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일본 유학생과 한국 사회학

        이동진(Lee Dong-Ji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8 사회와 이론 Vol.33 No.-

        이 글은 일본 유학생으로서 식민지 시기에 활동했던 세 명의 사회학자의 활동을 그들이 참가했던 ‘학술장’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본 것이다. 세 명의 사회학자는 김두헌, 이상백, 신진균이다. 이들 세 명은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전반에 일본의 사회학 학술장이었던 일본사회학대회에서 발표한 네 명의 사회학자중의 세사람이었다. 이 세명의 사회학자 각각에 대해서는 이미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 글은 세 명의 사회학자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식민지 시기의 한국사회학사를 조명해 보고자 했다. 세 명의 일본유학생 출신 조선인 사회학자가 각각 활동한 학술장은 조선 학술장 중심, 일본 학술장 중심, 그리고 사회학 학술장 중심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선에는 사회학 학술장이 없었고, 조선인이 참가한 사회학 학술장의 사례는 일본사회학회(학술대회와학술지 발표)가 유일하였다. 세 명이 참가한 학술장의 구조를 보면 사회학 학술장이 매우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른 학술장을 찾아야 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식민지시기에 조선인 사회학자가 사회학 학술장에 본격적으로 참가하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였음을 뜻한다. This paper reviews three sociologists who had studied in Japan and were activ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Lee Sang-baek, Kim Du-heon, and Sin Jin-gyun.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the sociological history during the colonial Korea by looking at these three sociologists. This paper tries to assess the position of the Korean sociolog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not by analyzing their individual papers but by examining the structure of the academic fields, in other words, the journals which published their papers and articl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y could not enjoy the publication of their own books, except for Sin Jin-gyun who translated published books and presented a number of books reviews in the Annal of Sociology issued by JSS. In conclusion, the three scholars can be categorized as active around colonial Korean academia, Japanese academic field, and then sociology one respectively.

      • KCI등재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양가적 정동을 통해 본 학술장의 변화―국내 박사과정생의 초점집단인터뷰(FGI)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이대성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3 한국사회 Vol.24 No.1

        This paper analyzes the ambivalent affect that doctoral students in South Korea have on the academic field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field,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22 Focus Group Interview (FGI) of domestic doctoral students. Through this, the paper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fund support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nterests of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South Korea. Rather than devaluing the knowledge produced within the academic field and internalizing ridicule and pity towards doctora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GI participants trusted and affirmed their value as researchers and thus contribu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academic field by temporarily denying some of the things that did not conform to academic values. The ambivalent affect was evident when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from participating i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in the academic field, but at the same time felt displeasur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ome of the older generation, which fueled predictions of changes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Doctoral students felt pleasure in the interests of knowledge with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and expressed critical opinions to gain recognition for the value of researchers working in the field that is not included in the academic world centered on professors. Doctoral students felt displeasure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for mutual evaluation among researchers in Korea. FGI participants called for academic policies that support and evaluate not only the publication of papers, but also the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data, and various gatherings and activities based on academic research, to increase the pleasure and decrease the displeasure they felt in competing and collaborating with established researchers when producing new knowledge in the domestic academic field. 이 논문에서는 국내 박사과정생 대상 2022년도 초점집단인터뷰(FGI) 자료를 활용해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가 학술장에 대해 갖는 양가적 정동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장에 참여하는 박사과정생이 연구자로서 지닌 이해관심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 지원 및 평가 방식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학술장의 변화 가능성을 제안한다. FGI 참여자들은 인문・사회 분야 박사과정생을 향한 조롱과 동정을 내면화하며 국내 학술장에서 생산되는 지식의 가치를 부정하는 대신에, 연구자로서 자신의 가치를 신뢰하며 긍정하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 일부에 대해 일시적으로 부정하며 학술장의 재생산에 기여하고 있었다. 양가적 정동은 박사과정생이 학술장의 협력과 경쟁 관계에 참여해 쾌감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함께 어울리는 일부 기성세대와의 관계에서 불쾌감을 느끼며 나타난 것으로 국내 학술장의 변화를 예측하게 했다. 박사과정생들은 국내 학술장의 지식 생산이라는 이해관심에서 쾌감을 느끼고, 교수 집단 중심의 학계로 포괄되지 않는 학술장에서 연구자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일부 비판적 의견을 제시했다. 박사과정생은 국내에서는 연구자들끼리의 상호 평가가 인정되지 않기에 불쾌감을 느꼈다. FGI 참여자들은 국내 학술장에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했을 때 학문 기성세대의 연구자들과 경쟁, 협력하며 느낀 쾌감을 높이고 불쾌감을 줄이는 방향으로 논문 게재뿐 아니라 자료 수집과 정리, 학술연구에 기반한 다양한 모임, 활동 등을 지원하고 평가하는 학술 정책을 요구했다.

      • KCI등재

        강한 사회학자 결속, 약한 사회학적 지향 ― 학술지<사회와 역사>에 나타난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분과성과 학제성(2008-2018)

        박천웅 ( Park¸ Chunwoong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이 연구는 학술장의 분과성과 학제성을 이론화하고,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이라는 학술장에서 분과성과 학제성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은 한국근현대사의 여러 사건과 그에 관한 서사와 담론을 분석, 설명하는 사회학의 한 세부 분야이자,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분야 외부의 연구자들이 한국근현대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제 연구의 장이다. 이는 사회사/역사사회학이 내적으로는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속에서 이론적, 방법론적 정통을 둘러싼 투쟁으로 구조화된 장이면서도, 외적으로는 사회학 이외 학문 분야에 의해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장 사이의 공간이라는 점을 가리킨다. 사회사/역사사회학이 어떤 방식으로 분과성과 학제성에 의해 구조화되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학술지 <사회와 역사> 2008년의 77호부터 2018년 120호 사이 발표된 381편 논문의 저자, 인용 문헌의 유형과 숫자, 주요어와 발표자 연결망, 인용한 학술지의 학문 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식민주의, 냉전 등 20세기 한국 근현대사회의 변동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이 <사회와 역사>의 주류 연구자인 반면, 이들 연구자들이 인용하는 문헌의 유형과 분야가 사회학뿐만 아니라 여타 사회과학 제 분야, 역사학, 어문학을 아우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학술장이 사회학 연구자들의 강한 결속이라는 분과성과 약한 사회학적 연구라는 학제성을 동시에 가진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ruggle for disciplinary citizenship in sociology meld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sociology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ical sociology. It analyzes how these two aspects counterintuitively manifest in the academic journal Society and History from 2008 to 2018. As a leading journal for historical sociology in South Korea, Society and History provides evidence of the evolutionary changes in the field and presents substantial evidence of sociology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weds the ideas of trained sociologists and non-sociologists. As a field marked with the struggle against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orthodoxy characteristic of the mainstream sociology but also the product of intellectual cross-disciplinary relationships with humanities, Korean historical sociology has proposed explanatory frames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20<sup>th</sup> century Korean society. To illustrate the coexistence of both disciplinary citizenship and interdisciplinarity, the study analyzed the authors, the types and numbers of cited literature, the keywords, the author networks, and the maps of cited journals of 381 papers published in Sociology and History between the 77<sup>th</sup> issue and the 120<sup>th</sup> from 2008 through 2018. The analysis finds that trained sociologists (with PhDs in sociology) who research on 20th century Korea focus primarily on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make up the core research group. However, the works that they cite are not necessarily oriented toward sociology and in turn the journal Society and History performs a brokerage role linking sociology to other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istorical sociologists in South Korea find unity topically. At the same time, historical soci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the country remains weakly oriented to sociology inwards but instead directs outwards.

      • KCI등재

        1960~70년대 대학과 국가 통제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1960~70년대 제도화된 학술장으로서의 대학에 대한 국가의 관리 통제의 실상을 드러내려고 하였다. 4ㆍ19혁명 직후 대학의 자발적인 자정 노력과 민주적 대학 운영 원리를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은 대학자치의 가능성, 정부의 대학 통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61부터 시작된 대학정비 정책에서는 대학교육의 질을 확보한다는 명분아래 교수의 정년 단축, 연구실적 검사제도, 학사자격고사 등이 도입되었으나 유명무실해졌다. 대학 통폐합과 대학 정원 조정 역시 실패로 끝났다. 국가 주도의 대학 정비 정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국가 주도의 대학개혁 기획과 대학에 대한 국가 통제는 점차 정당화되었다. 1970년대 들어 대학의 자발적인 개혁을 유도하는 정책으로 실험대학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국가에 의해 인큐베이트된 개혁에 지나지 않았다. 오히려 군사훈련 및 국민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강제휴교와 휴업, 교수와 학생에 대한 검열과 감시, 교수 해직과 학생 제적 등의 대학에 대한 국가의 폭력적 통제로, 제도화된 학술장으로서의 대학은 침제되어갔다. 대신 비판적 정신과 사회적 실천은 제도 밖의 학술장의 몫으로 남겨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ational control on university which was the institutionalized academic arena in 1960~70s. Right after 4ㆍ19, the efforts by universities to reform themselves and to find democratic principles of university governance showed the possibilities of university autonomy. In university improvement projects started from 1961, early retirement of professor, competition evaluation system of university faculty and graduate requirements test were introduced in the name of secur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ut they became nominal. University unification policy and university enrollment quota policy also failed. Despite the failures of state-dominated university improvement projects, governmental planning of university reform and national control of university were justified gradually. In 1970s, pilot college project was implemented as the project for inducing self-reform, but it was no more than an state-incubated reformation. Rather, military training and national ethics education were emphasized and university as institutional academic arena became stagnant, because of repressive controls on university by nation such as the compulsory closing of school and layoff, the censorship and surveillance on faculty and students, professor dismissal and student expulsion. Instead, academic arena outside of university, which put an emphasis on critical mind and social practice was built.

      • KCI등재

        ‘조선학의 장’과 식민지 고등교육

        윤해동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6

        Joseon stud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n placed within the tradition of national learning (國學). As such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the full extent of Joseon studies through the narrow lens of the ‘Chosunhak Movement’. This article analy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Joseon studies using the concepts of academic fields and sub academic fields, emphasizing Joseon studies’ relationship with higher education was emphasized. In the 1920s, through the declaration of Joseon Studies by Choi Nam-sun, the horizon of Joseon Studies gradually emerged in Korean society. However, during the 1920s, only minor and experimental research in the sub-field of linguistics and ‘invention’ (that is engineering) was led by Koreans in Joseon studies. Instead, Keijo Imperial University, which opened in 1926, laid the foundation for full-fledged Joseon studies. Japanese researchers who took office at universities, Korean graduates who had studied abroad, and from 1929, Korean graduates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came together at the same time to become the main agents of the Joseon studies boom. The formation of Cheonggu Academic Society (靑丘學會) in 1930, signaled the full-fledged launch of Joseon studies. The first comprehensive academic society on Joseon studies centered on Japanese researchers appeared. Based on the academic discipline institutionalized at Keijo University, the Cheonggu Academic Society produced expertise in Joseon studies in earnest. As a result, from 1930, the sub-academic field of Joseon studies have been established in humanities such as language and literature, philosophy, folklore studies, and economics, as well a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isciplines such as medicine, ‘invention’, and natural science. The academic field of Joseon Studies thus came to be in full bloom in the early 1930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se sub-field, the Jindan Academic Society (震檀學會), a comprehensive society for Joseon studies centered on Koreans, was born in 1934. Paradoxically, the Jindan Academic Society put forward ‘scientific Joseon research’ as a slogan, and it was able to be launched as a sub-field alliance in humanities of Joseon studies. The reason why the nationalist right-wing group started the Joseon Studies Movement with Silhak (實學) as a symbol of Joseon Studies was this sense of crisis over scientific Joseon research. 식민지기의 조선학은 국학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학운동’이라는 좁은 렌즈만으로는 조선학의 전모를 이해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학술장이라는 개념을 분석도구로 삼아,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의 조선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과정에서 특히 고등교육과의 관련을 중시했다. 1920년대 벽두 최남선의 조선학선언을 통해 조선학이라는 지평이 서서히 조선사회에 떠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1920년대 조선인들이 주도하는 조선학은 어문학과 발명학이라는 하위장에서만 새로운 시도가 있었을 뿐이었다. 오히려 1926년 개교한 경성제국대학을 통해 본격적인 조선학 연구의 토대가 구축되었다. 대학에 부임한 일본인 연구자와 1929년부터 배출되는 조선인 졸업생 그리고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는 조선인 해외유학생들이 조선학 붐의 주체가 되었다. 1930년 결성된 청구학회는 본격적인 조선학 출범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일본인 연구자들이 중심이 된 최초의 조선학 연구 종합학회가 출현한 것이다. 경성제대에서 제도화된 분과학문을 바탕으로 청구학회가 조선학 전문지식을 본격적으로 생산해내게 되었다. 한편 이를 계기로 1930년 이후 어문학, 철학, 민속학, 경제학 등의 인문학과 의학, 발명학, 박물학 등의 이공학 분야에서 조선학 하위 학술장이 족출하게 되었다. 조선학의 장은 이리하여 1930년대 초반 화려하게 만개하게 되었다. 이런 하위장의 성립을 토대로 1934년 조선인 중심의 조선학 연구 종합학회인 진단학회가 탄생하였다. 진단학회는 역설적이게도 과학적 조선연구를 슬로건으로 내세웠고, 조선학 전분야의 하위장 연합으로 발족할 수 있었다. 민족주의 우파 그룹이 조선학의 상징으로 실학을 내걸고 조선학운동을 시작한 것은, 이런 과학적 조선연구에 대한 위기감 때문이었다. 조선학의 성립을 자극한 것은 일본의 조선 연구였다. 외부로부터의 자극과 조선학 연구에 대한 자의식은 고등교육을 이수한 조선인 연구자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형성되었다. 경성제국 설립과 유학생의 유입이 조선학 형성의 신호탄이 된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조선학에 대한 자의식은 고등교육의 필요성을 강화하고, 고등교육을 통해 배출된 연구인력은 조선학 연구를 진전시켜 갔다. 식민지기의 고등교육은 조선학을 추동한 자극의 원천이자 가장 중요한 동력이었다.

      • KCI등재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담론적 상관관계 연구

        전성규,김병준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3

        The relationship between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was investigated using a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y. In a quantitativ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a wide variety of academic and association publications between 1905 and 1910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showed the greatest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sole exception of correlations among Japanese and Korean student magazines. Similarity heatmaps of articles in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highlight changes in their tone, and the inflection point explains their interrelationship. Based on a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articles of the two public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rticles resulted from writers who contributed to both. In addition,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whole magazines publish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cluding from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based on TF-IDF weighting. This allows a comparison of the two magazines with academic publications from modern fields of study, which reveals that concept words which had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earlier conceptual history research, such as ‘nation,’ ‘people’ and ‘civilization’ were very important in academic publication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lso, for the terms ‘education,’ ‘youth,’ and ‘Confucius,’ there is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the discourse of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본고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상관성을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근대계몽기 1905~1910년 사이 발간된 학회보 및 협회보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연구해 본 결과, 재일본 유학생 잡지 사이의 유사도를 제외하고 국내와 유학생 잡지 중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유사도가가장 높게 나왔다. 『서북학회월보』 내에서의 기사 유사도 히트맵을 그려 봄으로써 『서북학회월보』 내에서 기사의 논조 변화와 시기, 그것과 『태극학보』와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고, 두 학회지 간의 기사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분석을 통해 필진의 구체화와 기사 간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두 학회지와 전체 근대계몽기 학술장의 비교를 위해 근대계몽기 10여 종의학회지를 대상으로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과 두 학회지의 TF-IDF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을 뽑아 제시하였다. ‘국가’·‘국민’·‘문명’ 등 기존의 개념사 연구가 주목해 온 주도 개념어들이 실제 근대계몽기 학술장에서 중요성이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교육’·‘청년’·‘공자’ 등의 개념들과 관련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가 담론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지훈과 혜화전문학교 ―식민지 고등교육 이원 구조와 조선학 학술장을 중심으로―

        송현지 ( Song Hyun-ji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글은 조지훈 연구에서 늘 논의의 바깥에 위치해 있었던 조지훈의 혜화전문 수학 이력이 그의 학문적 관점 및 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학술사적 맥락에서 그 상관관계를 논증하고자 한다. 조지훈이 근대 교육기관인 혜화전문에서 학업을 수행하였다는 사실은 ‘전통적 지식인’으로서 그를 규정해온 담론의 논리와 상충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축소·배제되어왔다. 그러나 조지훈이 그의 한국학 논고들에서 과학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가운데 전통적 학문 방법을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그는 ‘전통적 지식인’이란 틀에 가두어지지 않으며 그의 학문 방법의 기원은 새로이 궁구되어야 한다. 혜화전문은 조지훈이 본격적으로 근대 학제를 경험한 거점으로서 그가 학제 연구라는 방법론을 갖추고 전통과 근대, 민족과 세계 사이의 균형감각을 갖게 된 바탕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일본의 고등교육 이원화 정책으로 인해 단과(單科)로 구성된 혜화전문의 학제는 그가 여러 학문을 넘나들면서도 분과학문들의 전문성을 심화하는 방식의 연구를 하게 하였으며, 종교, 철학, 예술을 중심으로 개설된 이곳의 교과 편제는 그가 이를 세 기둥으로 삼아 민족문화의 체계를 세우는 기틀이 되었다. 한편, 경성제대를 중심으로 한 관학 아카데미즘과 연희전문을 중심으로 한 민간 아카데미즘이 경합하였던 1930년대 조선학 학술장에서 혜화전문이 놓인 주변부적 위치는 변증법적 글쓰기라는 그의 특징적인 논리 전개 방식을 낳게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주변부의 자리에서 그는 두 진영 모두와 거리를 두면서도 그들을 의식하고 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으며 각 진영에서 벗어나는 독자적인 연구 방법과 관점을 고심하였다. 혜화전문 졸업 후 그가 서양철학에 탐독한 것은 그러한 방편에 대한 모색의 행보로 이해되며 그는 이를 통해 민족과 세계 사이의 균형을 꾀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Cho Ji-hoon’s attending Hyehwa College, which had been left out from the arguments regarding his studies, and his academic perspectives and methods after seeing that the two sides are closely related. The meaning that he studied at Hyehwa College―a modern educational institute―has been reduced and excluded in the sense that it contradicts the logic of the discourse which had defined him as ‘Sun-bi (classical scholar)’ and ‘traditional intellectual’. However, when seeing that he sought scientific methods and systematic rationality and criticized traditional academic methods, he is not bound by the frame ‘traditional intellectual’ and the origin of his academic attitude and methods have to be examined in a new manner. Hyehwa College, a foothold where he experienced modern school system, is noteworthy in the sense that it is the background where he equipped with the methodology ‘school system study’ and found a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ethnic group and world, and special and universal. The curriculum of Hyehwa College which had neither major system nor subject system due to Japan’s higher education dualization policy led him to continue the study of intensifying professionalism of academic fields while merging with other fields and the school’s subject system focused on religion, philosophy, and art became the foundation for him to establish the system of national culture. Meanwhile, the peripheral position which Hyehwa College was in during the 1930s Joseon studies academic arena in which the Gwanhak academism based on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private academism based on Yonhee College competed gave birth to dialectical writing―his unique style of logic development. In such a peripheral position, he had no other choice but to keep distance from not only the Gwanhak academism and academism as ‘science’ but also the private academism, conduct studies while being aware of them, and rack his brains on distinctive study method and perspective. Avidly reading Western philosophy after graduating from Hyewha College is deemed to be taking the path of seeking corresponding measures.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dynamism between colonial higher education dual structure and the Joseon studies academic arena, Hyehwa College was the starting point for Cho Ji-hoon who had become ‘traditional intellectual’ to transform into ‘modern intellectual’ and the foothold for him to ultimately become ‘universal nationalist’.

      • KCI등재

        벌충과 길항 - 초기 현대문학 학술장과 문학장 사이의 양상

        나준성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7

        This thesis as a preliminary study to investigate the reduplication of the academic field and the literary field perceived by researchers in modern literature “here and now”,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first academic field was formed from a supplementation of the previous literary field. In addition, this thesis examined the aspect of the subjects who crossed between the academic field and the literary field of turning academic writing and academic field into resources to expand their influence in the literary field. The same energy in Baek Cheol’s criticism after he became a professor, which was regained as before the national liberation, reveals that his journalism critique has been empowered from the academic field but not from journalism as before. However, Baek Cheol's criticism was heading toward theoretical criticism but not practical criticism, and the term “modern literature” in his criticism was used as an overlapping signifiant which means both “contemporary literature” and “academic department in Korean literature”. This shows that he has become a different critic than before, and in this context, his acceptance of New Criticism was not just to bring in criticism as a discipline, but to bring in an identity of "academic critic". Also, this thesis noted that literature from the “Chungmunhyup” represented by Cho Yeon-hyun and Kim Dong-ri, became professors and operated their universities’ academy as a system to reproduce writers through Hyundai Munhak(Modern Literature), and the aspect that "criticism as literature" was gradually losing its validity through the deepening of the academic criticism in the literary field as the academic field of modern literature stabilized. In the mid-to-late 1950s, as graduates majoring in literature as knowledge entered the literary field, the literary field expanded unprecedentedly due to the academic field. However, this scene where the new figures of the literary field are filled with characters produced from the academic field, was the opposite supplementation of the academic field formed about a decade ago. In this period, criticism was not only literature but also the écriture of theorists and thinkers with the ability to critically examine foreign theories, but also the criticism of the academic field rather than the criticism of the previous literary field. In this way, the academic field and literary field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formed complementary and antagonistic relations.

      • KCI등재

        1990년대 학술장의 구조변동 속에서 한 하버마스주의 철학자의 궤적: 장춘익의 지적 여정의 의의와 한계

        이시윤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3

        This study evaluat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academic journey of social philosopher Jang Chun-ik in terms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based on Pierre Bourdieu's field theory. In the mid-1990s, Jang and a group of researchers raised German thinker Jürgen Habermas as a central figure in the academic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Korea. This was the result of the most successful collective symbolic struggle among a large number of young scholars from the reformist academic movement entering the established system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of the 1980s dualized academic field. And in this process, a huge network of discourse sharing the common interest of the alternative critical theory was formulated in the field, crea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evolution of the field would be achieved from Bourdieu's perspective. However, this possibility was not realized because the network of discourse was deconstructed early and members of the research group themselves went off from it while oscillating between the different dispositions of the major academia and the minor reformists. Jang Chun-ik's intellectual trajectory is showing this process as a private history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collective field is inscribed. This paper showed the process of structural changes of the academic field in the 1990s through the tracking of intellectual trajectories drawn by Jang and young researchers and attempted to reflect on the implications of their practices left for us today.

      • KCI등재

        탈경계를 위한 도전: "고전-여성-문학-사"를 매개하는 "젠더 비평"의 학술사적 궤적과 방향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학술사적 의의와 과제-

        최기숙 ( Key Sook Cho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이 논문은 13년의 연구 이력을 지닌 ``고전여성문학연구``가 사실상 ``고전-여성-문학-사``를 어떻게 매개하고 규정해 왔는지, 또한 그 관계들을 둘러싼 학술장의 제도적 변화와 문화사적 역할에 어떠한 비전을 제출하면서 ``통제/관리/조율/확산``해 왔는지에 관해, 학회와 학술지의 학술사적 역할이라는 차원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인문학 자체에 ``젠더적 시각``에 관한 어떠한 문제의식과 응답을 추동해 왔는지에 관해,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성찰적 검토를 시도했다. 첫째, 학술사적 차원에서 해당 학회는 콜로키움, 하계워크숍, 학술대회 등을 통해 젠더 이슈와 관련한 고전문학 연구 주제를 선도적으로 기획하고 수행함으로써, ``고전-여성-문학``을 링크하는 학술적 공론장을 마련해 왔다. 또한 젠더 스터디의 연구 방법론으로서 학제간 연구를 지향함으로써, 문학주의를 벗어나 문화사/생활사 연구로 범주를 확장했다. 아울러 인접 학문의 페미니즘 연구의 성과를 수렴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축적해가고, 이를 이론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둘째, 해당 학회에 투고한 논문의 필자는 총 275명으로, 남녀 비율은 31% 대 69%로 여성 필자가 2배를 넘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고전문학은 대학의 분과 학문 체제의 전공 구분에서 독자적인 연구 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는 여전히 대학의 전공 체제가 연구 방법론이 아니라 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영역화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젠더적 시각에서 ``고전-문학-사``를 다시 읽는 작업은 기존의 전공 구분에 대한 학문 관행을 넘어서 젠더 연구를 영역화하는 선도적 역할을 했다. 국문 글쓰기 과정에 대한 주목, 생활사나 문화사 연구, 학제간 연구 등은 이전의 ``고전-문학-사`` 연구의 경계를 뛰어넘은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학회의 활동은 젠더 연구의 고전문학연구의 보편적 연구 의제이자 시각으로 설득하는 문화적 힘을 발휘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고전-여성-문학-사``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해결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첫째, 연구의 대부분이 여성성 및 여성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남성성에 대한 연구를 아우르려는 젠더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조선시대(조선후기) 연구에 집중된 연구를 확장하고, 동아시아적 관점과 방법을 연계함으로써, ``시기``와 ``지역``으로 제한된 연구 범주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회 차원의 장기 지속적인 학술 기획을 마련함으로써, 신자유주의 체제의 학문 제도화의 관행이 갖는 한계를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한다. 넷째,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학문 평가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전환과 개편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를 위해 젠더 관련 학회 간에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콜라보레이션 네트워킹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향후 젠더 연구는 단지 연구 영역이나 방법론으로서의 개념과 역할로 제한되지 않고, 여성적 시각을 고려했을 때 필요한 인문학 연구의 ``태도``란 무엇인가라는(예컨대, ``돌봄``이나 ``배려``, ``공생`` 등), 사회·문화적 실천의 내용과 접합하려는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roles and outcome of the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by analyzing the journals, academic projects and works; 1) how this academic society redefine of the categ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history of literature`` with the view point of gender criticism, 2) how this working affected to the academic system and cultural roles, 3) what are effects of these gender issued scholarly process to the Humanities itself? First, at the level of academic history, this academic society have been planned long-term projected colloquium for 8 yeard, interdisciplinary summer-workshops, and conferences with the feministic view. By doing so it played a leading roles amongst researchers and academic societies with regard to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y using the gender criticism as a methodology, and using the concept of cultural studies and a study of ordinary life, this academy made enlarge the category of literature, accumulated the case studies and got to academicize as a gender theory. Second, the total contributors are 275, amongst 31% are male-writer, and 69% are female-researcher. However, the gender criticism could not be considered as one of academic field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se phenomena resulted from the fixed academic system of university depending on the category and objects, not on methodology and viewpoint. Third, in the engendered perspective, the critical reading with considering of the concepts of ``Classic-literature-history`` can be estimated as a leading role; crossing the border of academic system which is limited by the department system of university; a highlighting on the woman`s writing with Korean alphabet and oral narratives, newly focusing on the cultural history and interdisciplinary/multidisciplinary approach as a methodology. Nevertheless, this academy is in dept to the next issued studies; 1) Most studied are focused on the analysis of feminity, not positively including the studies of masculinity/manhood. So it need to be changed from the feminism study into the gender studies. 2) Most researched are converged on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late Joseon. It should be linked with the East Asian studies crossing the boundaries in limited in category of Korea. 3) It should be suggested a series of long-term projects at the level of academic society, by doing so it should be overcome the limitation resulted from neo-liberalism which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academic system. 4) To do so, it needs to change and reorganize of academic valuation system totally. 5) The collaboration amongst academic societies with regard to gender issues or perspectives should be linked by networking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