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경기와 갱년기 증상에 따른 중년여성의 보완대체요법 사용실태

        현명숙 한국교육과학융합학회 2025 교육과학융합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폐경 상태 및 갱년기 증상과 관련된 보완 및 대체 요법(CAT)의 사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지는 사회 인구 통계 학적 특성, CAT 사용, 폐경기 및 갱년기 특성으로 구성되었고, 폐경기 증상은 폐경기 평가 척도 (MRS)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갱년기 증상은 폐경기 특정 삶의 질 설문지(MENQOL)에 의해 평가되었다. 응답자 (n=491)는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 폐경 후 여성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전반적으로 폐경 전 여성의 88.1 %와 폐경 후 / 폐경 후 여성의 90.1 %가 CAT를 사용하였다. 모든 응답자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AT는 식이 요법과 조작 요법이었으며, 가장 만족스러운 CAT는 마사지 후 저녁 요법과 요가 / 필라테스였다. 단순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CAT 사용은 연령, 체질량 지수, 교육 수준, MRS 및 MENQOL과 관련이 있지만, 폐경기 상태, 월 소득, 질병 및 호르몬 대체 요법과는 관련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CAT 사용은 체질량 지수 및 교육 수준을 조정 한 후 MRS 및 MENQOL과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중증의 폐경기 및 갱년기 증상이 있는 중년 여성은 보완 요법과 대체 요법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AT) associated with menopausal conditions and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T use, menopause and menopausal characteristics, Menopaus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Menopause Assessment Scale (MRS), Menopausal symptoms were assessed by the Menopausal 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MENQOL). Respondents (n = 491)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remenopausal women and postmenopausal / postmenopausal women. Overall, 88.1% of premenopausal women and 90.1% of postmenopausal / postmenopausal women used CAT. The most commonly used CAT for all respondents was diet and manipulation. The most satisfactory CAT were evening therapy and yoga / pilates after massage.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T use was related to age, body mass index, education level, MRS and MENQOL, It has been shown to be unrelated to postmenopausal status, monthly income, disea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addit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T us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RS and MENQOL after adjusting body mass index and education level. In conclusion, it appears that middle-aged women with severe menopausal and menopausal symptoms us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more frequently.

      • KCI등재

        중년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 및 폐경기 증상

        최혜원,김현우,백기청,이경규,박진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폐경에 대한 태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서 폐경을 경험하는 개인에게 영향을 준다. 폐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는 이 시기를 경험하는 개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폐경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태도가 폐경과 관련된 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 40세에서 59세의 산부인과. 정신과를 찾은 환자 66명과 대조군 42명을 대상으로 치료에 따른 상기 각 3군과 폐경상태에 따라 폐경전기, 폐경주위 기, 폐경후기의 3군으로 나누어 폐경에 대한 태도와 폐경과 관련된 증상에 대해 비교분석하였으며 , 각각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고, 폐경에 대한 태도와 증상과의 관계에 대해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연구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갈다. 1) 폐경에 대한 태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적이었다. 치료를 받는 군에 따른 비교에서 긍정적인 태도에서는 정상대조군이 산부인과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고, 부정적인 태도와 중립적인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경상태에 따른 폐경전기, 폐경주위 기. 폐경후기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폐경기에 대한 태도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임신횟수와 부정적인 태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폐경기의 증상은 전반적으로 산부인과군과 정신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증상의 호소가 많았다. 모든 증상이 정신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불안증상, 우을증상, 성적인 증상, 수면중상은 정신과군에서 산부인과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산부인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혈관운동성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월경상태에 따라서는 성적인 증상에서만 폐경후기가 폐경전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폐경기 증상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 교육정도와 신체중상. 불안중상 및 수면중상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교육정도와 우울중상. 혈관운동성 증상 및 심리증상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가건강평가와 모든 중상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폐경기의 부정적인 태도와 신체증상, 불안증상, 우울증상 및 혈관운동성 증상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폐경기에 있는 우리나라 여성들은 폐경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폐경에 대해 부정적인태도를 가질수록 신체중상뿐만이 아니라 불안증상과 우울증상 등의 심리중상을 호소함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접근뿐만이 아니라 교육, 홍보 등을 통하여 이러한 폐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바꿀 수 있도록하여 폐경기를 경험하고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0bjectives : Menopause is a life period that involves various somatic and psychological symptoms. Attitudes toward menopause have been influenced by both time and culture, and play a crucial role in experiencing this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middleaged women's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menopausal symptoms. Methods : Thirty-one gynecological patients,35 psychiatric patients, and 42 normal controls who were middle aged women(40-59 years old) were selected. The attitudes toward menopause was examined. According to menstrual status, premenopause, peii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were separated and examined. Then, correlations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ttitudes toward menopaus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34 menopausal symptoms, and correlations between sociodemoeaphic factors and menopausal symptoms were examined. Resu1ts: . 1) Overall attitudes toward menopause was neutral. According to treatment group, normal control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gynecological group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gative and neutral attitudes. According to menstrual flatus,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premenopause, peri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2)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gnancy number and negative attitude. 3) Both gynecological and psychatric groups showed more menopausal symptoms than nominal controls. Psychiatr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symptoms than normal control in all menopausal symptoms. Psychatr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gynecological group in anxiety, depressive, sleep, and sexual symptoms. Gynecological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more vaomotor symptoms than notmal controls. According to menstrual status, postnenopausal group showed signacantly more sexual symptom than premenopause group. 4) Education level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matic symptoms, anxiety , and sleep problems,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vasomotor, and pfrchological symptom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ssessment of health status and all of menopausal symptoms. 5) Negative attitudes toward menopaus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c, anxiety depressive,and vasomotor symptoms. Conclusions: These finings suggest that the method to correct women's negative atitudes towed menopause will be helpful to overcome menopause and to improve menopausal symptom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윤정화,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eal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s they are and clarify the essence of psychological phenomena. 12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to 60s living in the area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experiencing menopaus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For data collection, first a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naire was prepar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all contents were recorded for direct transcription by the researcher and analyzed. For thi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tilized for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course, 110 meaning constructions were established and homogeneous meanings were grouped to show 38 subjects and finally a group of 10 subjects as the experience essence was derived. The psychological phenomena of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were revealed as ‘impulsive anger’, ‘extreme sensitivity’, ‘valueless depression’, ‘grief about aging’ and ‘sense of falsehood’ about being old without love and recognition. The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had ‘menopause as the completion period of menses’, ‘voluntary will to overcome menopause’, ‘relationship that became precious’ and ‘restructure of life’. as the overcoming methods. This study not only showed the psychological phenomena the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experience as they are but also suggested the essence of the psychological phenomena. Furthermore,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participants’ psychological experiences. 본 연구는 폐경기 중년여성들의 주관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어 심리적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살고 있으며 폐경기를 경험하는 40~60세의 중년여성으로 12명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110개의 구성의미가 수립되었고, 동질의 의미를 묶어 38개의 주제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경험의 본질인 10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폐경기 중년여성의 심리적 현상에는 사랑도 인정도 못 받고 늙어버린 것에 대한 ‘충동적 분노’, ‘극도의 예민성’, ‘무가치함의 우울감’, ‘늙어감에 대한 슬픔’, ‘삶에 대한 허망감’의 정서혼란이 드러났다. 폐경기 중년여성들은 폐경기의 극복방법으로 ‘완경으로의 폐경’, ‘폐경극복의 자발적 의지’, ‘소중해진 관계성’, ‘삶에 대한 재구조화’의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여줌과 동시에 심리적 현상의 본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심리적 경험에 대해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치매부모 간호경험

        김은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1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이 치매부모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현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폐경기의 50대 여성 10명으로 의도 표집 하였다.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는데, ‘가족의 빈자리를 부모가 대신함’, ‘노후를 보상받지 못한 채로 치매부모가 되어버림’, ‘늙어버린 몸으로 치매부모 간호를 감당하지 못함’,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치매노인으로 고립됨’, ‘치매노인의 간호를 자식에게 대물림하고 싶지 않음’, ‘부모와는 다른 새로운 자신의 삶을 계획함’이었다. 치매부모 간호경험에 대한 의미구조는 “상실과 슬픔의 소용돌이에서 자아를 찾음”이었다. 결론적으로 치매부모를 간호하는 폐경기 여성은 폐경에 따른 심리적인 변화와 치매의 질병특성인 비가역성으로 부모를 간병하는 동안 슬픔과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노인부모의 치매증상 관리와 더불어 간호를 담당하는 폐경기 여성의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간호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nopausal women while they are caring parents with dementia. Ten menopausal women who have experiences in caring for parents with dementia were selected by means of a purposive sampling,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1) “parents did behalf of family vacancies”, (2) “parents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ithout compensation for aging”, (3) “I am too old to afford to care parents with dementia”, (4) “parents felt isolated living away from family”, (5) “I did not want to pass down my caring responsibility for demented parents to my children”, and (6) “I planned my life which should be different from my parents”. The essential structure of caring experience for parents with dementia among menopausal women was found to be “finding oneself in the vortex of grief and loss.” In conclusion, mental care should be provided to women who are taking care of parents with dementia.

      • KCI등재

        운동프로그램이 폐경기 여성의 심리적 건강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박남희,박인숙,안혜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5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with repeated measurements on single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of women undergoing menopaus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5 to September 21, 2007. The program is composed of two stages that run three times a week from 9:00 AM to 1:00 PM. It was conducted by two specialists and one clinical exercise traine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before the exercise program begin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epinephrine, norepinephrine, metabolic syndromes risk factors, total cholesterol, LDH, body fat, PWV(Pulse Wave Velocity) were measured three times after the first stage. The second stage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by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12-week physical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anxiety(F=9.240, p=.000) and stress(F=7.451, p=.000) of women in menopause and enhanced their quality of life(F=4.577, p=.014) and mood state(F=9.257, p=.000).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de with regards to depression. 2. The 12-week physical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reduction in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F=8.335, p=.001), enhanced Waist Hip Ratio(F=22.528, p=.000), lowered triglyceride(F=8.994, p=.000) and enhanced their HDL-cholesterol(F=191.041, p=.000), lowered LDH of the women in menopause but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s to total cholesterol. 3. The 12-week physical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women's body fat composition(F=3.622, p=.033). With regards to vascular elasticity, it significantly reduced right hand PWV(F=3.622, p=.033) but made no difference with the left hand, left foot and right foot. 본 연구는 운동프로그램이 폐경기 여성들의 폐경기로 인한 심리적 변화와 스트레스 호르몬, 심혈관계 위험요인의 군집인 대사성 증후군의 위험요인, LDH, Total cholesterol, 체지방율 및 혈관 탄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반복측정 실험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7년 6월 25일부터 9월 21일 까지 주 3회, 운동프로그램의 진행은 전문가 2인과 임상 운동사 1인의 지도아래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One Way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써 12주간의 교육 및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프로그램은 폐경기 여성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과 기분상태를 향상시켰다. 대사성증후군 관련 위험요인으로 이완기 혈압과 허리-둔부 둘레 비 감소, Triglyceride 감소, HDL-Cholesterol 증가시켰고, LDH, 체지방율 및 혈관 탄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 KCI등재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영조,김수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목적적 표집하였다. 실험설계는 피톤치드흡입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되는 연구대상자 요인과 사전측정(0week)·중간측정(4week)·사후측정(8week)의 3개 측정시점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는 기분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로 설정하였으며 사전측정·중간측정·사후측정 3회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one-way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긴장, 우울, 피로, 혼돈 요인의 감소 효과와 활력 요인의 증가 효과가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능감, 정신적 안녕, 안정성, 활력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phytoncide intake in mood stat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opausal women through an 8-week experiment. For the study, 41 subjects under 2 years after menopause in D and N districts in Seoul were targeted. consisting of three study points: pre-measurement (0week), intermediate (4week), and post-measurement (8week).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mood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se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questionnaires: pre-measurement, intermediate measurement, and post-measurement. As for the analysis method, one-way ANOVA and pos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Derived result First,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reducing tension, depression, fatigue, chaos, and increasing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ood stat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mpetence, mental well-being, stability, and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중년여성의 골밀도와 운동 : 여성의 폐경기를 중심으로

        석민화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8 스포츠과학리뷰 Vol.2 No.1

        현대인들은 수명이 늘어나고 노년기가 길어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기대여명이 길고, 폐경기 이후 신체적, 생리적 변화를 겪으면서 심혈관질환, 당뇨병, 심근경색, 골다공증 등 성인병으로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후 장기간의 병원생활, 신체 활동의 부자유, 사회생활의 부자유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저하로 골소실로 인한 골다공증 현상이 나타난다. 골에 대한 체중의 역학적인 부하를 증가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운동은 골밀도 감소를 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여성의 신체적, 생리적 변화와, 그 중 골밀도 변화의 기전과 운동을 통해 유지‧향상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Health and related fitness are growing medical problems especially with the enhanced longevity in recent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factors that regulate bone mass and to develop effective therapeutic methods. In addition, menopause transition may have an influence on circulating estrogen concentration, since ageing has been associated with a decrease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Many studies suggest that enhancing the exercise training might be beneficial for menopausal women with reduced bone mass. It is demonstrated in the present study that exercise increases bone mass by reducing fat mass and increasing muscle mass.

      • 택견 수련과 걷기운동이 폐경기여성의 호흡순환 기능과 요부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덕 한국스포츠리서치 2008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택견과 걷기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요부근력, 최대산소섭취량, 노력성 폐활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폐경기여성 14명을 택견 수련집단 7명과 걷기 운동집단 7명으로 구분하였다. 택견수련과 걷기운동집단은 12주간 주4회 1일 60분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요부근력, 최대산소섭취량, 노력성 폐활량을 운동전후로 측정하였으며,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최대산소 섭취량은 택견 수련집단과 걷기 운동집단 모두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노력성 폐활량은 택견 수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걷기 운동집단보다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3. 요부관절 신근은 택견 수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걷기 운동집단보다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4. 요부관절 굴근은 택견 수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걷기 운동집단보다 12주간의 운동 후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 폐경기 이전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나이에 따른 특성과 예후의 차이

        정진향 한국유방암학회 2006 Journal of breast cancer Vol.9 No.4

        Purpose: Breast carcinoma in young patients has been reported to present with more aggressive biologic characteristics and to behave poorer compared with the disease in older patient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ge and the prognosis in premenopausal patients has rarely been reported on.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young age (age 35) for the breast cancer of premenopausal wom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033 premenopausal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surgery in our institution between 1985 and 2003. A total of 180 patients were aged >35 years (the younger premenopausal group) and 853 patients were aged >35 years (the older premenopausal group).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younger and older groups. Results: Compared to the older premenopausal group, the younger group showed earlier menarche (15.2 19 years old versus 16.0 1.7 years old, respectively, p<0.001), larger tumor (3.7 2.1cm versus 3.2 2.0cm, respectively, p=0.002), more metastatic axillary lymph nodes (3.8 7.0 versus 2.4 5.7, respectively, p=0.001), more advanced TNM stage (p=0.015), a lower PR positive rate (47.7% versus 59.9%, respectively, p=0.011), and a higher P53 positive rate (71.7% versus 54.9%, respectively, p=0.034). The recurrence rate for the younger group was 26% as compared with 14.4% for the older group. The overall 5-year and 10-year survival rates of younger group were 79.3% and 68.5%, respectively and these of older group were 91.1% and 84.3%, respectively. Conclusion: In premenopausal women with breast cancer, patients with an age 35 years have a greater chance of having an endocrine non-responsive tumor, and they are more likely present with larger tumor, more metastatic axillary lymph nodes and a more advanced TMN stage. These results show that younger premenopausal patients have a worse prognosis than older premenopausal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