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한미군 감축과 한미동맹의 방향성에 대한 분석

        이정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국가안보와 전략 Vol.15 No.1

        Current US-ROK alliance is located on the center of change in the bothaspect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fields. It means that there would be moreand less big room to be adjusted. At the same time, it is not an ultimateresolution to withdraw USFK form South Korea because the geopoliticalunstability of Korean Peninsula is still working. Therefore, the rapid change ofthe US-ROK alliance does not pull out automatically peaceful setting of futureKorean Peninsula, but results in crisis and turmoil. The United States is still the most important alliance to South Korea bothin political and military areas. In the lens of maintaining the US-ROK alliance,current goal of this alliance should work not only for winning the victory butalso for preventing the war itself. For this purpose of the US-ROK alliance,there need an automatic and immediate intervention provision of the US armyin the case of the war in Korean Peninsula. Otherwise, there should be soughtanother possibility to change current US-ROK alliance in the various fields. 현재 한미동맹은 여러 이론적 차원 그리고 동맹을 위한 제반 환경적 요인에서 변화의 요인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 만큼 조정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정세와 세계질서의 변화를 대처해 나가는 데 주한미군의 철수를 전제로 하는 한미동맹의 급격한 조정은 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데 있다. 한미동맹의급격한 변화를 통해 한반도에 평화 구축과 통일여건 조성이 자동적으로생성될 수 없으며 오히려 국내외적 변수로 인해 혼란과 위기를 가져 올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여러 측면에서 미국이 여전히 한국에게 있어 제일 중요한 정치·군사적동맹국인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동맹을 유지한다는 현실적인 차원에서 보면, 한미동맹은 유사시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북한 및 그 동맹국을 격퇴하는 것이 아니라 전쟁 그 자체를 방지하는데 목표를 두어야한다. 전쟁 자체가 한국의 산업기반을 파괴시켜 국제경쟁력을 회복할수 없을 정도로 떨어뜨릴 것이므로 결국 전쟁에서 승리하더라도 그것은말 그대로 상처뿐인 영광이 될 것이다. 따라서 무한경쟁의 시대에서 한국의 성과가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동개입조항과 같은 강제성을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부가하려는 외교적 노력과 함께 보다 신속한 대응을 담보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조치가 불가능하다면 한미동맹의 미래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을 열어놓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미동맹 60년의 성찰: 포괄적전략동맹으로의 변화와 과제

        이수형 육군군사연구소 2013 군사연구 Vol.- No.135

        This article indicates the mostsignificantfacing assignmentwhich should be solved in the process ofchange and development ofROK-U.S.alliance as a comprehensivestrategyalliance,anditssolutioninthefuture.Atthesametime,it helpsreflectingthealliancemarksonhistory sincewemeetthe60thanniversary ofROK-U.S.alliance.In thechanging processofthealliance,mostdistinguished changes are to build ROK-U.S.combined alliance defense system which were carried out in a last cold war period, and to convert the alliance to a comprehensivestrategyalliancewhichwereoccurredinthe21thcentury. Thechangetoacomprehensivestrategyalliancewhichreflectedthe21thcentury nationalsecurity circumstance is the current trend of the time and result of reflecting our nationalstrength extension.As the alliance has developed and changedintoacomprehensivestrategyalliance,purpose,nature,functiontendtobe changedfollowingwiththenew assignmentwhichshouldbesolvedintoday and future.ConsideringtheRepublicofKorea’snationalstrengthgrowth,self-regulation securityandefficiencyofcombinedstrengthintheallianceshouldbewell-balanced. Meanwhile, transition of OPCON(operation control) which is a key to the independentdefense engenders 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Other main assignmentsaretheroleoftheallianceandtheneedofthealliancemanagement astheextensionofactivearea. 이 글은 동맹 탄생 60년을 맞이하여 동맹이 걸어온 발자취를 되돌아봄과 동시에 향후 한미동맹이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변화·발전해 가는과정에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와 그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다.한미동맹 60년의 변화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주목할 만한변화는 지난 냉전시기에 단행되었던 한미연합방위체제의 구축과 21세기에 들어와 동맹재조정을 통해 나타난 포괄적 전략동맹으로의 변화이다. 특히,포괄적 전략동맹으로의 변화는 21세기 안보환경을 반영한 시대적추세이자 우리의 국력신장을 반영한 결과이기도 하다. 한미동맹이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변화·발전해 감에 따라 동맹의 목표와 성격,그리고 역할도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미동맹의 변화는 현재 및 향후 우리가 극복·해결해야 할 새로운 과제를던져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그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한국의 국력신장을 감안한 안보 자율성과 동맹의 연합전력의 효율성을 조화시켜 나가는 가운데 한반도 방위의 한국화를 위해 필수적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문제를 슬기롭게 매듭짓는 것이다.또 다른 주요 과제로는 동맹의 역할과 활동영역의 확장에 따른 동맹관리의 필요성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한미동맹의 재조정에 대한 소고

        윤지원,하정복 육군군사연구소 2014 군사연구 Vol.- No.137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베트남에 대한 군사적 개입 배경과 한국군의 참전 과정과 국내외적 변수를 분석해봄으로써 긴장완화(데탕트) 시기 한반도 안보환경 변화와 한미동맹의 위기관리와 재조정에 미친 영향을 고찰해봄에 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70년 중반까지 한미관계는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북한의 위협, 한미동맹의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와 재조정이 가장 중요한 이슈였다. 1960년대 초 집권한 존슨 대통령은 베트남전쟁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점차 확대했다. 1964년 5월 미국은 국제적 정당성을 호소하면서 ‘보다 많은 국기 프로그램(More Flags Program)’라는 외교정책을 표방하고, 우방국들에게 참전을 요청했다. 이런 한미 양국의 파병 교섭과정에서 한국은 경제적 이익과 미국의 안보공약 강화와 주한미군의 지속적인 주둔 확보 등 안전보장 측면이 중요하게 고려됐다. 베트남 정책에 대한 미국의 변화는 베트남 패망과 ‘닉슨독트린’ 이후, ‘한국 안보의 한국화(Koreanization of Korea Security)’에도 적용됐다. 미국은 동북아시아에서 긴장완화(데탕트)를 유도했지만, 주한미군 감축 과정에서 정치군사적 협력안보와 한반도 위기관리 측면에서 한미동맹의 재조정은 불가피했다. 결과적으로 베트남 파병은 미국의 한국에 대한 안보공약 강화와 군사지원 확대 등 북한의 무력도발과 같은 위기시 동맹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the way in which the period of detente influenced the readjustment of the ROK-U.S. Alliance. In doing so, the process of U.S. military intervention in Vietnam, Korean participation in the war, and other international and domestic factors will be analyzed. Since the early 1960s until the mid-1970s,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ROK-U.S. relations have been the Korean dispatch to Vietnam, the threats of North Korea, and the crisis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Alliance. In May 1964, the U.S. started a new “More Flags Program” which asked for more participation in the war from ally countries, and endeavored to justify the cause of the belligerence. In doing so, a strengthened U.S. commitment to the security of Korea, troop stationing, and economic benefits were important bargaining considerations. A shift in the U.S. stance caused a big change in the ROK-U.S. Alliance, and also affected other international policies regarding Vietnam and the so-called “Koreanization of Korean Security.” The U.S. called for a detente in the Northeast Asia, but the process of disarmament and troops withdrawal from Korea made it inevitable for the two countries to re-control their diplomatic relations. Ultimately, the troops dispatch to Vietnam alerted the importance of crisis management in the Alliance and made a positive impact on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capabilitie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face of the armed provocations of North Kore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미래지향적 동맹을 향한 긴장과 협력

        박선원(Sun-won Park) 역사비평사 2009 역사비평 Vol.- No.86

        The two governments of Seoul and Washington, 2003-2007, seem to have little common ground on the security goal represented by Seoul's establishing the basis of peace arrang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Washington's war against terror justifying the preemptive strike and preventive war concept. Understanding therefore how these two government had cooperated and overcome the gaps in their respective strategic goals of the security policie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ynamics of the security cooperation and conflicts between the Bush administration of the US and the Roh Moo-hyun government of the ROK regarding the issues of the ROK-US alliance realignment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Emphasis is placed upon the Roh Moo-hyun government's capacity to actively absorb the continual initiatives of the alliance realignment suggested by the Bush administ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주한미군 재배치 계획의 배경과 한국의 대응방향

        남창희 세종연구소 2004 국가전략 Vol.10 No.1

        The relocation of the US 2nd Infantry Division south of the Han river is related with internal changes in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and the U.S. strategy to realign its troops on a global scale on the other. The anti-U.S. sentiment that has grown strong since last year as well as an increasing number of complaints about U.S. bases are strengthening the argument for the relocation of 2ID in northern Gyonggi Province, at greater speed than Koreans would have predicted. Though it may be far-fetched to view the backward-deployment of 2ID as a preparation for preemptive attack on North Korea, the North may still interpret the move as a military threat since it will place the troops out of the shooting range of North Korea's field artillery and multiple rocket launchers. In other words, though it was not premeditated, the talk of backward-deploying the USFK may indeed result in increased military pressure on North Korea. Now that the realignment of the USFK seems to be a fait accompli, an effort needs to be made to closely coordinate with Washington to moderate the speed at which the realignment proceeds. Otherwise, it may heighten internal security concerns and damage foreign investment in Korea. Should Washington go ahead with the relocation of 2ID than scheduled, the South Korea-U.S. governments should take seriously the possibility where the realignment is linked with the resolution of the North's nuclear threat and a reciprocal realignment of North Korea military force and thereby an arms control regime is pursued in the Korean peninsula. 2003년에 제기된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는 국내 사회경제적 배경과 미국의 해외미군재배치 전략의 변화라는 두 가지 요인이 결합되어 대두된 것이다. 국내적으로는 주한미군 기지의 수도권 편중, 지역성장도시와의 충돌, 사유공여지 보상의 미비, 기지분산성, 신군사기술과의 비정합성 및 경기북부 지역에서의 훈련피해와 대민사고에 따른 민원의 급증이 그 원인이 되었다. 국외적인 요인으로서는 냉전종식 후 전반적인 미군 병력감축의 과정과 병행된 군사혁신의 진전으로 인한 지상군 해외주둔 소요의 감소와 수송력의 발전에 따라 신속기동대응군의 실제 전력화가 가능해진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덧붙여 냉전종식과 9․11 테러라는 안보환경의 본질적 변화로 대규모 주둔군을 특정 동맹국에 집중하는 것 보다 전세계적으로 소규모 부대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편할 필요가 생긴 것 역시 최근의 미군재배치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다. 북한군의 남침 시 미국의 자동개입의 인계철선 역할을 하는 미2사단의 후방배치는 한반도 군사전략 환경에 적지 않은 변화 요인이 될 것이다. 한국 정부는 유사사례인 일본의 관동계획과 96년의 오키나와 기지조정 선례로부터 교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가능한 한 미2사단의 후방배치가 북한 핵위협의 해소와 한반도 평화구축 이후에 추진되도록 미국의 협조를 요청할 필요가 있다. 만일 미국 자체의 필요에 의해 조기 재배치가 강행될 경우에는 이 문제를 남북한간 군비통제 아젠다로 상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또한 미 공군세력 등의 더 이상의 추가재배치나 감축의 소요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기지주변대책과 한미연합방위체제의 구조적인 안정화 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한미동맹의 재조정과 주한미군 평택 재배치에 대한 고찰

        윤영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신안보연구 Vol.- No.186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nsively examine a measure of development plan pertaining to the relocation of the US forces in Korea to Pyeongteak and the change of the force structure and the role of the USFK and conversion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providing a base where the Korea-US joint defense system supported by the USFK under the Korean military may operate well. With the remaining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 and military threats, the relocation of the USFK to Pyeongteak in 2016 and the confirmation of the delay of the conversion of the wartime operation control, the reinforcement of the efficiency of the New Korea-US alliance system and the reinforced deterrence of North Korea by the two countries of Korea and U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Concerning this issue, the government must expand various support systems so that the Pyeongteak, which will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ain operating base (MOB) introduced as a hub of the USFK. To achieve this, a fundamental composition must take force, wherein Pyeongteak must take an ‘independent’ participation than an objective situation in order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according to the relocation of the USFK and the revision of the ‘Special Pyeongteak Support Act’ enacted as a temporary statute until December 2018. Furthermor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regional development, as well as national security and general Korea-US alliance, the government and the USFK must actively perform the role of ‘cooperative governance’ of sustainable Korean civil-military relations, which covers the Pyeongteak municipal, academic, private, social group, and media.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 주도 하에 주한미군이 지원하는 한미연합방위 체제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는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과 그에 따른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그리고 평택 재배치 현황과 발전 방안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북한의 핵‧미사일과 군사적 도발위협이 상존하는 가운데 2016년 주한미군 평택 재배치 실행과 전작권 전환 재연기가 결정된 상황 하에서 한미 양국의 대북 억지력 강화와 신한미연합체제의 효율성 강화는 가장 중요한 현안 과제다. 이런 측면에서 정부는 주한미군의 허브(hub)로 상정한 주작전기지(Main Operating Base:MOB)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평택지역이 국가안보의 거점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12월까지 한시법으로 제정된 ‘평택지원특별법’ 개정과 주한미군 재배치에 따른 제반 문제 해결을 위해 평택시가 객체적 입장보다 좀 더 ‘주체적’으로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반 조성에 주력해야 한다. 또 포괄적 한미동맹과 국가안보 및 지역 발전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와 주한미군과 평택 시의회·학계·민간 사회단체·언론 등을 포괄하는 지속가능한 민군 협력의 ‘협력적 거버넌스’ 기능이 활발하게 수행돼야 한다.

      • KCI등재후보

        주한미군 재편: 배경, 경과, 그리고 전망

        김일영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3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5 No.1

        최근 한ㆍ미 관계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고, 북한 핵위기 역시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미국은 주한미군 재편 작업을 밀어붙이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 작업은 현재 어디까지 진척되었는가? 그리고 이러한 재편 작업이 한ㆍ미 동맹의 미래에 대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 주한미군 재편작업은 냉전 종식 이후 미국이 해외주둔군 정책을 변화시키는 과정의 일환이라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최근 핵문제로 한반도의 위기가 고조되어 있는 상황임에도 미국이 이 작업을 서두르는 것은 반미분위기에 편승하여 집권한 ‘노무현 정부 길들이기’의 차원과 이라크 전쟁 승리 이후 힘을 얻은 럼즈펠드가 자신의 구상을 밀어붙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ㆍ미 양국은 현재까지 주한미군의 규모, 성격, 역할, 위상 등을 재정의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정도의 합의에 도달했다. 주한 미군은 시간이 문제일 뿐 단계적으로 1만-1만 5천명 정도 감축될 것이다. 성격도 신속기동여단(SBCT)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으며, 장차는 동아시아 기동타격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해외주둔미군기지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은 중추기지로 유지될지 전진작전기지로 격하될지 현재까지는 알 수 없지만, 후자의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할 것 같다. 이러한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보통군대’를 지향할 수밖에 없는데, 그 경우 요체는 국방비 증액이 아니라 그것의 합리적 관리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Why is US government pushing the readjustment of US Forces in Korea: (USFK) under the condition of the deepening crisis of North Korea s nuclear problem? How far is it going? Which implications does it have for the future of ROK-US alliance? The reasons why US government is pushing the readjustment of USFK are two: the taming of Roh s government which could seize the power in the wave of anti-Americanism and Rumsfeld. the Secretary of Defense, is harshly pushing his military doctrine after the early victory of Iraq war, With regard to the scale, the US Ground Force in Korea might be reduced from 28.000 to 15.000 or 10.000. Regarding to the nature, the probability that it will be changed to the SBCT(Stryker Brigade Combat Team) is high. And its role will be enlarged from the bulwark (trip-wire) against North Korea to the RDF(rapid development forces) covering the Northeast Asia region.

      • KCI등재

        북핵 고도화 시대 한일 안보협력-실태 그리고 구심요소와 원심요소-

        박휘락 한일군사문화학회 2018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5 No.-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under the Advanced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tatus and Centripetal and Centrifugal Elements- Park, Hweerhak This paper is written to answer the question why South Korea and Japan cannot cooperate enough to deal with their common threat,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For this purpose, it identifies centripetal elements and centrifugal elements on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applies them to current South Korea-Japan security cooperation level and recommends a few policies for South Korea. It selects common threat, mutual interests and trust as the centripetal elements and international politics and domestic public opinion as the centrifugal elements. As a result, this paper concluded that South Korea and Japan has strong centripetal forces for their security cooperation such as serious common North Korean nuclear threat, high mutual interests by building South Korea-US-Japan combined preparedness and not bad trust between them. However, South Korea and Japan has serious centrifugal forces against their security cooperation such as Chinese opposition and mutual negative domestic public opinion. If both countries want to strengthen their security cooperation, they have to improve their public opinions first.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s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if it wants to protect its people from North Korean nuclear threat. It should try to improve negative emotions of South Korean and Japanese people. It needs to reinforce combined preparedness of South Korea, US and Japan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outh Korea should be very cautious not to provoke China if it pursues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북핵 고도화 시대 한일 안보협력-실태 그리고 구심요소와 원심요소- 박휘락본 논문은 북핵 위협이라는 공통의 위협에 직면해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일본 간의 안보협력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한일 안보협력을 증진시키는 구심요소와 저해시키는 원심요소를 식별하여 한국의 입장에서바람직한 접근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두 개 국가 간 안보협력에 대한 구심요소로는 공통위협, 상호이익, 신뢰성을 선정하였고, 원심요소로는 국제정치와 국민여론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5가지 요소를 한일관계에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한일 안보협력에 관한 현 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구심요소 측면에서 볼 때 한국과 일본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공유하고 있고, 한·미·일 연합대응태세가 강화될 경우 상호이익이 매우 크며, 일본에 대한 신뢰성도 낮지는 않다. 그러나 원심요소 측면에서 볼 때 중국의 적극적인반대를 극복해야할 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강한 반미감정도 만만치 않다. 다만, 북핵 위협이 고도화됨에 따라 구심요소는 더욱 커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따라서 한일 안보협력을 증진하고자 한다면 원심요소 특히 국민여론을 전환하는 것이매우 중요하다. 한국 정부는 북핵 위협으로부터 국가와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하려면 일본과의안보협력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고, 한일 양 국민들의 적대적 여론을 진정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한·미·일 3국 간의 긴밀한북핵 대응체제를 형성해 나가야한다. 다만, 이러한 안보협력이 중국을 자극하지않도록 유의해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