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 고통의 재현과 평화

        문경희(Moon, Kyo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2 No.-

        본 연구는 한·중·일 3국의 그림책 작가들이 공동 작업을 통해 출간한 평화그림책 중에 일본 작가 네 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감정, 구체적으로 고통이 집합적 정체성 정치의 토대가 되는 지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군화가 간다』, 『사쿠라』, 『네 목소리가 들리니?』, 『평화란 어떤 걸까?』가 이에 해당된다. 감정이 글로벌 정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지만, 실제 글로벌 정치 무대에서나 정치학 학문분과에서 집단 간 갈등 중재나 해소를 위해 감정에 주목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일본 작가들은 자신들의 그림책에서 전쟁의 ‘피해자성’을 바탕으로 자국민의 고통을 재현함으로써 민족적 일체감을 유지하고, 평화를 위해 ‘정당한’ 전쟁이 불가피하다거나, 또는 ‘우리’의 고통 재발을 위해 반전·평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지 않는다. 오히려 동아시아 전쟁에서 일본, 일본인이 피해자이자 가해 주체라는 점을 분명히 함과 동시에 민족적 ‘타자’의 고통에 대한 공감을 표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고통의 재발을 막기 위해 어른들 뿐 아니라 미래세대인 아동들도 주체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짐으로써 범세계적인 차원의 반전·평화의 메시지를 던진다. 평화그림책 작가들이 만남과 소통, 협의를 통해 만들어나간 평화그림책은 과거사를 둘러싸고 감정적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는 한·일 양국 간에 서로의 고통에 대한 공감과 신뢰를 토대로 한 평화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emotion enters into the field of politics by becoming the basis of collective identity. It focuses on four Picture Books for Peace done by four Japanese authors. They are 『Combat Boots are Marching.』, 『Sakura』, 『Can You Hear My Voice?』, and 『What is Peace?』. Global politics is affected by emotion a great deal as an element of causing the conflicts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identities or mediating them. However, little attention in the field of politics is paid to it. The reasons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Japanese authors and their books are as follows. Firstly, given the current condition that Japan has been conflicting against Korea and China by justifying its East Asian War history, the four authors from Japan proposed to build a peace community with the authors from two of its neighbour countries by collaborating Picture Books for Peace. They did not conceptualize peace only based on the notion of "Japanese as war victims". Rather, in each of their book, they acknowledged that Japan, as a state as well as a nation, was a war aggressor. They also felt empathy and responsible for national "others" pain, too. This study analyzes how pain caused by the war is used to conceptualize the meanings and values of peace. This intends to show that depending on how and in what context an emotion like pain is used by the authors, it can create an transnational solidarity in pain or it can strengthen national or cultural collective identity.

      • KCI등재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이인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2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by using the approach of 'peace education' and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goal and contents system to cultivate the sense of peace and unification at the school sit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peace and unification sensitivity was defined as "a personally emotional reaction that an individual has about various external stimuli such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 nine goals were proposed, three in term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function and capacity, attitude and will. In addi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expanding the living area, the content elements of education for raising peace and unification sensitivity are divided into four areas: individual, social community, national/ethnic community, and world/ecological community.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sensitivity has overcome the existing cognitive centered unification education limit, promotes values, attitudes and practice capacity to live in a peaceful way in our society,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cultivating the awareness, emotion, attitude, and practical ability necessary for peaceful unif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한반도 차원의 평화 정착 뿐 아니라 남북 주민 간의 내적·심리적 측면에서의 평화 정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평화교육’ 접근을 활용해 통일교육의 지평을 확장하고, 학교 현장에서 평화·통일 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목표와 내용체계를 정립했다. 본 연구에서 평화·통일 감수성은 “평화와 통일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 등 다양한 외부 자극에 대해, 한 개인이 갖게 되는 전인격적인 감정 반응”으로 정의했다. 이어 연구에서는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목표로 지식·이해, 기능·역량, 태도·의지 측면에서 3가지씩 총 9가지의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의 내용요소를 생활영역 확대 원리에 기초해 개인, 사회공동체, 국가·민족공동체, 세계·생태공동체의 4영역으로 구분해 제시했다. 평화·통일 감수성 함양 교육은 기존의 인지 중심의 통일교육 한계를 극복하고, 평화적인 방식으로 살아가기 위한 가치관과 태도, 실천 역량을 증진하며, 평화·통일을 이루고 사회통합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인식, 정서, 태도, 실천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종교평화학의 모색 -평화학과 종교가 만나는 지점-

        이찬수 한국종교교육학회 2013 宗敎敎育學硏究 Vol.41 No.-

        Johan Galtung defines the condition where physical violence, such as a war, is absent as the “negative peace” whereas he classifies the condition where all of physical,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re absent as the “positive peace.” Both the “negative peace” and the “positive peace” share the similar idea with Negative Safety[小康] and Great Unity[大同], which are two terms deriving from Confucianism; ‘Negative Safety’ is when people are well-abided by law, leaving the people with no problems whereas ‘Great Unity’, the condition where the “world has become fair”(天下爲公), is when the people have proper attitudes to see others and themselves equally. The two terms share the similar understanding with the Christian term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has a future-oriented connotation that has “not happened yet” but also includes an eschatological structure where for those who seek the ideals,the ideals are “already actualized” in their reality. As it is implied in Galtung’s book title-Peace by Peaceful Means-, peace is made through peaceful means and it is the purpose of Peace Studies that makes procedural peace important. Therefore, the basic concept of Peace Studies happens to be in correlation with the religious or theological structures. Considering how the terms are interrelated, Peace Studies can be defined as a product made in this secularized era where religious and theological languages well-manage to adapt to. Peace Studies can therefore be explained as a “theology of the secularized era”, or as the “secularized transformation of the religious view of the world”. Peace is actually also similar to the idea of Gaebyeok[開闢], or also known as Great Transformation, often suggested by modernly-appearing Korean religions. The “Kingdom of God” and Gaebyeok can be understood as examples of religious languages or translations for the “positive peace.” In other words, the detail contents of Gaebyeok can be recognized as the “positive peace.” In this sense, Religious Studies fundamentally shares the similar concept with Peace Studies and is connected with the religious ideals remarked in the topic of Peace in Peace Studies. Peace is the essence and the ideal from of religion. The true meaning of religion can be found where peace is actualized. Talking religion without peace cannot happen. Peace Studies and religion do have the same purpose and Religious Studies and Peace Studies are the same language since religion is based upon peace. In this sense, Peace Studies and religion, both together, form the Religious Studies of Peace. This paper will focus primarily on the idea of peace from which can be found Peace Studies and religious ideals and ultimately reveal how Peace Studies and religion share a peace-oriented component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efinition of peace,peace education, and explain religious basis that is associated with pea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idea of religious understanding of peace in Peace Studies and how academic curricula fathom Peace Studies using religious languages. 요한 갈퉁은 전쟁과 같은 물리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소극적 평화’로, 물리적 폭력과 구조적폭력은 물론 문화적 폭력까지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로 규정했다.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는 유학에서 말하는 소강(小康)과 대동(大同), 즉 백성이 법(法)으로 다스려져서 겉으로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이는 상태와, 남과 나를 평등하게 보는 자세(仁)가 구현되어 “세상이 공적인 것이 되는”(天下爲公) 사회의 관계와도 상통한다. 아울러 기독교의 ‘하느님 나라’가 한편에서는 ‘아직 아닌’(not yet) 미래적 이상이면서도 그 이상을 추구하는 이들 안에 ‘지금 이미 와 있는’(already now) 현실이기도 하다는 종말론적 구조와도 통한다. 갈퉁의 책 제목에서처럼, 평화는 평화적 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며, 과정으로서의 평화역시 평화라는 목적에서 온다는 평화학의 기본 구상은 종교적 혹은 신학적 구조와 상응한다. 이런 언어들을 종합하건대, 종교적 혹은 기독교 신학적 언어를 세속화 시대에 어울리도록 변형시키면 평화학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화학은 ‘세속화 시대의 신학’, 혹은 종교적 세계관의 ‘세속적 변용’이라 함직하다. 아울러 평화는 한국 신종교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개벽 사상의 구조와도 비슷하다. 하느님 나라나 개벽은 적극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인 표현 혹은 번역들이라고 할 수 있다. 개벽의 구체적 내용을 적극적 평화라고 해도 된다는 뜻이다. 그런 점에서 종교 연구는 평화 연구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평화학에서의 평화는 종교적 이상과 상통한다. 평화는 종교의 본질이고 이상이다. 평화가 구체화되는 곳에서 종교의 구체성과 진정성이 확보된다. 평화 없는 곳에는 종교도 없다. 평화학과 종교는 사실상 동일한 목적을 지니며, 평화를 근본에 둔종교적 가르침과 평화학은 같은 내용의 다른 이름이 된다. ‘종교평화학’은 이런 맥락에서 조합 가능한 언어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평화학과 종교적 이상 모두에 공통적으로 담겨있는 평화 개념을 중심으로 평화학과 종교가 결국은 평화를 지향하고 구현하려 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밝혀보고자 한다. 아울러 평화의 개념, 평화 교육, 평화의 종교적 근거 등을 정리함으로써, 종교적세계관으로 평화학을 이해하려는 학문 체계 또는 평화학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 이해 체계로서의‘종교평화학’의 기초를 다져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의 평화담론의 유형과 발전에 관한 연구

        안교성(AHN Kyo-Seo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1

        동북아시아가 국내외적인 갈등이 첨예한 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최근에는 양극화, 핵무기, 영토분쟁, 남북대치 등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동북아시아 각국은 지역의 안전과 발전을 위하여 평화를 도모해야 될 절대적 사명을 안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역사를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지난 100여 년간 동북아시아의 지역적 맥락에서 평화의 문제를 살펴보되, 특히 한국을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지난 100여 년간을 제국주의, 냉전, 세계화라는 중요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시대구분하고, 평화와 관련된 기존담론인 성전론, 정의로운 전쟁론, 평화주의와 더불어 새로운 담론인 정의로운 평화론의 추세를 살펴볼 것이다. 제국주의 시대에는 제국주의가 정의로운 전쟁론을 이용하였고, 나아가 성전론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냉전 시대에는 생존을 위한 논리로 정의로운 전쟁론이 주장되었지만, 점차 평화주의가 대두되었다. 특히 핵의 등장은 무차별적 대량살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정의로운 전쟁론을 사실상 무색하게 하였다. 한편 세계화 시대에는 전 세계가 다양한 갈등요소로 인하여 점차 갈등사회로 변모해가면서,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새로운 평화담론이 필요했고, 이런 맥락에서 정의로운 평화론이 대두되었다. 정의로운 평화론은 평화가 소극적인 전쟁의 부재가 아니라 샬롬이라는 온전하고 적극적인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기며, 전쟁의 개시와 수행에 관한 정당성뿐 아니라 전쟁의 발발 요인(jus ad bellum, jus in bello)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사회 전반의 반평화(反平和)를 점검하고 모든 반평화적 형태에 대해 투쟁하는 폭넓은 평화담론이다. 이런 면에서, 기독교는 평화교회를 이뤄야 할 과제뿐 아니라, 나아가 평화시민, 평화나라를 이뤄야 할 과제도 요청받는다. 전반적으로 말해, 동북아시아의 기독교들이 감당해야할 평화문제는 너무나 심각하고, 이에 관한 평화담론은 여전히 영향력이 부족하다. Recently, mainly due to the various factors such as social polarization, atomic bomb, territorial disputes, and inter-Korean hostility, regional tensions in Northeast Asia are ever growing.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 of peace over the last century from the regional perspective, focusing on Korea. It divides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into three, those of imperialism, the Cold War, and globalization, applying the existing discourses on war and peace including just war, holy war, and pacificism as well as a newly-emerging just peace. In the first period, imperialists exploited the discourse of just war, even developing it into that of holy war. In the second, one heavily relied on the discourse of just war to guarantee one’s own survival, although pacificism gradually emerged. Particularly, facing the rise of atomic bomb, which risked causing indiscriminate carnage, the theory of just war became hardly convincing. In the last, the whole world turned into an intensive conflict society due to diverse conflict factors, and thus it searched for a new way of peace discourse such as just peace. This theory regards peace as something like shalom rather than the mere absence of war, examines the conditions leading to war as well as the authenticity of cause and process of war, and is determined to fight every forms of non-peace. In this sense, Christianity is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peace society and peace nation, not to mention peace church.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 ― 기독교 평화윤리의 토대 놓기

        강성영(Sung Young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교회 Vol.9 No.-

        이 논문은 “예수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라는 주제 하에 기독교 평화윤 리의 토대를 놓기 위해 평화윤리의 성서적 신학적 근거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모색하였다. 평화윤리는 산상설교의 반명제인 폭력의 포기와 원수 사랑의 계명, 예수의 윤리에 성서적 토대가 있고,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예수의 선포에서 나타난 종말론적 윤리에 신학적 근거를 가진다. 기독교 평화윤 리의 수립을 위한 성서적-윤리적 토대 놓기를 통해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평화는 가능하다. 2) 평화 건설은 폭력 사용의 포기와 원수에 대한 적대감의 극복과 화해를 통해 가능하다. 3) 평화 건설은 하나님 나라의 희망을 통해 동기화되고, 현실화되며, 완성된다. 4) 평화는 정의와 결합되어 구조화된 폭력을 제거하고 삶을 온전하게 회복하는 정의로운 평화가 되어야 한다. 오늘 한국 사회와 교회의 현실에서 당면한 평화의 과제는 두 가지이 다. 하나는 오래된 남북의 갈등과 적대를 종식하고, 화해와 평화의 길을 열어가는 가운데, 한반도의 비핵화를 이루어 평화체제를 정착하는 일이 다. 다른 하나는 한반도의 평화를 넘어 세계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교회에 주어진 평화의 위임과 책임을 감당하는 일이다. This essay seeks under the theme of “Peace of Jesus Christ and the Kingdom of God” the biblical theological basis of Christian Peace-Ethics. Based on this, we sought the missionary task of the church to realiz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Peace ethics has a biblical foundation in the abandonment of violence and the commandment of Enemy-love and the preaching of Jesus to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1) Peace is possible. 2) Peace building is possible only through abandonment of violence use, overcoming the hostility against enemy, and reconciliation. 3) Peace building is motivated, realized, and completed through the hope of kingdom of God. 4) Peace must be combined with justice to be a just-peace that removes structured violence and restores the integrity of life. Today, there are two kinds of missions of peace i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One is to settle the peace system by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ending the conflicts and hostilities and opening the wa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other is to fulfil the delegation and responsibility of peace given to the church to do for the peace of the world.

      • KCI등재

        남북한 평화협정 체결에 관한 소망성과 위험, 그리고 과제

        박휘락(Park, Hwee-rhak)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8 전략연구 Vol.25 No.2

        본 논문은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통하여 올해에 남과 북이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체결하겠다고 합의함에 따라 평화협정에 관한 사항을 정리한 후 그의 체결에 따른 소망성과 위험성을 분석하여 위험성 최소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평화와 평화체제, 평화협정에 관한 개념부터 정리한 후, 한국의 평화상태를 평가한 다음, 평화협정 체결에 따른 소망성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의 결과, 평화협정 체결의 소망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위험성도 적지 않음을 식별하였다. 특히 유엔군사령부 해체와 주한미군 철수의 가능성처럼 한반도 안보의 근간을 흔들 요소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소망성에 근거한 신속한 평화협정의 체결보다는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한 조치가 충분히 강구된 다음에 특히 북핵 폐기가 확인된 다음에 평화협정을 체결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한국 정부와 국민들은 평화, 평화체제, 평화협정에 관한 냉정한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고, 평화협정 체결 이전에 북한의 핵무기와 한미동맹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하며, 최악의 상황에서도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군사대비태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북한과의 신뢰구축에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the desirability and risks of the peace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before the two sides decide to sign the agreement this year as pronounced at Panmunjom on April 27, 2018. For this purpose, it revisits the concepts of peace, a peace regime and a peace agreement, revaluates the level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nalyzes the desirability and risks of South Korea if it agrees on a peace agreement with North Korea.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 risks of a peace agreement with North Korea at this point seemed to outweigh the desirability of the agreement. Especially, the dismantlement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the possibility of withdrawal of the US forces from South Korea could fundamentally undermine the national security of South Korea. In this sense, South Korea needs to pursue a peace agreement after it adopts necessary measures to minimize the risks of the agreement. In addition, South Korean people should realistically understand the concept and limitations of peace, a peace regime and a peace agreement and reinforce its alliance with the US as a precautionary measure. They should strengthen their military preparedness against the worst case scenario, while building up confidence measures with North Korea.

      • 평화의 두 가지 개념에 관한 논쟁: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

        정천구 ( Chun Koo Jeong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서석사회과학논총 Vol.4 No.1

        이 논문은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라는 평화의 두 개념 사이의 쟁점을 정리하고 그 사상적 배경을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전쟁이 없는 상태``라고 소박하게 인식되던 평화를 ``소극적 평화``라 부르고 구조적 문화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라고 규정한 사람은 요한 갈퉁이다. 그는 평화를 단순히 폭력이 없는 상태로 규정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폭력에 의해 유지되는 질서도 평화로 보게 된다고 지적하였다. 눈에 보이는 폭력보다 더 무서운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평화학의 주된 과제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케네스 볼딩은 갈퉁이 구조주의적 사고와 과도한 평등주의로 사회적 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며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라는 개념 규정도 전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비판한다. 볼딩은 또한 갈퉁이 열역학 제2법칙인 엔트로피 법칙을 잘못 이해하여 사회의 잠재력이 소진된 평등한 사회를 이상향으로 설정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사실 갈퉁은 구조의 전면적 변화를 추구하는 급진이론가다. 그는 구조와 평등에 너무 집착하여 사회현상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그는 스탈린의 소련 경제가 서구를 앞지를 것이라고 잘못 예측했고 마오쩌둥과 카스트로를 찬양하는 등 편향적 관점을 보였다. 또한 레이건은 리비아의 카다피에게 압력을 가한 폭력적인 지도자로 묘사하였다. 갈퉁의 이런 판단들은 진실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적극적 평화가 인류의 이상이라 해도 그것이 이룩되려면 일차적으로 전쟁이 없는 ``소극적 평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고 가능한 일을 순차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He who differentiated positive peace as absence of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from negative peace as mere absence of violence was Johan Galtung. He maintains that If peace is defined as the absence of violence, regardless of the source of violence, then social order maintained by violence is regarded as also peace. In peace research the main target should b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s and try to tackle the problems. Criticizing the Galtung`s theory of peace, Kenneth Boulding pointed out that Galtung`s definition of negative and positive concepts of peace was mistaken and he failed to perceive the social realities because of his excessive egalitarian and structural thought. In Boulding`s critics, Galtung misunderstood entropy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reby identified entropy as a symbol of goodness and regards negentropy, that is, structure improbability, and potential, as evil. On the contrary, however, increasing social entropy means decreasing social potential, a sign of dying society. In fact Galtung is one of the radical theorists who seek drastic change of social structure. Too obsessed with structure and equality, he could not see social phenomena as they are. He predicted in 1953 economy of USSR(under Stalin) would soon overtake the West`s. Galtung championed Mao`s China and Castro`s Cuba. He listed Ronald Reagan as a super violent leader who repressed Lybia`s Qadhafi. I think those comments he made were so wide of the truth. Even if positive peace is a lofty ideal of mankind, in order to achieve such ideal we should achieve ``negative peace``(no war) first and then solve problems step by step admitting the limitation of human capacity.

      •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선학평화상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세계평화공동체 비전을 중심으로

        남인석 한국평화NGO학회 2023 평화NGO연구 Vol.3 No.-

        선학평화상은 고 문선명 선생의 평화세계 구현을 위한 헌신적 삶을 기리기 위해 한학자 선생의 의해 설립되었다. 양위분의 평화비전은 ‘인류 한가족’ 세계평화공동 체의 구현이며 선학평화상은 그 실천활동의 하나이다. 2015년 제1회 기후위기를 시 상테마로 시작하여 2022년 5회까지 진행하였다. 역사적으로 공동체를 위한 탐구와 수상자들의 업적과 특징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세계평화공동체를 위해 3가지 제언 을 하였다. 첫째, 목적으로서의 평화를 위한 제도화 둘째, 공동체의식의 추구와 세계 시민의식의 확장 셋째, 국제사회에서 주요행위자로 글로벌 거버넌스의 역할 확대를 제안한다. 그러나 결국은 개인의 삶을 통해 구현되므로 각자가 우리라는 공동체 의 식으로 평화문화를 확산시켜나가는 ‘평화인’으로 사는 것이 중요하다. The Sunhak Peace Prize was founded by Dr. Hak Ja Han in order to honor the lifetime dedication of the late Rev. Sun Myung Moon to realize world peace. Dr. Han and Rev. Moon’s vision of peace was for the world to live as One Family Under God by forming a peaceful global community, and the Sunhak Peace Prize was established as a movement toward that goal. The first award ceremony was held in 2015 under the theme of Climate Crisis and the fifth award ceremony was held in 2022.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iscuss how the concept of community evolved in history,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nhak Peace Prize laureates, and to make three proposals toward a global community that is both peaceful and sustainable. The three proposals were: institutionalization for the purpose of peace; pursuit of a sense of community and expans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extending the role of global governance as the main activist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end, peace is practiced in daily lives,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individuals become peace-loving citizens who spread a culture of peace in their communities through action.

      • 한반도 평화와 동아시아 공동체에 관한 연구 : 통일그룹의 평화운동을 중심으로

        주우철 한국평화NGO학회 2022 평화NGO연구 Vol.2 No.-

        문선명 총재의 사후 통일그룹은 한학자 총재를 중심으로 새로운 체제로 출범한 지 1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 한학자 총재는 인류대가족을 실현하는 ‘공생공영공의 주의’를 기반으로 참가정운동, 남북통일운동, 세계평화운동의 실천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3대 운동은 참가정운동인 국제축복결혼, 남북통일방안인 영세평화중 립국, 동아시아 공동체연합인 몽골반점동족연합, 세계평화건설을 위한 국제하이웨 이, 인류평화문화운동인 환태평양 신문명권 구축 등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단층선에 걸터앉은 한반도가 과연 새로운 평화를 찾을 수 있을까? 통일그룹의 핵심 프로젝트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모색할 수 있는 비핵화, 평화통일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건설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살 펴보고자 한다. As After the death of Sun Myung Moon, the Tongil Group is celebrating its 10th anniversary as a new system led by President Hak Ja Han. President Hak Ja Han Han is promoting action plans for three major movements, namely, the True Family Movement, the South-North Unification Movement, and the World Peace Move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symbiosis and co-prosperity,” which realizes a large human family. These three major movements are embodied in the International Blessed Marriage movement as a true true movement, a permanent peace and neutral nation as a plan for inter-Korean unification, the Mongolian Peoples Union as an East Asian community, the International Highway as a world pea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Pacific Rim name authority as a movement for human peace and culture. there is. In this study, can a new peace be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sits on the fault line between continental and maritime powers? Through the Tongil Group's core project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ways to build a peaceful community in East Asia as well as denucleariz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that can pursu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아프리카 지역의 평화-개발 연계와 평화조건의 성공요인: 나미비아와 모잠비크 사례 비교연구

        김태균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0 국제지역연구 Vol.29 No.2

        This study is undertaken to identify and search success factors of UN’s peacekeeping operation (PKO) and peace conditionality by taking the two success cases of PKO in Africa and comparing Namibia and Mozambique to figure out what are common success factors across the two cases. The study comes up with the important finding that the critical factor affecting the success of UN PKO in reality is not UN-centered peacebuilding efforts, but the degree of major bilateral donors’ engagement and supports. Most of all, it is worthwhile to note that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success scenarios of peace conditionality in post-conflict zones is the intention and warranty of bilateral donors who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history, politics, and economics of post-conflict states. The upshot is that the humanitarian assistance of UN or UN PKO for peaceful solutions and peace conditionality is seen as a sufficient condition for success scenarios, whereas bilateral donors’ supports for UN’s initiatives for peacebuilding in post-conflict states are regarded as a necessary condition inducing bilateral donors to be supportive rather than to become a spoiler. Lastly, the study concludes by testifying the applicability of the success factors found through Namibia and Mozambique to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peace accor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is signed up, with the assumption that UN would be involved in the recovery and opening of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ould also engage the peaceful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제사회, 특히 UN이 시도해 온 다양한 평화유지활동과 평화조건 사례 중성공사례를 추려내고 성공사례가 공통으로 보유하고 있는 성공요인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사례연구로 아프리카에서 시행되었던 UN의 평화유지활동 중 성공사례로 평가되는 나미비아와 모잠비크를 중심으로 분쟁 이후 단계에서 외부의 원조와 평화유지활동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한 조건들을 아프리카 맥락에서 분석한다. 현실정치에서 UN의 평화유지활동을 조정하고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인이 정작 다자협력체인 UN이 아니라 주요 양자 공여국의 개입과 지원 정도에 의해 좌우된다는 현실주의적 해석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도, 분쟁지역에 가장 큰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양자 중심의 공여국이 분쟁지역의 평화적 해결과 평화조건에 동의하고 UN의 평화유지활동에 적극적인 지원한다는 요건을 성공요인의 핵심 조건으로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분쟁해결과 평화구축을 위한 UN의 평화유지활동 등의 인도적 개입이 중요한 성공요인의 필요조건이지만, 양자협력 공여국의 UN에 대한 지지가 분쟁지역의 평화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충분조건으로서 제3자로서의 양자공여국이 평화조건의 스포일러가 아닌 협조자로 유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아프리카의 경험을 한반도에 적용하여 평화협정 이후 한반도에서 나타날 혼란스러운 북한에 대한 외부 원조와 투자, 그리고이러한 혼란을 평화구축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성공요인을 결론에서 타진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