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 :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재미(Yoo, Jae M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중국과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관계에서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완충 역할을 해 줄 수 있는가를 탐색했다. 한국기업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치는 한류, 그 중심에는 한국스타가 있고 스타의 존재 기반은 팬덤이다. 팬덤은 위기 상황에서도 스타에 대한 충성도를 유지한다. 연구에서 팬덤(fandom)은 스타 자체에 애정을 보내는 개인적 자아로서 팬쉽(fanship) 그리고 같은 스타를 좋아하는 다른 팬들과 연대하는 사회적 자아로서 팬덤, 두 의미를 포괄했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이 영향이 개인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으로 완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직접적으로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은 중국소비자의 한국기업에 대한 부정 평가 인지를 증가시키고 이는 한국기업 태도 하락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 갈등 인식과 한국기업 태도 관계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를 확인했다. 정치 갈등 인식은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강할수록 이 효과가 완화됐다. 그러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부정 평가에 대한 인지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를 넘어 팬덤의 역할을 확장 적용하고 그 효과를 실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한류, 한국스타 뿐 아니라 스타 팬덤의 의의와 활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star fandom(or fanship) of Chinese consumers could alleviate the corporate crisis situation caused by political conflict with China. In the study, fandom is defined as containing both of the following meanings: a fanship as a personal self that shows affection and dedication to stars, and a fandom as a social self that solidifies with other fans who like the same star. The result confirms that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s directly and negatively affect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The more Chinese consumers perceive that there is a strong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the more negative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companies is. Second,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increases Chinese consumers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which leads to a decline in attitudes of Korean firms. Third, the results show the buffer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star fandom in relation to corporate management (e.g., crisis situations, attitude formation, etc).

      • 미래성장동력 발굴과 기술혁신정책

        배용호,최지선,송종국,황석원,이우성,박동배,김석관,고분이,윤지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내외적 환경변화로 인해 성장잠재력이 저하되고 주력산업의 국제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차세대 성장을 주도할 새로운 산업군의 선택과 집중 육성이 절실하다. 이에 정부는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이고 차세대 주력산업을 육성할 목적으로 현재 대형 국책사업인 신성장동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09년 5월에는 17개 신성장동력산업 중 R&D 투자가 이루어지는 13개 산업부문에서 62개의 스타브랜드를 다시 발굴, 이들 스타브랜드를 조기 상용화할 수 있는 200개 정책과제를 확정하고 성장동력별 맞춤형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각 분야의 기술혁신 특성을 반영한 기술혁신 전략과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담당할 혁신 체제의 구축 방향에 대한 밑그림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신성장동력사업의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순위에 따른 전략적 투자 방향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이에 본 연구는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효과적으로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62개 스타브랜드를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정책 집중 영역을 발굴하고, 관련 정부 정책에 대한 평가를 통해 기술혁신정책의 보완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먼저 관련 문헌 연구들을 통해 미래성장동력의 도출 기준과 선정방법론, 그리고 선정된 미래 성장동력의 혁신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혁신요소와 기술혁신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연구 문제를 설정한 후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고 연구 방법론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분석방법론을 신성장동력산업 62개 스타브랜드에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13개 대표 스타브랜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스타브랜드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스타브랜드별 10대 핵심 기술혁신정책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성장동력의 발전을 위한 기술혁신정책 발전방향과 연구 성과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방법론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미래기술지수의 추정이다. 한국미래기술지수(Korea Future Technology Index)는 향후 우리나라의 성장을 견인할 미래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하여 기술/업종의 미래성장 잠재력을 평가할 목적으로 고안한 통합 지수이다. 한국미래기술지수의 평가기준으로는 연관 분야 선행연구 분석결과와 내부 연구진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경제 효과, 미래전략성, 기술영향력의 3대 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한국미래기술지수는 개별 산업 차원에서 필요시마다 유망기술/과제 발굴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활용되어 온 우선순위 설정과정을 종합지수의 개념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미래성장동력 후보기술에 대한 지속적이어 미래성장동력 핵심 기술혁신정책 도출을 위한 프로세스의 정립이다. 이를 위해 먼저 스타브랜드별로 선행연구 분석 및 내·외부 전문가회의를 통해 도출한 30개의 잠재적 기술혁신 요소에 대해 산업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를 통해 중요도 평가를 행하였다. 이어 기술혁신요소 관련 정부 정책 격차를 평가하였다. 이때 기술혁신요소별 정책 격차를 점수화하였다. 그리고 기술혁신요소 중요도와 정부 정책 격차가 모두 평균 이상인 기술혁신 핵심요소를 선별하였다. 이어 기술혁신 핵심요소를 자체 개발한 기술혁신 요소/정책 전환 프로토콜 매트릭스에 대입하여 최고 점수 순서로 스타브랜드별 10대 핵심 기술혁신정책 도출하였다. 결론 신성장동력사업의 62개 스타브랜드를 한국미래기술지수를 통해 평가하여 산업별 대표 스타브랜드를 선정했다. 선정된 대표 스타브랜드는 태양전지, 원전플랜트, 스마트 상수도, LED 감성/웰빙 조명, 그린카, U-City, 차세대 무선통신, 차세대 디스플레이, 라이프케어로봇,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바이오의약품, 친환경 안심식품, 게임으로 나타났다. 13대 스타브랜드에 대한 사례 분석 결과, 각 스타브랜드에서 공통적으로 10위 안에 포함된 기술혁신정책은 우수 연구개발 인력 확충 정책, 기업 원천기술 연구 지원 정책, 기초연구 투자 정책, 대학 연구역량 강화 정책, 출연연구기관 연구역량 강화 정책 등이다. 또한 각 스타브랜드의 기술혁신특성 및 정책 격차의 차이를 반영한 차별적인 기술혁신정책 중요도도 파악되었다. 특히 연구지원 인프라 확충정책은 바이오의약품과 태양전지에서만 핵심 정책으로 선정되었으며, 산업클러스터 형성 지원 정책은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스마트 상수도 및 U-City에서만 선정되었다. 특히 U-City는 기술혁신요소 중요도와 정책 격차의 독특성에 근거하여 타 업종과는 확연히 다른 기술혁신정책 중요도를 나타냈다. 정책제언 마케팅/해외 진출 역량 및 세계 표준화 선도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기기술혁신요소 중요도와 정책 격차를 고려한 맞춤형 기술혁신정책의 강화가 요구된다. 기술혁신요소 중요도와 정책 격차를 기준으로 도출한 미래성장동력 산업의 기술혁신 핵심요소는 기초/응용기술을 포함한 내/외부 기술역량 증진, 표준 선도와 시장 확대, 산학연 협력을 통한 융합형 혁신 강화로 대별된다. 이들 기술혁신 핵심요소의 역량 증진을 위해서 기술혁신정책이 질적/양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10대 기술혁신정책은 10대 기술혁신 핵심요소의 역량 증진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책들로 선별되었으나, 실질적으로 기술혁신정책이 미치는 영향은 차별적이다. 상대적으로 이들 정책과 연관성이 낮은 요소를 분석해 내고 이들을 위한 특화된 기술혁신정책의 구상과 적용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술혁신정책이 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서 이 부분의 기술혁신정책 발굴 노력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혁신요소 중요도를 기준으로 SPSS 클러스터 통계 분석을 수행하고 정책 격차 및 기타 혁신특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세 유형을 추출하였다. 세 유형은 선도기술 창출형(태양전지, LED감성/웰빙조명, 그린카, 스마트상수도,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방형 혁신/생산기술 강조형(원전플랜트, 차세대 무선통신, 초경량마그네슘소재, 친환경 안심식품), 지식재산 중시형(로봇, 바이오의약품, U-City, 게임)으로 나뉜다. 세 유형별 기술혁신요소 및 정책 격차 차별성은 기술혁신정책 우선순위의 차이로 나타나므로, 이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의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성과의 정책적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한국미래기술지수를 활용한 미래유망신기술 분석시스템 확립이다. 미래성장동력 풀을 구성하고 주기적으로 한국미래기술지수(KOFTI)를 평가함으로써 미래성장동력으로서의 잠재력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차세대’ 한국미래성장동력 상비군 발굴/관리 체계화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기술혁신 요소/정책 전환 프로토콜을 활용한 기술혁신정책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기술혁신 요소/정책 전환 프로토콜은 특정 산업의 육성에 가장 효과가 큰 정책을 선정하거나 특정 기술혁신정책 시행시 효과가 가장 큰 기술/산업을 선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연관된 혁신요소가 유사한 기술혁신정책들과 차별적인 정책들을 분석하여 정책관계망을 구축함으로써 체계적인 통합 관리와 패키지형 정책수립을 가능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류 속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따른 스타일과 컬러 관련성

        한정아(Chung Ah Han),김시찬(Si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1

        2012년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세계를 강타하며 한류를 세계의 문화로 전파하고, 각광을 받으며, 경이 적인 기록과 함께 인기와 더불어 많은 패러디로 공감을 받았다. 본 논문은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내재되어있는 기존과는 차별화된 한류현상 속 싸이의 이미지 분석으로 스타일과 컬러의 연관성을 조명하였다. 단적으로 표현한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공통적인 “Dress Classy”는 옷은 클래식하게 정통적인 정장 슈트를 입고 “Dance Cheesy”는 춤은 모두가 즐겁게 유행이 될 수 있도록 우스꽝스럽고, 굉장히 가볍게 추는 모습을 전세계인들에게 시각적으로 강하게 어필하였다. 한류스타의 스타일과 컬러의 관련성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기존 한류의 아이돌의 스타일과는 차별화된 유머와 코믹 안에 공존하는 즐거움과 유쾌함이 색채조화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해보았고, 화려한 색감의 부조화의 정장과 반복되는 가볍고 해학적인 몸동작에서 남녀노소를 즐기게 만드는 크로스오버의 포스트모던이즘적인 다양성과 차별성이 가미되어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문헌자료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류 속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모든 장면들을 캡쳐하여 가수 싸이의 이미지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여 독창적인 스타일 및 컬러조화에 관한 배색사례를 연관지어 내용분석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수 싸이는 클래식과 댄디의 이미지컬러 코디네이션으로 정장을 기본으로 한 블랙 포멀슈트를 기본으로 화려한 색채를 가미시켜 우스꽝스럽고, 편안한 감정 속에서 디지털 미디어 시대 속에서 유행에 민감하고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하며, 변화와 유머에 민감한 전세계인들을 매료시켰다. 경쾌함, 편안함, 활기찬, 즐거움과 같은 형용사적 배색이미지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유머와 위트로 많은 패러디와 플래스몹 등 후광효과로 전 세계인들에게 한류현상의 주역이 되어 기존의 주도되고 있던 한류 문화와의 좀더 차별화된 특징을 보이며 강남의 라이프스타일을 흥미와 유모로 구체적이며 보편화하여 상용화하였다. 패션스타일에 관해 가장 많이 고려 되어지는 시각적 디자인 요소인 컬러와의 연관성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관련성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댄디(dandy)와 클래식과 상반되는 이질적 요소를 크로스오버 (crossover)로 교차시키며, 재미라는 코드를 검정의 무채색 중심(neutral color), 밝고 비비드(vivid)컬러들을 매치하여 분리색(separation) 배색을 위주로 전혀 다른 분위기를 어울릴 수 있게 하는 배색기법을 사용하였다.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에는 모던과 클래 식에 밝고 비비드(vivid)한 컬러의 배색을 통해 즐거움이 내재되어 웃음 속에서 가볍고 경쾌한 배색을 완성하였다. 강남스타일은 불황기에 나타나는 대중의 독특한 소비 심리를 정확하게 꿰뚫고, 불안감 등이 원초적 자극을 갈망하는 대중들의 심리를 표현하며, 섹시와 유머에 말춤이라는 복고 요소가 결합되어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들로 투영돼 있다. Singer Psy propagated to the world through the Korean wave cultures around the world to hit the limelight in singing the Gangnam style with many parody of relating Psy & the Gangnam style in 2012. It is causing a lot of sympathy for the Korean culture. The Korean wave in the Psy differentiated image analysis of existing and inherent in the Gangnam style of singer Psy, style and color of the enlightening color harmony and association. Psy expressed Gangnam style which has common clothes in his suit authentic suit, classic dance all enjoyable fashion could be so ridiculous and really look lightly dance. The research method represents style and coordination to the strong visual appeal. The mind set of this dance is ``dress classy and dance cheesy`` Psy shows it doesn`t matter shape, size or K-Pop song choice, it can be done with embrace colourful accessories. Differentiated Post-modernism is shown to the such as crossover style compared to the existing the Korean wave leading Idols` went from the mode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ways. Gangnam Style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the Korean Wave to other countries and expressed by oneself various personality, character, and images through the beauty and fashion coordination color. It is based on the Korean culture and coloration images and airiness, comfort, fun and lively from the same adjectives that everyone can relate to the humor and wit of the world to a lot of parody and flash mob lead to the halo effect. Psy presents Gangnam style such as dandy image correlated with the heterogeneous elements that crossover expresses most about the fashion style is considered the relevance of the visual design elements of color and fin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fun, code-named neutral color to black and match the color of bright and vivid through the separated color coordination by coloration on the basis of fast fashion in the digital media era, and the pursuit of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t has shown to the bright and vivid appearance of color in mixing up the modern and classic styles inherent joy, laughter, and light-hearted from cheerful color scheme was completed. Psy also did not overlook this part of through the music video code two such as sexy and humor. Gangnam style combines humor, sexy and retro as the slack of the public hearing socio-economic consumer sentiment has been projected.

      • KCI등재후보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박혜인,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1 한국소통학보 Vol.15 No.-

        연구는 한국인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소통 스타일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소통 스타일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면과 예로 대표되는 한국 의 소통 문화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격식성과 대인 간 조화 차원을 소통 스 타 일의 하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 두 차원을 다시 세분하여 각각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과 타자체면 높임 격식성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와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세부 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총 20개의 소통 행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탐색적 인자 분 석 을 통해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 차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세 차원이 체면지향성, 체면지향행동, 논쟁성향 및 자기침묵 변인과 갖 는 부분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동반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에서 개발된 기존의 소 통 스타일 척도를 그대로 번역하여 국내 연구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화적 타당성 문제를 극 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논의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and develop a new measure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reflecting unique Korean communicative culture. First, we examined the construct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Second, we identified two major factors, formality and interpersonal harmony. The first dimension had two sub-dimensions, lowering self-face and heightening other-face. The second dimension had also two sub-dimensions, avoiding-conflict and listening. Third, we validated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by relating them with other criterion variables such as sensitivity, face-oriented action, argumentativeness, self-silence, and need for cognition. We proposed one research question and six hypotheses to examine construc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irst, we created a total of 20 statements to measure the four dimensions. After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only three dimensions. They were the lowering self-face formality,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 conflict, and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ing self-fa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face sensitivity and the face-oriented action. Also,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self-silence and argumentativeness.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conflic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sil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rgumentativeness. The need for cognition hadn’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have substantial validity although these dimensions had low explanatory power in a total variance of the factor analysis. In summary, we sought to overcome some cultur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style measures mostly developed in Western culture. Finally, we discussed some of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 KCI등재

        한국 및 한류 스타 이미지가 베트남 여성들의 한국 드라마와 영화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반티뀌민(Thi Que Minh Phan),전범수(Bum Soo Cho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3 No.-

        이 연구는 한국 이미지와 한류 스타 이미지가 실질적으로 한국 영상 콘텐츠인 드라마와 영화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이미지 4가지 요인들 모두가 드라마와 영화와 같이 한국 영상 콘텐츠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전통문화 및 한국 국민에 대한 이미지 평가가 높을수록 드라마와 영화 콘텐츠 이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 스타 이미지가 응답자들의 한국 영상 콘텐츠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한류 스타 이미지는 한국 드라마와 영화 등 영상 콘텐츠 이용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and celebrities’ images on the Intention to watch Korean audio-visual contents among Vietnamese Wome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our Korea and Korean imag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watch Korean audio-visual contents including dramas and movies. Secondly, four Korean celebrities’ imag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watch Korean audio-visual contents including dramas and movies.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Korean and celebrities’ images on the Intention to watch Korean audio-visual contents among Vietnamese Women were confirm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한국문화가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의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4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Korean culture on the Chinese female make up attitude and tries to investigate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ir attitudes toward the imitation of Korean makeup by Chinese female as influenced by their favor of Korean dramas, Korean wave stars, and Korean cosmetic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meet research objective, with the help of researches regarding Korean wave culture, especially Korean drama, Korean wave stars, and Korean cosmetics, three dimensions of respective measurement items are drawn. With these measurement items 4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method were surveyed from April 1 to June 30, 2017. Of these, 407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sion analysis were preformed using SPSS 2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xecuted using AMOS 22.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dimension of Chinese female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imitation of Korean makeup. First, Chinese female had good images of Korean cosmetics and color makeup. The frequency of imitating Korean makeup style, using color makeup, and favoring Korean wave stars can see through the anlysis of monthly expenditure of the cosmetics.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vorability of Korean dramas and Korean wave stars. Finally, it is so important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imitation of Korean wave stars and the image of Korean cosmetics to give rise to an imitation of Korean wave star’s makeup. However,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because of limitation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number of samples. 본 연구는 한류요인과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태도에 의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그 동안 한류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한류와 관련된 메이크업 태도에 관한 연구는 다소 미약한 실정이다. 중국여성들의 메이크업 모방이 한국드라마, 한류스타 그리고 한국화장품에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연예인, 한국드라마, 한국화장품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모방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류문화콘텐츠을 통하여 메이크업 모방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한 뒤, 측정항목을 도출하였고, 중국여성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수집한 설문지 450부 중 최종분석 최종분석에 407부가 사용되었다. 이것은 SPSS /PC22.0을 이용하여 기술적 분석 및 신뢰성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AMOS22.0을 이용해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수인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모방에 한국스타, 한국영화, 한국화장품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스타, 한국영화, 한국화장품의 측정항목의 신뢰성 검정을 통해 향후 중국여성들의 메이크업 모방을 관리해야 할 지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게 되어 메이크업 모방의 향상을 위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

        정갑연,이수희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를 휴먼브랜드로 간주하고, 광고모델로써 휴먼브랜드의 특성인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친밀성, 유사성, 호감성이 중국소비자들의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애착을 가진 중국소비자들이 한류 스타가 광고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해 한국 화장품 기업의 제품, 판매인, 기업 자체 등을 포함하고 있는 진정성을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개월 간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하는 대표적 설문 조사사이트 (http://www.sojump.com)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94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 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의 특성 중 신뢰성, 매력성, 유사성은 한류 스타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문성, 친밀성,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은 한류 스타가 광고한 브랜드 진정성 즉, 제품, 판매인, 기업 진정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광고모델 전략 및 자사 브랜드 진정성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구성-축구 선수 정대세를 중심으로-

        조영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3 No.-

        This study examines South Korean discourses on the 3rd generation of Zainichi by exploring the media representation of Jong, Tae-se. In so doing, it aims at illuminating how the re-configuration of Zainichi Korean subjectivities reveals both the continuity and rupture of colonial and Cold War systems in the 21st century South Korea. Jong is a soccer player born in Nagoya, Japan, and he holds South Korean citizenship through his father but decided to play for North Korea during the 2010 World Cup. Put simply, Jong is a South Korean citizen, a North Korean passport holder, and a Japanese permanent resident.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media discourses on Jong between 2007 and 2013.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Jong-discourse can b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1) as a flexible citizenship, 2) as a living history, and 3) as an ideological battleground. As a sport star, he seems to exemplify a new generation of a Zainichi Korean, who neither belongs to any nation, nor is limited by fixed or essentialist notions of nationality. However, his multiple and contested identities keep him tethered to anti-Japanese and anti-communist issues in South Korea. His presence and representation in the media conjure histories such as colonial and Cold War experiences in South Korea. The analysis of the Jong-discourse shows that the current Korean society is still harnessed by the colonial and the Cold-War memories, wounds and structural remnants. In examining diverse discourses on Jong, this study discusses both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s of Zainichi subjectivities as a tool for de-colonial and de-Cold War imagination in South Korea society.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 월드컵 대회에 북한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스타가 된 정대세 선수에 대한 언론 보도를 분석한다. 정대세는 일본 나고야에서 출생한 제3세대 재일조선인으로서 아버지로부터 한국 국적을 물려받았지만, 월드컵 출전을 위하여 북한 여권을 발급받았다. 2010년 월드컵의 활약으로 정대세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독일, 한국 그리고 일본에서 프로축구 선수로 뛰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 및 생각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정대세는 한국 언론을 통하여 많이 소개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정대세에 대한 한국 언론을 분석하여 주요 담론의 특성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정대세 담론은 유연한 시민권자로서, 살아있는 역사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분쟁의 장으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을 상징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정대세에 대한 한국 미디어의 담론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식민과 냉전의 기억, 상처 그리고 구조적인 잔재가 남아있음을 시사해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대표적 개인으로 정대세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서 한국 사회의 탈식민 및 탈냉전의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비교문학 관점에서 본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 연구 - 한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의 흥부놀부형 설화를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Folktale is an important literary genre that contains cultural elements such as common values ​​and lifestyles of a nation.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literary approach to folktales common to many countries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s well as the literary origin and homogeneity of folktales in each country, Do.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foreigners staying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a country in order to acquire the language of a country well,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are inseparable. Therefore, interes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literary sanctions is increasing, and studies about it are accumula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s a task that should be preceded for cultivation of Korean ability and adaptation to life in Korea not only for Koreans but also for foreigners. The folktale is a universal archetype and universality of the human race. It is a story that the masses co-created and enjoyed,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is simpl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Heungbu and Nolbu'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similar to 'Korea's representative tale' Heungbu and Nolbu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Heungbu and Nolbu' in Korean culture education.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the number of Korean residents in Vietnam and Uzbekistan have increased recently. Theref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Vietnam and Uzbekistan with Korean folktales, we tried to grasp the tales of folk tales such as tradition and creative literatur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litera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Korean folktale education. The stories that are common in many Asi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s are common, universal objectivity, so they can easily relate to each other, but they also reflect different values ​​and specific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folktale is advantageous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accepts it more easily based on commonality with its own culture. It is meaningful that differences provide cultural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이 연구는 문학의 모태가 되는 설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설화는 한 민족의 공통적인 가치관과 생활양식 등의 문화적 요소가 담겨 있는 중요한 문학 장르이다. 특히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 화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은 각 나라의 설화가 가진 문학적 원형성 및 동질성과 아울러 한국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과 독자성을 파악하게 하여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최근 한국어 학습자와 국내 체류 외국인의 증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 나라의 언어를 잘 습득하기 위해서 그 나라의 문화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언어와 문화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문학을 제재로 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그에 관한 연구들도 누적되고 있다. ‘지구촌’이라는 말처럼 현대 세계는 문화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활발한 교류 양상으로 보이며, 단일민족으로 구성되었던 대한민국도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닌 현실에서 다문화적 이해는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한국어 능력 배양과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설화는 인류보편적인 원형성과 보편성을 지니며 대중이 공동 창작하고 향유한 이야기로서 이야기의 서사구조가 단순하므로 외국인 학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설화인 ‘흥부와 놀부’와 비슷한 이야기 체계를 보이는 다른 나라의 흥부놀부 유형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흥부와 놀부’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특징과 아울러 이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흥부와 놀부’의 설화적 의의 및 가치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학습자 수와 체류지 수가 증가한 두 나라,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의 설화를 한국 설화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음성언어를 통한 전승과 창작 문학이라는 설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나라 문학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련성을 밝히며, 한국 설화의 특성과 독자성을 확인하여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한 것이다.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화들은 중심 주제가 공통적으로 드러나 보편성 객관성을 지니므로 쉽게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나라별로 가치관과 구체적인 문화가 반영되어 변별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설화가 가진 이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은 자문 화와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증진시키고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니며, 아울러 차이점들을 통해 문화적 상대성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문화에 대한 각성과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한류 스타 애착 및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이수희 ( Su-hee Lee ),정갑연 ( Gap-yeon Jeong ) 국제지역학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를 휴먼브랜드로 간주하고, 광고모델로써 휴먼브랜드의 특성인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친밀성, 유사성, 호감성이 중국소비자들의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애착을 가진 중국소비자들이 한류 스타가 광고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해 한국 화장품 기업의 제품, 판매인, 기업 자체등을 포함하고 있는 진정성을 인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개월 간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하는 대표적 설문 조사사이트(http://www.sojump.com)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94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 화장품 기업의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의 특성 중 신뢰성, 매력성, 유사성은 한류 스타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문성, 친밀성, 호감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류 스타에 대한 애착은 한류 스타가 광고한 브랜드 진정성 즉, 제품, 판매인, 기업 진정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광고 모델 전략 및 자사 브랜드 진정성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iew Korean Hallyu stars, the advertisement models of Korean cosmetics brands, as human brands in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the attributes of human brands, such as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ttraction, intimacy, similarity and favorable impression, affect Chinese consumers’ affection toward Korean celebrities, and whether such Chinese consumers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the products, sellers, and companies of Korean cosmetics brands advertised by Korean star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ndicated that among the attributes of Korean stars, the advertisement models of Korean cosmetics companies, Chinese consumers’ affection toward Korean stars was positively affected by reliability, attraction and similarity, but not by professionalism, intimacy and favorable impression. Furthermor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ers’ affection toward Korean stars positively affected the authenticity of the brands advertised by the celeb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