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울, 불안장애 환자에서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최인광,이문수,함병주,이화영,고영훈,조숙행,Choi, In Kwang,Lee, Moon-Soo,Ham, Byung-Joo,Lee, Hwa-Young,Ko, Young-Hoon,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0 정신신체의학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중년여성 외래환자를 폐경기 상태에 따라 폐경전기, 폐경주위기, 폐경후기의 3집단으로 세분화하여 폐경기 증상을 비교하고,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며, 우울증상 및 특성불안의 심각도에 따른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 8월 17일부터 2009년 11월 28일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하여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로 진단받은 40~64세의 여성 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해 폐경평가척도(Menopause Rating Scale, MRS)를 이용하였고, 폐경기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1항목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우울, 불안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가 사용되었다. 폐경기 상태에 따른 각 그룹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고,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우울증상, 특성불안의 심각도와 폐경기 증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 과 폐경기 상태에 따른 폐경기 증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경기는 노화의 증후; 배우자들은 폐경기 여성을 매력이 없다고 느낌'의 항목에 동의할수록, '임신을 하지 않아 홀가분함'의 항목에 동의하지 않을수록 일부 폐경기 증상을 심하게 호소하여, 부정적인 폐경에 대한 태도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 간에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우울증상과 특성불안의 수준이 높은 경우 폐경기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폐경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우울증상, 불안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 간에 상호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폐경기 증상에 대해 평가하고 교육을 통하여 환자들로 하여금 폐경에 관한 긍정적 태도를 갖고 폐경기 증상에 적절히 대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임상에서 많은 중년여성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정신과 치료를 지속하면서 우울증상, 불안의 호전 정도에 따라 폐경기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ttitude and belief about menopause and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This study conducted a cross-sectional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 severity of trait anxiety on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Methods : Participants were all outpatients at the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of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All participants, aged 40 to 64, had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s and were divided into the premenopause, perimenopause, pre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Menopause Rating Scale(MRS) was used to measure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The attitude toward menopause was examin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garding menopaus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ere used to assess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Results :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was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and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pressive symptoms and trait anxiety had more severe menopausal symptoms. Conclusion :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eatment to relieve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and intervention to reduc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are required.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 are needed to evaluate potentially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on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female psychiatric patients.

      • KCI등재

        중년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 및 폐경기 증상

        최혜원,김현우,백기청,이경규,박진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폐경에 대한 태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서 폐경을 경험하는 개인에게 영향을 준다. 폐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는 이 시기를 경험하는 개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폐경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태도가 폐경과 관련된 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 40세에서 59세의 산부인과. 정신과를 찾은 환자 66명과 대조군 42명을 대상으로 치료에 따른 상기 각 3군과 폐경상태에 따라 폐경전기, 폐경주위 기, 폐경후기의 3군으로 나누어 폐경에 대한 태도와 폐경과 관련된 증상에 대해 비교분석하였으며 , 각각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고, 폐경에 대한 태도와 증상과의 관계에 대해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연구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갈다. 1) 폐경에 대한 태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적이었다. 치료를 받는 군에 따른 비교에서 긍정적인 태도에서는 정상대조군이 산부인과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고, 부정적인 태도와 중립적인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경상태에 따른 폐경전기, 폐경주위 기. 폐경후기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폐경기에 대한 태도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임신횟수와 부정적인 태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폐경기의 증상은 전반적으로 산부인과군과 정신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증상의 호소가 많았다. 모든 증상이 정신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불안증상, 우을증상, 성적인 증상, 수면중상은 정신과군에서 산부인과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산부인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혈관운동성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월경상태에 따라서는 성적인 증상에서만 폐경후기가 폐경전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폐경기 증상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 교육정도와 신체중상. 불안중상 및 수면중상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교육정도와 우울중상. 혈관운동성 증상 및 심리증상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가건강평가와 모든 중상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폐경기의 부정적인 태도와 신체증상, 불안증상, 우울증상 및 혈관운동성 증상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폐경기에 있는 우리나라 여성들은 폐경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폐경에 대해 부정적인태도를 가질수록 신체중상뿐만이 아니라 불안증상과 우울증상 등의 심리중상을 호소함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접근뿐만이 아니라 교육, 홍보 등을 통하여 이러한 폐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바꿀 수 있도록하여 폐경기를 경험하고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0bjectives : Menopause is a life period that involves various somatic and psychological symptoms. Attitudes toward menopause have been influenced by both time and culture, and play a crucial role in experiencing this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middleaged women's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menopausal symptoms. Methods : Thirty-one gynecological patients,35 psychiatric patients, and 42 normal controls who were middle aged women(40-59 years old) were selected. The attitudes toward menopause was examined. According to menstrual status, premenopause, peii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were separated and examined. Then, correlations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ttitudes toward menopaus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34 menopausal symptoms, and correlations between sociodemoeaphic factors and menopausal symptoms were examined. Resu1ts: . 1) Overall attitudes toward menopause was neutral. According to treatment group, normal control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gynecological group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gative and neutral attitudes. According to menstrual flatus,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premenopause, peri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2)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gnancy number and negative attitude. 3) Both gynecological and psychatric groups showed more menopausal symptoms than nominal controls. Psychiatr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symptoms than normal control in all menopausal symptoms. Psychatr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gynecological group in anxiety, depressive, sleep, and sexual symptoms. Gynecological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more vaomotor symptoms than notmal controls. According to menstrual status, postnenopausal group showed signacantly more sexual symptom than premenopause group. 4) Education level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matic symptoms, anxiety , and sleep problems,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vasomotor, and pfrchological symptom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ssessment of health status and all of menopausal symptoms. 5) Negative attitudes toward menopaus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c, anxiety depressive,and vasomotor symptoms. Conclusions: These finings suggest that the method to correct women's negative atitudes towed menopause will be helpful to overcome menopause and to improve menopausal symptoms.

      • KCI등재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윤정화,한재희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eal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s they are and clarify the essence of psychological phenomena. 12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to 60s living in the area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experiencing menopaus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For data collection, first a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naire was prepar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all contents were recorded for direct transcription by the researcher and analyzed. For thi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tilized for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course, 110 meaning constructions were established and homogeneous meanings were grouped to show 38 subjects and finally a group of 10 subjects as the experience essence was derived. The psychological phenomena of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were revealed as ‘impulsive anger’, ‘extreme sensitivity’, ‘valueless depression’, ‘grief about aging’ and ‘sense of falsehood’ about being old without love and recognition. The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had ‘menopause as the completion period of menses’, ‘voluntary will to overcome menopause’, ‘relationship that became precious’ and ‘restructure of life’. as the overcoming methods. This study not only showed the psychological phenomena the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experience as they are but also suggested the essence of the psychological phenomena. Furthermore,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participants’ psychological experiences. 본 연구는 폐경기 중년여성들의 주관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어 심리적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살고 있으며 폐경기를 경험하는 40~60세의 중년여성으로 12명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110개의 구성의미가 수립되었고, 동질의 의미를 묶어 38개의 주제로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경험의 본질인 10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폐경기 중년여성의 심리적 현상에는 사랑도 인정도 못 받고 늙어버린 것에 대한 ‘충동적 분노’, ‘극도의 예민성’, ‘무가치함의 우울감’, ‘늙어감에 대한 슬픔’, ‘삶에 대한 허망감’의 정서혼란이 드러났다. 폐경기 중년여성들은 폐경기의 극복방법으로 ‘완경으로의 폐경’, ‘폐경극복의 자발적 의지’, ‘소중해진 관계성’, ‘삶에 대한 재구조화’의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여줌과 동시에 심리적 현상의 본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심리적 경험에 대해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에스트로겐 호르몬 대체요법(ERT) - 논란을 딛고 일어선 절반의 성공 -

        정혜경 ( Hae Gyung Geo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3

        여성의 폐경기에 수반되는 신체적 증상을 질병으로 취급하기 시작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폐경기의 의학적 치료법 역시 발전을 거듭해 왔다. 본고에서는 19세기 말 암양의 난소이식으로부터 현대의 에스트로겐 대체요법(ERT)에 이르기까지 폐경기 증후군 치료법의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ERT의 개발과 그 보급 과정에서 드러난 다양한 반목과 조정을 조명함으로써 질병 치료제 성과의 사회적 수용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적인 양상들을 고찰할 것이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친, 폐경기 증후군에 대한 질병 치료 차원의 여러 가지 시도들 중 가장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킨 것은 ERT의 보급을 통한 소위 호르몬 혁명이었다. 이 혁명의 주인공은 뉴욕의 내과의사 로버트 윌슨으로, 그의 ERT 캠페인은 질병으로서의 폐경기 증상의 패러다임 정립과 더불어 당시 발흥하던 페미니즘 기조에 부응하는 입체적인 전략의 구사를 통해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에 이르러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발암 위험성이 제기되면서 ERT는 논란에 휩싸였다. 에스트로겐과 ERT의 안전성을 둘러싼 관련 당사자들 간에 공통된 합의사항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대중매체·제약업체·의학계 각각의 추구점의 상충, 의사와 여성환자와의 관계 등이 복합적으로 ERT의 보급과 성장에 영향을 끼쳤다. 특히 페미니즘의 영향력은 ERT의 발흥과 쇠퇴 모두에 양면적인 영향을 끼쳤다. 페미니스트 그룹은 폐경을 극복하는 데 있어 특정한 한 가지 전략을 지지하지는 않았으며, 에스트로겐 호르몬 사용 여부에 대하여 여성 자신의 결정권을 강조하였다. 페미니즘의 다양한 스펙트럼은 ERT의 성공에 있어 일종의 무게 추와도 같은 역할을 보여주었다.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20세기 미국에서 폐경의 새로운 의미와 공통의 경험을 도출해낸 새로운 변화의 도구가 되었으며, ERT는 논란을 딛고 일어선 절반의 성공이라 할 만한 것이었다. With the new recognition of a menopausal syndrome as a disease, medical treatments of menopausal women has been evolved. This paper gives a historical and societal analysis of the social acceptance of such treatments, by tracing the development of a series of therapies, ranging from ovary transplants to the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ERT),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conflicts and synthesis observed in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ERT. Over the course of 19th and 20th centuries, physicians had a variety of remedies for menopausal patients, among which ERT triggered so called the hormonal revolution. Robert Wilson, a physician in New York, was the revolutionary, whose ERT campaign made a phenomenal success by not only establishing a disease paradigm of menopause but also commanding an intensive diffusion strategy suitable for the rise of feminism in the 1960s and 70s. Since the success of Wilson`s campaign on ERT, however, the use of estrogen in the treatment of menopausal women became controversial, with its apparent threat in the cause of cancer. There would be no consensus on the safety of ERT among those interested in the ERT campaign, including medical professions, the government, mass media,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yeth Ayerst), doctors and patients. Although Wilson`s work influenced physicians and women alike, his radical views of menopause and aging women did not go unchallenged. The rise of feminism influenced on menopausal women`s experiences. Feminists did not champion just one strategy for coping with menopause but urged women to make their own decisions. Estrogen hormone became instrumental in the new meanings and the common experiences of menopause in the 20th century America. ERT deserves to be called half the success beyond controversy.

      •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수면의 질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세령 ( Seryoung Park ),오복자 ( Pokja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에 건강증진행위, 수면의 질 영향과 수면의 질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1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지역 폐경기 여성 178명 대상으로 통계분석 방법은 t-test, ANOVA,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은 폐경기 여성의 인지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둘째, 수면의 질은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인지기능 간 부분매개효과를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폐경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는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결국 인지지능을 증진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건강증진행위와 수면의 질 관리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sleep mediating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 menopausal women. Data from 178 menopause wome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collected from Sept. 8, 2021 to Sept. 10, 2021,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first,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quality of sleep effected cognitive fun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leep qua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cognitive function in menopausal wome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enopause women can improve sleep of quality and eventually improve cognitive function, 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leep of quality management.

      • KCI등재

        폐경기 여성의 치매부모 간호경험

        김은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1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이 치매부모를 간호하면서 경험한 현상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부모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폐경기의 50대 여성 10명으로 의도 표집 하였다.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는데, ‘가족의 빈자리를 부모가 대신함’, ‘노후를 보상받지 못한 채로 치매부모가 되어버림’, ‘늙어버린 몸으로 치매부모 간호를 감당하지 못함’,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치매노인으로 고립됨’, ‘치매노인의 간호를 자식에게 대물림하고 싶지 않음’, ‘부모와는 다른 새로운 자신의 삶을 계획함’이었다. 치매부모 간호경험에 대한 의미구조는 “상실과 슬픔의 소용돌이에서 자아를 찾음”이었다. 결론적으로 치매부모를 간호하는 폐경기 여성은 폐경에 따른 심리적인 변화와 치매의 질병특성인 비가역성으로 부모를 간병하는 동안 슬픔과 상실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노인부모의 치매증상 관리와 더불어 간호를 담당하는 폐경기 여성의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간호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nopausal women while they are caring parents with dementia. Ten menopausal women who have experiences in caring for parents with dementia were selected by means of a purposive sampling,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1) “parents did behalf of family vacancies”, (2) “parents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ithout compensation for aging”, (3) “I am too old to afford to care parents with dementia”, (4) “parents felt isolated living away from family”, (5) “I did not want to pass down my caring responsibility for demented parents to my children”, and (6) “I planned my life which should be different from my parents”. The essential structure of caring experience for parents with dementia among menopausal women was found to be “finding oneself in the vortex of grief and loss.” In conclusion, mental care should be provided to women who are taking care of parents with dementia.

      • KCI등재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영조,김수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목적적 표집하였다. 실험설계는 피톤치드흡입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되는 연구대상자 요인과 사전측정(0week)·중간측정(4week)·사후측정(8week)의 3개 측정시점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는 기분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로 설정하였으며 사전측정·중간측정·사후측정 3회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one-way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긴장, 우울, 피로, 혼돈 요인의 감소 효과와 활력 요인의 증가 효과가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능감, 정신적 안녕, 안정성, 활력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phytoncide intake in mood stat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opausal women through an 8-week experiment. For the study, 41 subjects under 2 years after menopause in D and N districts in Seoul were targeted. consisting of three study points: pre-measurement (0week), intermediate (4week), and post-measurement (8week).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mood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se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questionnaires: pre-measurement, intermediate measurement, and post-measurement. As for the analysis method, one-way ANOVA and pos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Derived result First,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reducing tension, depression, fatigue, chaos, and increasing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ood stat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mpetence, mental well-being, stability, and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운동프로그램이 폐경기 여성의 심리적 건강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박남희,박인숙,안혜경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5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with repeated measurements on single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of women undergoing menopaus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5 to September 21, 2007. The program is composed of two stages that run three times a week from 9:00 AM to 1:00 PM. It was conducted by two specialists and one clinical exercise traine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before the exercise program begin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epinephrine, norepinephrine, metabolic syndromes risk factors, total cholesterol, LDH, body fat, PWV(Pulse Wave Velocity) were measured three times after the first stage. The second stage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by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12-week physical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anxiety(F=9.240, p=.000) and stress(F=7.451, p=.000) of women in menopause and enhanced their quality of life(F=4.577, p=.014) and mood state(F=9.257, p=.000).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de with regards to depression. 2. The 12-week physical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reduction in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F=8.335, p=.001), enhanced Waist Hip Ratio(F=22.528, p=.000), lowered triglyceride(F=8.994, p=.000) and enhanced their HDL-cholesterol(F=191.041, p=.000), lowered LDH of the women in menopause but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s to total cholesterol. 3. The 12-week physical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women's body fat composition(F=3.622, p=.033). With regards to vascular elasticity, it significantly reduced right hand PWV(F=3.622, p=.033) but made no difference with the left hand, left foot and right foot. 본 연구는 운동프로그램이 폐경기 여성들의 폐경기로 인한 심리적 변화와 스트레스 호르몬, 심혈관계 위험요인의 군집인 대사성 증후군의 위험요인, LDH, Total cholesterol, 체지방율 및 혈관 탄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반복측정 실험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7년 6월 25일부터 9월 21일 까지 주 3회, 운동프로그램의 진행은 전문가 2인과 임상 운동사 1인의 지도아래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One Way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써 12주간의 교육 및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프로그램은 폐경기 여성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과 기분상태를 향상시켰다. 대사성증후군 관련 위험요인으로 이완기 혈압과 허리-둔부 둘레 비 감소, Triglyceride 감소, HDL-Cholesterol 증가시켰고, LDH, 체지방율 및 혈관 탄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 중년여성의 골밀도와 운동 : 여성의 폐경기를 중심으로

        석민화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8 스포츠과학리뷰 Vol.2 No.1

        현대인들은 수명이 늘어나고 노년기가 길어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기대여명이 길고, 폐경기 이후 신체적, 생리적 변화를 겪으면서 심혈관질환, 당뇨병, 심근경색, 골다공증 등 성인병으로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후 장기간의 병원생활, 신체 활동의 부자유, 사회생활의 부자유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저하로 골소실로 인한 골다공증 현상이 나타난다. 골에 대한 체중의 역학적인 부하를 증가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운동은 골밀도 감소를 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여성의 신체적, 생리적 변화와, 그 중 골밀도 변화의 기전과 운동을 통해 유지‧향상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Health and related fitness are growing medical problems especially with the enhanced longevity in recent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factors that regulate bone mass and to develop effective therapeutic methods. In addition, menopause transition may have an influence on circulating estrogen concentration, since ageing has been associated with a decrease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Many studies suggest that enhancing the exercise training might be beneficial for menopausal women with reduced bone mass. It is demonstrated in the present study that exercise increases bone mass by reducing fat mass and increasing muscle m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