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3장 원효의 일심·화쟁사상과 통불교논의

        윤종갑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2

        This thesis took the problem for identity of the Korea Buddhism good through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元曉). It is originality of the Korea Buddhism and a search for the originality as a problem to say that no matter how much the problem will evaluate identity of the Korea Buddhism of no matter how much prescribing character of the Korea Buddhism. In other words originality and the originality nature of the Korea Buddhism considered it mainly on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something or other. Tongbulgyo of Korea Buddhism is caused by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appears Wonhyo’s comment about which scholars have merely admired its significance. It is Ceh Man-Sen to have evaluated a characteristic of the Korea Buddhism in Wonhyo so much. The originality of the Korea Buddhism was Wonhyo, and Ceh Man-Sen insisted on Wonhyo doing a base on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Wonhyo insisted on Tongbulgyo doing a practical tangle Ceh Man-Sen and altercation of all theories by harmony and coexistence together, but it is that this decided tradition and character of the Korea Buddhism. The claim of Ceh Man-Sen becomes the animadversion afterwards until problem and Tongbulgyo today of I of the Korea Buddhism. I can divide it with three classes of a critical viewpoint and a situation of the halfway that is going to total these two people for situation and this in support of Tongbulgyo. In the point of view of the writer, Korea Buddhism was characterized as Tongbulgyo. It is strong for the present and future Korea Buddhism to confirm a homogeneity of the Korea Buddhism lay the foundation. I do the basics in the past and can plan the future now. The homogeneity of genuine Korea Buddhism is a present model modernizing now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hat it is not shut in the past and plans tomorrow newly and practices it. 이 글은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원효의 일심ㆍ화쟁사상을 통하여 살펴 본 것이다. 한국불교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서 한국불교의 독자성과 창조성에 대한 탐색이기도 하다. 즉 한국불교의 독자성과 창의성이 무엇인가를 원효의 일심ㆍ화쟁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흔히 한국불교는 통불교로 규정된다. 이렇게 한국불교의 특징을 통불교로 평가한 것은 육당 최남선이다. 최남선은 한국불교의 독창성은 통불교이며, 통불교는 원효의 일심ㆍ화쟁사상에 바탕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원효는 모든 이론적ㆍ실천적 갈등과 쟁론을 조화와 상생으로 아우르는 일심ㆍ화쟁사상을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한국불교의 전통과 성격을 결정지었다는 것이다. 최남선의 통불교 주장은 그 이후 한국불교의 정체성 문제와 맞물러 오늘날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그것은 통불교를 지지하는 입장과 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 그리고 이 둘을 종합하고자 하는 중도적인 입장 등 세 부류이다. 필자는 한국불교는 통불교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한국불교만의 특징이 아닌 불교의 중도적인 사상에 기인하는 보편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은 현재는 물론이거니와 미래의 한국불교를 위해 굳건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과거를 밑거름으로 하여 현재의 모습을 성찰하고 앞으로 나아갈 미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진정한 한국불교의 정체성은 고정된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끊임없이 새롭게 정초해 나가야 할 현재와 미래의 시대적 실천이다.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 한국불교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초석

        김수아 ( Kim Suah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6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2 No.3

        이 글은 한국불교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논의가 무엇을 세계화할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세계화할 것인가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를 서술하고, 한국불교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초석으로 우리가 최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일로 불교문화사전 작업을 다각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했다. 먼저, 한국불교문화의 세계화를 위해 무엇을 세계화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기존 접근방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불교 문화의 세계화를 위해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과는 달리, 한국불교의 정체성은 한반도에서 한국인들에 의해 흡수되고 사고체계에 의해 이해되고 수행되어 형성된 결과물이라는 점과 세계화란 그 결과물을 한정된 지역이 아니라 세계인들과 공유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그 결과물을 공유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작업이 다양한 불교분야에서의 한영불교문화사전의 편찬이라는 것을 제시했다. 이 글에서 가장 명확히 밝히고자 역점을 둔 것은 세계화란 특별한 현상이 아니 라 2,600년 불교사 자체가 불교사상과 문화의 세계화 과정이었다는 점과 현재 불교국가들이 자국의 불교문화를 전파하는 일도 그 불교사의 연장선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불교문화의 세계화는 시대적 사명이자 의무이고 선택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This paper has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reason why we need a paradigm shift from what to globalize to how to globalize when discuss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t Culture, and then propose driving forward with publishing dictionaries of Buddhist culture from various fields of Korean Buddhism as for the cornerstone of globalizing Korean Buddhist culture that we cause to commence paramount concern. Foremost of all, this paper was examined several previous researching viewpoints that insisted on rebuilding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s for the answer what to globalize Korean Buddhist culture. As the consequence,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researching viewpoints was reveal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is considered outcomes to be made through the formulation process that Buddhism was absorbed in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d by Korean Buddhists in the Korean peninsula since Buddhism was brought out to the Korean peninsula. It was also brought out that we ask to accept a fresh understanding of globalization. The globalization means that the results of the formulation process of Buddhism on the Korean peninsula are shared with global citizens, but not shared with people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is likewise indicated that the most important, pressing, and sustainable job for sharing the outcomes globally is to publish Korean-English Buddhist culture dictionaries from various Korean Buddhist fields. In this report, the most emphasizing and clarifying point is that the globalization in Buddhist world is not present phenomenon, but 2,600 years Buddhist history has been the globalizing process of Buddhist civilization. It is also alleged that today various Asian Buddhist countries that have attempted to conduct their own Buddhist culture and thought are considered its Buddhist historical extension. Therefore, it is stressed that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t culture is not optional, but it is our mission and duty of this era.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명법 ( Myeongbeop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6 No.1

        2002년 한일 월드컵 대회를 계기로 본격화된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은 1990년대 이래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세계화에 의해 추동된 대응 담론의 하나이다. 그것은 글로벌시대에 살아남기 위하여 한국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세계화 기획에 발맞추어 조계종단에서 불교포교를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러나 한국불교의 세계화라는 방향 못지않게 세계불교의 한국화도 존재한다. 1990년대 이래 세계 여러 불교전통이 유입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남아시아 불교전통과 티벳 불교전통의 유입이 두드러진다. 한국불교와 남아시아,티벳불교 사이의 직접 교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발단은 서양에서 불었던 남방불교와 티벳불교의 열풍이므로 이 현상은 지역문화의 상호 교류라기보다 주류문화의 세계화로 해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들 지역불교의 세계 성은 서양에서 형성되고 세계화된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불교가 해외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이지만 한국불교는 이민사회나 미국의 주류 사회에서 소수에 불과하다. 한인 이민사회에서 기독교가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한국불교는 주류사회에서의 불교 붐에 힘입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재외한인에 대한 포교는 한국 인의 정체성 확립과 한국문화의 세계화, 그리고 한국 사회에 끼치는 이민자들의 종교적 사회적 영향력 때문에 소홀히 되어서는 안 된다. 서양의 주류사회에서 불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불교는 숭산 스님의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불교를 서양에 알리기 위해서는 1960년대의 한 사람의 카리스마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서양문화를 이해하고 그에 맞추어 한국불교를 변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미국인 불교지도자들과 세계적인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는 연대를 맺어 지속가능한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중에서 한국불전의 영역사업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 무엇보다 난해한 직역체에서 벗어나 서양인이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 한글로 쓴 법문을 영역하는 것도 대중화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번역 작업이 스즈키가 했던 것처럼 국가주의적 의도로 한국문화를 신비화시켜서는 안 된다. 그것은 한국불교를 왜곡할 뿐 아니라 또 다른 타자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 간화선이며 그것이 우수한 방법이라고 하더라도 그 우수성을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불교의 세계화는 한국불교를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 한국불교가 처한 다종교, 다문화적 상황 속에서 새로운 불교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불교에 하나의 전범이될 수 있다. 전통과 현대, 지역문화와 주류문화가 만나고 충돌하고 혼융되는 세계화의 보편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이 문제의 해결을 통해 한국불교는 세계불교를 위한 롤 모델이 될 수 있다. 그 밖에 서양 대학생을 초청하여 한국불교를 체험하게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비구니승가의 복원이나 환경문제 등의 사안에 대하여 서양불교인들과 연대하는 방법, 간화선 외에 염불, 사경, 예참 등을 소개하는 것이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불교를 세계화하려면 무엇 보다 한국불교 내부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전통과 현대를 조화시키고 다종교·다문화 속에서 불교적 가치를 확립하며, 시대와 소통하는 새로운 승가상 확립이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해 요청되는 선결과제이다. 2002 FIFA World Cup Game initiated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s a counter-discourse of globalization which widely influenced South Korea since 1990s. It is a project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hich aims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to other foreign countries, in an accordance with the Korean government who wants to globalize Korean culture in order to survive at the era of globalization. There is, by the way, another trends which introduced various other Buddhist traditions into Korea. Buddhisms in South Asia and Tibetan Buddhism are now most popular in Korea. They could not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without the boom of Vipasyana meditation and that of Tibetan Buddhism in western countrie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direct relations between Korean Buddhism and those Buddhist traditions. Therefore,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effect of the globalization of western mainstream culture rather than a kind of interchange between regional cultures, because the spread of those regional Buddhisms is indebted to the activities of Buddhists in the U.S. and Europe. Although ``the Korean Diaspora`` has Korean Buddhism gotten known to foreign countries, it is still a minor religion among American Buddhist groups as well as among Korean American. The most Korean American is Christian so far, but the boom of Buddhism in mainstream society in the U.S. opened new entry opportunity to Korean Buddhism. It is very critical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among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order to build up their identity as a Korean and it will be an effective way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Even though the interest in Buddhism in western mainstream society is getting higher, Korean Buddhism is not that known except Master Sung-san`s great success. Only one hero, at present, can`t lead Korean Buddhism in foreign countries like 1960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estern culture and modify Korean Buddhism to harmonize with western culture. To take this goal, stopping depending on personal charisma, Korean Buddhism have to establish sustainable relation with western Buddhist leaders. Among the measures to ``globalize Korean Buddhism``, the translation of Korean Buddhist writings into English is the most important. Breaking from the word-for-word translation, it should make sense to westerners as well as Korean. It is also necessary to interpret Korean Dharma talks into English to popularize. It, nevertheless, should not mystify the Korean Culture with nationalistic intention like what D. T. Suzuki did in his translation; because which will not only distort Korean Buddhism but also make other another ``Other``. Even though Korean Buddhist leaders believe ``Ganhwa-seon``, a typical Korean Buddhist meditation, is superior to other buddhist practices, they have to demonstrate its superiority.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an be achieved-not by one-sided allegation-on the way of creating new Buddhism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etting of Korean society. Because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culture, and regional and mainstream culture are common problems in the course of globalization, Korean Buddhism can give a role model for World Buddhism in solving those problems. Many other methods can be presented to globalize Korean Buddhism like; developing temple-stay programs for foreign college students to experience Korean Buddhism, joining with western Buddhist groups in some issues, like rebuilding Bikkhuni Sangha in South Asia and Tibet,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so on, and introducing Korean traditional Buddhist chanting, calligraphy, some ceremony for repentance. But, most of all, the problems in Korean Buddhism should be resolved, because it is prerequisit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to modify traditional Buddhism into modern society, to establish buddhist value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modern society, and to make new model for monastic to communicate with current stream in Korea and in the world.

      • KCI등재

        한국선의 정체성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가?

        김방룡 ( Kim Bang-ry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급격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현재 한국불교는 여러 가지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그 중 중요한 문제는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라 하겠다. 현재 한국불교는 다양한 교리와 수행을 아우르는 통불교적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그 중심은 선사상에 있다 하겠다. 본고에서 살펴본 것은 한국선의 정체성 모색에 관한 문제이다. 그동안 한국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는데, 그와 관련된 네 가지 중요한 문제에 대하여 논자의 견해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선사상과 붓다의 교설과의 상관성 유무에 관한 것이다. 선사상과 붓다의 교설은 본질적으로 상통하며, 그 의미를 재해석되고 있기 때문에 불교의 역사에서 문제가 되지 않음을 필자는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논자는 중국 혜능의 남종선이 유입된 후 고려시대 지눌에 의하여 탄생한 한국선의 역사적 정체성에 대하여 밝혔다. 이어서 필자는 근현대 한국선의 정체성에 있어서 조선후기 만들어진 ‘임제-태고 법통설’과 ‘보조선’사상의 두 가지의 입장의 모순 해결을 중심으로 두 가지 입장이 공존함을 밝혔다. 끝으로 앞으로 한국선의 정체성을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논자의 견해를 밝혔다. Korean Seon(禪) is facing with radical social change and various crisis circumstances. Among them, the problem of identity of Korean Buddhism is very important. Now Korean Buddhism has characteristics of complex Buddhism with diverse doctrines and practices, but the center is Seon thought. This paper examined the identity of Korean Seon.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Korean Seon. The writer tried to disclose four important problems on those studies. First, the problem is related with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relativity between Seon thought and Buddha’s doctrine. The writer insisted that the problem breaks no square in the history of Buddhism because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with Seon thought and Buddha’s doctrine intrinsically and their meanings are reinterpreted. Next, the writer inquired into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 Seon that Korean Seon was created by Jinul(知訥) in Koryeo dynasty after Huineng(慧能)’s Northern school Seon had been imported from China. And then, in the identity of modern Korean Seon, the writer investigated the coexistence of two stances, the theory of dharma lineage originated from Linji-Taego(臨濟太古法統說) in late Joseon dynasty and Bojo’s Seon(普照禪) thought in Koryeo dynasty around the solution of their inconsistency. Lastly, the writer stated his views on the problem, ‘Where is the identity of Korean Seon?’

      • KCI등재

        최남선의 ‘조선불교’ 정체성 인식

        김광식 韓國佛敎硏究院 2012 불교연구 Vol.37 No.-

        본 고찰은 한국불교 특성(정체성)의 정립에 기여한 최남선의 조선불교 정체성 인식에 관련된 제반 문제를 살피려는 논고이다. 지금껏 최남선과 불교에 대한 문제는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지만 미진한 점이 적지 않다. 필자는 본고에서 그의 한국불교 정체성 인식의 본질을 최남선이 갖고 있었던 민족과 문명의 교섭이라는 관점에서 보려고 한다. 이것이 본 고찰의 초점이다. 이 같은 입론은 그가 민족주의적인 현실인식을 하였다는 것, 그리고 동시에 그의 인식은 문명적인 세계관이 개입되었음에서 찾으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본 고찰에서 다음과 같이 논지를 전개하려고 한다. 첫째, 1910년대 최남선의 문명관과 불교 인식이다. 여기에서는 그가 일본유학을 거치면서 수용한 문명관과 그의 유년, 청년시절의 불교 인식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에 기고한 그의 글을 발굴, 분석하였다. 둘째, 1920년대 그가 조선불교의 인식의 내용 변천 및 성격을 분석한다. 최남선이 3 1운동을 거치면서 변모한 불교관을 살피면서, 이것이 당시 일본유학생 및 지식인들의 불교관과의 비교를 시도한다. 셋째, 이런 흐름에서 1930년 화와이에서 열린 범태평양불교청년회의에 제출하기 위해 그가 집필한 의 성격을 분석한다. 이런 입론, 분석을 통하여 필자는 최남선의 불교관, 한국불교 정체성의 재검토를 기할 수 있는 토대, 관점을 찾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assertion to study all issues related to Choi, namseon's identity recognition of Chosen Buddhism who contributed to the special feathre of Korean Buddhism. So far, there have been developed issues related to Choi, namseon and Buddhism in various ways. This paper, on the other hand, will look into the foundations of his identity recognition in Korean Buddhism in a perspective of negotiation between nationality and civilization that Choi, namseon focused on. It is the key of this assertion. Such argument is based on the fact that he recognized the reality in nationality while his recognition was adopted by civilized world-view.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following arguments. First, it will discuss Choi, namseon's recognition on civilization and Buddhism in 1910s. The paper will study civilization view that he adopted while he was studying in Japan and analyze his Buddism recognition throughout his childhood and youth period. Second, the paper will analyz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at he recognized in Korean Buddhism in 1920s. While studying Buddhism view that was influenced when Choi, namseon experienced the 3.1 national movement, the paper will initiate comparison of the Buddhism view between students studied in Japan and intellectuals at that time. Third, the paper will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at he composed in order to submit the paper to the Pacific Buddhism Youth Association held in Hawaii in 1930. Through such introduction and analysis, the paper expects to find foundation and viewpoi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re-examination of Choi, namseon's Buddhism view and identity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

        일반논문 : 최인훈『광장』의 불교 정서적 상징과 구성

        김상수 ( Sang Soo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문학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자아이며 독자는 그 자아에 공명하는 것이 책읽기라 할 수 있다. 최인훈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으로 월남하여 남한에 정착한 작가이다. 한국현대사 자체가 그 삶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하나의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소설의 근간을 이루며, 『광장』은 그것을 대표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 인공이 일제 때 북한에서 태어나 광복 후 남한으로 내려오고, 다시 월북 하여 북한 정치체제를 체험한 후 한국전쟁 때 인민군 포로로 잡혀 있다 가, 휴전 당시 중립국을 선택하여 인도로 가는 배안에서 사라지는 줄거리가 바로 그렇다. 표면적으로는 현대사의 비극과 이데올로기적 사변으로 점철되어 있으나, 한국사의 과정 속에서 살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추적하는 것이 소설의 관념적 얼개를 이룬다. 그 정체성의 한 뚜렷한 면모가 한국 인으로서는 결코 벗어날 수 없다고도 할 수 있는 불교적 정서에 있다. 윤회와 인연, 불교적 수행방식인 소승과 대승, 중론적 사유와 서방정토를 꿈꾸는 것, 결국 ``이 언덕``을 떠나 고해를 건너 ``저 언덕``에 도달하는 반야바라밀다, 즉 도피안의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소설의 내용 과 상징, 그 전개에서 이러한 불교적 정서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그가 추 구하는 정체성의 일면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작품 속에서도 불교적 정서의 흐름을 추적해봄으로써 현대 한국소설의 대표적 전범으로 서 최인훈 소설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the literary piece contains another ego of the author, the reader inevitably resonates that speciality of the author. The novelist Choi, Inhoon is born in North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1936) and fled for refuge to South Korea at the Korean War(1950). He experienced the Japanese imperialism, North Korean Communism and South Korean democratic and capitalistic republic. His younger life and career was built in the middle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o to speak, Korean contemporary historic era is to be a same real time of his life. His life and his novels always pursuit the kind of the identity as a Korean with the traditional values. We could figure out one of this identity, the buddhistic sentiments; samsara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transmigration, metempsychosis), nidana(chain of causation), hinayana(the lesser vehicle) and mahayana(the great vehicle), the Mulamadhyamakakarika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written by Nagarjuna), the Buddhist Elysium(the Western Paradise), Prajna-Paramita-Sutra, etc... When these buddhistic values or symbols reveal to us the literary world of Choi, Inhoon, it is possible to speak that the 『KwangJang(plaza)』 (the novel of Choi) is represented one of the important novel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불교와 비교종교학

        한성자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In this paper the writings dealing with both Religious Studies andBuddhist Studies are analyzed. Having innumerable materials collectedfrom more than 40 years, in celebration of the journal of KoreanBuddhist Studies’ 40th anniversary, this article is aiming at taking ageneral view of the main topics of Religious Studies in order to havea better understanding of Religious Studies from the Buddhistperspective and to promote Religious Studies in the Buddhist Studies. According to the topics of Religious Studies, the collected materialsare classified into two parts, one being the comparative studies dealingwith more than two religions, and the other being the articlesinvestigating matters of the methods or identity of Religious Studies. The comparative studies are further divided into the exploration ofindividual religions, a comparison of religions of different regions, orthe analysis of religions within particular historical time periods. Studiesrelated to the matter of methods or identity can further be sortedaccording to methods, religious pluralism, and religious conflicts andthe identity matter of Korean religion.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dealing with the promotion of Religious Studies in Buddhist Studies willbe investigated. That which is confirmed as the result of this paper is that, whileresearch of other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in Christianity,demonstrate a considerably higher standard of quality and prolificquantity, the Buddhist research relating to other religions, includingChristianity, is not worth mentioning. Confronting religious conflict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present day Korea, manyresearchers, whether Buddhist or Christian, unanimously concur thatBuddhism should have a working understanding of other religions, and,for that purpose, Religious Studies should be promoted in BuddhistStudies in order to deal with the exclusive attitude of Christianfundamentalism. 본 논문에서는 불교와 관련하여 비교종교학을 다룬 연구물들을 분석했다. “결집, 한국불교학 40년: 그 연구성과와 과제”라는 이번 학회지의 제목이 말해주는 바와 같이 광범위한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본 논문이 목표로 한 것은 관련된 자료를 많이 소개하는 것보다는 비교종교학의 전반적인 흐름을 개관함으로써 불교학에서 비교종교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나아가서 불교학에서 비교종교학의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불교관련 연구물들은 크게 개별 종교전통에 대한 비교연구와, 방법론 및 정체성에 대한 연구의 둘로 나뉜다. 개별 종교전통에 대한 연구에는 개별종교 비교, 지역관련 비교, 시대 관련 비교의 세 가지가 있다. 방법론 및 정체성에 관한 연구물들은 다시 방법론, 종교다원주의, 종교 갈등 및 한국 종교다원주의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불교학에서의 비교종교학 연구의 활성화와 관련된 연구물들은 마지막에 결론을 대신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많은 연구물들을 분석함으로써 새삼스럽게 확인된 사실은 기독교의 불교 연구는 양과 질 모두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데 반하여 불교에서 기독교를 비롯한 타종교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기 짝이 없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불교와 기독교의 갈등상황을 앞에 두고, 불교학자거나 기독교학자거나, 많은 학자들이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는 것은 근본주의 기독교의 배타적인 태도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불교에서 타종교를 알아야하고 그를 위해서 불교학에서 비교종교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최인훈 『광장』의 불교 정서적 상징과 구성

        김상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Because the literary piece contains another ego of the author, the reader inevitably resonates that speciality of the author. The novelist Choi, Inhoon is born in North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1936) and fled for refuge to South Korea at the Korean War(1950). He experienced the Japanese imperialism, North Korean Communism and South Korean democratic and capitalistic republic. His younger life and career was built in the middle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o to speak, Korean contemporary historic era is to be a same real time of his life. His life and his novels always pursuit the kind of the identity as a Korean with the traditional values. We could figure out one of this identity, the buddhistic sentiments ; samsara(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transmigration, metempsychosis), nidana(chain of causation), hinayana(the lesser vehicle) and mahayana(the great vehicle), the Mūlamadhyamakakārikā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written by Nagarjuna), the Buddhist Elysium(the Western Paradise), Prajna-Paramita-Sutra, etc... When these buddhistic values or symbols reveal to us the literary world of Choi, Inhoon, it is possible to speak that the 『KwangJang(plaza)』(the novel of Choi) is represented one of the important novel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문학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자아이며 독자는 그 자아에 공명하는 것이 책읽기라 할 수 있다. 최인훈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으로 월남하여 남한에 정착한 작가이다. 한국현대사 자체가 그 삶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하나의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소설의 근간을 이루며, 『광장』은 그것을 대표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인공이 일제 때 북한에서 태어나 광복 후 남한으로 내려오고, 다시 월북하여 북한 정치체제를 체험한 후 한국전쟁 때 인민군 포로로 잡혀 있다가, 휴전 당시 중립국을 선택하여 인도로 가는 배안에서 사라지는 줄거리가 바로 그렇다. 표면적으로는 현대사의 비극과 이데올로기적 사변으로 점철되어 있으나, 한국사의 과정 속에서 살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추적하는 것이 소설의 관념적 얼개를 이룬다. 그 정체성의 한 뚜렷한 면모가 한국인으로서는 결코 벗어날 수 없다고도 할 수 있는 불교적 정서에 있다. 윤회와 인연, 불교적 수행방식인 소승과 대승, 중론적 사유와 서방정토를 꿈꾸는 것, 결국 ‘이 언덕’을 떠나 고해를 건너 ‘저 언덕’에 도달하는 반야바라밀다, 즉 도피안의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소설의 내용과 상징, 그 전개에서 이러한 불교적 정서를 감지할 수 있다면 그가 추구하는 정체성의 일면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작품 속에서도 불교적 정서의 흐름을 추적해봄으로써 현대 한국소설의 대표적 전범으로서 최인훈 소설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지성들의 불교사 인식과 그 가치

        오경후(吳京厚)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5 No.-

        일제강점기 한국불교는 불교의 전통성과 가치를 회복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근대라는 시점에서 불교개혁을 진행해야했고, 교단을 비롯한 불교계의 현안을 체계화시켜야 했다. 일제강점기 불교계 지성들의 불교사 연구는 이와 같은 명실상부한 배경 속에서 진행되었다. 불교는 수용이후부터 한국의 역사적 상황과 함께 운명을 같이 했다. 당시의 지성들은 한국불교사 연구를 통해 불교수용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주목하였다. 예컨대 한국인의 생활, 사상, 문명의 변화와 발달에는 반드시 불교가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한국불교는 인도와 중국불교를 집대성했을 뿐만 아니라 두 나라와는 다른 역사적 전개를 통해 그 정체성과 독자성을 선명히 하고 있음도 소개하였다. 이밖에 불교는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상황에 대해 민족주의자들이 주장했던 한국문화와 문명이 지닌 정체성과 우월성을 강조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였다. 결국 일제강점기 지성들은 한국불교사 연구를 통해 불교계의 현안뿐만 아니라 당면하고 있는 민족의 암울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로 활용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Korean Buddhism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was facing a mission of restoring the traditionality and value of Buddhism. It had to proceed on Buddhism reformation amid the modernization process, while systematizing the pending issues of Buddhist world including the religious body. The intellectuals in Buddhist wor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ruly worked on Buddhist history research in this background. Buddhism shared its fate with the Korean historical situation ever since its acceptance. The intellectuals at the time focused on th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cceptance of Buddhism in their Korean Buddhist history research. For example, they emphasized the fact that Buddhism established itself in every change of life, ideology and civilization of Koreans. Moreover, they introduced that the Korean Buddhism did not only compile the Indian and Chinese Buddhism, but also clarified its identity and independence with a different historical development from the two countries. Additionally, Buddhism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of stressing the identity and superiority of Korean culture and civilization, as was argued by the nationalists in this dark age of Japanese colonial era. On balance,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ttempted to overcome gloomy situation of the people as well as solve pending issues of Buddhist world by making use of historical studies in Korea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