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선수 라이프스킬 역량 함양을 위한 방안 연구

        정현철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3

        이 연구는 학생선수 라이프스킬 역량 함양을 위한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학생선수 라이프스킬에 관한 이해와 지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학생선수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학생선수 라이프스킬 내용 전문가 5인과 학생선수 3인 학부모 2인을 선정하여 학생선수 라이프스킬 콘텐츠 개발 과정과 현장 적용사례에 관한 자료와 심층·집단 인터뷰 등을 통한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을 분류하며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라이프스킬 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라이프스킬의 의미와 가치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필요성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고, 올바른 인성 중심의 내면화 과정이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연구 참여 전문가들의 경험적 지식에의한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설계 및 절차의 일반화 방안은 라이프스킬 이해-해당 종목 특성 파악-프로그램 개발-적용-평가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평가는 순환적 반복을 통해 체계화를 이룰 수 있다. 셋째, 학생선수 라이프스킬 함양은 학교-훈련-일상생활에서 감독, 지도자, 학부모 모두 일치성 있는 교육을 통해 학생선수 삶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학생선수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의 변화를 중심으로 학생선수의 체육학적 지식의 활용, 훈련 지도의 근거 틀 마련, 학생선수의 전인교육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 연구가 학생선수 라이프스킬 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을 위한 이론적 틀 정립 및 방향성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nd create the measures for enhancement of life skills of student athletes,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nd guidance on life skills of student athletes, and to suggest a proper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life-skill programs for student athletes. For the study, the interview was made on five experts on life skills of student athletes, three student athletes, and 2 parents of student athletes; various materials and data were collected on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contents for student athletes’ life skills and application of them in the field, and in-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and material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From these,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e followings. First, for development of the competence in life skills, it would be significant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life skills upo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and values of life skills, and to provide with conditions to naturally lead an appropriate-personality-centered internalization process. Second, the generalization of design and procedure of life-skill programs upon experiential knowledge of the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s made in an order of the understanding of life skills,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specific to the corresponding sports field, and development-application -evaluation of the programs while such development-application-evaluation of the program could be systematized through cyclical repetition. Third, for enhancing life-skills of student athletes, it would be important for them to be given to student athletes through consistent education in school, training, and daily life by their coaches, instructors, and parents, so they could be immersed in their lives. Fourth, it would be essential to consider the current changes in various perspectives on student athletes while utilizing student athletes’ knowledge on physical education,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guidance on training, and providing student athletes with holistic education. It would be significant if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establishment of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 direction for planning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for development of the competence in life skills of student athletes.

      • KCI등재

        학습자로서 학생선수의 특성과 방과후 수업을 통한 학생선수의 변화와 성장

        이사라,곽윤정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tudent-athletes as learners and the main causes of their learning deficits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that occur through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classes and the conditions and experiences that affect the chang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literature on student-athletes' learning right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six student-athletes and four teacher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classes. It was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student-athletes as learner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learning competences, learning attitudes, emotions, and social skills) and that extreme, intense training and student-athletes' self-perceptions are the main causes of their learning deficits. In addition, both student-athletes and teachers perceived that changes in learning competences, attitudes, motivations, and emotions occurred among student-athlete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classes for five months. The conditions and experiences that affected the changes were a lower-level curriculum, education methods and reinforcements reflecting student-athlete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contexts and settings provided by social networks of teachers, parents, and coach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protect student athletes' learning rights and to establish educational policies for developing student-athletes' learning competences. 본 연구는 학습자로서 학생선수의 특성과 학습결손의 원인을 알아보고, 방과 후 수업을 통해 학생선수에게 나타나는 변화와 함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과 경험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선수의 학습권과 관련된 문헌 자료를 분석하고, 학습결손의 보완을 목적으로 운영 중인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선수 6인과 방과 후 교사 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문헌 자료와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습역량, 학습태도, 정서, 사회성의 범주로 학습자로서 학생선수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과도하고 혹독한 훈련시간과 학생선수 자신에 대한 인식이 학습결손의 원인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5개월 동안의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면서 학습자로서의 학습역량과 태도, 동기, 감정 등에서 학생선수는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였고, 교사 역시 학생선수의 변화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학습자로서 학생선수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 낸 조건과 경험으로 또래보다 낮은 수준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학생선수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방법 및 강화, 교육적 맥락과 환경의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 학부모, 전담코치의 사회적 관계망(social network)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양성하는 제도를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학생선수 학습권을 위한 주말리그제도 운영 성과와 과제

        선혁규(Sun, Hyuk-Gyu),백종수(Baek, Jong-Su)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주말리그제도 시행 10년에 따른 학생선수의 수업참여에 대한 실태나 문제점 인식 등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대한축구협회(KFA)와 대한야구협회(KBA)에 등록된 남자학생선수를 모집단으로 유목적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여 학생선수 322명(축구선수 186명, 야구선수 136명)과 질적 연구를 위한 심층면담 참여자 10명(축구선수 2명, 야구선수 2명, 코치 2명, 운동부장교사2 명, 학부모 2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첫째, 주말리그제도 운영에 따른 학생선수의 수업참여 실태는 ‘아침조회만 참여한다’는 응답이 41.3%로 가장 높았고, 수업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3.4%로 나타나 학생선수 74.7%가 여전히 수업에 전혀 참여하지 않거나 참여하더라도 출석했다는 시늉만 내는 형태를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의 15.0%에 달하는 학생선수는 일반학생과 똑같이 정규수업까지 참여하였고, e-school 인터넷 강의 수강 등을 통해서도 수업 참여를 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선수 73.3%는 자신들의 수업 참여에 대해 전혀 또는 대체로 그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고, 수업 참여에 따른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 역시 학생선수 67.3%가 전혀 또는 대체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선수의 90.2%는 주말리그제도 시행 후 수업 참여에 대해 학교의 규제를 받고 있었다. 넷째, 학생선수의 학업 성적과 경기 성적이 철저히 연계되는 진학 및 진로 체계 마련, 학생선수와 학부모의 제도에 대한 이해 강화, 공부하는 학생선수를 만들 수 있는 수준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과 대학생 멘토링 스쿨 등 다양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제공 등이 요구된다. 다섯째, 학생선수를 위한 기초학력에 대한 재개념화와 그에 따른 학력 기준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a systemized plan for achievement as the weekend league system has been applied for the past ten years.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status and problems of student athletes academic participation.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 data from 322 highschool athletes in G city and J provence, registered in Korea Football Federation (KFA) and Korea Baseball Federation(KFA) were collected based on purposeful sampling. Also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total of 10 participants(soccer 2, baseball 2, coach 2, athlete team faculty staff 2, parents 2). Results: First, 41.3% of the student athletes were found to be “attending only the morning assembly”, while 33.4% answered they “do not attend class at all” which concludes that even with implementation of the weekend league system, 74.7% of the students are still outside the classroom at most times. Secondly, 15% of the student athletes were participating in all regular class and sometimes learning class materials through e- school online classes. Thirdly, 73.3% of the student athletes does not understand the need of participating classes along with 67.3% of the students does not understand class contents and materials. 90.2% of the students were under restriction of school for class participation. Conclusion: Fourth, system of combining student athlete’s academic and athletic performance for admission to higher level school, student and parents’ understanding of the system, educating system for all academic level of student athletes, student mentor program and diverse programs are needed. Fifth, re- conceptualizing of the fundamental standardizing of academics for student athletes are in need.

      • KCI등재

        중등학교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 및 진로결정수준 분석

        이연규(Lee, Yun-Kyu),유정애(You, Jeong-Ae),이현석(Lee, Hyun-Su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1

        학생선수들은 자신의 운동경험을 살려 다양한 소질과 적성을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진로를 계발하여 결정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지 못하다. 또한 일반학생의 진로설계 및 진로교육관련 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학생선수에 관한 진로교육에 필요한 기초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선수의 진로설계 준비와 진로결정에 가장 중요한 시기인 중 · 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 · 고등학교 운동부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을 사용하여 표집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48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향자(1992)가 진로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설문지를 각각 번안한 것을 토대로, 중․고등학교 학생선수에게 적합한 형태로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버전을 이용하여 다원변량 분산분석(n-way ANOVA),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그리고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유형 중 직관적 유형은 고등학교 보다 중학교 학생선수에게 더욱 많이 나타났으며,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의 경우는 개인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선수가 단체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선수에게 많이 나타났다. 둘째, 학생선수의 진로결정 수준은 비인기 종목보다 인기종목의 학생선수에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 ·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졌고, 반대로 의존적 유형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secondary school athletes. 480 student-athletes are collected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rom chosen athletes population attending at the secondary school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questionnaires for the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decision level are used to collect data, in which the questionnaires had been modified in Korean by Go (1992).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n-way ANOVA,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es of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ly,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type among the secondary athletes in the demographical factors. Secondly,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he demographical factors. Lastly, career decision type for the secondary athletes affects the career decision level.

      • KCI등재

        국가주도 학생선수 육성제도의 개념과 현실을 토대로 한 개선방향 탐색

        조남용,이영국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선수 육성제도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개념 정의와 함께, 현행 학생선수 육성제도의 현실 파악을 토대로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먼저 학생선수 육성제도와 관련된 개념 정의를 위하여 학생선수 육성제도의 영역을 ‘학원스포츠제’, ‘체육특기자제’, 그리고 ‘최저학력제’로 구분했으며, 개념 제시 방법은 ‘정의’ 진 술과 ‘특징’ 제시와 같은 범주화 도구를 활용하면서 세 가지 용어들을 정의하였다. 둘째 학생선수 육성제도의 현 실 제시 방법은 관련 제도의 ‘문제점’ 기술과 ‘정부의 대응’ 진술과 같은 범주화 도구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선수 육성제도의 궁극적 개선 방향을 ‘정책적 개선방향’과 ‘학생선수 인권보장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의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먼저, 정책적 개선방향1)은 첫째, 제도의 목적에 대한 우선순위 재정립, 둘째, 학생선수 인권침 해의 원인에 대한 명확한 귀인소재 파악, 셋째, 제도의 실행전략으로서 ‘보호’와 ‘증진’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학 생선수 인권 보장을 위한 가이드라인에서는 첫째, 학생 선수의 인권 존중에 대한 명료화, 둘째, 학업과 운동의 병 행을 위한 제반 조건, 셋째, ‘외국 코칭 기법에 대한 벤치마킹과 인권보장을 위한 코칭교육’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 학생선수의 학습관계망 연구

        황영호,임용석,임상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ous networks of students athletes through theircase of class and to build ‘learning network’ for the achievement of right for learning. For thisstudy we observed ‘the University A’ for 6 months using a qualitative study method and furthermore, we conducted formal interviews with 4 participants of 21 study participants. In addition,we collected literature materials, and analyzed these through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The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problem of educational alienation commonlybased on the students athletes’ network. Second, in the group of students athletes existedconformity network, and between the group of students athletes and normal students existedclosed network. Third, vertical and hierarchic network has been built between teachers·sportsteam instructors and students players. On the basis of results of our study, we suggested twoperspectives to build effective learning network for students athletes. The first one is the‘conversion of capital’ and the other one is ‘learning paradigm.’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 학생선수들의 수업사례를 통해 그들의 관계망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알아보고,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는 학습관계망의 형성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교 수업에서 학생선수들을 6개월 동안 관찰했으며, 21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했다. 이 중 4명의 주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보다 심층적인 면담을 진행했다. 이 밖에도 학생선수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선수가 학습 상황에서 소외되는 현상은 공통적으로 ‘관계망’에서 파생하는 문제였다. 둘째, 학생집단 내부에서 학생선수 간에는 동조적 관계망이, 학생선수와 일반학생 사이에는 배타적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다. 셋째, 학생선수의 외부관계망으로서 학생선수와 교수자·운동부지도자 사이에는 수직적·위계적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선수의 ‘학습관계망’ 형성을 위한 두 가지 관점의 교육적 제언을 했다. 하나는 ‘자본의 전환’ 관점이며, 다른 하나는 ‘학습패러다임’의 관점이다. 자본의 전환은 학생선수의 신체자본을 사회자본으로 전환하는 관점이며, 이를 통해 학생선수와 일반학생의 연결지점을 모색했다. 학습패러다임은 학생선수를 학습의주체로 바라보는 관점으로, 이를 통해 학생선수의 학습 자율성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했다.

      • KCI등재

        전문체육영역대학교 학생선수의 학습관계망 연구

        황영호(Yeong Ho Hwang),임상옥(Sang Og Lim),임용석(Yong Suk Y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 학생선수들의 수업사례를 통해 그들의 관계망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알아보고, 학생선수의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는 학습관계망의 형성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교 수업에서 학생선수들을 6개월 동안 관찰했으며, 21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했다. 이 중 4명의 주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보다 심층적인 면담을 진행했다. 이 밖에도 학생선수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선수가 학습 상황에서 소외되는 현상은 공통적으로 ‘관계망’에서 파생하는 문제였다. 둘째, 학생집단 내부에서 학생선수 간에는 동조적 관계망이, 학생선수와 일반학생 사이에는 배타적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다. 셋째, 학생선수의 외부관계망으로서 학생선수와 교수자·운동부지도자 사이에는 수직적·위계적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선수의 ‘학습관계망’ 형성을 위한 두 가지 관점의 교육적 제언을 했다. 하나는 ‘자본의 전환’ 관점이며, 다른 하나는 ‘학습패러다임’의 관점이다. 자본의 전환은 학생선수의 신체자본을 사회자본으로 전환하는 관점이며, 이를 통해 학생선수와 일반학생의 연결지점을 모색했다. 학습패러다임은 학생선수를 학습의 주체로 바라보는 관점으로, 이를 통해 학생선수의 학습 자율성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ous networks of students athletes through their case of class and to build ‘learning network’ for the achievement of right for learning. For this study we observed ‘the University A’ for 6 months using a qualitative study method and furthermore, we conducted formal interviews with 4 participants of 21 study participants. In addition, we collected literature materials, and analyzed these through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There 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educational alienation commonly based on the students athletes’ network. Second, in the group of students athletes existed conformity network, and between the group of students athletes and normal students existed closed network. Third, vertical and hierarchic network has been built between teachers·sport steam instructors and students players. On the basis of results of our study, we suggested two perspectives to build effective learning network for students athletes. The first one is the‘conversion of capital’ and the other one is ‘learning paradigm.’

      • KCI등재

        고등학교 태권도 학생선수들의 학습권 보장에 대한 인식

        선혁규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actical problems of the right-of-learning system and suggest effective development measures by checking the awareness of the ‘e-school’ and the participation of high-school taekwondo student athletes in classes to guarantee their right to study. Th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by six participants (Quality Study Subject:6)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usual students were normally participating in all the classes. Second, the students did not even recognize the need for a minimum education system. Third, the effectiveness of ‘e-school’ courses has been identified as a serious phenomenon. Fi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fundamentally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 athletes. 본 연구는 태권도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고등학교 학생선수 수업참여, 최저학력제도 및 ‘e-school’에 대한 학생선수들의 인식실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학생선수의 학습권 보장제도의 현실적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실효성 있는 발전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G광역시에 소재한 태권도 육성 고등학교의 학생선수를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연구참여자(질적 연구 대상자:6명)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상시 학생선수들의 수업 참여 형태는 오전부터 모든 교과 수업에 정상적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었다. 시합 출전 직전 학생선수들의 수업참여 형태는 1교시만 참여한다거나 혹은 아침 조회만 참석하고 오전부터 운동을 하는 형태였다. 시합 후 학생선수들의 수업참여 형태는 시합 출전 전과 같이 별다른 휴식이나 보강훈련을 실시하지 않고 시합에서 돌아온 직후부터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학생선수들의 최저학력과 관련하여 학생선수들은 수업에 참여하지만 여전히 수업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또한 학생선수들의 수업 참여가 학력 향상과는 관련성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최저학력제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학생선수들은 최저학력제도의 필요성조차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e-school’수강이 곧 학생선수들에게 학습으로 직결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효성 문제와 함께 학부모, 가족 등의 대리수강이 심각한 문제로 확인되었다. 한편, 학생선수들 중 많은 수가 영어 과목에서 최저학력 기준에 도달하여 작지만 의미 있는 성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선수들이 최저학력제도와 ‘e-school’에 대해서 징계나 처벌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경각심을 갖고,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학생선수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과 교육 컨텐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양궁 학생선수 육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오교문,임용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fostering process of archer student athletes in Korea and Australia.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three years in Korea and Australia.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interviews from national archer candidate who are student athletes. Moreover, the researcher interviewed coaches and managers. For the observation, the researcher observed the student athletics’ training and living space; dormitory, rest and study room, training ground.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inductive method and themes were modified by classific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as following themes: (1) selection and procedure of archer student athletes were 'performance' and 'potential', (2) training environment were 'result' and 'process', (3) training plan and implement were 'top down’ and ‘bottom up’, (4) academic achievement run parallel with athletic performance were classified as student 'athlete' and 'student' athlete.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promotion process of archer student athletes between Korea and Australi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irst, in long-term perspective, the promotion process of student athletes should be invested not only for athletic performance but also for student athlete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education supporting program which runs by Australia(ACE), which supports the student athletes’ by connec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from nation, region, associations and schools, were needed. Finally, the promotion process should provide the environments and resources to supports student athletes to balance the academic and athletic performanc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양궁국가대표 상비군과 호주 AIS 양궁프로그램 소속 학생선수 육성사례의 비교를 통해대한민국 학생선수 육성·지원에 대한 가능성 탐색을 위한 연구다. 자료의 수집은 한국의 양궁국가대표상비군과 호주 AIS의 양궁프로그램 소속 학생선수의 학업 공간, 훈련장, 기숙사, 휴게장소, 수업공간을 관찰했고, 학생선수, 지도자, 운동부 매니저를 면담했다. 수집된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의 절차를 거쳤다. 분석결과를통해 양국의 학생선수 육성과정은 ‘경기력과 잠재력’을 고려한 선발 기준과 절차, ‘결과와 과정’ 중심의 훈련환경제공, ‘top down과 bottom up'방식의 훈련 계획과 실행, 그리고 ‘선수와 학생선수’의 관점에서 학업병행과정 등을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선수선발 기준과 절차는 ‘경기력’과 ‘잠재력’으로, 둘째, 훈련환경은 ‘결과’중심과‘과정’중심으로, 셋째, 훈련 계획과 실행은 ‘top down’과 ‘bottom up’으로, 넷째, 학업병행은 학생‘선수’와 ‘학생’선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선수의 경기력 중심으로 운영되는 한국의 양궁국가대표 시스템과 선수와학생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 운영, 지원을 실시하는 호주 AIS의 양궁프로그램의 운영관점의 차이로 해석된다. 장기적 관점에서 학생선수를 육성·지원하기 위해서는 운동측면과 더불어 학업측면에도 투자해야한다. 둘째, 호주의 ACE와 같은 국가, 지역, 협회, 학교가 연계하는 학생선수 학업지원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선수의 정상적인 운동과 학업병행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환경과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학생선수를 위한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임다연,도재우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One of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or athletes is sports ethics, which enables moral judSment in the face of ethical conflicts at sports sites.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are developed and operated alonS with awareness of the need for sports ethics. However, education for student athletes is hard to find. The need for sports ethics education for student athletes is increasinS not only because ethical problems continue to arise in school sports events, but also because moral0 education is more effective when learners are younS. However, student athletes have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 their participation in sports ethics education due to their studies, traininS, and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In this respect, online education, which students can learn anytime, anywhere, can be an appropriate way to provide sports ethics education to student athle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S an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for student athlet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 athletes leaders, sports ethics education instructors, and adult athletes to investiSate their experiences and view on student athletes' sports ethics education, and focus S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line education experts and sports ethics education experts to deriv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onlin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for student athlete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iShly accessible sports ethics education proSrams for student athletes. 스포츠선수들에게 요구되는 자질 중 하나는 뛰어난 경기 역량뿐만 아니라 스포츠현장에서 직면할 수 있는 윤리적갈등 상황에서 바람직한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스포츠윤리성이다. 스포츠윤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스포츠윤리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들 중에 학생선수를 위한 교육은 찾아보기 어렵다. 초중등스포츠 경기에서도 윤리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윤리적 판단능력 함양에 대한 교육은어릴 때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측면에서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 교육의 필요성은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학생선수는 학업과 훈련, 대회 참여 등으로 스포츠윤리 교육의 참여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측면에서 언제나 어디서나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교육은 학생선수들에게 스포츠윤리 교육 제공을 위한 방법이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선수를 위한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학생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 교육 현황과 요구에 대한 인식과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의개발 방향을 탐색하였다. 학생선수 스포츠윤리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를 위해 학생선수 지도자, 스포츠윤리교육 강사, 성인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도출을 위해온라인 교육 전문가와 스포츠윤리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는 학생선수 대상 온라인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결과, 온라인 교육 형태, 교수-학습전략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현재 학생선수를 위한 전문 스포츠윤리 교육이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접근성 높은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