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필자를 육성하는 쓰기 학습자원의 개발

        박수자 ( Soo Jah Park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이 논문은 학습자 중심의 쓰기 수업이 학습자를 능동적이고 개성 있는 생애 필자로 양성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쓰기 수업에서 자율성을 체험하고 자신의 개성에 주목하는 학습자여야만이 장기적으로 유능한 성인 필자로 성장하리라 예측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행위로서 필자의 역할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독자를 배려하는 쓰기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에 쓰기 지도를 위한 학습자원으로서, 자율성에 주목한 쓰기 계획 관련 활동과 필자의 개성에 주목한 문체 개발 학습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생애필자의 핵심 요인을 자율성이라 보고, 학습자 스스로 쓰기 계획 활동을 수행하도록 안내한다. 다음으로, 현대 사회에서 필자의 고유한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문자 표현 능력은 필수적이다. 전문 작가로서 요구되는 문체 능력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개성으로 요구되는 자심만의 문체를 개발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학습자 생각의 표현과 표현된 원고를 더욱 정교화 시키는 문체 관련 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생애 필자로서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이 연구는 지나온 쓰기 지도 연구나 현황에 비추어 앞으로 필요한 쓰기 학습 활동 유형을 예측하고 기존에 다루지 못했던 학습자원을 발굴하여, 미래형 쓰기 교과서 제작에 아이디어와 활용 자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tended to review recent writing instructions based on writing process and strategies, and design the learner oriented syllabus of writing activities, which are focused on writer`s self-regulation in writing planning and self-expression opportunities. For cultivating the life-term writers living in 22nd century, writing instruction programs should be modernized and developed in the view point of learner oriented education : giving more choices to students on a writing planning step, encouraging students` self-regulations on their whole writing process, and cultivating their own written styl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d several writing instruction sources, focusing on supporting students` writing planning and elaborating their own styles. They will be important suggestions on making new textbooks for 2007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고찰

        오현아 ( Oh Hyeon-ah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2

        작문 평가는 학생 필자가 작성한 텍스트를 평가하여 작문 학습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작문 평가의 주체인 평가자인 동시에 작문 평가를 통해 얻은 학생 필자와 학생 필자가 생산해낸 텍스트에 대한 평가 정보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제공자로서 교사는 학생 필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작문 평가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모색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작문 평가 연구는 학습자에게 작문 평가 결과를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분석적 평가, 총괄적 평가 이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지점에 주목해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텍스트 결과물이 빨간 펜에 의해 검열 혹은 교정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정서적인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작문 평가 결과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후의 작문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원리로, (1) 소통성의 원리, (2) 발달성의 원리, (3) 은유성의 원리, (4) 학습자 사고 촉진성의 원리(각인성의 원리), (5) 학습자 자기 주도성의 원리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한 사례로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양상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지향점과 이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이 학생 필자에게 미친 영향을 통해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물론 이러한 은유적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서는 학생 필자의 평가 결과 해석 과정이 요구되며 이 과정에서 잘못된 해석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학습자가 많은 교실 상황에서는 일반화해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학습자를 배려한 새로운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이를 통해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새로운 모색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Writing assessment is a process evaluating texts composed by student writers and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writing learning. In the process, the teacher plays the role not only as an assessor who performs the evaluation but also as an information provider who provides the students with information on the student writers and the assessment of texts produced by the student writers obtained through writing assessment. Accordingly, the teacher as an information provider needs to make methodological research on how to present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effectively to student wri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writing assessment have not gone beyond analytical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concerning how to present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to learners. Taking note of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ed five principles for the learner centered presentation of writing assessment results, aiming that learners may understand the results of writing assessment fully and utilize them in subsequent writing without emotional discomfort from the feeling that their writings are censored or corrected by a red pen. The five principles suggested are: (1) principle of communications (2) principle of development; (3) principle of metaphor, (4) principle of learner’s thinking promotion; and (5) principle of learner’s self-direction. In addition, as a case of learner centered presentation of writing assessment results, we suggested a pattern for the metaphoric presentation of assessment results, and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metaphoric presentation by examining its objectives as well as its effects on student writers. Of course, the metaphoric presentation of assessment results also require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ssessment results of student writers and there can be misinterpretations in the process. Moreover, the presentation method has a limitation in applying to a clas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new learner centered methods of presenting writing assessment results and discussed their potential.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과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한금윤,최선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This research has been investigated about learners’s responses of writing and demands of writing education for 3 years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 An object study was freshmen in writing classes.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freshman had positively responded of personal writing, whereas they had negatively responded of education writing as assessment to evaluate. But about 94.3%, survey participants are aware of necessary to learn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catch that the writer’s inner emotion is affected by writer’s external factors; teaching method, assignments, evaluation criteria, feedback method of writing,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st of writing education for achievement of learner-demands, which makes to invoke positive response of leaners who attend writing class of required subject. This research is accomplished the following achievements. The writer’s internal facto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writer’s external factors, and then freshman’s responses are diversity. This research overcomes limits of previous researches to focuss on writer’s internal. Also, this research is raised on necessity at academic community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본 연구는 신입생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과 글쓰기 수업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한 것으로, 필자들은 지난 3여 년에 걸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해 이를 조사, 분석했다.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개인적인 글쓰기에는 대체로 긍정적인 정서를 지니는 데 반해 과제 수행과 같은, 평가가 작동하는 공적 글쓰기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글쓰기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는 대부분이(94.3%) 동의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글쓰기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은 필자 내적 요인보다는 외적 요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수 교과목로서의 글쓰기가 효과적으로 교수-학습되기 위해서는 교수자, 교수 방법, 과제물, 평가 기준, 동료와의 관계와 같은 필자 외적 요인이 학습자 중심으로 개선, 변모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필자 내적 요인에만 국한시켜 글쓰기 교육을 연구해 온 한계를 극복하여, 필자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규명했다.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의 생각과 요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모돼야 할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한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 -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의 연계를 중심으로 -

        김규훈,고희성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college writing considering a factor of learning writers. Especially this study has a focus on connections the engineering design and the writing principles for the engineering college learning writ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a study of the college writing must concern factors of the learner because the college writing’s aim is to get the conventions of scholastic community. Particularly the engineering design which are emphasized in the engineering college, could connect with the writing principles. So this study closely connects the each elements of the designing and writing process. As a result, this study makes the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the engineering design,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and the principles of writing as a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Concretely, the writing activities are suggested as per “the integration step of the design and writing” following below: <Define the problem> → <Generate Ideas and Choose solution by evaluation ⇄ Organize the idea> ⇄ <Draft collaboratively> ⇄ <Prototype and Test solution> ⇄ <Revise and Text Producing> And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this model is examined by practicing it in a college writing class. 이 연구는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공과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학적 설계(engineering design)’와 ‘작문 원리’의 연계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작문은 학문 공동체의 관습을 체득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므로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과대학에서 중시하는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가 연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 과정과 작문 과정을 비교하여 설계와 작문의 제 요소가 긴밀히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그 결과 캡스톤 디자인의 교육적 적용 모형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의 작문 원리를 비교하여, 공학적 설계 기반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 확인하기> → <아이디어 탐색 및 평가를 통한 해결책 결정하기 ⇄ 아이디어 조직하기> ⇄ <협력적 초고쓰기> ⇄ <문제 해결 및 검증하기> ⇄ <고쳐쓰기 및 글 완성>’의 ‘설계-작문 통합 단계’를 제안하였고 각 단계별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른 대학 작문의 수업 사례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학습 필자의 설득적 글에 나타난 쓰기 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환류 -작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김규훈,전용숙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writing protocol analysis’ of the ‘persuasive writing’ produced by learning writers in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the completed persuasive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 writing protocol model for process analysi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model, the ‘medium upper’ and ‘medium lower’ courses were selected from th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15 persuasive writings were analyzed for writing protocols, and the thinking process was confirmed through post-learner interviews. As a result, 30 persuasiv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based on this, the peculiarities and tendencies of the activity process and results of each writing stage appea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of the learn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persuasive writing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rrection feedback stage was approached in more detail.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rrec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should be applied.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필자가 생산한 ‘설득적 글’에 대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글쓰기 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먼저 완성된 설득적 글과 글을 쓰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글쓰기 과정의 단계에 따라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프로토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글쓰기기초> 수업 가운데 연구진이 담당했던 수업에서 ‘중상’ 강좌와 ‘중하’ 강좌를 선별하였고, 각 15편의 설득적 글을 대상으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학습 필자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사고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편의 설득적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필자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쓰기 단계별 활동 과정 및 결과물의 특이점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득적 글쓰기 교육과정 개선안을 마련하고 첨삭 피드백 단계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그것은 <글쓰기기초>의 교육 내용이나 피드백 내용 및 방식에서 학습 필자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첨삭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서의 필자/독자 가시성 연구 - 논설문을 중심으로 -

        윤나영 ( Yoon Na 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2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문에서 나타나는 필자/독자 가시성(writer/reader visibility)을 살피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글과 비교하여 숙달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필자/독자 가시성이란 필자와 독자가 텍스트에서 직접적으로 인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필자/독자 가시성이 높을수록 텍스트의 주관성이 높아진다. 논설문과 같은 논증적 글쓰기에서는 독자에게 어떠한 주장이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하여 텍스트에서 필자의 존재를 주어로 가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또 자신의 주장이나 근거가 틀렸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주장을 의도적으로 완곡하게 표현하는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본고는 필자/독자 가시성의 항목으로 1인칭 및 2인칭 대명사(나/내, 저/제. 너/네. 당신 너희)와 지시 대명사(여기, 저기, 거기. 인식 양태 부사(진짜, 진짜로, 정말, 정말로, 완전, 딱, 너무)와 인식 양태를 실현하는 헤지 표현(-인 것 같다, -다고 생각한다)을 대상으로 삼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서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writer/reader visibility’ in the persuasive writings of Korean learners and to confirm the change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by comparing it with the editorial text of the native Korean speaker. In a persuasive writing, it is important to logically construct one's arguments, grounds, and thoughts and to convey them persuasively. In particular, as there are clearly virtual readers, there are fixedly used sentence patterns. There is a risk of failing to develop the logic of the language objectively, and applying the spoken language learned in the classroom to the written language as it is. The results of measuring and analyzing author visibility in the Korean language learner corpu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learners learn writing in the editorial genre at the intermediate proficiency level, and the degree of author visibility tends to decrease sharply from level 4 or higher. Second, on the other hand, some items such as ‘yeo-gi’ and ‘je’ showed different usage patterns from native Korean speakers regardless of Korean proficiency level. Native Korean speakers used ‘yeo-gi’ and ‘je’ as referents in the text, Korean learners used it to refer to themselves and places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요약형 과제와 논증형 과제의 수행이 텍스트 학습에 미치는 효과

        장성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summary and argument essay tasks when undergraduates read multiple texts on a particular content domai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37 undergraduates with low prior knowledge on topic. Further, quantitative analyisis by sub-criteria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writing tasks on the learning of multiple tex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summary condition outperformed those in the argument condition, which could be said to bolster the assumption that agument essay tasks are not optimal for everyone, especially those without sufficient prior knowledge. Second, the cognitive processes displaying intertextual & writer-source integration was separated between the naïve and sophisticated learning groups. Third, participants who used the whole given documents in order to write a argument essay obtained higher scores on the measures developed to assess text recall and intratextual & writer-source integration, respectively. 이 연구는 내용 영역 지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료를 활용한 학습 상황에서 상이한 과제의 수행이 개인의 텍스트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화제에 대한 충분한 선행 지식을 갖추지 못한 대학생 필자 137명을 대상으로 요약형 과제 또는 논증형 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글쓰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과제 수행 후 내용 영역 지식에 대한 회상, 자료 내 통합, 자료 간 통합, 필자-자료 간 통합 수준을 측정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지식이 부족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습 목적 글쓰기를 수행하도록 하였을 때 논증형 과제의 효과는 반드시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우수한 학습 효과를 보인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수행한 자료 통합 행위는 상이한 경로를 거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 목적 글쓰기의 성패는 텍스트 정보의 정교화뿐 아니라 학습의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정보를 글쓰기에 활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이 연구는 명시적으로 주어진 과제 유형의 영향뿐 아니라 참여자의 개인적 속성에 따른 차이도 고려했다는 점에서 텍스트 학습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향후 학습 목적 글쓰기 교육을 설계하는 데 하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필자 정체성 비교 연구 -한국어 논증적 텍스트에 반영된 자기 언급 장치를 중심으로-

        맹강 한중인문학회 2023 한중인문학연구 Vol.81 No.-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필자 정체성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논증적 텍스트에 나타난 자기 언급 장치를 양적인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기 언급 장치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1인칭 대명사를 선호하는 데 비해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생략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논증적 텍스트에서 필자로서의 존재를 명확히 표현하는 데 비해 한국어 모어 화자가 필자로서의 존재를 명확히 표현하지 않고 숨겨진 자아를 드러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차이는 중한 논증적 글의 장르적 차이, 중국인 한국어 교수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중한 논증적 글의 장르적 차이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자기소개’ 텍스트 쓰기 교육 방안 연구-중국인 학습 필자 대상으로-

        하흔흔,박덕유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3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roblems shown in Korean ‘self-introduction’ writing text materials produced by Chinese learning writers.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the aim was to explore ways to educate students on writing Korean ‘self-introduction’.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analyzed 36 ‘self-introduction’ writing texts were divided the content and the expression by level of prim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ing writers. Results:This analysis showed the outstanding features and problems of Chinese learning writers were examined in the composition and description of content elements in the text, the volume of the whole text, the recognition of the cohesion and coherence of paragraph, the accuracy of the writing expression, the choice of the ending mother, the distinction between written and spoken expressions, and the text format.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educational plan was presented by applying a genre-oriented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onclusion: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writing ability of Chinese learning writers, taking into account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lf-introduction’. 목적: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 필자들이 생산한 한국어 ‘자기소개’ 쓰기 텍스트 자료에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들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자기소개’ 글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초․중․고급 수준별의 중국인 학습 필자가 생산한 36편의 ‘자기소개’ 쓰기 텍스트의 내용과 표현적인 면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자기소개’ 텍스트에 나타난 내용 요소 구성과 서술, 전체 글의 분량, 단락의 결속성과 통일성에 대한 인식, 쓰기 표현의 정확성, 종결어미의 선택, 문어체와 구어체 표현의 구분, 텍스트 형식 등에서 중국인 학습 필자의 두드러진 특징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의 토대로 장르 중심의 쓰기 교수ㆍ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한국어 ‘자기소개’의 장르 특성을 고려하여 중국인 학습 필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에 관한  성인 학습자의 인식 연구

        최건아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provide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However, these programs have a shortage of analysis of adult learners’ needs and awar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establishing proper writing curricula by analyzing various adult learners’ needs for writing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exts that adult learners, as graduate school students, composed, to identify the type of writing curriculum they seek.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specific needs about the purposes and implementation of writing education.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riting is important in their personal and career lives and, at the same time, felt an unwillingness to write. They also said there are problems in writing education because of its discontinuity and administrators’ opinions on writing programs. Participants’ desire for writing education was related to authenticity, accessibility, connecting other areas with writing, and career needs. These imply that an investigation of the contexts of adults’ writing will be important in the future.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들은 공교육과정의 주된 범위가 아닌 까닭에 대체로 평생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제공된다. 그런데 성인 학습자 들이 어떤 작문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작문교육을 둘러싸고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식에 따라 다양한 직업과 연령의 성인 학습자들이 작문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 과 요구를 갖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추후 바람직한 작문 교육과정 수립에 이 바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들에게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바람직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도록 하고, 프로그램 제안 서에 작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이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작문 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 차 원의 인식을 드러내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작문 교육 실행의 방해 요인, 바람직 한 작문 교육의 요건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참여자들은 작문이 일상과 대 인관계, 직업생활 전반에 걸쳐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대체로 작문이 어렵고 꺼 려지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작문 교육이 생애에서 불연속적으로 이루 어진다는 점, 관리자의 의지에 따라 교육 실행이 영향을 받는 점을 교육 실행의 어려움으로 들고, 실제적 교육, 성인 학습자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교육, 작문 외의 영역과 연계한 교육, 직업적 필요를 충족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보았다. 연구를 통해 성인들이 처한 작문 맥락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에게 적절한 작문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