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움(Leeum) 삼성미술관의 전시를 통해서 본 한국적 정체성

        김정아(Kim, Jung-ah) 서양미술사학회 201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5 No.-

        본 연구는 뮤지엄과 전시를 통해서 한국적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질문하며, 리움 삼성미술관의 전통 한국미술 관련 전시들을 연구한다. 뮤지엄과 전시를 통해서 담론화되고 가시화되는 ‘한국적 정체성’은 ‘종족성’과 ‘정체성’이 결합된 논의로 접근할 수 있다. ‘한국적’이라는 뜻은 한국이라는 국가, 민족, 지역, 언어 등의 분류기준일 뿐 아니라 그 안에 성별, 세대, 계층, 하위집단 등의 다양한 층위를 품고 있는 개념이다. 이는 기존의 생물학적, 시원적, 규정적인 종족성보다는, 문화적, 현재적, 구성적인 종족성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정체성도 기존의 본질적, 고정적, 정태적, 이상적인 접근으로부터 상황적, 유동적, 동태적, 현실적인 접근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한국미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소박미,’ ‘자연미,’ ‘무기교의 기교’와 같은 담론으로 지배적으로 이어졌는데, 이러한 수렴과정에서 담론의 경합여부와, 그에 대한 이유를 묻게 된다. 리움의 수집, 소장, 건축, 운영, 전시 면에서의 역사와 특징은 ‘리움의 정체성’과 더불어 ‘리움이 만들어내는 한국적 정체성’을 가늠하게 한다. 전통과 현재, 미래가 조우하고, 한국의 고전미술과 국내외의 현대미술이 공존하는 장이라는 점은 리움의 가장 두드러진 정체성이다. 첨단 기술로 최고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모기업 삼성의 이미지와 당대 최고의 명품을 소장하고 전시하는 리움의 이미지는 중첩된다. 리움이 제공하는 절제하며 귀족적인 한국적 정체성은 자유분방하고 대중적인 이미지와는 거리가 있다. ≪세밀가귀: 한국미술의 품격≫전은 삼성미술관들의 전통미술 전시들을 반복, 강화, 총망라한 전시이다. 이 전시는 기존의 한국미에 대한 반대담론이자 대안담론으로서 세밀함, 화려함, 공교함을 주장한다. 이처럼 리움이 사례는 한국적 정체성이 특정한 뮤지엄과 전시의 정체성이 뒤엉켜 있는 경합과정임을 재고하게 한다. This study tackles how Korean identities have been formed through a museum and its exhibitions. The case study of Leeum, Samsung Museum of Art and its exhibitions on Korean traditional art support the following. The notion of ‘Korean identity,’ which becomes ideologized and visualized through museums and exhibitions, can be approached in a combined perspective of both ‘ethnicity’ and ‘identity.’ The term ‘Korean’ is not only categorized under the criteria of the nation, nationality, region, and language, but also is classified under the various strata of gender, generation, class, and subculture. Korean ethnicity should not be implied as a biological, deterministic, and origin-related notion, but rather a cultural, constitutive, and time-condensed one. Likewise, identities should be considered with a situational, fluid, dynamic, and realistic approach rather than the essential, fixed, static and idealistic one. The discourse of Korean beauty has been invariably continued starting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until present time. Korean beauty has been dominantly classified as simple, natural, and artless art. Beneath the process of converging these definitions, there might have been constant clashes of discourses. The identities of Leeum as well as the Korean identities constructed by Leeum have been carved by the histories and features of Leeum collection, architecture, management and exhibitions. The outstanding identity of Leeum is the coexistence of past, present and future, the encounter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global modern/contemporary art. Also, the identity of Leeum is overlapped with the image of its parent company Samsung which is willing to produce refined high-end products with cutting edge technology. Finally, the Korean beauty presented by Leeum is refined, restrained and aristocratic, distancing itself from the liberal and popular image. The exhibition of Exquisite and Precious: The Splendor of Korean Art(2015) is the encompassing result of Korean traditional art exhibitions of Samsung museums. As a counter and an alternative discourse to the dominant view that Korean beauty is plain and sheer, it pursues luxurious, elaborate, and detailed value. Consequently, the study of Leeum shows that the museum and its exhibitions are not simply neutral, ideal, and public devices, but rather a partial, actual, and private battlefield of identities. Korean identities are intertwined in the contesting process of the discourse and representation stemmed from the museum’s exhibi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

        윤초롱 ( Chorong Youn ),문희강 ( Hee-kang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의 개념을 확인하고 제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으로 생활한복 교복만이 언급되었으나, 최근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새로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을 생활한복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적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의 교복으로 확장시키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통해 전통을 반영한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청소년의 선호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고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 평가차원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여중생과 여고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51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 2종을 자극물로 제시하여 이들에 대한 이미지 평가 및 선호태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물에 대해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여 두 자극물이 전통적으로 표현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현대적 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두 자극물 사이의 선호태도를 비교한 결과, 청소년들은 현대적으로 표현된 교복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제품에 대한 미적 이미지 평가 차원을 밝힌 결과, 품위/단아, 편안/실용, 고루/투박, 장식/화려의 네 차원이 도출되었다. 각 이미지 평가 차원이 현대적 표현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을 편안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나 단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인식할수록 현대적이라고 평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 of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may reflect the ima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the images of Hanbok.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 from a modern viewpoint and reflecting i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design, a large portion of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c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dentify adolescents` preferred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is study examined if they prefer modernized Korean image to realistic one. And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dimensions on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at affect their al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were identified as wel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551 female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operatinal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odern expressivity and preferred the school uniform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image with modern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our dimensions, refined/ graceful, easy/practical, stuffy/rustic, and decorative /staring were drawn. It was found that the easy/practical dimensions factor and refined/ graceful factor affected adolescents` perception of modernity in Korean image uniform.

      • KCI등재

        한국적 정체성을 담은 교육용 피아노 작품 창작과 세계화를 위한 제언

        차선희,유승지 민족음악학회 2022 음악과 민족 Vol.- No.63

        외국의 경우 각국의 문화유산을 담은 교육용 피아노 작품 창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자국인이 창작한 작품들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교육용 피아노 작품 창작과활용이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시카고에 소재한 세종문화회는2004년부터 한국 음악적 특징을 담은 교육용 피아노 작품을 지정곡으로채택하는 세종음악경연대회를 진행하여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들에게까지 한국 문화를 소개해오고 있다. 경연대회는 유치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4개 부문으로 구분되어진행되었고, 지난 18년간 이 경연대회의 피아노 지정곡으로 채택된 작품은 총 60곡, 이 작업에 참여한 작곡가는 30명으로 나타났다. 지정곡의분석 결과 작곡가들은 한국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작품을 창작하기 위해한국 전통 민요나 전래동요의 선율을 활용하거나 전통 음계 및 장단을활용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학생의 수준별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작품이 발굴된 것, 한국인뿐 아니라 다양한 국적의 참가자들에게 한국적 정체성을 지닌 작품을 소개한 것은 이 경연대회의 중요한 성과로 여겨졌다. 이에 연구자는 앞으로 국내에서도 한국적 정체성을 가진 교육용 피아노 작품 창작이 활성화되고 세계적으로 우리의 작품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그 개선방안으로 1) 음악경연대회및 급수자격검증시험의 지정곡으로 사용, 2) 교육과정 개선과 인식의 전환을 통한 작곡가 양성, 3)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 교육계가 위와 같은 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마련되고, 한국적 정체성을 담은 교육용 피아노작품들이 세계화되는 작업이 속히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과거 만들기와 미래 발견하기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6 언론과 사회 Vol.14 No.2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에 생산된 한국의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국가 정체성이 글로벌과 로컬의 관계 속에서 재현되고 구성되는 방식을 살펴본다. 먼저 대중음악이 글로벌리제이션 시대에 어떻게 문화정체성의 구성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논의를 하고, 한국의 뮤직비디오가 그러한 문화정체성의 구성양상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상징적이고도 실제적인 갈등의 장으로 작용했음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1990년대에 지배적이었던 뮤직비디오의 내러티브를 네 가지(혼종성 노스탤지어, 모빌리티, 거리두기)로 나누어 해석하고, 시공간적 배경을 추상적인 느낌으로 단순화시켜 재현하는 노스탤지어의 관습적인 사용에서 ‘한국적인’ 정체성이 구현되는 독특한 양식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글로벌하고 미래지향적인 스타일을 차용한 것처럼 보이는 뮤직비디오가 사실은 한국의 현실과 역사적인 조건을 노스탤지어라는 안전망으로 걸러낸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만들어진 과거’와 그를 통해 ‘재발견된 미래’를 드라마적인 기법으로 재현하는 뮤직비디오는, 결국 한국의 역사적 상황에서 기인하는 현재에 대한 불안감과 불편함을 고통 없이 경험하려는 또 다른 표현방식이다. 이러한 정체성 구성이 한국사회 전체의 보편적인 것은 아니지만, 1990년대의 상황에서 ‘한국적인’ 정체성이 대중문화의 영역에서 도전받는 방식을 맥락화한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Since the 1990s Korean popular music has demonstrated an interesting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and the global. Locally produced repertoires in Korea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 per cent of the market until the recent downturn of music industry. This paper deals with how global and national representations in select music videos interact to articulate conceptions of national identity.<br/> Music videos provide a platform where new and old forms of national identities are represented and contested. I apply a diagram of four narratives - nostalgia, hybridity, mobility, and othering - that were prevalent in Korean music videos, which represent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nationalism. A critical analysis of this audio-visual site examines, in particular, the issue of nostalgia. Then, I discuss how the issue in intertwined with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how it contributes to define what 'Korean' music means. I explore exactly how the identity formation is inserted in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and between the local and the global. Regardless of the material dimension comprising the visual and musical representations, te overall feeling constructed by the images in music videos is carefully designed to deliver the familiar - rather than the strange or exotic. In such videos, the collective memory of Korean's nostalgic past replaces any visible symbols of non-Koreannes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nostalgia is nothing but a symbolic space of Korean's desirable, yet non-existent past, a past when modernity peacefully coexisted with individual purity.<br/> Nostalgia in Korean music videos is not exactly about rewinding to the past; rather nostalgia is invented in such a way tha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the past without pain. It is not about longing for a return; rather it is about the desire for something they might have had. In this sense, we invent the past and the future is discovered through the past we invent. What is manifested in the cultural space of the invented past and discovered future is the anxiety to fix the point of identification, whether it is a time or a place, in the turmoil of globalization.

      • 한국적 형태미의 원형(Archtype)에서 선(線)에 대한 연구

        박인창 ( In Chang Park ),고창균 ( Chang Kyun Ko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1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7 No.-

        10,000년간 고유한 역사와 문화유산을 간직한 대한민국은 6.25동란 후 1960년대부터 산업화와 80년대 후반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룩한 저력을 보이며 유구한 우리 고유의 문화를 지속시키고 있다. 삼국시대의 찬란한 유물, 고려청자와 조선의 백자, 목가구, 등에서 우리의 아름다움이 이어져 한국적으로 세계적인 예술인 백남준, 이우환, 박수근 등이 현대에 까지 한국의 미를 알려지게 하였다. 한편으로는 역사드라마 ``대장금``의 대중문화를 시작으로 해서 한류(韓流)라는 세계적인 문화유형을 만들어 가며 우리의 독특한 정서와 문화가 최근 동남아를 시작으로 유럽과 남미까지 지구의 젊은이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이러한 한국적인 문화의 이미지는 중국, 일본과 확연히 다른 문화적인 특징이 있으며, 과거부터 간직해서 내려오는 전통적인 선, 색, 형에 대한 독특한 조형적인 요소가 유유히 전해져 왔기 때문이다.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가 물질적, 정신적으로 어떠한 구성 원리를 내포하고 표출하는지 해석하기 위함이 최근에 여러 분야에서 해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우리 고유의 전통문양의 조형요소 중에서 선에 대한 디자인적 해석으로 한국적 정체성을 짚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의미해석을 통하여 우리고유의 시각 문화콘텐츠 자료로써 활용해 보고자 한다. Retaining the unique history and heritage of 10,000 years of the Korea after the disturbance of industrialization from the 1960s and 1980s to the late Democratic strength achieved at the same time, looks and long lasting is our unique culture. Radiant Three countries era relic, and Coree celadon porcelain and Chosun white porcelain, wood furniture , Korea, and leads us from the beauty of the world`s leading artists as Paik, NamJune, Yi, woohwan, Park, sugeun and became known in modern times to have the beauty of Korea. Other hand, historical drama "Dae Jang Geum ``to the beginning of the pop culture and Wave (韓) to create a world-class cultural types 流 gamyeo our unique atmosphere and culture in Southeast Asia, starting with the latest from Europe and South America and has attracted young people of the earth. These cultural images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distinctly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down from the past to retain the traditional line, color, type elements a unique molding is a leisurely handed down came. Korea`s traditional image of material, mental, and expressed no organizing principle implies that the interpretation intended to have been recently interpreted in many areas. In this paper, the elements of our own modeling of the traditional line, type designed for human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report touched on Korean identity, respective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our own visual culture as an advantage of the content data to evaluate.

      • KCI등재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인경(Kim In-Kyung) 한복문화학회 2008 韓服文化 Vol.11 No.2

        This paper proposes a new strategy differing from those of the Chinese and Japanese by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and identity of Korean fashion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dentity of Korean fashion desig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patterns and methods quite different from the paradigm for conventional Korean traditional costumes. 2. Apart from common western philosophy and culture, Korean philosophy and emotions should be expressed by materials from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3.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sm, 'Korean' fashion design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to make it a global brand. In the new millennium, fashion design brings global competitiveness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based on global commonality and national identity. In order for Korean fashion design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more studies that deal with national history and culture as well as visual arts need to be conducted.

      • KCI등재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 및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강선하(Sun-Ha G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이 글은 한국의 창작국악작품이 어떻게 21세기한국문화의 고유성과 현재성을 알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이성천은 한국의 전통과 한국적인 정체성을 학문적으로 창작적으로 깊이 고민하며 작품세계를 펼쳤던 대표적 작곡가이다. 이성천의 작품세계 중 전통음악적 작품, 자연소재의 작품, 민족주의적 소재의 작품, 문학소재의 작품들은 한국 전통문화와 한국적 정체성과 관련해 문화콘텐츠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작품들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문화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음악문화는 전통음악뿐이라는 고정관념을 넘어, 전통을 기반으로 새로이 창작된 현대적 창작국악작품도 한국문화콘텐츠로서 확고한 역량을 다 할 수 있으리라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Korean newly-composed pieces (Changjak Gukak) can be used as good cultural contents to publicize a characteristic and nowness of Korean cultur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ocusing on the works of composer Seong-Cheon Lee. LEE Seong-Cheon is a typical Changjak Gukak composer who academically and creatively speculated Korean tradition and identity. In his works, traditional ones, natural-thematic ones, nationalistic ones, and Korean literary-thematic ones are the works which have a possibility to use cultural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This study dealt with the fact that newly-composed pieces based on traditional music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expanding Korean cultural conten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 KCI등재

        일반논문 : 최인훈『광장』의 불교 정서적 상징과 구성

        김상수 ( Sang Soo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문학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자아이며 독자는 그 자아에 공명하는 것이 책읽기라 할 수 있다. 최인훈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으로 월남하여 남한에 정착한 작가이다. 한국현대사 자체가 그 삶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하나의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소설의 근간을 이루며, 『광장』은 그것을 대표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 인공이 일제 때 북한에서 태어나 광복 후 남한으로 내려오고, 다시 월북 하여 북한 정치체제를 체험한 후 한국전쟁 때 인민군 포로로 잡혀 있다 가, 휴전 당시 중립국을 선택하여 인도로 가는 배안에서 사라지는 줄거리가 바로 그렇다. 표면적으로는 현대사의 비극과 이데올로기적 사변으로 점철되어 있으나, 한국사의 과정 속에서 살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추적하는 것이 소설의 관념적 얼개를 이룬다. 그 정체성의 한 뚜렷한 면모가 한국 인으로서는 결코 벗어날 수 없다고도 할 수 있는 불교적 정서에 있다. 윤회와 인연, 불교적 수행방식인 소승과 대승, 중론적 사유와 서방정토를 꿈꾸는 것, 결국 ``이 언덕``을 떠나 고해를 건너 ``저 언덕``에 도달하는 반야바라밀다, 즉 도피안의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소설의 내용 과 상징, 그 전개에서 이러한 불교적 정서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그가 추 구하는 정체성의 일면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작품 속에서도 불교적 정서의 흐름을 추적해봄으로써 현대 한국소설의 대표적 전범으로 서 최인훈 소설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the literary piece contains another ego of the author, the reader inevitably resonates that speciality of the author. The novelist Choi, Inhoon is born in North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1936) and fled for refuge to South Korea at the Korean War(1950). He experienced the Japanese imperialism, North Korean Communism and South Korean democratic and capitalistic republic. His younger life and career was built in the middle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o to speak, Korean contemporary historic era is to be a same real time of his life. His life and his novels always pursuit the kind of the identity as a Korean with the traditional values. We could figure out one of this identity, the buddhistic sentiments; samsara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transmigration, metempsychosis), nidana(chain of causation), hinayana(the lesser vehicle) and mahayana(the great vehicle), the Mulamadhyamakakarika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written by Nagarjuna), the Buddhist Elysium(the Western Paradise), Prajna-Paramita-Sutra, etc... When these buddhistic values or symbols reveal to us the literary world of Choi, Inhoon, it is possible to speak that the 『KwangJang(plaza)』 (the novel of Choi) is represented one of the important novel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서브텍스트로서의 상징과 국가적 알레고리

        김용희 ( Kim¸ Yong Hee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1

        본 논문은 봉준호 영화 <기생충>의 영화 재현 형식과 전략을 살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봉준호는 서브텍스트로서의 한국적 정체성과 국가적 알레고리를 통해 영화 주제와 정서에 기여하면서 글로벌리즘과 로컬리즘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봉준호는 장르영화의 관습 속에 서브텍스트로서의 상징과 국가적 알레고리를 심어놓아 왔다. 감독은 그것을 통해 그의 현실주의 영화의 주제를 드러내고 현대사회의 구조적 갈등을 표출해왔다. 이것은 또한 감독의 정치적 무의식을 드러내는 재현방식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영화 <기생충>에서 메인플롯을 둘러싼 메인텍스트가 블랙코미디와 스릴러를 섞어놓은 듯한 장르물로 글로벌리즘의 빈부 계급 문제를 전면화했다면 서브텍스트에서 감독은 가장 한국다운 것, 한국적인 것으로서의 로컬리즘을 전면화하고 있다. 한국만의 먹거리, 과외문화, 라이프스타일과 사회의식, 일본과의 외교문제와 북한의 핵 문제까지. 동아시아 한국이란 국가, 한국인이라는 정체성 안에 깃든 사고와 풍습을 에피소드, 대사를 통해 재현해낸다. 이렇듯 봉준호 영화에서 대사 이면의 감정의 문제, 생각, 동기가 서브텍스트로 상징화되고 기법으로서 알레고리화되면서 영화적 주제는 심화된다. 이것이 봉준호 감독이 영화에 ‘정서’와 ‘감정’을 집어넣는 방식이며 주제를 외면화하는 방식이다. 보편성으로서의 글로벌리즘과 개별성·다양성으로서의 로컬리즘의 상징적 조합이 봉준호 영화의 새로운 리얼리즘, 흥미로운 현실주의 영화를 만들어낸 전략이다. 이것이야말로 리얼리즘과 탈리얼리즘(상징과 알레고리) 사이의 간극을 넘어 대중성과 예술영화미학에 동시에 접근하는 새로운 미학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ormat and strategy of the film reproduction of Bong Joon-ho's film “Parasite”. The result shows that Bong Joon-ho is approaching globalism and localism while contributing to film themes and emotions through his Korean identity as a subtext and national allegory. Bong Joon-ho has implanted symbols as subtexts and national allegory in the customs of genre films. The director has revealed the theme of his realistic film through it and expressed the structural conflict in modern society. It can also be said to be one of the reenactments of the director's political unconsciousness. If the main plot is a genre that seems to be a mixture of black comedy and thriller to bring the issue of the rich and poor of globalism to the fore, in the subtext, the director shows the most Korean and localism as Korean. South Korea's food, tutor culture, lifestyle and social consciousness, diplomatic issues with Japan, and North Korea's nuclear issue. He recreates the thoughts and customs contained in the identity as a Korean, the South Korea of East Asia, through episodes and lines. As such, the problems, thoughts, and motivations behind the lines are symbolized as subtexts and allegorized as techniques in Bong Joon-ho's film, the cinematic theme deepens. This is the way director Bong Joon-ho puts “sentiment” and “emotion” into the movie and externalizes the topic. The symbolic combination of globalism as universality and localism as individuality and diversity is the strategy that created Bong Joon-ho's new realism and interesting realistic films. This is a new aesthetic expression that goes beyond the gap between realism and post-realism (symbolism and allegory) and simultaneously approaches popularity and art and film aesthetics.

      • KCI등재

        최인훈 『광장』의 불교 정서적 상징과 구성

        김상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Because the literary piece contains another ego of the author, the reader inevitably resonates that speciality of the author. The novelist Choi, Inhoon is born in North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1936) and fled for refuge to South Korea at the Korean War(1950). He experienced the Japanese imperialism, North Korean Communism and South Korean democratic and capitalistic republic. His younger life and career was built in the middle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o to speak, Korean contemporary historic era is to be a same real time of his life. His life and his novels always pursuit the kind of the identity as a Korean with the traditional values. We could figure out one of this identity, the buddhistic sentiments ; samsara(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transmigration, metempsychosis), nidana(chain of causation), hinayana(the lesser vehicle) and mahayana(the great vehicle), the Mūlamadhyamakakārikā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written by Nagarjuna), the Buddhist Elysium(the Western Paradise), Prajna-Paramita-Sutra, etc... When these buddhistic values or symbols reveal to us the literary world of Choi, Inhoon, it is possible to speak that the 『KwangJang(plaza)』(the novel of Choi) is represented one of the important novel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문학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자아이며 독자는 그 자아에 공명하는 것이 책읽기라 할 수 있다. 최인훈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으로 월남하여 남한에 정착한 작가이다. 한국현대사 자체가 그 삶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하나의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소설의 근간을 이루며, 『광장』은 그것을 대표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인공이 일제 때 북한에서 태어나 광복 후 남한으로 내려오고, 다시 월북하여 북한 정치체제를 체험한 후 한국전쟁 때 인민군 포로로 잡혀 있다가, 휴전 당시 중립국을 선택하여 인도로 가는 배안에서 사라지는 줄거리가 바로 그렇다. 표면적으로는 현대사의 비극과 이데올로기적 사변으로 점철되어 있으나, 한국사의 과정 속에서 살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추적하는 것이 소설의 관념적 얼개를 이룬다. 그 정체성의 한 뚜렷한 면모가 한국인으로서는 결코 벗어날 수 없다고도 할 수 있는 불교적 정서에 있다. 윤회와 인연, 불교적 수행방식인 소승과 대승, 중론적 사유와 서방정토를 꿈꾸는 것, 결국 ‘이 언덕’을 떠나 고해를 건너 ‘저 언덕’에 도달하는 반야바라밀다, 즉 도피안의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소설의 내용과 상징, 그 전개에서 이러한 불교적 정서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그가 추구하는 정체성의 일면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작품 속에서도 불교적 정서의 흐름을 추적해봄으로써 현대 한국소설의 대표적 전범으로서 최인훈 소설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