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거세신화를 통해 본 서라벌소국의 형성

        이종욱(Lee, Jong-w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현재 박씨 성을 가진 한국인이 많다는 사실로 보아 결국은 혁거세(赫居世)를 시조로 하는 씨족(氏族)이 현재 한국인의 다수가 될 정도로 번성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현재 한국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에는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세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신라 건국신화에 나오는 6촌장을 시조로 하는 씨족과 탈해를 시보로 하는 씨족, 알지를 시조로 하는 씨족 등이 있다. 이들에 대해 후대 사람들이 칭하던 명칭이 있다. 신라의 왕을 배출했던 씨족은 후대에 종성(宗姓) 또는 천강성(天降姓)이라 불렀다. 그런가 하면 혁거세를 추대했다고 하는 서라벌6촌장을 시조로 하는 씨족이 가졌던 성을 육부성(六部姓) 또는 토성(土姓)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근현대 한국사학은 종성과 육부성 중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박씨족 만이 아니라, 다른 씨족들의 존재를 주목하지 않았다.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을 은폐해 온 것이다. 고구려나 백제인들이 아니라 신라인들을 시조로 하는 성이나 본관을 가진 한국인이 많다는 사실은 신라가 한국인의 오리진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 중에서도 신라 건국신화를 포함해 신라 초기 역사가 바로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이 된다. 이 같이 신라 오리진의 한국인을 만든 출발점은 혁거세가 건국한 신라에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현대 한국사학은 혁거세를 푸대접해왔다. 현대 한국사학은 혁거세 그리고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박씨 성을 가진 씨족의 존재도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쓰다 소키치에서 시작했고 이병도 선생이 이어받은 이 같은 주장은 본질적인 오류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역사는 근현대 한국사학이 만들어낸 것과 다른 것이었다. 신라의 모체가 된 서라벌소국을 세운 혁거세를 신라인들은 처음부터 기억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신라의 왕들도 건국신화나 시조에 대한 설화를 통해 정통성을 얻고, 계보파악을 통해 왕의 지위의 정당성을 얻었고, 시조묘나 신궁의 제사를 통해 왕의 권위나 권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혁거세의 후손들은 혁거세를 모신 시조묘 제사와 혁거세왕릉의 존재를 통해 그들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혁거세는 신라 초기부터 신라인들의 기억 속에서 지워질 수 없는 신성한 존재였다. 이병도 선생이 신라 왕의 세계(世系)의 확실성에 대해 의문을 가진 자체가 신라의 역사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지금까지 제국 일본의 한국인 폐멸정책을 위해 희생된 한국사, 상처받은 신라의 역사, 그렇게 지워진 혁거세를 살려내고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을 되찾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It could be inferred the clan, which progenitor was Hyeok’geo’se, has flourished in Korea, since there are many Koreans who has family name ‘Park’. Therefore, this article will be a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present of Korea. The origin of Korean identities are not only consisted with clan which progenitor was Hyeok’geo’se. According to Silla National Origin Myth, there are clans which progenitor were Six Chonjang, Talhae and Alji. There were titles about these family clans that later generation had designated. The clan that produced King of Silla was called Jongseong or Chungangseong by later generation. The clans, which progenitors were Seorabol Six Chonjang and whom appointed Hyeok’geo’se as their leader, called their family name as Youkbuseong or Toseong. However,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had not focused on Jongseong and Youkbuseong which progenitor was Hyeok’geo’se as well as the presence of other clans. This research tendency means to conceal Korean identity. There are many Korean family names or family clans which progenitor was from Silla, not from Koguryo or Baekje, and it could be inferred that Korean origins are related with Silla. Above all, Early Silla History including Silla National Origin Myth contains starting point of Korean origins. As it was inferred in previous paragraph, Silla origins which indicated starting point of Korean is related with Silla founded by Hyeok’geo’se. However, Contemporary Korean History neglects Hyeok’geo’se. Contemporary Korean History does not acknowledge Hyeok’geo’se and his clan with family name Park. This trend of argument, which had started by Professor Tsuda Sōkichi and was inherited to Professor Lee Byung-Do, contains critical problems. Real Korean History is different with what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has created. Silla people remembered Hyeok’geo’se who had founded Seorabol community that were developed into Silla. Similar with other countries, Kings of Silla secured their legitimacy by Silla National Origin Myth or tales of progenitors, gained authority as king by tracing genealogy, and assure their power or dignity by tomb of their progenitor or ancestrial rites in palace. The descendent of Hyeok’geo’se had secured their authority by ancestrial rites on their progenitor, Hyeok’geo’se, and existence of Royal Tomb of Hyeok’geo’se. Therefore, existence of Hyeok’geo’se was sacred to Silla people from Early Silla History. Professor Lee Byung-Do’s question related to existence of the Silla Kings genealogy proves that he did not understand history of Silla. Victimized Korean history by Korean Ethnic Extermination Policy during Imperial Japan, scarred history of Silla, and erased Hyeok’geo’se should be restored, and Korean origin research should be restarted. This article will be the starting point.

      • KCI등재

        신라 혁거세 국조(國祖) 신화의 형성 시기와 배경

        김선주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8 No.-

        Silla's founding myth describes the Hyukgeose as a national founder. Silla is a country that grew up in Saroguk. Thus, Hyukgeose has been understood as the founder of the so-called Park clan - the royal family of the early Silla Dynasty and the national founder of the Saroguk country. However, Hyukgeose does not have a clear image as a founding father.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of the sun god and the heavenly god stood out as the divinity.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Hyukgeose may have been a conceptual ancestor made in later generations. I understood that the founding myth, in which Hyukgeose is the country's founder, was formed at the stage of Silla not Saroguk,. In Saroguk, There were two kinds of rituals, the Heavenly God and the Ancestral God. Hyukgeose was related to the Heavenly God. At the stage of the Saro Kingdom, People worshipped the ancestral god in addition to the god of Heaven, whose object was Aryoung. The national myth of Hyuk-se as the founder of the nation was formed during the Maripgan period. A new palace was also set up against thi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founder. Singung was also installed against the backdrop of thi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ancestor. The ceremony was not related to the so-called Park clan of the early Silla kingdom, but rather formed based on the Kim clan. As the Kim clan monopolized the throne after the Maripgan period, it needed a national founder to encompass Silla, not the founder of a certain tribe. As a result, the heavenly god became a national founder of Silla at the stage of the Saroguk period. Also, Aryoung, the founder of the Saroguk Kingdom, was transformed into a Queen of the National Dynasties. 현전하는 신라의 문헌자료에는 혁거세를 국조로 하는 건국신화가 실려 있다. 신라는 사로국을 모체로 주변 진한 여러 나라를 병합하면서 성장하였다. 신라 문헌자료에 보이는 초기 기록은 사로국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혁거세는 신라 초기 왕실인 소위 ‘박씨’의 시조이자 사로국의 국가시조로 이해해 왔다. 그런데 혁거세 신화에서는 역사적 인격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혁거세 신화는 건국과 관련된 활동이나 정치적 행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또한 혁거세는 고대 건국신화에 보이는 선민의식이나 영웅전승적 모습도 보이지 않는다. 반면 신격으로서 광명신, 천신의 성격이 두드러졌다. 이는 혁거세가 사로국 형성과 관계가 있는 역사적 시조가 아니라, 관념적으로 만들어진 시조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혁거세 신화는 알영 전승, 6촌장 전승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혁거세를 국조로 하는 신화가 6촌의 형성을 배경으로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또한 혁거세 신화의 신화소를 바탕으로 혁거세 신화는 김씨가 신라 왕위를 독점하는 마립간시기에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았다. 혁거세는 사로국이 아닌 신라 국가의 국조였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로국 단계에서는 조상신과 천신 두 가지 계통의 제사가 있었다. 혁거세는 천신 신앙과 관련이 있었다. 천신과 별도로 조상신 제사가 있었는데, 사로국에서 조상신, 시조로 인식되었던 존재는 알영으로 이해했다. 그런데 사로국이 주변 소국들을 병합해 가면서 신라 국가로 변화된 뒤 혁거세를 국조로 하는 건국신화가 형성되었다. 마립간기에 설립된 신궁은 혁거세 국조 형성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므로 혁거세는 ‘박씨’ 표현되었던 초기 왕실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해했다. 혁거세의 신화적 속성은 천강신화이며, ‘알지거서간’이라는 표현 등을 볼 때 오히려 혁거세는 김씨의 시조인 알지 전승과 유사했다. 이는 혁거세의 국조 신화의 형성이 사로국 단계의 초기 왕계가 아닌 김씨 족단과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립간기 이후 김씨들이 왕위를 독점하면서 새로운 국조 신화체계를 모색하게 되었다. 김씨 족단은 알지를 시조로 하는 전승이 있지만, 신라 전체의 국조로 내세우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국가 체제로 성장하면서 원시적인 족단별 시조신화를 흡수하면서, 사상적 통일을 이룰 수 있는 국가 시조가 필요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로국 단계에 천신이 인격화되어 신라의 국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또한 사로국 단계에 시조로 인식되었던 알영은 시조비로 재편되었다.

      • KCI등재

        신라의 건국신화와 국가제의

        채미하(Chai, Mi-ha)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본 논문은 신라의 건국신화가 국가제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변화되었음을 살펴본 것이다. 남해왕 3년에 설치된 시조묘에는 박씨집단의 族祖인 혁거세를 모셨다. 하지만 아달라왕대 신라연맹체의 祭天이 사로국의 시조묘를 중심으로 통합되면서 혁거세는 국조가 되었고, 신라 상고기 내내 시조묘의 主神이 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혁거세의 위상 변화는 혁거세신화에도 반영되었는데, 혁거세의 죽음과 五陵전승에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혁거세의 배타성은 뱀의 방해로 알영이 혁거세와 합장하지 못하였다는데서 생각해 보았다. 소지왕 9년에 설치된 신궁의 주신은 혁거세로, 혁거세는 全국가적 시조왕의 성격을 지녔다. 이것은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혁거세?알지?탈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서 알 수 있었다. 특히 김씨왕실은 자신들의 시조인 알지를 혁거세신화에 부회하였다. 그리고 혁거세가 계정에서 태어났다든가, 알영이 혁거세와 같은 해에 태어났다는 전승을 통해 신궁단계에서 알영이 혁거세신화에 포용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혁거세의 포용성은 신궁이 설치된 장소인 시조가 初生(誕降)한 장소, 즉 양산과 나을의 성격에서도 알 수 있었다. 신라 중대 김씨왕실은 중국 상고 전승에 나오는 소호금천씨에서 김성 칭성 이유를 찾았다. 그리고 오묘의 수위에는 그의 후손인 성한을 태조로 모셨고, 혜공왕대에는 미추왕을 김성 시조로 하고 오묘에 모셨다. 이러한 변화는 기왕의 혁거세?알영?탈해신화의 내용과는 달리, 혁거세와 알영을 서술성모가 낳았으며 탈해를 동악대왕으로 불렸다는데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건국신화를 보면 계정, 계림, 백마가 서쪽과 관련있다고 하면서 알영, 알지, 혁거세 탄생의 유사성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혈연적 계보를 중시하는 오묘제가 신라의 건국신화에 큰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 about that the birth myth of Silla was changed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national ceremony for ancestral rite. Sijomyo set up at king Namhae 3 years enshrined Hyeokgeose who had been Sijo of Park"s family group. However Jaecheon of Silla Allied Communities was united into Sijomyo of Saro community at King Adalra period and Hyokgeose became not only Gookjo but also the main god of Sijomyo through ancient time of Silla.This change in Hyeokgeose"s status was reflected in Hyokgeose myth which could be seen in transmission about Hyeokgeose"s death and Oryeung. And the exclusiveness of Hyeokgeose was thought from that Alyoung had not buried with Hyeokgeose interrupted by a snake. The main god of the palace for gods establised atking Soji 9 years was Hyekgeose, who had characteristic of national king Sijo. This was understood given that Hyeokgeose. Alji.Talhae had been connected in birth myth of Silla. Especially Kim"s royal family made their Sijo, Alji took advantage of Hyeokgeose myth. They said that Alyoung was embraced in Hyeokgeose myth at the stage of palace for gods transmitting that Hyeokgeose had been borne in Gyejeong or Alyoung had been borne in the same year with Hyeokgeose. This characteristic of Hyeokgeose"s embracement was shown in the place as well where Sijo was first borne, that is, Yangsan and Naheol. Kim"s royal family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found the reason of designating Kim for their surname from Sohokumcheon family among transmission of Chinese ancient time. And his descendant, Seonghan was enshrined as Taejo in Omyo and at king Hyegong period, King Michu was enshrined in Omyo as Sijo of Kim"s surname. This change was also shown in that Hyeokgeose and Alyoung had been borne by Seosoolseongmo and Talhae had been called Dongakdaewang, which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myths on Hyeokgeose, Alyoung.Talhae. Also In birth myth, Gyejeong, Gyerim and Baekma were identified the same as Alyoung, Alji and Hyeokgeose were. This showed Omyoje which considered blood relation importantly effected a big change in the birth mith of Silla.

      • KCI등재

        『삼국유사』 <신라시조 혁거세왕> 기사 ‘五陵’ 신화의 ‘地上的’ 의미

        신연우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삼국유사』에 전하는 바, 승천했던 박혁거세의 시신이 분할되어 땅으로 떨어졌고 모아서 합장하려 하자 큰뱀이 이를 막았기에 따로따로 무덤을 만들었다는 박혁거세 신화의 결말은 우리 건국신화로서는 예외적이고 특이해서 이해하기 쉽지 않다. 그 자체만으로 납득이 되지 않기에 이집트 신화에서 몸이 열 네 조각으로 갈라져 땅에 묻힌 오시리스나 파푸아뉴기니의 서세람 섬에 전해오는 곡물기원신화의 하이누웰레와 연관지어 이해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고구려의 주몽신화와 비교해보면 혁거세 신화에서 굳이 혁거세가 하늘로 가버리지 않고 그의 시신이 나뉘어 묻힌다는 것은 지상적 의미를 강조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몸이 다섯으로 나뉘었다는 것은 하나가 다섯으로 분화되었다는 말이다. 주몽이 그대로 하늘로 가버린 것은 지상의 몸조차 버리고 영적인 존재가 되었다는 말이다. 육신도 한계가 명확한 것이어서 신이 되어서는 한계를 갖지 않는 존재라는 점을 하늘로 올라갔다고 나타냈다. 즉 주몽 신화는 지상으로 내려오면서 몸을 가졌던 주몽이 죽어서 다시 하늘로 올라가면서 초월적 존재 추상적 존재로 통합되는 측면이 부각된다. 이에 반해 혁거세의 시신은 분화된다. 이를 통합과 분화라는 대조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죽은 주몽은 초월적 존재로 우주와 통합되고 죽은 혁거세는 통합이 아니라 분화되어 지상에 남았다. 혁거세 신화가 지상의 원리를 나타낸다는 점을 다시 잘 보여주는 것이 뱀 화소이다. 혁거세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막는 원리이고, 통합을 막는 일이다. 오릉에 묻힌 임금들은 신화적 통치가 아니라 지상 세계 인간을 향하는 현실적 통치를 지향하는 사람들이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고구려 초기 임금들이 여전히 신화적 능력을 보여주는 것과 대조된다. 이러한 차이는 시조 임금의 죽음의 형식의 차이와 같다. 주몽의 승천이 보여주는 천상적 원리가 유리왕과 대무신왕으로 이어졌고, 혁거세의 오릉이 보여주는 지상적 원리가 남해왕, 유리왕, 파사왕의 지상적 원리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신화 마지막의 큰뱀(大蛇)는 알영을 낳았던 계룡의 다른 이름이다. 오릉은 알영 쪽 즉 수신이나 지신 쪽에 더 친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알영의 근거지로서 하늘보다는 땅의 질서가 강조되는 지역이다. 여기에 외지에서 수용된 혁거세 집단의 신화가 결합되었다고 생각된다. 대조적인 두 세력이 화합을 이루어 초기 신라를 형성하였으나, 뒤로 가면서 하늘 원리에 입각한 혁거세 세력은 자기 입지를 강화하지 못하고 4세기 마립간 시기에 이르면 알영 세력의 땅의 원리에 융화되어 버리게 된 역사적 과정을 신화적으로 나타낸 것이 혁거세의 오릉 신화라고 이해할 수 있다. 지상적 의미가 강조되는 혁거세 오릉 신화는 큰뱀을 계룡과 연관지어 보면 알영집단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알영 집단의 영향력이 그렇게 클 수 있었던 것은 용이 보여주는 풍요의 상징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왕의 논의에서 제기되었던 바, 풍요제의의 관점에서 용의 역할과 함께 혁거세의 몸의 산락되어 분장되는 것을 풍요 신화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Samguk Yusa(The Tales of Three Kingdoms) tells us the story of the tomb of HyukKeoSe, the founder of Silla Dynasty; he died and ascended to heaven but the royal remains were divided into five parts and descended to earth. A large snake appeared and prevented the people from burying them in the same tomb and that is why we have 5 Tombs in Gyeongju. The story is too unusual to understand. So comparing the myth of Egyptian Osiris whose body was cut into 14 parts by his brother Set, some scholars insist that it is a similar myth implying fecundity through death and rebirth. In fact, Five Tombs are not the royal tombs of HyukKeoSe. I compared it to Jumong’s ascending to heaven in Koguryo birth-myth and came up with an idea that separatedly buried five parts of HyukKeoSe’s body are meant to emphasize the land-based governing principle of Silla. The large snake represents the counteraction on the ideology of a nation trying to unify all countries. While the early kings of Koguryo showed us their mythical power, the kings buried in the Five Tombs were actually not mythic heroes. They showed the pity for the poor and tried to find the sages, wanted common assent of all the members of the tribe headmen at the meetings. There are also Aryoung’s tomb, also popularly known as Snake Tomb, in Five Tombs. Aryoung, HyukKeoSe’s wife, was born from under left side ribs of a chicken featured dragon, which seemed to be a similar character to the large snake appearing at the end of HyukKeoSe Myth. Historians say that Five Tombs were constructed in the fourth century, not at the time of the death of HyukKeoSe. So we can understand as follows; there was Aryoung’s tribe at the site of O-Reung at first, whose totem was a snake, but the tribe of HyukKeoSe from the North came and tried to unify the Saro Province as a whole, Around the fourth century, the tribe of Aryoung took the leadership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lla,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r. The myth of falling parted-body of HyukKeoSe seems to a symbolizat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early Silla.

      • KCI등재

        古代 三國의 始祖觀 成立과 變遷

        김병곤(金炳坤)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29

        삼국 시대 각국이 지닌 시조관은 다양하고 때에 따라 새로운 인물로 대치되기도 하였다. 곧 고구려 시조 朱蒙은 건국시조로서의 위상을 멸망기까지 꾸준히 유지했지만, 백제 시조 溫祚 그리고 신라 시조 赫居世 등은 시대 변천에 따라 시조로서의 사적 위상에 변화가 있었던 것이다. 고구려는 시조 주몽이 지닌 종교적 권위의 완성도(天神과 水神의 결합)가 높았다. 더욱이 시조관이 확립된 소수림왕대의고구려는 중국의 天下觀과 구별되는 자국 중심적인 고유의 천하관을 소유했을 뿐만 아니라, 고등종교인 불교나 유교 등이 도입되었지만 기존의 시조관에 영향을 줄 만한 새로운 시조 관념이나 제사 체계의 수용은 없었다. 그러므로 주몽이 지닌 시조로서의 사적 위상과 종교적 권위는 멸망기까지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 백제는 시조와 건국자가 兩立되는 점이 주목된다. 중국 정사로서 唐代 편찬된?『周書』?에는 始國者로 仇台가, 『隋書』?에는 ‘先’으로 東明과 시국자로서 구태를 구분하여 기술했다. 『삼국사기』에도 백제 건국의 주인공인 온조를 시조라 명기하였지만, 동시에 온조가 즉위 원년 범부여족의 시조 동명을 모신 東明王廟를 건립했음과 역대 왕들이 이에 拜謁한 기사가 실려 있다. 그런데 중국 기록에는 건국자가 구태로 기록되어 국내 기록과 달라 논란이 많다. 이는 백제 왕실이 실질적으로 인정한 건국자는 온조였지만, 사비시대에 이르러 중국적인 예제의 도입 속에 시조관(太祖觀의 도입)의 변화와 더불어 일시적으로 구태가 새로운 시국자로 설정되었던 결과이다. 신라는 박씨 집단의 시조인 혁거세를 건국시조로 삼아 그를 모신 始祖廟를 설치하고 치제하였다. 그러나 이후 김씨 집단이 왕권을 확립하고, 김씨 시조 閼智를 모신 神宮을 설치하여 기존 혁거세와 시조묘의 위상을 대치시켰다. 더 나아가 중대 초에는 중국적 예제의 도입 속에 새로운 ‘先’이자 태조로 星漢을 추존하였고, 중대 말에는 성한을 대신하여 金姓으로써 始登之王한 味鄒王을 시조로 삼아 오묘의 수위에 배례했다. 이 과정에서 혁거세가 지닌 건국시조의 근본적인 위상이 상실되지 않았지만, 신라는 김씨 왕권의 확립과 국가 제례의 변천 및 중국적 예제의 도입 그리고 이에 따른 새로운 시조관의 출현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결과 알지와 성한 그리고 미추왕 등이 혁거세를 대치하는 시조이자 국가 제례의 주 대상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는 시조의 다양화가 존재했다.

      • KCI등재

        赫居世 勢力에 의한 斯盧 小國의 形成

        조범환(Cho Bum Hw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8

        본고는 현재 경주 지역 일원에 혁거세 세력이 세운 사로 소국의 건국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신라의 시조로 알려진 박혁거세는 외부에서 들어온 이주민으로서 사로 육촌의 세력을 아우르고 사로 소국을 세울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같은 지역에 들어온 또 다른 이주민인 알영 세력과 연합하여 사로국을 형성하였다. 그들은 새로운 묘제인 목관묘를 조성하여 기존의 사로 육촌 세력과는 다른 존재였음을 드러내었다. 현재 이와 관련된 고고학적 자료가 발견되고 있어 사로국의 건국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고고학적 증거는 사로 소국의 탄생과 관련하여 매우 주목되는 사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박혁거세가 세운 사로국은 한반도에서 소국의 탄생이 어떻게 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제일 잘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 할 수 있다. 사로 소국의 탄생을 이해하게 되면 고구려나 백제의 탄생도 쉽사리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소국 탄생의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혁거세 세력에 의한 사로 소국의 탄생은 한국 고대 국가의 기원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시금 언급되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 This article is about how authorities centered in Pak Hyŏkkŏse developed early state of Saro and meaning of its development. It was recorded that Hyŏkkŏse found state of Saro in 57 B.C., but based on former research, he found it far more earlier, 2nd Century B.C. based on former research. With this perspective, early part of Silla’s Records(or Silla bongi) in Samguk sagi for Pak Hyŏkkŏse‘s founding date of Saro was not incorrect. Hyŏkkŏse and his authorities did not establish state of Saro autonomously but with Aryŏng and their authorities, who were immigrants. This was an noticeable fact related with founding of Saro. Also, they made new memorial service(墓祭), Wooden coffin grave(木棺墓) which was fairly proved by archaeological data. If more related archaeological sources are gathered, those sources must be regarded as an helpful materials to prove establishment of Saro. Saro is one of the outstanding example to demonstrate development of state country. Understanding state of Saro establishment will be signpost of studying foundation of state country, because it will help to figure out Koguryŏ or Paekche’s establishment as well. Referring repeatedly about establishment of state of Saro by Hyŏkkŏse and his authorities will not be overemphasized, for it remarkably showed origin of Ancient Korean Countries.

      • KCI등재

        古代 三國의 始祖觀 成立과 變遷

        김병곤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0 No.29

        삼국 시대 각국이 지닌 시조관은 다양하고 때에 따라 새로운 인물로 대치되기도 하였다. 곧 고구려 시조 朱蒙은 건국시조로서의 위상을 멸망기까지 꾸준히 유지했지만, 백제 시조 溫祚 그리고 신라 시조 赫居世 등은 시대 변천에 따라 시조로서의 사적 위상에 변화가 있었던 것이다. 고구려는 시조 주몽이 지닌 종교적 권위의 완성도(天神과 水神의 결합)가 높았다. 더욱이 시조관이 확립된 소수림왕대의 고구려는 중국의 天下觀과 구별되는 자국 중심적인 고유의 천하관을 소유했을 뿐만 아니라, 고등종교인 불교나 유교 등이 도입되었지만 기존의 시조관에 영향을 줄 만한 새로운 시조 관념이나 제사 체계의 수용은 없었다. 그러므로 주몽이 지닌 시조로서의 사적 위상과 종교적 권위는 멸망기까지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 백제는 시조와 건국자가 兩立되는 점이 주목된다. 중국 정사로서 唐代 편찬된『周書』에는 始國者로 仇台가, 『隋書』에는 ‘先’으로 東明과 시국자로서 구태를 구분하여 기술했다. 『삼국사기』에도 백제 건국의 주인공인 온조를 시조라 명기하였지만, 동시에 온조가 즉위 원년 범부여족의 시조 동명을 모신 東明王廟를 건립했음과 역대 왕들이 이에 拜謁한 기사가 실려 있다. 그런데 중국 기록에는 건국자가 구태로 기록되어 국내 기록과 달라 논란이 많다. 이는 백제 왕실이 실질적으로 인정한 건국자는 온조였지만, 사비시대에 이르러 중국적인 예제의 도입 속에 시조관(太祖觀의 도입)의 변화와 더불어 일시적으로 구태가 새로운 시국자로 설정되었던 결과이다. 신라는 박씨 집단의 시조인 혁거세를 건국시조로 삼아 그를 모신 始祖廟를 설치하고 치제하였다. 그러나 이후 김씨 집단이 왕권을 확립하고, 김씨 시조 閼智를 모신 神宮을 설치하여 기존 혁거세와 시조묘의 위상을 대치시켰다. 더 나아가 중대 초에는 중국적 예제의 도입 속에 새로운 ‘先’이자 태조로 星漢을 추존하였고, 중대 말에는 성한을 대신하여 金姓으로써 始登之王한 味鄒王을 시조로 삼아 오묘의 수위에 배례했다. 이 과정에서 혁거세가 지닌 건국시조의 근본적인 위상이 상실되지 않았지만, 신라는 김씨 왕권의 확립과 국가 제례의 변천 및 중국적 예제의 도입 그리고 이에 따른 새로운 시조관의 출현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결과 알지와 성한 그리고 미추왕 등이 혁거세를 대치하는 시조이자 국가 제례의 주 대상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는 시조의 다양화가 존재했다.

      • KCI등재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김선주(Kim, Sun-joo)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알영은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시조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신라의 건국신화에서 알영은 혁거세 못지않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알영은 독자적인 탄생담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혁거세와 함께 二聖으로 칭해졌다. 나아가 건국시조를 시조모가 낳았다고 하는 다른 계통의 전승에서는 오히려 알영이 혁거세 보다 더 부각되어 있다. 이는 신라의 건국과정에서 알영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건국신화에 실려 있는 독자적인 탄생담이 실려 있는 경우 시조 전승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알영 역시 신라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 유력 집단의 시조 전승으로 이해하였다. 지금까지 알영은 閼智를 시조로 하는 김씨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여기서는 신라사 초기에 왕위를 점유했던 소위 ‘박씨(朴氏)’로 표현되어 왔던 세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나아가 이들 ‘박씨’로 표현되었던 세력은 신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6村(部)가운데 하나인 高墟村(沙梁部)과 관련이 있으며, 《三國志》 진한조에 거론된 사로국의 실체가 바로 고허촌(사량부)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신라사에서 초기 왕계에 등장하는 소위 ‘박씨’로 표현되었던 집단은 경주를 기반으로 한 사로국의 지배세력이었다. 알영은 이 사로국 단계에서, 당시 지배 세력이었던 소위 ‘박씨’ 세력이 시조로 인식했던 존재였다. 그러나 사로국과 인근 주변 소국들이 흡수 통합되고 고대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집단의 시조 전승은 건국신화에 포괄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혁거세’를 시조로 하는 신라의 건국신화가 형성되었고, 신라의 모체인 사로국의 시조였던 알영은 신라의 건국신화 속에 포용되면서 시조비로 편제된 것으로 이해했다. In the founding myth of silla, Aryeong is hailed as the queen of Hyeokkeose(赫居世, founding king of Silla), but is of great importance. She has her own birth myth and with Hyeokkeose had called one of the two sage of Silla. In other founding myth in which dynastic founder was born by his mother, Aryeong is more magnified than Hyeokkeose is. This demonstrates that Aryeong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early stage of the Kingdom’s founding. From the fact that each birth myth in the founding myth is related to progenitor transmission, I interpreted Aryeong as a progenitor of a powerhouse that played significant roles during foundation of Silla. The earlier studies understood Alyeong in relation with the Kim clan whose progenitor is Alji(閼智). However this res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her relation with the group of the Park(朴) clan who monopolized the throne in early Silla. And also I examined that the park clan was closely connected with Goheochon which was one of the six villages in founding myth of Silla and was the substance of Saroguk, the leading chiefdom in Gyeongju area before the power leaded by Hyeokgeose was gathering strength. This paper will argue that Areong was the progenitor of Saroguk, but since Saroguk and other little chiefdoms were integrated and developed to ancient kingdom, in the founding myth of Silla, Hyeokgeose who represents progenitor transmission of each tribe was portrayed as the founding king of Silla and Aryeong who was the progenitor of Saroguk as his queen.

      • KCI등재

        신라 娑蘇(仙桃聖母) 神話의 변화와 國家祭祀

        이장웅(Lee, Jang-woo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신라 상고기 始祖廟 제사 시기에는 여러 계통의 시조신화들이 발생하였는데, 특히 6촌장 天降 신화에 혁거세, 알영 신화가 연결된 모습의 건국신화가 중심이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시기 신라는 辰韓의 6개 집단이 결집하여 왕을 共立하여 건국되었다는 사실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娑蘇는 여러 시조신화들 중의 한 주인공이면서 織羅와 관련된 신성성을 지닌 존재로, 牟梁지역에 위치한 西述(仙桃山)을 그 근거지로 하고 있었다. 그 신화의 내용은 儒理王代 6部 王女들이 麻布를 짜던 행위, 阿達羅王代 迎日縣 지방의 都祈野에서 細烏女가 짠 細綃를 天祭의 제물로 사용한 점으로 보아, 이와 비슷한 여성신화로 존재했을 것이다. 신라 상고기 말에는 始祖母 娑蘇가 初生했다는 혁거세 신화의 현장인 奈乙에 神宮이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지방 제사권을 통합하였다. 이에 따라 이전에 6촌장 天降 신화에 혁거세, 알영 신화가 연결되었던 모습의 건국신화가 娑蘇(仙桃聖母) 신화를 매개로 하여 始祖母가 始祖를 낳았다는 건국신화로 재편된 것으로 보았다. 이는 신라가 6부 연합 체제에 의한 국가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이행된 면모가 반영된 것이다. 三祀(大 · 中 · 小祀)의 위에 있는 최고의 국가제사로 天地神을 모신 신궁 제사에서 사소는 혁거세, 알영과 함께 配位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사소의 거처인 仙桃山의 위상도 中祀 五岳 중 西岳의 위상을 가졌다. 하지만 중고기 말 眞平王代 이후로는 불교의 융성으로 인해 娑蘇(仙桃聖母)가 불교와 융화되어 佛殿을 만드는데 財力을 제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그 위상이 점차 약화되기 시작한다. 신라 중대에는 중국식 宗廟制인 五廟制가 시행되면서 그 太祖로 少昊金天氏에서 연원한 金姓始祖인 星漢이 설정되어, 박혁거세 중심 건국신화의 위상이 약화되었다. 이에 따라 사소(선도성모)의 출자도 중국 帝室의 딸로 변형되었으며, 그 제사에서의 위상도 小祀에 속한 山神으로 약화되었다. 도교와 융화되는 모습도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文武王을 낳은 文明皇后 文姬의 오줌 설화가 일어난 배경으로 仙桃山이 등장하고, 경명왕 때에는 선도산 神母가 西岳大王에 책봉되며, 고려 왕실의 신화에도 오줌 설화 요소가 차용되는 등 그 신화적인 신성성은 후대에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 고대 시조신화를 통해 본 성별관계와 권력관계의 상관성-신라와 고구려의 비교-

        김현정 한국고대학회 2019 先史와 古代 Vol.- No.60

        본고는 국가 시조신화에 반영된 신라와 고구려의 성별관계와 권력관계를 살펴보고, 그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 시조신화 내용에서 성별관계와 권력관계, 여성관과 타인관은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의 시조신화에서는 출현시기와 상징성에 있어서 왕인 혁거세와 왕비인 알영의 신격 수준이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이는 신화기록상 혁거세 출현 이전에 선주하고 있었던 6촌장에게도 신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경주 동쪽 지역에서 발견된 3기의 비석에는 6세기 초반까지 신라 6부의 장들이 왕과 함께 통치주체세력으로서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시조신화에 6촌장들의 천손신화가 포함되게 한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한다면, 시조신화에서 알영의 위상 역시 신라 지배층 여성의 역사적 실재 지위를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고구려의 경우, 시조신화 상 여성주인공격인 유화는 첫 등장부터 권력관계로서의 젠더관계, 즉 주체로서의 남성과 객체로서의 여성이라는 관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유화는 지상계에서 인간들을 처음으로 마주할 때 이미 엄한 아버지 하백으로부터 받은 징벌의 흔적을 낙인처럼 지닌 채 손상된 신격을 보였다. 어머니 유화의 발휘되지 못한 신성성에도 불구하고, 주몽은 신성혈통을 증명하듯 신이한 옆구리 탄생­난생­급속 성장­출중한 재능 발현을 거쳐 성장한 후 영능의 힘으로 부여를 탈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성함을 표출하는 데 있어 이러한 성별간의 비대칭적 관계는 신화에서 해모수와 하백, 주몽과 송양왕 관계에서도 드러났다. 각자의 신성함의 정도는 객관적인 능력의 나열이 아닌, 경쟁적인 대결의 행위 속에서 명확한 승자와 패자로 서열화 되어서 표현되었다. 상호관계에 있어서도 신라와 고구려의 신화 내용은 다른 점을 보였다. 신라의 경우, 상호 협력관계가 특징이었다. 알영은 혁거세와 함께 분업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동통치를 수행하였고, 혁거세․알영과 선주민은 양육과 선정(善政)이라는 도움을 서로 받으며 공생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고구려 시조신화에서의 상호관계는 높은 긴장도가 특징이었다. 유화는 해모수­하백­금와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린되는 삶을 살게 되는데, 그 배경적 원인은 부여의 가부장제라고 할 수 있었다. 유화가 신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주몽의 위기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결정적 조력자의 역할 때문이었다. 유화는 살해의 위협을 받는 주몽에게 탈출을 종용하였고, 주몽이 새로운 땅에서 성공적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비둘기를 통해 곡물 종자를 전해주었다. 이 행위를 통해 유화는 모성의 상징이자 생명과 풍요(다산)의 신이라는 위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유화의 유린당하는 전반기의 삶이나 신으로서의 위상을 발휘하는 후반의 삶 모두 남성 가족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유화의 종속적 존재가치는 남성에게 편중된 성별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몽과 고구려 선주민집단 사이에서도 긴장적 경쟁관계가 나타났다. 신화 줄거리상 주몽에게 주변세력과의 평화로운 공존은 염두에 없는 듯 보였다. 새롭게 정착한 고구려에서 주몽은 무력을 통하여 주변세력을 통합해 나갔다. 이는 ‘이주해 온’ 새로운 지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 of Shilla and Goguryeo as reflected in their founding myths, and to confirm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m. The study showed that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as well as the view of women and the view of the other-as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founding myths were closely interrelated. In the founding myths of Shilla(新羅), King Hyeokgeose(赫居世) and Queen Alyoung(閼英) were deified to largely similar degrees in their portrayals in terms of symbolism and date of appearance. In mythological records, this is connected to how deity status was also conferred to the chieftains of the six clan society villages called ‘Yuk-Chon(6村)’, who predated the arrival of Hyeokgeose. The records on the three stele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ju show that along with the king, the leaders of the six political units called ‘Yuk-Bu(6部)’ were also recognized as ruling powers up until the early 6th century. If this historical fact provid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myth of the heavenly provenance of the 6 chieftains were included in Shilla’s founding myth, Alyoung’s status in the founding myth maybe regarded as reflecting the actual historical status of women among the ruling class of Shilla. In contrast, starting from her very first appearance, the treatment of the female protagonist of Goguryeo(高句麗)’s founding myth, Yuhwa(柳花), is blatantly indicative of gender relations as a power relation - with the male as the subject and the female as the object. Furthermore, even when she first came into contact with earthly people, Yuhwa’s divinity was portrayed as being damaged due to the stigma-like vestige of the punishment she received from her harsh father, Habaek(河伯). Despite the failed manifestation of his mother’s divinity, Jumong(朱蒙) performs various heroic feats that appear to demonstrate his divine lineage-such as hatching from an egg laid from his mother’s flank, accelerated growth, extraordinary talent, and his escape from Buyeo by virtue of his supernatural power. This gender asymmetry in how divinity is manifested in the myths is also appar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emosoo(解慕漱) and Habaek, and Jumong and King Songyang(松讓). The degrees of divinity of each of these figures were not expressed as enumerations of objective abilities but as clear distinctions between winners and losers amid acts of rivalrous conflict. The contents of the myths of Shilla and Goguryeo also differ in terms of mutual relationships. Shilla was characterized by relationships of mutual cooperation. Alyoung did co-rule with Hyeokgeose in what is presumed to be a division of duties. Also, Hyeokgeose and Alyoung had a cooperative relationship of co-existence, exchanging help in the form of nurturing and good rule, with the original residents represented by 6 chieftains. Mutual relationships in Goguryeo’s founding myths were characterized by high tension. In the course of her life, Yuhwa was sequentially violated by Haemosoo, Habaek, and Geumwa. The patriarchy of Buyeo may be regarded as the background reason for this. The opportunity for Yuhwa to recover her divine status amid her woeful state arrives via Jumong’s quest to overcome his crisis. Yuhwa urges Jumong, who was being threatened with assassination, to escape. She also sends him grain seeds by way of pigeons so that he might have a successful start in a new land. It is through such actions that Yuhwa gained her status as a maternal symbol and a deity of life and fertility. However, both the violation in the earlier half of her life and the divine status in the latter half of her life are attributable to the male family. Thus, the dependent value of Yuhwa’s existence may be regarded as reflecting male-centric gender relations. A tense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rivalry is also appa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