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 특성 및 읽기 변인간의 관계 연구

        우정한 ( Woo Jeong Han ),김영모 ( Kim Young Mo ),신은선 ( Shin Eun S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읽기는 초기 학령기 학교교육에서 반드시 성취해야 할 기본적이고 중요한 능력이다. 그러나 다문화 학생들은 언어적·문화적 차이로 인해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 등의 읽기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 읽기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의 다문화학생(36명)과 일반학생(45명), 총 8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학생은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 능력이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읽기유창성, 어휘지식, 듣기이해, 구어기술 및 읽기이해는 서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읽기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듣기이해와 어휘지식 등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초등학생의 읽기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ading is one of the fundamental and critical abilities that young school-age children should acquire. However, in general, multicultura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reading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oral language skill,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know about the correlation of reading ability variabl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ird, to know about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reading comprehension. For this study, 84 elementary school students(36 multicultural students and 45 general students) were employed and tested by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speaking skill, and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data analysis method were two-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lower than general students in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oral language skill, listen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reading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listening comprehension, oral language skil and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ird, the influenceable variables for reading comprehension wer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teaching reading to multicultural student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초임담임교사의 체육 지도 내용 및 방법에 영향을 미친 배경 요인과 그에 따른 수업지식 분석

        최흥섭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erspectives of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id not major in physical education (PE) affect the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After having an interview with four novice teacher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tudent teachers and apprentices and novice classroom teachers. Each group placed an emphasis on the affective domain in objective knowledge. Their background knowledge for establishing the objectives were formed by experience from apprenticeship and experience from university education.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students, both groups showed difficulty in handling a gender difference as well as a difference in ability, and suggested motivating student interests as a solution.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students like ball games more than physical fitness activities. Both groups were able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more after they took charge of the class. In the area of teaching strategies, both groups organized their lessons from a partial-learning method to a whole method, and they developed teaching skills through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from their classroom experiences. They also acquired teaching skills from diverse sources and applied various methods in class. Most of them applied materials for developing student motivation, and obtained helpful information from the teacher's guide book and the Internet(edunet). For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received at the teacher's college were insignificant, and most of them were able to develop their pedagogical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their teaching experiences after being appointed as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Thus, a re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is necessary, and in-service programs to help novice classroom teachers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는 체육을 전공(심화과정)하지 않은 초등학교 초임담임교사의 체육 수업관에 따른 수업지식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이렇게 구분된 수업지식들간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면담 결과, 초임담임교사들은 수업관 세부항목 중 체육수업 지도 내용 및 방법에 영향을 미친 배경 요인에 따라 교생 실습, 관찰견습 및 학급담임 경험의 두 교사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수업목표 지식에서는 두 교사 집단 모두 정의적 영역에 가장 중점을 두었고, 수업목표 설정에 대한 바탕 지식은 관찰견습과 대학시절 경험을 통해 형성되었다. 학생이해 지식에서는 두 교사 집단 모두 학생들의 성차 및 기능차에 따른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해결 방안으로 학생들의 흥미 유발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학생들은 대부분 구기활동을 선호하고, 체력영역을 기피한다고 하였으며, 학생이해 지식 대부분을 학급담임으로 직접 경험하면서 형성하였다. 수업전략 지식에서는 두 교사 집단 모두 분습에서 전습으로의 지도를 통해 수업을 조직하였고, 대부분 학급담임후 지도한 경험을 통해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깨우치고 있었다. 또한, 수업 후 다양한 수업 방법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수업 지도에 사용한 기술 종류 및 습득 경로는 다양하였다. 교육과정 지식에서는 두 교사 집단 모두 수업 자료를 대부분 동기유발 자료로 활용하였고, 대부분 교과용 도서와 인터넷(에듀넷)을 통해 활용 지식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초임담임교사들의 수업지식에 교육대학교에서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영향력은 미미하였고, 대부분 학급담임으로 발령 난 후의 지도 경험을 통해 수업지식을 쌓아가고 있었다. 이에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대학교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재편성이 요구되며, 아울러 이들의 어려움을 시급히 해소시켜 줄 현장 추수지도 및 신규연수가 절실히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초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김유경,방정숙 한국학교수학회 201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5 No.1

        본 논문은 세 명의 초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수학내용지식, 학생이해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상세히 분석하였다. A교사는 부진아였던 학생 시절의 영향을 받아 구체물을 통한 개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B교사는 수학자처럼 자신만의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해보는 탐구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였으며, C교사는 실생활 중심 수업을 하였다. 세 명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구현하려고 하는 수업의 형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세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초임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등식 이해 및 해결 전략에 대한 교사의 지식 분석

        방정숙,이유진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 Vol.6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well teachers anticipate students to understand and solve equation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of the equal sign was developed, and 20 fourth-grade class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eachers in each class were asked to predict various strategies on how their own students would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450 students from the 20 classes solved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achers could predict students’ computational strategies and relational strategies easily but did not fully understand that some students used both strategies or employed incorrect computational or relational strategies. The students tended to use relational strategies better than the teachers expected. They also employed operational strategies more often than the teachers expected. The teachers predicted that students’ strategies would be influenced by the types of the problems such as equation-structure items and equation-solving items, whereas the student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forms of equations in the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knowledge to which teachers needed to attend were discussed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enhance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등식 이해 및 해결 전략에 대해서 교사가 얼마나 잘 예상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등호 이해 검사지를개발하였고, 4학년 20개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학급의 교사에게 담당 학생들이 검사지 문항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다양한 전략을예상하게 하고, 실제 학생 전략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계산적 전략과 관계적 전략에 대해서는 비교적 쉽게예상할 수 있었던 반면, 학생들이 계산적 전략과 관계적 전략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는 점, 틀린 계산적 전략이나 틀린 관계적 전략을 사용하기도한다는 점 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사들이 예상한 것보다 학생들은 관계적 전략을 더 잘 사용할 수 있었고, 등식의 형태에 좀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등호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진작할 수있도록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학학습 멘토링이 예비수학교사의 수학교수지식(MKT)에 미치는 영향

        이헌수,김솔,강성모 한국학교수학회 202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4 No.4

        본 연구는 수학학습 멘토링 활동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 수학교육과 학생 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농촌지역 중학생과 주 2회 2시간씩 15주 동안 1:1로 수학학습 멘토링을 진행하였으며, 매주 학습사항 및 정서관찰을 기록한 멘토일지를 과제로 제출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의 멘토일지, 성찰일지와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학습 멘토링 활동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과 학생에 대한 이해 및 자아성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에게 이론적인 수학교육학의 내용을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론적인 지식을 실천적 지식으로 발현하게 하였다. 둘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에게 학생을 이해하는 방법과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었고, 학습자로서의 자신의 태도 및 자세에 대해 반성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에게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수 활동을 신장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넷째, 수학학습 멘토링은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신념과 교직관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activities on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e choose six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at M University.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ducted 1:1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for two hours at a times and twice a week for 15 weeks.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ubmitted the mentor log, which recorded weekly learning and emotional observations. We collected the mentor log and the reflection log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he interviews with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effects of MKT,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trospection by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We obtain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provides an opportunity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apply the theory of mathematical education to schools. Thu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press theoretical knowledge as practical knowledge. Second,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elp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stud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attitudes as learners. Third,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elps advance teaching activities by providi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activities. Finally, mathematics learning mentoring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intuition.

      • KCI등재후보

        분수 연산에 관한 예비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김경은,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bout fraction calcula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order to explore both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ir knowledge of instructional methods on the topic of fraction calculation. A survey was implemented to a total of 187 juniors in 3 universities. This paper illustrated prospective teac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regard to their specific knowledge. As the result of analysis,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understood well about addition-subtraction error, error of reduction of fractions to a common denominator, and error of reduction of a fraction. However, they revealed poor understanding about transformation error, reciprocal error, and error of fraction - construction. The teachers also had weak knowledge of the learning sequences about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When asked how to explain fraction calculation to students, the teachers had a tendency to use the common algorithm of fraction calculation rather than conceptual illustration, in particular for the case that the multiplier or the divisor is fraction. The paper included implications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with regard to students' various types of errors and their reasons, learning sequence about fraction calculation, and the meaning of fraction and understanding of algorithm.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과 관련하여 분수의 특정 내용 지식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분수 연산과 관련하여 학생 이해 지식과 교수 방법 지식을 면밀하게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분수의 사칙연산 전체를 대상으로 두 가지 지식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의 덧셈-뺄셈 오류, 통분 오류, 약분 오류는 잘 이해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변환 오류, 역수 오류, 분수 구성의 오류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또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지도 계열에 대해서 매우 취약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승수와 제수가 분수인 경우 개념적인 설명보다는 알고리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역시 원리보다는 계산 방법만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오류 유형과 원인 및 대처 방안, 분수 지도계열에 대한 논의, 연산의 의미와 알고리즘의 이해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민요 수업 PCK에 나타난 문제점과 대안

        김민하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60 No.-

        In this study, PCK for folk song class shall be discussed, and in turn, problems and alternatives shall be addressed after analyzing folk song class made by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had a relatively high-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necessity and goal of folk song education, but they lacked confidence in teaching class and were faced with various difficulties in conducting classes. Seco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goal of folk song education in relation to cultural education factors, but most of them focused on musical skills while teaching students. Thir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pre-service 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the requisite knowledge needed in this field, errors committed in content delivery, teachers’ failure to explain the concept to the students in their own words, and teachers’ inadequate explanation of Korean folk songs because of basing their explanations on criteria or standards suited to Western music. Fourth, pre-service teachers lacked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in folk song classes to demonstrate songs by combining the jangdan and songs, and they seemed to lack confidence. Fifth,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suffer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students’ interest or levels because of their lack of awareness or understanding of folk songs. They also had difficulties adjusting levels to make classes more interesting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lack of knowledge of traditional music and of what class should come before and after folk song class. Sixth,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regarding methods to teach and learn folk songs and the efficiency of teaching materials, but their methodological knowledge about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 utilization and knowledge regard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y were poor. The following alternatives were draw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operate the curriculum for training teachers centering on PCK required for folk song clas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for teaching practical skills combined with knowledge in teaching methods so that teachers can have the practical capacity needed for carrying out folk song clas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to conduct folk song classes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to build the PCK required in folk song classes from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ograms and a foundation to directly and indirectly share the PCK of experienced teachers with expertise in folk song class. 본 연구는 민요 수업을 위한 내용교수지식(PCK)을 고찰하고, 이에 따라 예비교사들의 민요 수업에 나타난 PCK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민요교육의 필요성과 목표에 대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수업에 대한 자신감 결여, 수업 실행 상의 여러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민요교육의 목표를 문화교육적 요소와 관련지어 인식하였으나, 대부분 음악적 기능에 치중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낮은 지식 이해도, 내용 전달의 오류, 교사의 언어로 변환하여 개념을 설명하지 못하는 양상, 서양음악의 인식 체계에 바탕을 둔 교사의 설명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넷째, 민요 수업에 요구되는 실기 역량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은 장단과 노래를 결합하여 시범창 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했으며, 다소 자신감이 결여된 모습을 보였다. 다섯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민요에 대한 인식과 이해 수준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을 파악하거나, 국악 경험 부족 및 민요 학습의 선ㆍ후행성에 대한 지식의 미흡으로 흥미 있는 수업을 이끌어 가거나 민요 수업의 수준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예비교사들의 민요 교수ㆍ학습 방법 및 자료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교수법과 자료 활용에 관한 방법적 지식,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전략 지식은 미흡한 수준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민요 수업에 요구되는 PCK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 운영해 나가야 한다. 둘째, 민요 수업 실행에 요구되는 실기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수 방법 지식과 결합된 실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 이해 지식 및 교수 방법 지식의 이해ㆍ적용을 위해 교육실습 등을 통한 민요 수업 실행 기회를 확장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민요 수업 전문성을 가진 경력 교사의 PCK를 직ㆍ간접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역사 실질 지식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소은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4 No.-

        This article reviewed various works 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ith a social realist perspective on knowledge and curriculum, a new interest i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as examined.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d ho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as addressed when discussing history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empirical studies 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ere reviewed, and the role and value of the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in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 were explored. Although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historical educati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has been regarded as an object to be memorized or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performing general skills. However, a recent discussion on knowledge of historical substance has emphasized the need to vie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as something derived from a rigorous historical investigation. Also, it is suggested that it is crucial to thoroughly examine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are interwoven with second-order concepts of history, and how this understanding appears as a ‘usable’ big picture for students.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continued in the future. 본 글에서는 역사 실질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검토하였다. 2010년대 이후 역사 실질 개념이 역사교육계에서 새롭게 관심 받게 된 계기를 지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실재주의 논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의 역사교육 논의에서 역사 실질 개념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여러 경험적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역사 실질 개념이 학생들의 역사적 이해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지니는 가치를 조명하였다. 역사 실질 개념은 역사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단순히 암기해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지거나, 일반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단순한 배경 정보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렇지만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최근 논의는 역사 실질 개념을 단순히 정보 축적의 대상으로 보는 접근에서 벗어나, 역사의 학문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엄밀한 탐구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것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을 역설한다. 그리고 이 둘러싼 학생들의 이해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특정 역사 실질 개념 및 지식을 얼마나 정확하고 많이 알고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는 양적 측정 수준에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단순히 특정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사전적 정의와 핵심적인 속성을 파악하지 확인하는 수준을 넘어, 이 개념이 구체적인 역사 2차 개념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양상과 더불어 이 개념에 대한 이해가 과거에 대한 종합적이고 ‘활용 가능한’ 역사상을 구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피고, 이러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생들의 생활세계와 소통되는 도덕 수업

        김형철 ( Hyeong Chul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도덕수업은 교과서의 규범과 원리를 배우고 가르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학습활동은 학생들의 삶과 호흡하고 그 숨결에 예민해져야 한다. 왜냐하면 교과서의 원리적 삶과 그 토대는 본래 일상생활에서 출발하고 만들어진 구성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덕적 원리들은 생활세계와 관련하여 친숙하게 배우고 가르치는 활동이 되어야만 한다. 즉 학생들의 희노애락이 드러나고 그들과 함께 기뻐하고 슬퍼하고 위로와 용기를 줄 수 있을 때, 도덕교과서의 진정성은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도덕적 덕목의 전승과 전달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다시 말하면 도덕 교과서의 내용을 제대로 배우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문자적 도덕지식이 학생들의 삶과 연관되는 방식을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덕교과서의 내용이 학생들의 생활 세계를 담아내야 하는 당위성을 논변하려 했다. 다음으로 이러한 당위성을 실현할 수 있는 수업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도덕수업을 위한 학습전략은 시각, 청각, 시청각, 글쓰기 전략으로 요약해 보았다. 이상은 도덕교과서에서 말하는 규범과 그 원리적 삶을 학생들이 생생히 느끼고 그들의 마음을 흔들 수 있고 마침내 도덕적 삶을 결단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려는 것이었다. Moral class should have mutual understanding with students` life. The fruit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helpful in the substantial life of students. That is, it has to comfort, encourage and strengthen students` life. In this respect, the letters in a textbook should be enlivened. In other words, moral knowledge ought to be given full life. In short, it means to harmonize life with class. First, the moral intimacy of moral class and life was mentioned. Second, the awakening and interest of students` real life was urged. Third, the activation method of life world was proposed. The above was the argument about good moral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