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교육에서의 한류 문화콘텐츠 활용 현황 및 과제 : 통합형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리,김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이른바 ‘한류’로 일컬어지는 한국의 대중문화콘텐츠가 한국어 학습자의 범위 확장에 기여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교육에서 일정부분 견인차 역할을 한 한류문화콘텐츠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역할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통합형 한국어 교재 다섯 권에서 제시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현황을 분석해봄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콘텐츠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Hammerly(1982)의 문화 분류 유형 중 성취문화(achievement culture)에 해당하는 문화콘텐츠가 한국어 문화교육의 사례로 적절히 제시되어 있는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 의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단계별로 선정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최종적인 목적이다.

      • KCI등재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서은숙(Eun-Sook Se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의 다문화, 다가치 사회로의 변화에 대처하고, 최근에 제기된 인문학 위기와 관련하여 이들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연구된다. 그 하나는 오늘날과 같은 다문화, 다가치 사회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문화의 기저에 있는 인문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 전통 사상을 재정립하고 그것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문화보편성으로서의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그것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의 핵심 내용을 한국 전통 사상으로 부터 대략, 仁(사랑), 和(萬物一體), 풍류정신으로 보았다. 또한 이러한 한국 문화의 핵심 개념을 문화콘텐츠와 연계하여 영화, 음악, 만화, 에니메이션, 게임, 케릭터 개발, 한국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그리고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획 등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Our Korean society goes on to value-pl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In this point, we ne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nd we meet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Humanities is the core of our culture. It is the key point to make identity of our Korean culture as cultural universality and to apply it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for the revival of Humanities. The core contents of Korean culture lies in the ancient myth, the thought of Hwarang,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Buddhism, Taoism, the practical thought, thought of Yangmyeong study and the thought of East study and so on. On the basis of these thoughts, the core of Korean culture are humanity, harmony, the spirit of Punglyu, thought of life- esteem, ethics of environment etc. I suggest that we can apply our cultural core ideas those I analyzed above to develop Korean culture contents in the fields of cinema, music, cartoon, animation, game, character, digitalization, cultivation of experience programs of Korean culture etc. In addition, I suggest their commercial application like e-learning and culture contents education.

      • KCI등재

        『삼국유사』를 통한 한국문화 콘텐츠 개발 시론

        정진원(CHUNG, JINW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0 No.-

        이 글의 주제는 ‘한국학 콘텐츠 개발로서의 고전읽기- 『삼국유사』를 중심으로-’라는 한국연구재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구성된 ‘삼국유사 콘텐츠 개발’ 시론이다. 『삼국유사』라는 고전 텍스트를 새롭게 읽고, 실질적인 문화 콘텐츠로 기획하고 실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삼국유사』중 ‘효선’ 편을 해외 한국학과 접목하여 차세대 모티브가 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우리 고전 텍스트를 잘 가공하면 한국문화 나아가 한류문화를 업그레이드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론에서는 『삼국유사』이야기와 관련된 세계문화유산을 스토리텔링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론에서는 콘텐츠 활용 대상으로 일연선사가 거처하며 『삼국유사』를 집필했다는 ‘운문사’, 그리고 세계문화유산 중에서 ‘경주 역사지구의 양동마을’과 ‘불국사, 석굴암’을 선택하여 『삼국유사』‘효선’ 편 중 두 가지 이야기와 접목시켰다. 곧 ‘양동 마을’이 그 하나인데 두 씨족으로 이루어진 마을 중 하나가 ‘효선’ 편 「손순매아」의 후손인 손씨의 씨족마을이다. ‘불국사와 석굴암’ 역시 효선편의 김대성 이야기 「대성효이세부모」의 유적이라는 점을 관련시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삼국유사』속 스토리텔링으로 이상의 콘텐츠를 1차 대상으로 삼고, 2차 콘텐츠 개발 가능성도 시도하였다. 곧 운문사는 일연이 머물며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이기도 하지만 ‘원광법사 이야기’와 ‘보양스님과 이목이야기’도 같은 운문사를 무대로 한 내용이라 다른 콘텐츠로 확장시킬 수 있다. 「손순매아」에 나오는 ‘손순’의 경우 ‘손순의 유허지’가 남아있어 답사 프로그램으로 개발해 나갈 여지가 있다. ‘불국사, 석굴암’을 지은 ‘김대성 이야기’에서는 두 사찰의 특징과 유적들을 신라의 불교 사상과 불교 건축이야기로 확장하는 등 무궁무진한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다. 곧 『삼국유사』 ‘효선’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한국 불교와 전통문화 콘텐츠’로 뻗어나갈 수 있는 콘텐츠들인 것이다. 이와 같이 『삼국유사』는 발굴하면 할수록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국학 문화콘텐츠로 탈바꿈할 원석으로 가득 차 있는 콘텐츠의 보물창고라 할 수 있다. 결론에서는 프로그램 콘텐츠와 그 실행 내용을 중심으로 앞으로의 고전 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 시도를 바탕으로 해외 한국학 관련 학과와 차세대 한류 콘텐츠를 원하는 한류 문화 수용자들에게 다양하고 업그레이드된 한류 문화 체험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부록으로 이러한 시론의 소재와 계획의 바탕이 된 『삼국유사』관련 문화유산 콘텐츠 답사 과정을 사진과 함께 첨부하였다. 대상은 Bonn대학 한국학과-세종학당 학생들이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Classic new reading as Content Development in Korean Studies ?focused on SamgukYusa-’. This paper is a result of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SamgukYusa. The SamgukYusa is a new and future essential contents. We confirmed that SamgukYusa w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next generation of contents. In the introduction we focused on SamgukYusa storytelling related to World Heritage. We selected three places. 1) The place where SamgukYusa was written Unmunsa Contents: Unmunsa Temple Stay & Study, 2) The world cultural heritage Yangdong Village, 3) The world cultural heritage Bulguksa and Seokgulam. Yangdong Village is a ancestral village of SamgukYusa ‘Sonsun Maeah’. Seokgulam and Bulguksa are also ruins of Kim Daesung’s storytelling. In Conclusion, I proposed to take advantage of the classical content based on lecture and fieldwork in 2012 and 2013. This paper’s purpose is to develop content t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to overseas Korean Studies departments. I intend to expand Hallyu(Korean Wave) contents to include the classical content of SamgukYusa. The experimental learning consist of 26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Bonn-Sejonghakdang. They visited Korea in 2012 and freely explored the World Heritage, Gyeongju Historic District and Unmunsa temple stay, the birthplace of SamgukYusa. The following year, I visited the University of Bonn and lectured about their experience at the temple stay and the World Heritage related to SamgukYusa. I discovered that the University of Bonn students, whether or not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 Cultural experience, expressed interest in SamgukYusa. They also wanted to buy and learn more about SamgukYusa. This Field work report and photos with University of Bonn students can be found in appendix.

      • KCI등재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중심으로 -

        이효신,윤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콘텐츠로서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의 특징을 이해 하고 영상에 내재 되어 있는 한국문화 내용을 파악한 후 이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하 는 데 있다. 세계적으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영상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 1’은 한국 홍보영상이며 판소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문화콘텐츠이다. 본 연구에서는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영상’과 ‘판소리’로 나누어 내용 을 분석하고 분석 틀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영상 속에 담긴 한국의 대표 문화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통 판소리의 구성요소에 따라 밴드 [이날치]에 의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판소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튜브 플랫폼에서 리뷰, 패러 디되고 있는 밈 문화 현상을 판소리의 향유방식과 비교하여 판소리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모형을 구성한 후에는 이 모형에 따라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활용한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문화 수업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문화콘텐츠에 내재 된 한국문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들은 낯설고 접근하기 어려운 판소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문화콘텐츠를 접하고 소통하며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타 문화를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 는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as cultural content, identify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inherent in the video, and propose a method of educating it. The video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which is creating a syndrome around the world, is a Korean promotional video and a cultural content that reinterprets pansori in a modern way. In this study,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was divided into “video” and “pansori” to analyze the contents and present an analysis frame so that learners can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image of Korea’s representative culture contained in the video. Pansori reinterpreted modernly by the band [Inalchi]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raditional pansori. Additionally, it was intende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pansori by comparing the meme culture phenomenon reviewed and parodied on the YouTube platform with the pansori enjoyment method. After constructing a Korean cultural education model using cultural contents, the reality of education using “Feel the Rhythm of Korea, Season 1”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is model. Through the Korean culture class presented in this study, foreign learners will be able to systematically analyze Korean culture inherent in cultural content. Additionally, learners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unfamiliar and inaccessible pansori, and will have the ability to consider and communicate other cultures in the process of accessing, communicating, and recreating cultural contents through online platforms.

      • KCI등재

        한국적 정서와 감성을 통한 스토리텔링과 문화 콘텐츠

        이명희,서주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There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being Korean and oriental. In general, as we have in Western view, oriental emotions are often not distinguished from the emotions of our country, China, Japan, and other Asian countries. It accepts all Europe and the Americas as a Western culture. In reality, however, each country has their own emotions and traits. In some ways, it even shows a heterogeneous aspect. The problem of cultural identity is also the case in Korea. A reflection on Korea's identity due to rapid Western influx and social change has been raised as a social issue. The emergence of this i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motion and identity based on it, an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our own unique culture based on this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it is emerging. It is also expressed as the era of emotion with the digital age. This i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Korean sensitivity and emotion. What comes to mind with this is storytelling. Storytelling is a kind of intangible asset. Storytelling is the process of creating this type of asset by cultivating it. Therefore, we will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storytelling appropriate to Korean emotions and emotions. In this study, we first examine what Korean emotions and emotions are, and then examine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based on them. Finally, we will discus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emotions and emotional storytelling as cultural contents. In conclusion, so to speak, it is important that Korean emotional story of understanding and based on this for local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to the stakeholder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not a business for the entertainment, which aims to profit in the short term, long-term telling Iran challenge it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on the basis that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profitability. 한국적이란 것은 동양적이란 것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그러하듯이 서양적 시각에서 볼 때에는 동양적 정서란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 그 외에 다른 동양의 나라가 가지고 있는 정서와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모든 유럽과 미주(美洲)를 하나의 서양문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각국에서는 그들만의 정서와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찌 보면 이질적인 면을 보이기까지도 한다. 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국내의 경우도 마찬가지 이다. 전후(戰後) 급속한 서양문물의 이입과 사회적 변화로 인한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성찰이 사회적 이슈로써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두되는 것이 한국의 정서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정체성의 확립이며, 이를 바탕으로 하는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의 확립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 콘텐츠의 개발의 중요성이 떠오르는 것이다. 현 시대를 디지털과 함께 감성의 시대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에 제기되는 것이 한국적 감성과 정서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 콘텐츠의 개발이다. 또한 이와 함께 떠오르는 것이 스토리텔링이다. 스토리텔링이란 것은 일종의 무형자산이다. 이것을 가공하여 문화 콘텐츠라는 유형의 자산을 만드는 것이 스토리텔링이다. 이에 한국적 정서와 감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 콘텐츠 개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적 정서와 감성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한국적 문화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문화 콘텐츠로써 한국적 정서와 감성 스토리텔링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중요한 것은 단기간의 수익을 목표로 하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사업이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역 발전을 위한 관련자들에 융복합을 통한 지역 발전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한국적 감성 스토리텔링이란 과제의 이해가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 콘텐츠 개발을 통한 수익성 창출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올바른 중국시장 진출 방안 연구

        정광철(Jung, Kwang Chul),조성룡(Cho, Seong Ryong),노형신(Roh, Hyung Shin),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들을 살펴보고, 한류 3.0시대에 방송드라마, 영화, 3D, CG/VFX, 전시,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광고, 공연 등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올바른 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내 문화산업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Depth Interview) 와 표적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계가 한국 측에 원하는 실질적인 내용의 수요조사연구를 실행하였다.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는, 중국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미래 미디어산업의 활성화와 자국문화산업의 보호를 위해, 인터넷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에 기반을 둔 뉴미디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중국 정부는 온라인 동영상업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의 문화소비자들에게 큰 붐을 일으키고 있는 입체 3D와 홀로그램 등과 같은 첨단 영상기술을 통한 미래 뉴미디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서 매우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심층면접에 참여한 중국 문화산업 전문가들은 한국의 문화콘텐츠 전문가들이 기존 방식처럼 단순히 콘텐츠 자체의 대중국향 수출 보다는 한국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 기술, 인력 등의 복합적인 교류와 다양한 한중합작과 공동제작을 통한 중국자체적인 문화콘텐츠 제작참여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국측 문화전문가들은 과거와 같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이 아닌 한중양국 문화산업의 상호교류와 상대 시장에 대한 호혜적인 상호진출을 통해서 중국시장의 개방과 합리적인 수익분배에도 의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격적인 한류 3.0시대에 들어선 2014년 올해를 기점으로, 방송, 영화, 음악, 전시, 공연, 광고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합작 활동들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바, 이 연구를 기초로 중국 문화산업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올바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이후 한류 4.0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in issue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contents market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ilm and broadcasting cultur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searching and 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This study also tried to know what Chinese culture industry market leaders want to get really from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conclusion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want that Korean culture business and industry policy should not focus on direct and simple export of culture contents itself to China but focus on making Chinese contents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 people through exporting Korean culture contents making system and mutual exchanging between Korean culture experts and Chinese culture experts. They need more and more detail informations on Korean culture making system and culture experts and companies. They expect stro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Korean culture contents partners as a real friend, also.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Chinese culture market managers are willing to give a reasonable profit share of Chinese market limited to Korean. Especially more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between two countries would start in this year, 2014 with Hallyu 3.0. So,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in the view point of Chinese culture market experts. This study will show the very basic strategy to go into Chinese culture market for Korean culture industry including film, drama, exhibition, performing art, advertising, game, animation, etc and helpful insight to Korean culture policy makers for Hallyu 4.0.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

        최성환(Sung-hwan Choi),이진아(Jin-a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개방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여 과거 혈연중심의 단일민족주의와 서구문화에 대한 편향적 태도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다인종?다문화 세계에 살아갈 청소년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활동은 다양한 문화적 유산과 자원이 서로 평등하게 공존하고 소통할 수 있으며, 다양성이 인정되고 실현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는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다문화사회에서 여러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한다. 또한 민족 전통 속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북돋워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타문화와 교류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활동은 다문화 사회에서 타문화의 이해와 공존을 위한 가장 자연스럽고, 쉽게 융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다. 그동안 한국 다문화교육에서는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나 구체적 방법론 보다는 다른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음악교육부분에서는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연관된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무조건적 동화를 지향하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이 아니라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사회의 통합, 소통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전통음악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의 고유한 사회적 배경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국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시대흐름에 맞는 음악을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먼저 문화예술교육의 위상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본 다음, 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우리의 정체성과 관련된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 전통음악의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한 다문화사회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교육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하려한다. 한국 전통음악은 다문화사회에서 다른 문화권의 음악과 함께 이해되고 발전시켜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을 소개하고 교육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넓게는 아시아음악과의 혼융을 통해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세계화라는 불가피한 변화 속에서 한국 전통음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콘텐츠화’ 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at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need to be free from deflective attitude about Western culture and nationalism and recognize the world from the position of multiculturalism. So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ill live in the multi-racial?multi-cultural world is required. Culture, art and music could naturally occupy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heritage and resources co-exist without discrimination. Levi-Strauss claimed that human race cannot truly live without diversity. We should preserve diversity of various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y. Also by encouraging potential and identity for their uniqueness within ethnic tradition, we should create a new culture interchanging of various 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eantime did not have enough content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open identity of our culture. Music education course for the communication and unity of society is in ne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lti-cultur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more detailed methods to reflect enough in the textbook and Korean traditional music’s directivity in multi-cultural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very closely at the status of culture, education of arts and the limitation of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proposes the necessity of the music education that’s related to essence of a culture and our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role of music in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sian music together with the brightness of future and directiv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worthy when it is understoo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music of other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more by accepting education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ce of culture art education where the coadaptation of traditional music of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done systematically with keep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Mak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music market of the flow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포털사이트 아트로고의 문화콘텐츠 표현 연구 - 한국의 명절을 중심으로 -

        정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1

        한국의 명절은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 콘텐츠이다. 명절 문화에는 그 나라의 언어 및 정서, 풍속, 민족성, 풍습 등이 반영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털 싸이트 구글(Google)과 네이버(Naver)의 아트로고 표현을 통하여 문화콘텐츠를 시각적 표현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9년부터 2016년까지의 한국의 대표 명절인 설날과 추석을 중심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설날과 추석에 관한 음식, 옷, 풍속, 문화 등의 문화콘텐츠 요소를 도출하였다. 문헌조사에 나온 기초자료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의 인터뷰법으로 문화콘텐츠의 이미지를 해석하였다. 해석된 문화 콘텐츠의 이미지로 도출된 콘셉트는 ‘고유성, 현대성, 상징성, 친숙성, 유희성’ 등의 시각적 표현인자 5가지이다. 도출된 5가지 시각적 표현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포털 싸이트 네이버와 구글의 아트로고를 2009년부터 2016년까지를 연도별로 나누어 시각적 표현을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아트로고는 상징성을 높게 갖고 있었다. 네이버 아트로고의 특징은 유희성과 친숙성이 많이 나타났고,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 요소를 콘셉트화하여 스토리텔링하고 있었다. 구글의 아트로고는 상징성과 고유성을 갖추면서 전통적인 문화콘텐츠를 구글 로고에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아트로고를 제작하려는 디자이너들에게 콘셉트 설정 시 문화콘텐츠의 도출과 해석 등의 시각적 표현에 가이드라인이 되었으면 한다. Korean traditional holiday is a cultural contents that can represent Korea. The holiday culture reflects the language, emotion, customs, ethnicity and customs of th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isual expression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expression of logo art of portal site Google and Naver.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a range around the Korea representative holidays New Year's Day and Korean Thanksgiving Day from 2009 to 2016. Through literature review, cultural contents elements such as food, clothes, customs, and culture related to New Year’s Day and Korean Thanksgiving Day were derived. after that Based on the basic data from the literature survey, the image of the cultural contents was interpreted by the interview method of the expert group. The concept derived from the image of interpreted cultural contents has five visual expression factors such as ‘uniqueness, modernity, symbolism, familiarity, playfulness’. In order to verify the five visual expressions derived, the portal site Naver and Google's art logo were analyzed by using a 5-point scale for each year from 2009 to 2016. As a result, Most art logo have high symbolism. The characteristics of Naver art logo are amusement and familiarity, and It was a modern interpretation and storytelling by conceptualiza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elements. Google's art logo has featured a signature culture that directly expresses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with Google logo. Based on this study, I hope designers who want to make art logo should be guided in the visual expression of derivation and interpretation of cultural contents when setting the concept.

      • 외국인 대상 한국 효 문화 교육 방안 - 문화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

        어혜선 ( Eo Hyeseo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3 지역문화연구 Vol.22 No.1

        현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 효 문화 교육은 예절 위주의 교육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한국 효 문화는 한국인의 삶에서 뗄 수 없는 요소로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교육이다. 또한, 많은 학습자가 케이팝, 한국 드라마 등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만큼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효 문화 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흥미 유발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좋은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문화콘텐츠를 활용한다면 보다 쉽게 한국 효 문화의 폭넓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 한 국의 문화 이해력과 언어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더욱 접근하기 쉽고, 한국 효 문화 특징이 드러나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 효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urrently, most Korean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cuses on etiquette. However, Korean filial piety culture is an inseparable element in the lives of Koreans and is a necessary education to understand Korean emotions and culture. In addition, as many learners are beginning to become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Korean cultural content such as К-pop and Korean dramas,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using cultural content can stimulate interest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among foreign learners. It can be a good educational material. If you use cultural content, you can more easily acquir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bout Korean filial piety culture, which can help improve you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skills.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present a method for educating foreigners on Korean filial piety culture using cultural content that is more accessible and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culture.

      • KCI등재

        글로벌 OTT 서비스 기반 한국 영상콘텐츠를 통한 문화적 할인의 감소 현상 분석 연구: 미국 수용자를 중심으로

        최재호(Jae-Ho Choi),조희영(Hee-Young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글로벌 OTT 서비스 등장 이후, 한국영상콘텐츠가 미국에서 자국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는 현상의 특수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미국의 콘텐츠 소비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문화적 할인이 높게 발견된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하면 매우 놀라운 현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상콘텐츠에 대한 미국 수용자의 최근 소비 패턴에서 문화적 할인에 대한 감소 현상의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그들의 문화의식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수용자 239명을 대상으로 한국 영상콘텐츠의 글로벌 OTT 서비스 소비 전·후 문화친밀도와 문화적 할인의 비교조사를 통해 문화의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글로벌 OTT 서비스 기반 한국 영상콘텐츠 소비를 통해 미국 수용자들의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문화친밀도가 높아졌고, 문화적 할인은 감소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그들이 한국콘텐츠를 상시 접촉·향유하면서 문화할인에 대한 학력 수준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문화이해도가 높을수록 문화적 할인이 감소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러한 결과의 의의는 그동안 아시아 지역에 국한되었던 문화할인 관련 연구를 미국 시장으로 확대했다는 것이다. 또한, 통계적 검정력이 확보된 표본크기를 통해 한국 영상콘텐츠의 미국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검증했다는 데에도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eculiarity of the phenomenon that Korean video content has become the second most consumed video content in the US after its own country since it began to be released on global OTT services. This is a surprising phenomenon considering prior research that suggests a relatively high cultural discount of US content consumers towards other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US audiences of Korean video content in recent consumption pattern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rease in cultural discount. To this end, the changes in cultural consciousness of 239 US audiences were analyzed through a comparative survey of their cultural intimacy and cultural discount before and after their consumption of Korean video content through the global OTT 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ption of Korean video content on global OTT services increased the cultural intimacy and decreased the cultural discount of Korean cultural content among American audiences. In addi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level on cultural discount was weakend as they were in direct contact with and enjoy Korean content on a regular basis, and that cultural discount decreased with higher cultural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ed the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discount involving Korean video content, which had been limited to the Asian audiences, into the world’s largest media market, verifying the influence of Korean video content in the US market through a sample size with statistical verification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