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이론의 국내 연구 동향과 향후과제 : 최근 10년간 경영학 분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지평기(Pyung-gi Ji),차동옥(Dong-ok Cha) 대한경영학회 2020 大韓經營學會誌 Vol.33 No.2

        본 연구는 리더 구성원 교환관계(Leader member exchange: LMX) 이론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2010년~2019년 9월) 경영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에 출간된 논문 64개를 대상으로 연구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LMX 이론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에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리더십과 조직행동 분야의 주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LMX 연구가 실증 연구이며 이론과 개념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그러므로 LMX 이론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 개념적 연구(conceptual study)의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 또는 서번트 리더십 등 LMX 이론과 기본적 원리를 공유할 수 있는 타 리더십 이론과의 연계와 통합을 통하여 LMX 이론의 지평을 넓혀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LMX 연구에서는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런데 횡단적 연구의 특성 때문에 LMX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내재된 시간 변수가 미치는 영향이 연구에 반영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 LMX 연구설계시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거의 모든 LMX 연구에서 구성원들만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LMX 측정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리더와 구성원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LMX의 관계적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LMX 측정시 리더들로부터도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또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질적자료(qualitative content) 분석을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LMX가 주로 독립변수 또는 매개변수로 활용되었지만 최근에는 LMX가 조절변수 그리고 종속변수로도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가설 설정시 LMX와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LMX가 포함된 가설 설정시 연구 모형에서의 활용에 관한 명확한 이론적 근거(rationale)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의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먼저, 국내 경영학계의 일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분석대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국내의 LMX 연구 전체에 관한 동향으로 간주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또한, 최근 10년 간의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연구 동향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지 못한 한계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대상 논문들의 내용 분석에 중점을 두어, 통계분석 기반의 변수 간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지 못하였다. A leader is one of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members attitudes and behavior.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of leadership is rooted in the premise of differential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and members. LMX theory wa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nearly 40 years ago and has received considerable research attention in the field of management research. A number of comprehensive revi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sults of the accumulated LMX studies overseas. Although LMX research was started in Korea in the 1980s,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effort to critically review the accumulated studies on LMX and to explore agendas for future research. The present study aims to summariz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LMX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overview of LMX studies by reviewing 64 papers published in 6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management over the last 10 years in Kore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ocess proposed by Transfield et al.(2003)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e major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LMX theory began in the 1980s in Korea, and it is still being dealt with as a major research topic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leadership. However, most LMX studies are empirical and relatively few researches are on theory and concep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conceptual stud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LMX research.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broaden the horizon of LMX theory through linkage and integration with other leadership theories, which can be helpful in sharing basic principles with LMX theory, such as transformation leadership or servant leadership. Second, most LMX studies so far have collected data from participants at a certain tim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cross-sectional study, the effect of the time variable inherent in the LMX development and changing process could not be reflected in those researc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a research design for longitudinal study on LMX in the future. Third, LMX measurements have been made by questionnaire only to members except leaders in almost all LMX studies. Thus,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LMX, which must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leader, have not been sufficiently reflected on LMX studies. Thus, future studies should also collect data from leaders when measuring LMX. In additi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hould be us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data collection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inally, although LMX was used primari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or a mediator in the past, LMX has recently been treated as a dependent variable or a moderator. However, in many cases, the rational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other variables was not clearly presented in the hypothesis set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rationale for developing hypotheses with LMX in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may also contribute to serving a guide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future research of the subject for leadership researchers.

      • KCI등재

        드림스타트, 지난 10년의 성장과 향후 10년을 위한 과제

        이상균(Lee, Sang-Gy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9

        2007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드림스타트 도입 10년을 맞아 그간의 변화와 성장을 사회투자전략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헤드스타트와 슈어스타트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 성과와 정책근거에 기반 해 도입된 드림스타트는 아동복지프로그램에서 주요한 공적 전달체계로 자리 잡고있다. 12세 이하 취약계층 아동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해, 아동의 복지를 증진시키며, 불평등 격차를 줄여 취약계층 아동에게 최선의 출발선을 제공하는 것이 드림스타트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상담, 보건, 부모교육, 학습지원, 방과 후 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사례관리접근이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입 이후 실시된 여러 효과성연구는 긍정적인 영향과 개선을 보고하고 있지만, 강력하고 기대했던 성과를 충분히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드림스타트가 애초 달성하려 했던 정책목표를 위해서는 향후 재정지원 확대와 안정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드림스타트 표적 집단인 취약계층 아동 모두가 드림스타트를 이용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불평등과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드림스타트가 고려하고 추진해야 할 향후 과제들을 실천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Dream Start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vestment strategy, and as well a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The program has become a major government welfare program in korea since it was introduced in 2007 as a demonstration project, following research evidence and a sound rationale about the extensive success of Head Start in the U.S. and Sure Start Programme in the UK. The aim of Dream Start is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for the vulnerable children, aged 0 to 12, and their families who are identified using a national administration data record of disadvantaged families with children. In order to promote the vulnerable child’s well-being, to overcome inequalities, and to give every child the best start in life, Dream Start adopted a local, “whole family” approach. Case management services form an essential part of the Dream Start to customize and integrate comprehensive services such as counseling, health care, parenting advice and education, academic tutoring, and after-school activities. Although there has been a general improvement in key factors since its inception, Dream Start has not yet sufficiently shown the strong and hoped-for impact. In the meantime, Dream Start must be given financial expansion and extensive policy supports to get the chance of realizing and evaluating long-term gains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More work need to be done to overcome inequalities and to make Dream Start service more accessible for the most disadvantaged families with children in Korea.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the Dream Start program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포스트팬데믹 시대의 스포츠정책 이슈와 대응전략

        김민규,김승환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5

        포스트팬데믹 시대에 예상되는 스포츠계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대응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델파이조사를 활용하였고,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팬데믹 시대의 스포츠정책 향후과제는 ‘(단기 접근전략)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 ‘(중장기 접근전략) 스포츠와 언택트 산업의 결합’, ‘(중장기 접근전략) 스포츠현장의 데이터 소유권’ 등으로 도출되었다. 향후 과제 별 대응전략은 둘째,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 설치를 위해서는 지역스포츠재단 설치에 대한 조문을 추가해야 한다. 셋째, 스포츠와 언택트 산업의 결합을 위해서는 실감콘텐츠와의 결합, 옴니채널의 구축, IoT 장비의 개발 및 고도화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스포츠현장의 데이터 소유권 확보를 위해서는 민법상 데이터 소유권 인정되어야 하며, 이를 중심으로 교섭단체 및 선수 계약을 논의해야 한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포스트팬데믹 시대에서 스포츠 계열 학계와 스포츠산업계 등에서 방향성 제시는 물론, 스포츠 중심 융합학문간 유기적 결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金鑢文學 연구의 성과와 반성적 검토

        鄭炳浩(Jeong Byeong ho)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The thesis was attempted to present the results and critical review on study of Kim Ryeo’s literature. First, the results on study of Kim Ryeo's literature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at is first period(1980~1989), second period(1990~1999), third period(2000~2009), fourth period(2010~ 2016). In the first period, most of study were study on poetry and biography. In /study on Kim Ryeo's poetry, study on total poetry and each poetry occupied same percentage. Also, the comprehensive method and microscopic method were applied both. Through both method, the whole aspect and detail aspect were revealed. In the study of Kim Ryeo's biography was deduced writer's consciousness and political tragedy. In the second period, we had studied writer, poetry, biography, compilation book. The results of study were increased than the first period, and the study on compilation book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Specially, the study on writer and biography was advanced actively. In the third period, we had studied poetry, compilation book, biography, literary style, diary. Especially, the study on poetry and compilation book occupied most percentage. The study on poetry had accomplished not only increase in quantity but also qualitative progress. Through attempt on diary, studying field was extended. In the fourth period, we had studied biography, compilation book, diary, aesthetics. The study on biography was advanced actively, and the study on diary was progressed deeply. We investigated problems about result of studied field and presented various subjects or vision. That is objectivity of poetry assortment, examination on interrelationship of poetry, sublation on piece analysis of each poetry development of method on poetry analysis, genre on Kim Ryeo's biography, analysis on Kim Ryeo's literary style, inter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style and writer's consciousness, aesthetics of Kim Ryeo's biography, diversified approach on compilation book, the united study on writer. 이 글은 金鑢文學의 연구성과를 통시적으로 정리하여 그 전개양상을 정치하게 파악하고, 분야별로 문제점을 검토하여 향후과제 및 전망을 제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먼저, 김려문학의 연구성과를 네 시기-제1기(1980~1989), 제2기(1990~1999), 제3기(2000~2009), 제4기(2010~현재)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제1기에는 작가론(1편)과 문체(1편)에 대한 연구가 있긴 했지만 한시(4편)와 傳(2편)이 주로 연구되었다. 제1기의 한시 연구는 시세계의 전체를 파악하는 연구와 유형 또는 개별 한시에 대한 연구가 대등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거시적인 접근과 미시적인 분석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김려 한시의 전체적인 면모와 세부적인 측면을 함께 드러내었다. 또한 김려의 문학관과 시세계의 긴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제1기의 김려 전 연구는 작가론의 일 환으로 작가의식을 추출하는 작업에서 출발하여 정치적 비극을 포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런 성과를 토대로 하여 관련기록과의 비교, 서술방식, 작가의식, 문학사적 의의가 종합적으로 다루어져 후속 연구에 튼실한 토대를 제공하였다. 제2기에는 작가론(5편), 한시(3편), 전(3편), 편찬서(4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1기에 비해 전체적으로 연구성과가 증가하였으며, 편찬서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특히, 제2기에는 작가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김려문학에 나타난 근대지향적 작가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문학사적 위상을 설정하였다. 한시 연구는 제1기의 시세계 전반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개별 시집과 개별 작품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2기의 전 연구는 서술, 주제, 야사와의 관련성, 양식적 특징 등 다방면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야사와의 관련성 검토에서 진전된 성과를 이루었다. 제2기에는 편찬서(野史叢書 와 藫庭叢書 )에 대한 연구가 시도됨으로써 연구분야가 확대되었다. 제3기에는 한시(8편), 야사편찬(4편), 전(1편), 일기(1편), 문체(1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한시와 야사편찬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제3기의 한시 연구는 양적 팽창은 물론이고 질적 진전을 성취하였다. <黃城俚曲>, 「牛海異魚譜」 소재 <牛山雜曲>, 「思牖樂府」, 「萬蟬窩賸藁」, <古詩爲張遠卿妻沈氏作> 등 개별 시집과 개별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여기에 시세계 전체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었다. 특히, 연구대상작품의 확대는 물론 비교문학적 검토, 생활사적 접근 등 다양한 분석방식에서 도드라진 성과를 거두었다. 제3기의 야사편찬에 대한 연구는 寒皐觀外史 의 가치, 위상, 체재, 일실작품 그리고 倉可樓外史 의 내용, 편찬의도, 자료적 가치 등 다방면에서 다루어졌다. 제2기의 야사편찬 연구가 편찬의식 파악에 집중되었다면 제3기의 야사편찬 연구는 편찬의식을 중심에 두고 실증적인 측면과 자료적 가치까지 연구의 편폭을 확장하였다. 여기에 비해 제3기의 전 연구는 부진하여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데 머무르고 말았다. 제3기에는 일기에 대한 연구가 시도됨으로써 연구대상이 확대되었다. 제4기에는 전(4편), 편찬서(2편), 일기(1편), 미의식(1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3기에 부진했던 전 연구가 입전인물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접근, 개별작품(琉球王世子外傳)에 대한 연구, 종합적인 검토 등 다방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일기는 장르론적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다. 미의식 연구가 새로운 연구분야로 등장한 반면에 한시연구는 이루어지않았다. 다음으로 김려문학의 연구성과 46편을 한시 연구, 전 연구, 편찬서 연구, 작가론, 문체・일기・미의식 연구로 나누어 분야별로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김려 한시에 대한 연구는 15편으로 1기에 4편, 2기에 3편, 3기에 8편이있다. 김려 시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이고 개별 시집이나 개별 한시에 대한 연구가 11편이다. 김려 시 전체에 대한 연구 과제로는 시세계 분류의 객관성과 시세계 상호관계의 규명을 제시하였으며, 개별 시집이나 개별한시에 대한 연구 과제로는 개별작품 분석의 파편화 지양과 작품 분석의 방법론 모색을 제안하였다. 10편의 김려 전 연구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연구자별로 상세히 검토한 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단량패사」의 장르 규명, 「단량패사」에 나타난 문체 분석, 김려의 전에 나타나는 작가의식과 서술방식의 다양성 검토, 김려 전이 내장하고 있는 미학 또는 미의식 탐색 등이 그것이다. 편찬서 연구는 10편으로 야사총서 연구 6편, 담정총서 연구 4편이다. 편찬의식 파악의 방법, 실증적인 연구, 야사총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담정총서 에 수록된 작가의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향후 과제로 제시하였다. 김려에 대한 작가론 6편

      • KCI등재

        충청유학의 연구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 철학 분야를 중심으로

        이영자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5

        이 논문은 2022년 10월까지 연구된 충청유학(철학계)의 인물별, 주제별 연구성과물 600여 편을 분석해 보고, 향후 충청유학 연구에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충청에 연고를 둔 유학자 중 가장 많이 연구된 유학자는 한원진(65편), 홍대용(60편), 송시열(56편), 임성주(48편), 윤증(46편), 전우(45편) 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연구의 특징은 주로 2000년대 들어 연구가 급증하다 2010년대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다만 한원진과 전우는 2010년대 이후에 연구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에도 연구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현황 분석을 통해 볼 때 충청유학의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진한 연구 분야와 미개척 연구 분야의 집중 연구의 필요성이다. 인물별 연구성과는 위 6인에 집중되어 있고, 그 외 인물들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1~20여 편의 성과물이 전부여서 편향적인 연구 경향이 강하다. 향후에는 미진한 인물의 연구와 더불어 철학계 논문이 한 편도 존재하지 않는 충청 유림도 발굴하여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신진연구인력 양산의 필요성이다. 충청유학의 연구성과는 1990~ 2000년대 절정을 이루다, 2010년대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경향의 배후에는 충청유학 연구자의 고령화와 관련이 깊다. 이에 신진연구연력을 양산할 필요가 있다. 셋째, 충청유학에 대한 관심 및 지원 증대의 필요성이다. 이에 충청유학을 꾸준히 발굴, 연구할 수 있도록 지자체, 연구원, 재단 등의 연구비 지원, 안정된 일자리 제공 등으로 안정된 환경에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충청유학의 현대화 및 융복합 연구의 필요성이다. 최근 들어 충청유학에도 예술적 측면이나, 문화콘텐츠, 인성교육과의 활용방안 등 다양한 측면과 융복합하여 연구되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융복합 방식의 접목과 디지털 방식의 다양한 형태의 연구성과물이 양산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충청유학의 보편화와 세계화로, 충청유학의 글로컬리즘(glocalism) 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사적인 시각에서 검토하고, 세계에 충청유학을 소개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더불어 일반인들도 함께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보편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각도의 활용방안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ore than 600 research status by person and subject until October 2022, and subject with the focus on the philosophic theses regarding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and contemplate on what is the perspective required in the future perspective on the studies of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As a result, from the Confucius scholars who had their basis in Chungcheong up to August 2022, the Confucius scholars who studies the most are in the sequence of Han Won-jin (65 works), Hong Dae-yong (60 works), Song Si-yeol (56 works), Im Seong-joo (48 works), Yoon Jeung (46 works), and Jeon Woo (45 work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ies have drastically increased mainly in the 2000s but displayed gradual decrease after the 2010s. However, the studies are drastically increased after 2010s for Han Won-jin and Jeon Woo that the study is expected to be concentrated. Considering through the analysis on the status of such studies, the future perspective o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is shown as follows. First, it is the need of concentrated studies in the insufficient study fields and un-pioneered study fields. The study outcome for each person is focused on the 6 above-named persons and the studies on these personnel would be the outcome of 1~20 volumes in general that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inclining studies. In the future, the study would be reasonable to discover the scholars in Chungcheong for not having any single thesis for philosophy existing. Second, it is the need of producing new and advanced personnel on its studies. The outcome of studies o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was peaked in 1990~2000s, but it displayed the trend of gradual decrease after the 2010s. In the background of such study tendency, it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high age of researchers for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producing new study personnel in the field. Third, it is the need for increase in interests and support o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steadily discover and study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with the progress of continuous studies under the stable atmosphere by providing subsidies on research expenses by local government, institutions, foundations and others as well as providing steady jobs and so forth. Fourth, it is the need for studies on modernization and convergence and integration of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In recent days, studies have been engaged in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with respect to diversified aspects of artistic approach,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schemes to facilitate with humanities education in addition to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reof, but such efforts have not been sufficient. It requires endeavors to come up with diverse types of study outcomes in digital method along with the linkage of converged and integrated methods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fifth, there is a need for gen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for completing the glocalism of the Chungcheon Confucianism. For this purpose, it requires the review under the global historic perspective and its works to introduce the Chungcheong Confucianism to the world. Furthermore, it also requires to generalize the same for the general public to share and facilitate together. For this purpose, it is deemed to require steady studies on the scheme of multi-dimensional facilitation.

      • 한국 특수교육의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한 소고

        김진호(Kim, Jinho H)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5 특수·영재교육저널 Vol.2 No.2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사적 탐색을 통하여 교육실천학의 한 분야인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과 향후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첫째로는 현재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은 다양한 장애유형과 그와 관련된 독특한 학문 영역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전반적이면서도 이해 하기 쉽게 대학의 관련학과와 학술단체의 현황, 특수교육 기관과 교육 대상자에 따른 현황, 특수교육의 학문 내용에 따른 현황을 제시하였다. 둘째로는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바탕으로 특수교육 연구과 교육 적용과 관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향후 전망과 과제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개별화교육과 통합교육의 접목, 성인생활 준비를 위한 기능적 교육으로써의 전환교육과 직업 교육의 효과적 실행, 사후중재 패러다임의 특수교육에서 예방적 특수교육으로써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다루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특수교육과 관련 학문의 오늘과 내일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of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 South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current trends and research effort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system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core education domains, and life spa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were suggested as challenging issues of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were the integration of personalized education practices and inclusion education, transition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outcomes, and the shift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s.

      • KCI등재

        택견 관련 정책의 쟁점과 향후 과제

        박주현,신종근 국립무형유산원 2021 무형유산 Vol.- No.10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future Taekkyeon-related policy study by searching Taekkyeon-related policies and presenting future tasks through issues of Taekkyeon that have recently emerg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ew of Taekkyeon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s becoming more diverse according to the times. Accordingly, other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re expected to push for the designation of Taekkyeon as a local cultural asset and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has increased. Second,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unify Taekkyeon groups, but the interests of Taekkyeon groups have been formed and remain uncertain and ambiguous.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that internal conflicts and externally conflicts of interest will occur again in the process of future integration discussing. Third, the Taekkyeon-related Support Act, the Traditional Martial Arts Promotion Law, has been enacted, but it is likely to escalate confusion as some Taekkyeon groups insist on enacting the Taekkyeon Promotion Ac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wo policy tasks for Taekkyeon as follows: First, a expansion in the state support system is needed through a shift in perception and away from the original form debate of Taekkyeon. Next, it is to establish policy governance consisting of officials from each government and Taekkyeon group to establish a functional cooperative system.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se policy tasks,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great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y research related to Taekkyeon. 본 연구는 주요 택견 관련 정책을 탐색하고, 그로부터 최근 대두되고 있는 택견의 현안과 쟁점들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택견 관련 정책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무형문화재로서 택견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를 비롯해 다른 지자체에서도 별도로 택견의 시·도무형문화재로서 지정을 위한추진이 예상되며 논란을 빚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택견 단체의 대통합의 시도가 수차례 있었지만, 택견 단체의 이해관계가 형성되어 아직도 불확실하고모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향후 통합의 논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또다시 내외부적으로 갈등과 이해관계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셋째, 「전통무예진흥법」과 같은 택견 관련 지원법이 제정되었지만, 특정 택견 단체가 택견진흥법 제정을 주장하면서 혼란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택견의 두 가지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우선, 택견의 원형 논쟁에서 탈피하고 인식의 전환을 통한 국가지원체계의 확대가 필요하다. 다음에 기능적인 공조체제 구축을 위한 각 정부관계자와 택견단체 관계자들로 구성된 정책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적 과제의 제시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택견 관련 정책연구에 큰 함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초·중등교육법 연구 성과와 과제 -1995년~2016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권순형(Soon Hyoung Kwon)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1

        이 연구는 초·중등교육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초·중등교육법 제정과 관련하여 의미가 있는 사건인 1995년 5.31 교육개혁 이후부터 2016년 8월까지 주요 교육법 학술지 117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교육법과 관련된 연구 주제로는 학교교육을 둘러싼 인적구성원의 법적지위, 권리·의무관계와 관련된 연구주제가 전체 117편의 연구 가운데 62편(53.0%)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관심이 있는 연구주제로 파악되었다. 둘째, 초·중등교육법 연구와 관련된 연구자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대학에 소속된 교원의 경우 전체 117편의 연구 가운데 81편(69.2%)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난 20년 동안 초·중등교육법 연구는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으며, 3년을 주기로 한 분석결과 당대 초·중등교육 분야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를 중심으로 교육법 연구주제가 선정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등교육법 연구의 향후 과제로 초·중등교육법 연구의 필요성, 학교교육 내용 연구의 확대,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수행, 초·중등교육법 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chievement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future task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117 major educational law journals were analyzed from the time of the educational reform of 5.31 in 1995 to August, 2016.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62 subjects (53.0%) of the 117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the legal status,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members around the school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Korea. Second, the distribution of the researcher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research showed that the professor who belonged to the university had 80(68.3%) among the 117 researches. Third, the research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ove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of three - year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al law research is selected mainly on the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current file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제도 5년의 평가와 향후과제

        김동기 ( Dong Ki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6 공공정책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지난 5년을 평가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일차적으로 정책의 이념과 현실이라는 주제로 진단하였다. 즉, 장애인활동지원제도가 추구하는 이념인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현실 간에 어떠한 괴리가 존재하는 지를 일차적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이차적으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급여체계, 본인부담금 및 서비스단가 측면에서 각각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요컨대,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향후과제는 명확하게 자립생활 이념에 입각하여 발전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ast five year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to suggest the next move. For this, Personal Assistance Service was diagnosed primarily by ideology and reality theme of the policy. In other words, it was diagnosed primarily that if there is any discrepancy between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isability and a reality. In addition, it was to diagnosed by each problems on payroll system, co-payments and service price and to suggest future tasks at the secondary stage. In a word, future task o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s to develop on the basis of independent living philosophy.

      • KCI등재후보

        방폐장 유치 주민투표의 정치,사회적 심리와 향후 정책과제 -경주 사례 분석-

        황의서 대한정치학회 2013 大韓政治學會報 Vol.21 No.1

        현대정치는 정치의 힘을 개인 생활의 구석구석까지 침투케 함으로써 정치의 일상화 현상을 초래케 했다. 정치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검증되지 않은 위험성이 높은 정책사안의 경우 정책결정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대다수의 대중이 편익을 보지만, 그에 따라 위험이 있을 지도 모를 시설의 입지를 결정하고자 했을 때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의 입지 선정은 좋은 예) 정책결정이 혼란에 빠지는 것 이다. 정부 수립 이후 최장기 미해결 국책사업이었던 방폐장 입지 선정이 2005년 11월 주민투표를 통해 경주로 결정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폐장 유치와 유치 이후의 제 반 문제들을 바탕으로, 방폐장 유치 관련 설문조사를 경주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 (2008년 12월)하여 방폐장 유치 주민투표에 나타난 정치·사회적 심리를 분석하고 향후의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함이다(이 시기는 한수원 본사 이전 및 관련 정책을 놓고 정치사회적 논란이 거세게 일었던 2010∼2011 이전의 시기로, 비교적 경주시민들의 의견을 차분히 들여다 볼 수 있어 연구의 객관성 확보에 좋은 시기였다. 정치사회적 논란 이후의 후속조사연구를 향후 시행할 예정이다). 방폐장 유치 관련 설문조사에 나 타난 경주시민의 정치·사회적 심리는 다음과 같다. 경주시민들이 방폐장 유치에 찬성한 이유는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크다. 반대한 이유는 다음 세대를 생각해 서와 사고 발생 가능성으로 나타났다. 방폐장 유치에 따른 편익과 수혜로 세수 증대와 직업 창출, 문화 교육 의료복지시설 확충을 들고 있다. 방폐장 유치에 따라 치러야 할 비용으로 사고 발생 등 안전성 문제를 가장 크게 보았다. 특별지원금 사용처에 대해서 는 문화시설, 주민교육·자녀교육 보조금, 의료복지시설에 사용되어야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방폐장 유치 이후 관련 정책의 조정자와 결정자로서 경주시는 경주시민의 지지를 많이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폐장 유치 이후 방폐장 운영 주체로서 한수원 에 대한 경주시민의 신뢰도는 7.57%에 불과하다. 본 연구조사에 나타난 주요 시설물, 특히 위험시설의 입지에 관한 한국형 국민투표제도인 주민투표가 제도화되기 위한 향후 정책과제로는, 정책 당국이 관련 사안을 정책화하고 실행력을 보임으로써 지지도를 제고할 것, 안전성을 담보할 장치를 만들어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것, 정책결정과 정에 시민들을 적극 참여시켜 위험 수용의 대가를 시민들이 직접 느낄 수 있게 하는 정책적 배려, 운영 주체의 지역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적극적 노력 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