(終章). Each line has semantic structure. 2) Each line is composed of four phrases. Increased foot(音步) in phrase is mostly walk in even number. 3) First phrase of final line has three letters and second phrase has more than five letters. It is true that modern Sasul-Sijo is complicated in requirements for form differently from other genres but if existing various elements are used, one can easily approach creative writing.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creation of Sasul-Sijo is to reflect basic form of Sasul‒Sijo well, or to use characteristics of Sasul‒Sijo or genre which is most similar to Sasul‒Sijo among various genres of modern literature. First, case where basic form of Sasul‒Sijo is well reflected connects three lines of the first line, middle line, and final line with three stages composition among composition with fixed form in poetry creation. Second, Characteristics of Sasul‒Sijo can be used. This study gave attention on attribute of ‘weave (篇)’ meaning that speaking or writings are extended long by connecting meaning of ‘Sasul(辭說)’. This can be related to tone in poem. In this case, confessional story of poetic self has the most similar character. Accordingly, creative writing method through poem with story was suggested. Third, Among various genres in modern literature, prose poem is most similar to Sasul-Sijo. So, creative writing method through prose poem was suggested. When each line in Sasul‒Sijo is extended, its form is most similar to prose poem. But its structure of the sentence does not include simple expression. There are drop height of long·short·slow· hurried(長·短·緩·急) while it has ascending structure of repetition, enumeration, and climax. That is, it has dynamic structure. In short,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several methods for creating modern Sasul‒Sijo were first suggested by methodologically approaching methods of using cre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judged in method showing the most frequency in actual creation of Sasul-Sijo, creation based on story, and prose poem. By embodying parts which are hard to express in modern Sijo through modern Sasul‒Sijo, independence can be constructed-independence comes from that all the complicated and delicate human emotions can be included in traditional genre form which is Korean and only one in the world. Modern Sasul-Sijo not only gives mutual help with various sub‒genres of poem but also can play a major role as future poetics. 본 논문은 현대시조 창작교육을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대사회는 날로 고도화, 첨단화되어 가고 있지만 인간은 더욱 왜소해지고, 고립화 되어가고 있다. 각 개인의 개성과 복잡한 심경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닫힘 중심의 평시조만으로는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더욱이 시조로 완전한 인간의 감정을 다 표현하기 위해서는 좀 더 개방적인 구조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현대사설시조로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시조는 제7차와 2009교육과정 개편과정에서도 현대시에 비하여 심한 홀대를 받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도 전혀 시정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더 심각한 것은 현대사설시조에 대한 창작이론이나 준거들이 마련되지 않아 일반인들은 물론 전문시조시인들까지도 쉽게 창작에 적응하기가 힘들고 마땅히 교육 자체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설시조 창작을 위하여 아직까지 정립되지 않은 여러 견해들을 종합하여 사설시조 기본형을 설정하였다. 기본형은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한다. 1) 초장, 중장 종장 3장으로 나누어지며, 각 장(章)은 하나 이상의 의미 구조를 가진다. 2) 각 장은 4마디로 나누어진다. 마디에서 늘어나는 걸음(음보) 수는 대개 짝수 걸음이다. 3) 종장의 첫 마디는 3자로 고정되며, 둘째 마디는 5자 이상이다. 현대사설시조는 타 장르와는 달리 형식상의 요건이 까다로운 것이 사실이지만 기존의 여러 요소들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창작에 접근할 수 있다. 사설시조 창작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사설시조 기본형을 잘 반영하거나 사설시조가 갖고 있는 특성, 혹은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사설시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장르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첫째 사설시조 기본형을 잘 반영한 경우로는 초장, 중장 종장의 3장과 시창작의 정형구성 중 삼단구성을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둘째 사설시조가 갖고 있는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데 ‘사설(辭說)’이 갖는 의미와 연결하여 말이나 글을 길게 늘어놓는 ‘엮음(篇)’의 속성에 주목하였다. 시에서 어조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시적 자아의 고백적 이야기가 이와 가장 유사한 성격을 가지게 됨에 따라 이야기시를 통한 창작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사설시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장르, 곧 산문시를 통한 창작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설시조는 각 장이 늘어날 경우 이를 형태로만 가늠해본다면 산문시와 가장 유사하지만 평이하게 서술해가는 문장 구조가 아니라 長·短·緩·急의 낙폭을 주면서 반복과 열거, 절정의 상승적 구조로 엮어가는 역동적인 구조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이 논문에서는 사설시조 실제 창작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방법으로 판단되는 구조의 특성을 활용한 창작,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산문시를 활용하여 원용하는 방법을 방법론적으로 접근해보고 실제 학생들의 작품을 사설시조로 창작해봄으로써 현대사설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접근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 현대시조로서는 표현하기 힘든 부분을 현대사설시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현대의 복잡 미묘한 인간의 모든 감정을 한국적이면서 세계 유일의 장르인 전통장르 형식으로도 담아낼 수 있다는 독립성을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시의 여러 하위 장르들과 상보적인 도움을 주면서 동시에 미래 시학으로도 주요역할을 감당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현대시 교육에서의 운율 교육 내용 재설정 연구 -운율 개념을 중심으로-

        정정순 ( Jung-soon J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8 No.-

        이 연구는 시의 핵심적인 구성 원리이자 요소인 운율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율 개념을 재설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운율이 현재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지, 즉 어떤 시들을 바탕으로 어떤 설명과 활동이 다루어지고 있는지 현행 교육과정 및 초중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통해 분석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운율’ 관련 내용은 이전 학령의 내용 및 활동과 별개로 독립적인 형태로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대 자유시의 운율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행과 연, 구두점 등의 기능을 다루지 않고, 정형적인 율격을 지닌 현대시를 주로 제재로 다룸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현대시의 운율을 이해하게 하는 데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시의 다양한 운율 실현 양상을 교육 내용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운율의 개념을 새로이 설정할 필요가 있다. 운율을 재정의하기 위해 최근의 현대시의 리듬 체계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율을 시의 형식적인 요소로만이 아닌 의미와 관계하는 주체적인 성격을 가진 시의 핵심 구성 원리로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시를 텍스트 내적으로 구조화된 언어예술로 보기보다 독자에 의해 의미가 실현되는 담화로 보는 관점이다. 이러한 분석과 검토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운율은 ‘독자에 의해 음성으로 실현되는 과정에서 의미에 관여하는 모든 음성적, 비언어적 자질’로 정의하였다. 운율의 개념을 이렇게 재정의함으로써 현재 ‘낭송, 의성ㆍ의태어, 음보율, 특정 단위의 반복’에만 한정되어 있는 운율 교육 내용이 보다 구체화, 체계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Unyul’ is one of the major poetic principles that normally functions as versification. It has been usually understood as the word that combines rhyme and meter in Korean literary world. This notion of ‘Unyul’ doesn’t cover the various modern poems’ rhythm, and that’s why there have been many papers these days which tried to systemize the rhythm of Korean free verses. I analyzed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 middle school students to see the contents of ‘UnYul’ in teaching poetry. The contents of ‘Unyul’ in teaching poetry are also confined to just foot and repetition. The poems in the textbooks selected as materials to teach ‘UnYul’ don’t cover Korean free verses. If we agree to teach the rhythm of free verse in teaching poetry, we need to redelineate the notion of ‘Unyul’. The things we need to consider in redelineating the word are as follows:1. UnYul is not just component of form but principle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poem. 2. Poem is not just a work but a discourse that waits for reader’s reading. Conclusionally I proposed redefinition of ‘Unyul’ as the contents of teaching poetry. ‘UnYul’ is all sound and non-verbal features involved by reader in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of poem.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시 교육에서 청각적 심상 활용에 대한 고찰-중국인 학습자의 읽기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왕임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를 읽는 중국인 학습자의 감상 양상에서 청각적 심상 인식의 특징적인 지점을 살펴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에서의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내면에 침투하여 정서적 반응을 형성해내는 청각의 특징에 주목하여 시의 언어적 표현에 내재된 청각적 심상의 자질을 학습자가 심상 인식을 통해 소리풍경으로 형성해내는 시 수용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청각적 심상은 시적 표현 장치로써 발달되어 있는 한국어의 음성상징(音聲象徵)과 감각적 외현을 통해 시의 의미와 정서를 전달하게 된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지각적 관습과 심상 기억이 한국 현대시의 청각적 심상의 이해와 체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청각적 언어 표현의 역동감과 자신의 심상을 조화하고 삼투함으로써 시적 의미와 정서를 이해하고 주체적 인식을 심화할 수 있는 것을 교수·학습 활동의 최종적인 목표로 삼는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 「접동새」, 「바다·1」,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에서 나타나는 청각적 심상 지각과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학습자의 청각적 심상 특징과 수용 양상은 소리지각 형성된 청각적 심상에 대한 반사적 반응, 리듬인식 형성된 청각적 심상에 대한 정의적 반응, 시·청각적 감각 혼용에 대한 해석적 반응으로 대별되었다. 이 연구가 제안한 한국 현대시 교육 방향은 중국인 학습자의 지각 경향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향후 한국 현대시 이해 교육 활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that arise in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oetry texts by senior Chinese learners. The author reveals the role of sensory and cultural experience materials in Chinese poetry reading and points out the direction in which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becomes a meaningful experience for Chinese poetry learners. As a poetic expression device, auditory psychology conveys the meaning and mood of poetry through the phonetic symbolism and sensory expression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at Chinese learners' perceptual habits and mental memory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Korean modern poetry. This study selected modern Korean poems “Jeopttongsae”, “Sea ·1”, “Me and Natasha and the White Donkey”. The reading patterns of learners are divided into reflexive responses to sound formation, definite responses to rhythm recognition and interpretive responses to audiovisual sens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and provides reference for the understanding education of modern Korean poetry in the future.

      • KCI등재

        ‘현대시문학사교육’의 오늘과 내일을 묻다 - 교육과정·정전·교원선발시험을 중심으로 -

        최현식 ( Choi Hyun-si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9

        이 글은 ‘현대시문학사교육’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봄으로써 더욱 건설적인 미래를 엿보기 위해 작성된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 항목에 초점을 맞췄다. 첫째, ‘현대시문학사교육’의 목표와 내용, 규범과 성취기준을 특히 2007년과 2015년 새롭게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대조함으로써 각각의 의의와 한계를 조명해 보았다. 둘째, 교과서 수록작품과 정전의 연관성, 텍스트의 취사선택에 대한 원리와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작품 선택과 정전 형성, 그리고 그것들의 변화가 국가주의 이념 이외에도 민주주의의 성취와 관련된 당대 현실의 필요성 및 요청에 의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중등과정 학생들을 교수·학습할 (예비)교사들의 ‘현대시문학사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력 향상을 위한 한 조건으로써 『국어』교과에 대한 교원선발시험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런 상황들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현대시문학사’에 대한 학교 교육의 정당성과 발전적 성취를 위해 누구나 동의 가능한 현대시문학 엔솔로지를 편찬하는 작업과 ‘정전’화의 가능성이 높은 시 텍스트들의 주제 및 종류를 더욱 넓혀나갈 것을 요청했다. 이것이 교사들의 ‘시문학’ 교수·학습 능력을 더욱 확장·심화하는 지름길이라는 사실 역시 강조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st and present of ‘education about history of modern poetic literature’ and take a glance at the constructive future of it.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will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items. First, this study comparatively looks into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subject』 revised in 2007 and 2015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objectives, contents, norm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education about history of modern poetic literature’ and also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each. Second, this author researches into the works contained in the textbooks, connectivity to the canon, and the principle of selecting text and how it has been changed. In this way, this researcher has found that the selection of works, formation of the cannon, and the changes of them are realized not just by nationalistic ideology but by the necessity and demand of the time associated with the achievement of democracy. Third, as a condition to enhance the interest and skills about ‘education for history of modern poetic literature’ in (future) teachers teach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author examin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eacher selection test for the 『Korean』 subject. Based on the examination on the situations, to attain the legitimacy and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for ‘history of modern poetic literature’, this author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compile the anthologies of modern poetic literature that anyone can agree on and increase the topics and kinds of poetic text equipped with the great possibility of ‘canonization’. Also, this researcher stresses the fact that this should be the shortcut to improve and deepen the teachers’ teaching-learning skills about ‘poetic literature’.

      • KCI등재

        한국현대시문학사 이해를 통한 한국문화교육의 전망과 과제

        박윤우(Park, Yoon-woo)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본 연구는 ‘문학사 교육’의 측면을 기본 토대로 삼아, 한국현대시사상의 교육정전으로서 시텍스트가 그 현실적 활용태로서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한편, 중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현실적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현대시사 텍스트의 이해와 수용을 통한 동시대 한국문화교육의 실제와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기존에 한국 문학교육의 지식적 배경을 형성해온 한국현대문학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어떠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작용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며, 아울러 실제 문학교육 현장에서 한국현대시 텍스트가 해석, 수용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동시에 그것이 중국내 한국문학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문화의 이해와 소통의 가능성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해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oetry text as a practical us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can be realized as the educational blackout in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the aspect of Based on the realistic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will explore the realities and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modern Korean texts. For this purpose, I will critically examine what sociological and historical contexts have been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which has already formed the knowledge background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addition, And analyze how they are accepted, and at the same time, how it affects Korean literary education in China, and explore ways to creat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Kore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