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의 한센병사(史)연구의 제측면 : 정책 사조 종교를 어떻게 볼 것인가?

        와쿠라 카즈히로,전종숙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 사회복지역사연구 Vol.2 No.-

        본 논문은 현대 일본의 한센병사연구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와 함께 일본 및 식민지 한센병정책을 되돌 아보며 연구상의 관점과 검토과제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종교복지 사상사적 관점에서 연구방법과 논점을 검토한 것이다. 최근 근대 일본의 한센병사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는 국공립요양소의 강제입소· 평생격리를 추진한 과거의 한센병정책과 국공립요양소에서의 열악한 환자 관리, 즉 국민국가와 환자 간 권력을 매개한 긴장관계란 관점에서 검토되어 왔다. 이전 식민지의 실태규명 등 아직도 남아 있는 검토과제에 대해서는 앞으로 한층 노력이 요구되지만 최 근의 연구동향으로 「한센병문제」와 같이 피해 일변도의 이해를 넘어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보인다. 또한 한센병사연구의 비교적 새로운 조류의 하나로 종교복지 사상사적 관점에서의 연 구이다. 이는 민간요양소의 대부분이 종교관련 시설이었기 때문에 종교인에 의한 환자구제를 종교고유의 사회실천으로서 파악하고 인간관과 사회관의 특징을 동시대의 사조와 상세히 관련지으면서 한센병 구제 활동 사상을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한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Hansen’s disease history research in modern Japan, looks back on leprosy policies in Japan and colonies, discusses research viewpoints and issues, and also examines the research methods and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welfare thought history. The study of Hansen’s disease history in modern Japan has been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state and the patients, with the power alone.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is also a trend in which the question is to be reconsidered beyond the understanding of all-out damage. In addition, as one of the relatively new trends in leprosy history research, there is something to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religious thought history. This is because most of the private nursing homes are religious, so we try to grasp patient’s relief by religionist as a social practice that is unique to religion, and try to elucidate its practical thought in relation to the same age.

      • KCI등재

        일본 한센병문학의 의의와 현재성

        이지형(Lee, Jee-hyung)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6 일본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일본의 대표적 한센병소설 작가 호조 다미오의 삶과 문학을 그의 대표작 『생명의 초야』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한센병문학의 의의와 현재성에 대해 논구한 연구이다. 일본의 한센병문학은 호조 다미오의 소설 『생명의 초야』를 통해서 세상 밖으로 나왔다. 오랜 동안 혹독한 혐오와 차별 그리고 공포의 대상이었던 한센병과 한센병자의 실상에 대한 정보가 당사자의 글을 통해 처음으로 사회로 발신된 것이다. 한센병자의 요양소 격리에 대한 최초의 문학적 자기표현, 소설『생명의 초야』에 대한 가장 적합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한센병자가 사회 밖에서 요양소 안으로 ‘수용’되는 과정은 실은 그가 사회 내부로부터 그 울타리 밖으로 ‘추방’되는 과정 외에 다름 아니다. ‘격리’를 본질로 하는 한센병요양소의 ‘안과 밖’은 이렇게 대극의 의미로 맞물려 있다. 한센병 요양소는 한센병자 당사자에게 이계(異界)이자 미지의 세계다. 체념과 허무는 요양소 격리를 통해 불안과 공포로 증폭된다. 입소 후 직시한 중증 한센병자의 훼손된 신체는 그것이 피할 수 없는 자신의 미래를 의미하기에 전율과 자살 충동을 야기한다. 한센병은 한센병자에게도 결코 인정하고 싶지 않은 타자의 영역이다. 그러나 부정할 수 없는 것은, 한센병이야말로 고뇌의 근원인 동시에 존재를 규정하는 절대조건이라는 사실이다. 그 낯선 타자를 받아들이고 한센병자로서 살아가기까지의 과정을 소설 『생명의 초야』는 담담히, 생생히 그리고 있다. 그 과정은 과거의 삶에 집착해 한센병자를 타자로 바라보던 자신의 ‘인간’을 죽이고 한센병자로서의 ‘생명’을 새로이받아들임을 통해 가능했다. ‘온 몸이 무너져도 좀처럼 죽지는 않는’ 한센병자의 비극적 숙명을 삶의 끈질긴 생명력으로 전화시킨 것이다. 그렇기에 한센병문학은 결코 한센병이라는 ‘특수한 세계’가 아니라 우리 삶의 보편성과 긴밀히 맞닿아 있다. 어떻게든 살아가겠다는 의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고뇌야말로 ‘생명’을 지향하는 모든 이들에게 공통되는 보편적인 삶의 당면문제이기 때문이다. 한센병문학이라는 마이너리티문학의 의의가 결코 왜소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소설 『생명의 초야』는 그간 은폐돼 있었던 한센병 요양소의 초야를 뜨겁게 지새움으로써 한센병문학이라는 새 생명의 새벽을 열었다 Attempts are made in the present paper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and nowness of leprosy (Hansen's disease) literature by reviewing the life and literature of Hojo Tamio (北條民雄), who caught leprosy at the age of 20, through his masterpiece The First Night of Life. This work brought leprosy literature to light in Japan. In his novella, the writer sent Asia a message about the real states of leprosy and lepers who had long been maltreated and dealt with as objects of extreme fear, hatred and discrimination. A literary self-expression about lepers kept in isolation in a sanatorium might be the truest definition of the novella The First Night of Life. The process in which lepers are hunted down to be confined in to sanatoria is no more than a sort of ostracism, from living within society to being forced to exist outside of it. The essential nature of sanatoria for lepers is isolation, signifying the fierce confrontation between insiders and outsiders. A sanatorium is a strange and unknown world for a leper in which his sense of resignation and futility develops into suspense and horror. Immediately after being admitted, he has to face the horrible sight of the impaired bodies of advanced stage lepers, which before would drive him to shuddering and now urged him to commit suicide since he knows it is the unavoidable course he will follow. Leprosy or Hansen's disease was a world that lepers themselves did want to accept under any circumstances. It cannot be denied, however, that leprosy is a source of suffering, and at the same time a condition which absolutely defines the existence of a leper. The events from the moment a leper receives a strange other up to the moment he has lived his life with this stranger are described calmly but vividly in the novella The First Night of Life. Such events are only possible because the leper eventually accepts his life as a leper after killing the part of himself which had persistently stuck to his past life, looking upon lepers simply as others. The tragic fate of lepers whose disease does not kill its host until all parts of the body are totally destroyed is transformed into an insistent life force in the novel. It may therefore be said that leprosy literature belongs not to a particular world at all bu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universality of our lives. This is because our will to live in any way and struggle to find a way to live are common issues for all who endeavor to orient themselves toward life. This is why the significance of leprosy literature, though a minority branch,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The novella The First Night of Life is said to open a new dawn of life for leprosy literature by heating up the first night of life in a sanatorium for lepers who have been set aside behind the curtain.

      • KCI등재

        한센병 강제격리 정책의 전환 요인 : 코크레인 보고서를 중심으로

        김원중(Kim, One-Zoo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1

        한국전쟁 이전 한센병에 관한 정책은 격리 위주의 정책이었다. 1909년 미국선교사들이 부산과 광주, 대구에 나병원을 설립하였고 일제는 소록도에 대규모 요양소를 세웠다. 선교사들이 환자들의 의견을 존중하여 나병원에 수용한 반면 일제는 부랑하는 환자들을 경찰을 통해 소록도에 강제로 수용하는 정책을 폈다. 해방 이후 미군정의 통치가 시작되었지만 한센병 환자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1948년 정부차원에서 환자들이 자활하도록 하는 ‘이상촌 설치계획’을 수립하였지만 강제격리 정책은 유지하고 있었다. 한국 전쟁 동안 유엔민간원조사령부(UNCACK)는 급성 전염병 관리에 중점을 두었고 만성 전염병인 한센병의 관리에는 한계를 보였다. 전후 설립된 유엔한국재건단(UNKRA)은 세계보건기구와 협력하여 1952년 ‘한국의 보건 계획’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였는데 여기에는 한센병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민간영역에서는 1952년 설립된 한미재단(AKF)에 의해 한국의 보건 사업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강제격리 위주의 한센병 정책은 코크레인이 1949년 한센병 치료에 디디에스(DDS)가 효과적임을 밝혀내고 1953년 한국에 DDS가 도입되는 것을 통해 변화를 맞게 된다. 1955년 한미재단 총재인 러스크는 한센병 학자인 코크레인을 초청하여 한센병 정책에 대한 조언을 듣게 된다. 그는 한국의 한센병 관련 시설을 돌아보고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여기에서 한센병 환자의 수를 예측하기 위해 시범사업이 필요함을 주장하였고 한국의 한센병은 가정형이기 때문에 강제격리 정책이 폐기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1963년 2월 9일 전염병 예방법이 개정되어 한센병 환자에 대한 격리규정은 삭제되었고 이어 코크레인이 제안하였던 한센병에 대한 역학조사가 시작된다. 정부는 1964년 9월 한센병 관리 사업을 재정비하였다. 그 내용은 한센병 양성 환자로서 전염성이 높은 자는 예외로 하되 이들도 가능한 한재가치료를 하고 한센병 치유자는 퇴원시켜 사회복귀를 권장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코크레인 보고서는 한센병 강제격리 전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Before Korean war, the main policy of Hansen’s disease was segregation in the institution. After 1909, American medical missionaries established the Hansen’s disease hospital. The Japanase colonial government also made a leprosarium in Sorokdo. In the missionary hospitals, the admission and discharge were decided by the will of patients, but in Sorokdo, the segregation policy was compulsory. After liber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exerted to control the Hansen’s disease, but the policy was to segregate patients in the leprosarium. In 1948,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plan of “Hope Village movement”.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UNKRA)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published “Health Planning Mission in Korea“ which describe the state of Hansen’s disease in Korea. In private sector, American-Korean Foundation(AKF) supported to control Hansen’s disease. Dr. Cochrane succeeded in treating the Hansen’s disease by Diaminodiphenyl Sulfone(D.D.S.) in 1949. The American-Korean Foundation president, Rusk invited Cochrane to control Hansen’s disease in Korea in 1955. Dr. Cochrane made a report, “Leprosy in Korea”. He recommended pilot project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ansen’s disease. And he insisted the end of compuslatory segregation of Hansen’s disease because Hansen’s disease is of house pattern. In 1963,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prohibited the compulsory segregation of Hansen’s disease patients, then pilot project was started. In 1964 by government, the patients with infectivity was recommened treating in home or in hospital, and the healed patients was recommended discharging and returning to community. So the Cochrane’s Report significantly effected the end of the compulsory segregation policy of Hansen’s disease.

      • KCI등재

        일본 한센병소설의 계보와 변천 - 격리와 불치(不治)를 넘어서 -

        이지형 한국일본학회 2016 日本學報 Vol.106 No.-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일본 한센병소설 연구에서 공백으로 남겨진 대표작가 호조 다미오의 주변적 소설들과 그 이후의 다른 작가의 소설 텍스트들을 통시적 관점에서 계보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특히 ‘격리’ ‘단종(斷種)’ ‘불치’라는 한센병자를 둘러싼 실존적 조건들이 전전에서 전후로, 근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그 양상은 한센병소설 속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1930년대에 발표된 초기 한센병소설의 화두인 ‘격리’ 문제, 전전 1940년대를 다룬 소설에서 초점화된 전쟁기 요양소의 억압적 실태, 전후 1950년대 소설에서 문제시된 한센병 관련 법안 개정 문제, 이후 현대 한센병소설의 주제인 차별 없는 인간적 삶의 희구라는 네 항목으로 내용을 나눠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1930년대 호조 다미오의 소설이 요양소 격리의 현실과 한센병자로서의 자신을 수용하는 기로에서 고뇌하는 개인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전시기 40년대를 다룬 소설은 단종, 요양소 내 권력관계, 전시기 강제노동 등 시국과 긴밀히 연동하며 한센병자의 삶을 더욱 옥죄는 요양소의 냉엄한 현실을 매우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현실고발적인 소설은 당국의 검열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전후가 되어서야 발표될 수 있었다. 이어 1950년대 소설은, 치료약이 개발되어 ‘불치’의 굴레로부터 해방되고 민주화된 시대임에도 여전히 ‘격리’ ‘단종’ 정책을 존속시킨 개정 한센병 관련 법안(1953)에 대한 한센병자의 연대 투쟁을 생생히 기록하고 있다. 이후, 현대 한센병소설을 통해서는, 좀처럼 불식되지 않는 사회 차별과 그것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한센병자의 희구와 분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한센병자의 근대는 ‘환자’가 아니라 ‘인간’으로 대우받기 위한 기나긴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불치, 격리, 단종, 차별과 투쟁하며 극복해 온 한센병자의 역사적 신체가 그것을 웅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rom a diachronic viewpoint the texts of the novels by Hojo Tamio, a representative leprosy novelist in Japan, and other authors following him whose works had been left unstudied in the circle of Japanese leprosy novels. In this context, a particular focus is placed on examining how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the lepers who had been ‘isolated’, ‘castrated’, and ‘treated as incurable’ have changed in line with the succession of times from pre- to -postwar periods and from the near-modern to the modern era as well as how these aspec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novels that deal with Hansen's disease. The issues rais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classified in detail into the following four stages: ‘isolation’ which was the topic of the early leprosy novels in the 1930s; oppressing circumstances of the sanatoria for lepers before the war which used to be the focal point of the novels in the 1940s; controversies over the revision of laws related to Hansen's disease which was the subject of debate in the 1950s; and the desperate desire of lepers to live a life worthy of man without discrimination, which has featured as the central question in leprosy novels since then. The outcome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might be said that, in Hojo Tamio's novels describing the reality of lepers in the 1930s who were isolated in the sanatoria, they concentrated upon their inner world as they were immensely troubled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ir ego. However, the wartime novels published in the 40s graphically depicted the cold reality lepers had to face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issues prevailing at the time, such as castration, power games within sanatoria, and forced labor during the war, all of which rather intensified their agonies increasingly rigorously. As a matter of fact, such reality-accusing novels could only be published after they were freed from census by the authorities after the war. Then, the novels in the 1950s maintained vivid records on the joint resistance of lepers against the revised laws related to Hansen's disease(1953), which turned out to retain such policies as ‘isolation’ and ‘castration’ despite the fact that democracy became a reality and leprosy was no longer deemed as ‘incurable’ owing to the invention of remedies. Novels on Hansen's disease that have appeared since then, have shown signs of the desperate wish and fights of lepers who strived to live dignified lives as humans and, furthermore, to counterattack social discrimination that can hardly be dispelled. In a sense, the near-modern age was a stage of the long journey lepers have spent fighting to be treated not just as ‘patients’ but rather as ‘human’ beings. The bodies of lepers themselves eloquently speak of the history of their fights against and victories over incurability, isolation, castration, and discrimination as well.

      • KCI등재후보

        한센병문학과 오키나와

        니시무라 미네타쓰(西村峰龍)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4 No.1

        요즘 한센병자가 창작한 작품이 주목을 받아 한센병문학의 존재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게 되었다. 2002년에는 한센병문학연구에서 쓰루미 슌스케(鶴見俊輔) 등이 [한센병문학 전집(ハンセン病文学全集)]을 편찬하는 등 한센병문학연구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센병문학’은 한센병자가 집필한 문학에 한정되는 경향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실제로 [한센병문학 전집]에는 한센병자가 집필한 작품만 수록되었다. 또한 많은 문학자가 1940년대부터 1960년대 후반에 걸쳐 한센병 요양소의 기관지에서 선평 활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센병자에 관련된 문학자의 선평 활동은 거의 언급되지않았다. 더욱이 미국의 통치를 받아 일본 본토와는 다른 체제 하에 놓인 오키나와의 한센병 요양소에서 이루어진 문학활동은 이제까지 상세하게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한센병 요양소 오키나와 애락원(愛楽園) 기관지 [애락(愛楽)]에서 선평을 담당했던 아쿠타가와상 수상작가 오시로 다쓰히로(大城立裕)의 선평활동을 개관하고, 한센병 요양소 오키나와 애락원의 기관지 [애락]에 실린 미야라 다모쓰(宮良保)의 「갯게(浜蟹)」와 미야자와 시게루(宮澤茂)의 「운명(軍命)」을 분석하여 오키나와 한센 병자의 정체성을 검토하였다. 近年、ハンセン病者の書いた作品に注目があつまり、ハンセン病文学の存在が人[に膾 炙してきている。二〇〇二年には、ハンセン病文学研究においても鶴見俊輔等によって[ハンセン病文学全集]が編纂されるなど、ハンセン病文学研究は飛躍的に進展した。 しかし、その一方で、「ハンセン病文学」はハンセン病者が執筆した文学に限定される傾向も見せ始めている。事実[ハンセン病文学全集]にはハンセン病者が執筆した作品しか収録されていない。 また、多くの文学者が一九四〇年代から一九六〇年代後半までにかけてハンセン病療養所の機関誌で選評を行っていたにもかかわらず、これまで、ハンセン病者に関わった文学者の選評活動については、あまり言及されてこなかった。 また、アメリカによる統治を受け、本土とは別の体制の中に置かれてきた沖縄のハンセン病療養所で行われてきた文学活動についてはこれまで、詳細に言及されてこなかった。 そこで、本稿では、ハンセン病療養所沖縄愛楽園の機関誌[愛楽]で選評を担当していた芥川賞作家大城立裕の選評活動を概観する。その上で、ハンセン病療養所沖縄愛楽園の機関誌[愛楽]に掲載されていた宮良保「浜蟹」、宮澤茂「軍命」を分析し、沖縄のハンセン病者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について検討したい。

      • 재일한국인 한센병환자‧회복자의 인생과 역사: 가인 김하일의 단카 작품을 중심으로

        김귀분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2 No.1

        There are currently 14 sanatoria in Japan (13 national, 1 private). At one time, more than 700 Korean people living in Japan were living in Japan’s Hansen’s disease sanatoria. There was a high infection rate among Korean people living in Japan because the disease is more easily transmitted in areas with poor nutrition and sanitation, and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resulted in a low standard of living for Korean people living in Japan. What, then, was life like for Korean persons in Japan affected by Hansen’s disease living in Japanese sanatoria, when they were both “Korean” and “persons affected by Hansen’s disease”? This exhibit explores these issues through the life and works of the poet Kim Ha Il, who lived at the National Sanatorium Kuriu-Rakusenen for many years. Kim Ha Il passed on his thoughts by composing poems in the traditional Japanese literary style of tanka. In addition to dealing with the fight of Korean residents of Japanese Hansen’s disease sanatoria against the disease, his works strongly convey to us how these people survived harsh conditions as they also battled discrimination and stigma against persons affected by Hansen’s disease and against ethnic discrimination, while also dealing with the repercussion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North and South Korea. Thinking about the paths taken and lives lived by Korean persons in Japan affected by Hansen’s disease, who were forced into a position between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we need to continue to question the compound structure of discrimination in society. 일본에는 현재 전국에 14개 한센병요양소(국립 13개, 사립 1개)가 있다. 일본 국내 한센병요양소에는 가장 많을 때는 700명 이상의 재일한국인이 입소해 있었다. 재일한국인 한센병자의 발병률이 높은 것은 영양 및 위생 상태가 열악한 환경에서 한센병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데다 식민지 지배하의 재일조선인의 전반적 생활수준이 낮았던 것에 기인한다. 과연 ‘한국인’인 동시에 ‘한센병환자’인 재일한국인 한센병환자․회복자들은 일본의 한센병요양소에서 어떻게 살아왔을까? 본고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한센병요양소 구리오 낙천원(栗生楽泉園)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가인 김하일의 인생과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김하일은 일본의 전통적 문학형식인 단가에 마음을 담아 작품을 창작해 왔다. 그의 작품은 한센병요양소의 한국인 입소자는 한센병과의 투쟁뿐만 아니라 한센병환자에 대한 차별․편견과의 투쟁, 민족차별과의 투쟁, 동포 사이의 남북 분단 상황 등과 같은 중층의 가혹한 환경을 헤치고 살아왔음을 강렬히 호소한다. 일본과 한반도의 경계에 놓인 재일한국인 한센병환자․회복자가 걸어온 도정과 삶을 고찰함으로써 현대 사회에 엄존하는 복합차별 구조를 지속적으로 문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우생학, 한센병 그리고 한일 한센병소설 - 동아시아를 이동하는 역사적 신체의 문학표상 -

        이지형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근대국가 일본은 우생사상에 기초에 국민의 신체와 정신을 관리해 장악하려 했다. 그 실현을 위해 우생정책이 시행되었고, 한센병정책 또한 그 일환으로 집행되었다. 표적 한센 병정책은 한센병자의 요양소 ‘격리’와 ‘단종’이다. 식민지 조선의 우생정책과 한센병정책은 다소의 시차를 두고 일본을 좇아가는 형태로 시행되었다. 그래서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 민족개량을 지향하는 방책으로 잡지 『우생』에 대거 참여한 것은 의미심장하다. 한센병문학은 한센병자의 고통과 불굴의 생의 기록이다. 호조 다미오와 한하운은 일본과 한국을 표하는 한센병문학자다. 그들의 신체는 제국과 식민지의 경계를 넘어 동아시아를 부유한다. 호조 다미오 문학의 궁극의 자기응시와 한하운 문학의 자기소외는 대비된 다. 그 차이야말로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메울 수 없는 간극이라 할 수 있다. 그 간극 을 일본 한센병소설에 묘사된 이중의 마이너리티, 조선인 한센병자의 실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속에서 조선인 등장인물은 다양하면서도 전형성을 띠는 양면가치적 성격의 캐 릭터로 조형된다. 피식민자로서 조선인의 가혹한 삶의 현실이 조선인 한센병자의 고난을 통해 표상된다. 이렇게 해협을 넘은 우생학과 한센병문학의 내실은 뒤틀어진 근대의 본질을 한센병자의 신체에 담아 여실히 폭로한다. The modern nation Japan tried to control the body and spirit of the people based on eugenics. To achieve the goal, eugenic policy was implemented and enforced leprosy(Hansen's disease) policy. A typical policy is isolation and sterilization. Eugenics policy and leprosy policy in the Colonial Chosun was strongly influenced by Japan's policy a little later.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many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Chosun aimed to improve the n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magazine Eugenics. Leprosy literature is the record of the pain and indomitable life of leprosy's disease. Hojo Tamio and Han Haun are writers who represent Japan and Korea in leprosy literature. The image of their body was wandering in the Asia beyond the boundaries of empire and colonialism. Feature of Hojo Tamio's work is self-contemplation. Han Haun's work is self-alienation. These differences mean that there is a huge and unbridgeable gap between the Empire of Japan and the Colonial Chosun. We can identify this gap through Japanese leprosy novels which show the reality of Chosun's leprosy patient, who had double minority. In the novels, the character of the Korean people is various and typical and ambivalent. As a colonist, Korean people's life was harsh, and their suffering was expressed in leprosy literary works. Eugenics and leprosy literature in Japan and the Colonial Chosun revealed distortion which was the essence of modernity.

      • KCI등재후보

        재일한국인 한센병환자・회복자의 인생과 역사: 가인 김하일의 단카 작품을 중심으로

        김귀분(金貴粉)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4 No.1

        일본에는 현재 전국에 14개 한센병요양소(국립 13개, 사립 1개)가 있다. 일본 국내 한센 병요양소에는 가장 많을 때는 700명 이상의 재일한국인이 입소해 있었다. 재일한국인 한센병자의 발병률이 높은 것은 영양 및 위생 상태가 열악한 환경에서 한센병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데다 식민지 지배하의 재일조선인의 전반적 생활수준이 낮았던 것에 기인한다. 과연 ‘한국인’인 동시에 ‘한센병환자’인 재일한국인 한센병환자․회복자들은 일본의 한센병요양소에서 어떻게 살아왔을까? 본고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한센병요양소 구리오 낙천원(栗生楽泉園)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가인 김하일의 인생과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김하일은 일본의 전통적 문학형식인 단가에 마음을 담아 작품을 창작해 왔다. 그의 작품은 한센병요양소의 한국인 입소자는 한센병과의 투쟁뿐만 아니라 한센병환자에 대한 차별․편견과의 투쟁, 민족차별과의 투쟁, 동포 사이의 남북 분단 상황 등과 같은 중층의 가혹한 환경을 헤치고 살아왔음을 강렬히 호소한다. 일본과 한반도의 경계에 놓인 재일한국인 한센병환자․회복자가 걸어온 도정과 삶을 고찰함으로써 현대 사회에 엄존하는 복합차별 구조를 지속적으로 문제시할 필요가 있다. 日本には現在、全国に14ヵ所のハンセン病療養所(国立13ヵ所、私立1ヵ所)がある。 日本国内のハンセン病療養所には多い時には700人以上の在日朝鮮人が入所していた。在 日朝鮮人のハンセン病発病率が高いのは、この病気が栄養や衛生状態が悪い場所で発病す る可能性が高く、植民地支配下において生活水準を低く押し下げられていたためである。 果して、「朝鮮人」であり、かつ「ハンセン病患者」である在日朝鮮人ハンセン病患者·回復 者たちはどのように日本の療養所の中で生き抜いてきたのか。本稿ではこれらの課題を、栗生楽泉園に長年暮らす歌人·金夏日の人生と作品を通して考察した。 金夏日は日本の伝統的な文芸作品形式である短歌に思いを託してこれまで作品を作って きた。彼の作品は、ハンセン病療養所の朝鮮人入所者は病との闘いだけではなく、ハンセン病 患者への差別·偏見との闘い、民族差別との闘い、同胞同士の南北分断状況など、過酷な状 況で生き抜いた様を強く私達に訴える。日本と朝鮮半島との間に立たされた在日朝鮮人ハン セン病患者·回復者が歩んできた道のりと生き様を考察し、社会における複合差別構造を引 き続き問い続ける必要性がある。

      • KCI등재

        요양소의 담을 넘어

        이지형(Jeehyung Lee)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8

        본 논문은 1950년대 일본 한센병문학 위기 논쟁의 실체와 진행과정을 한센병문학이 태동된 1930년대부터 5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한센병자 당사자 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한센병문학의 정의, 한센병문학의 소멸 위기 및 사회화 문제에 대해 어떻게 진단, 모색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논쟁의 계보를 살펴보면, 1930년대는 『생명의 초야』의 작가 호조 다미오의 등장과 더불어 한센병문학의 정의 및 의의에 대한 근본적 논의가 촉발되었다. 나문학은 결코 특수한 문학이 아니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나병 없이는 잉태될 수 없었던 한센병문학의 딜레마가 여실히 확인된다. 1953년 나병예방법 개정을 둘러싼 공방 속에 논쟁은 더욱 심화된다. 그 종착점이 1958년의 특집기획 좌담회이다. 좌담회 내용이 실린 두 특집기사, 「문학에의 지향」과 「「문학에의 지향」을 읽고」에서 주목되는 것은 고이즈미 다카유키와 나가카미 게스케이다. 요양소 내부에 여전히 무게중심을 두는 나가카미의 입장에서 ‘세계의 일원이라는 자각’에 기초해 요양소의 담을 넘어 바깥세계를 지향해야 한다는 고이즈미의 주장으로 이동해 가는 과정이 곧 논쟁 전체를 상징적으로 대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ty of the 1950`s Japanese Hansen`s disease literacy crisis and its progress. The main consideration is the discourse of the Hansen`s disease patient parties from the 1930"s until the 1950"s when the Hansen`s literature began.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Hansen`s disease literature, how to diagnose and search for the crisis of extinction and socialization of Hansen`s disease literature. Looking at the genealogy of controversy, in the 1930s, with the emergence of Tamio Hojo, writer of “The Beginning Night of Life,” a fundamental debate about the definition and significance of Hansen`s disease literacy was sparked. Despite the claim that Hansen`s literature is not a special literature, the dilemma of the Hansen`s disease literacy that could not have been conceived without Hansen`s disease is confirmed. The controversy deepens in the struggle over the revision of the ‘leprosy prevention law’ in 1953. Its end point is the special planning symposium of 1958. It is Takayuki Koizumi and Nagakami Gesuke who are attracting attention in two feature articles on which the content of the symposium was posted, “the direction to literature” and “reading 「the direction to literature」”. Because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claim of Koizumi that Hansen’s disease literature should go beyond the walls of the sanatorium to the outside world based on the “awareness of being a member of the world” from Nagakami"s position still centered on the inside of the sanatorium represents the structure of entire controversy.

      • KCI등재

        한일 한센병문학 비교 연구

        안지나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sukahara Toshio’s <Love and Hatred> (1956) and Lee Chung-jun’s <Your Paradise> (1976), how social repulsion of the patients of Hansen’s disease developed in modern Korean and Japanese societies. <Love and Hatred> is about the marriage of a nurse and a recovering Hansen’s disease patient. In the 1950s, Hansen’s disease became a treatable, not an incurable disease in Japan, but Michiko’s husband eventually fails to return to the Japanese society and is frustrated. Michiko tries to infect herself with the disease in the desire to completely assimilate with her husband, who has been driven out of the Japanese society, but the attempt ends in failure. Set in the 1960s, <Your Paradise> depicts the attempt to help the victims return to the social web through a reclamation project that calls for the construction of a utopia for future generations, which is finally frustrated. The two work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reveal the process of forced isolation policies for Hansen’s disease patients and sterilization surgery continuously reproducing hatred and disgust toward the patients in the two countries’ societies and aggravating social repulsion. As a result,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return to the National Sanatorium, a community that can only be entered through ‘infection.’ 이 논문은 각각 쓰카하라 도시오(塚原敏夫)의 「애증(愛憎)」(1956)과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1976)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한센병자의 사회적 배제가 전후 한일 양국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애증」은 간호사와 회복한 한센병자의 결혼을 소재로 가족 사이의 애증을 세밀하게 그렸다. 1950년대 일본에서는 이미 한센병은 불치병이 아니라 치료 가능한 병이 되었지만, 미치코의 남편은 직장에서 한센병자라는 의심을 받고 끝내 사회 복귀에 실패하여 좌절한다. 미치코는 일본사회에서 배제당한 남편과 완전히 ‘동화’되고 싶다는 욕망에 스스로 한센균에 감염되려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한편 『당신들의 천국』은 1960년대를 배경으로, 한센병자의 후손을 위한 이상향 건설을 명분 삼은 개간 사업을 통하여 한센병자를 국민국가 내부에 포섭하고자 하나 사회적 혐오와 배제 때문에 결국 좌절되는 양상을 그렸다. 두 작품은 한센병자를 대상으로 한 강제적인 격리 정책과 ‘단종’ 수술이 표면상으로 끝난 이후에도 양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한센병자를 향한 혐오를 재생산하고 사회적 배제를 강화하는 과정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된다. 한센병자와 그 가족은 공식적으로 격리 정책이 끝난 뒤에도 사회 복귀는 오직 한센병자라는 정체성을 숨길 수 있을 때 가능하며, 그것도 늘 폭로의 위협 속에서 살아야 한다는 사실에 직면한다. 두 작품에서 이러한 사회적 배제와 혐오의 결과 한센병자, 혹은 한센병자와 함께 있고 싶어하는 사람은 오직 ‘감염’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는 ‘질병(감염) 공동체’, 즉 한센병요양소로 돌아가고자 하지만 그 시도 역시 실패로 끝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