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립과 조화 : 한국 불교와 그리스도교 관계의 역사 A History of Relation between Korean Buddhism and Christianity

        李贊洙 韓國宗敎敎育學會 2004 宗敎敎育學硏究 Vol.19 No.-

        이 글에서는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그동안 어떤 관계를 가져왔었는지 그 관계의 역사를 한국적 맥락에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그 동안은 주로 그리스도인의 불교에 대한 일방통행식, 아전인수식 선언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샤를르 달레 같은 선교사는 물론 정약종, 정하상 등 초기 사대부 가문의 천주교 신자들까지 불교를 위시한 한국의 전통 종교에 대해 대단히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양상은 언더우드, 비숍 같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들에게 불교는 무신론 내지는 미신이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반 최병헌 목사에게서 그리스도교 중심적 타종교 수용의 단초가 보이다가, 1960년대 이후 가톨릭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기점으로 타종교 포용적 시각으로 선회하기 시작했고, 개신교 신학자들 사이에서는 토착화신학이 움텄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불교를 적극적으로 신학화한 변선환이 등장한다. 그는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불가결의 보충"(야스퍼스) 차원에서 보았고, 두 종교인들의 공동 수행을 제안하기도 했다. 길희성은 불교와 그리스도교간 관계를 정교하게 서술하며 창조적 일치의 차원에서 이들 간의 대화, 비교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90년대 들어서는 김승철, 이찬수 등이 불교와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중에 있다. 이와 함께 유영모, 함석헌, 이현주 등 그리스도교권 수행적 사상가들에게서는 이들 종교가 하나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편견없는 연구 내지는 포용적 자세들은 극히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전반적으로 불교에 대한 일반 그리스도인의 입장은 여전히 부정적이며, 일부극단적 근본주의자들은 폐불 사건까지 일으킬 정도로 불교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시각은 때로 극단적으로 치닫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우려하며 불자들 사이에서는 일부 개신교도들의 공격적 선교에 대한 내부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도 한다. 방어적 대응 차원에 머물지 말고 그리스도교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 하지만 20세기 전반에 《백교회통》과 《기독교급외교사》를 썼던 이능화와 20세기 후반에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상호 일치적 차원에서 잠시 논하기도 했던 이기영을 제외한다면, 그리스도교에 대한 불교권의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애정을 가지고 그리스도교의 신학을 제대로 다룬 불자들의 연구가 요청되는 때이다. 이러한 상황을 의식하고 적극적으로 소화할 때 21세기 한국 불교학에 전환이 일어날 것이다. This paper outlines the history of conflict and dialogue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Korean context. As is generally known, almost Christian view to Buddhism has been arguing from a self-centered angle. Not only foreign missionary like Claude-Charles Dallet but Korean Catholic believers like Jeong Yak-Jong and Jeong Ha-Sang was very critical to the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The view of Protestant missionaries like H.G.Underwood and I.L.Bishop to Buddhism assumed an almost same aspect of that. For them, Buddhism was a sort of atheism or superstition. Early in the 20th century, Choi Byung-Heon, a Protestant clergyman, began to show an aspect of embracing Buddhism. After the 1960's, Catholic began to treat in a friendly way to other culture or religions starting from the Second Vatical Council, meaningful indigenous theologies sprouted by some Protestant theologians. On the basis of this situation, Pyun Sun-Hwan adopts Buddhism as a matter of theology. He explained the relations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the dimension of "Unerlassliche Erganzung"(Karl Jaspers), suggested the common spiritual practice between two religions. Keel Hee-Sung describes very eleborately the relation between two religions in the dimension of creative unity, raises the dialogical and comparative level. In the 1990's, Kim Sung-Chul, Yi, Chan-Su attempt the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ns positively. And some spiritual thinkers like Yu Young-Mo, Ham Seok-Hun, Yi, Hyun-Ju practice was/is the spiritual leaders who was/is beyond and broke/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religions. Christians who assume a clear attitude free from general bias are certainly in the minority. The view of general Christians to Buddhism is negativeon the whole. Some radical fundamentalists run to an extreme as much as that break a statue of Buddha. For fear of that attactive acts of radical fundamentalists some Buddhists seek to discuss how to respond such a destructive acts. It is also said to be demanded a positive research into the Christianity. The full-scale researches into the Christianity by Buddhists have not produced yet, nevertheless, apart from Yi Neung-Hwa who published the books about the Christianity at early 1920's and Yi Ki-Young who argued the unity of these religions through his short article in the 1980's. It is time that the affectionately proper researches into Korean Christianity by Buddhists are demanded. Only after being conscious and embracing this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한국적이기 위하여

        이찬수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다른 문화권 안에 새로운 종교가 소개되기 위해서는 그 종교 문화적 전통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 안에서 새롭게 이해되고, 이해 대상이 이해 주체 안에 그 전과는 다르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그리스도교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적으로 이해된 그리스도교와 서양인들이 이해하고 있는 그리스도교는 다르다. 두 문화적 맥락 사이에는 상당한 격차가 놓여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100년간 진행되었던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는 이러한 이해 과정, 특별히 한국의 종교문화적 상황을 충분히 의식하지 못한 채 이루어졌다.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한국이라는 지평을 떠나 있었고, 연구의 시각도 한국을 단순히 대상적으로 파악하는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 그들은 대부분 서양의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그대로 받아서, 한국을 그리스도교화해야 할 평면적이고 지리적인 공간 차원에서 파악했다. 그러나 한국 그리스도교는 서구 그리스도교라는 보편성에 의해 대상적으로 조명됨으로써 정당성이 확보되어야 할 주변물이 아니다. 한국 없는 한국 그리스도교, 한국 그리스도교 없는 그리스도교 일반이란 애당초 불가능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전통 없이 한국에서 그리스도교는 아무런 내용도 획득하지 못한다. 서양 그리스도교의 특수성과 한국 그리스도교의 특수성이 공존하면서 그리스도교라는 실재가 성립되는 것이다. 모두를 중심으로 세울 수 있는 연구자세가 필요하다. 그것이 한국과 서양의 대립 구도를 넘어서는 탈옥시덴탈리즘적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자세인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의 제목도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한국적이기 위하여'라고 붙였다. A Religion is introduced to another culture only when it is understood anew by the people who live in that cultural tradition, is assimilated into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in a tangible way, through their languages. Christianity is similarly circumstanced. Such assimilated Christianity by the Korean people are not the same as Christianity by the Westerners. Because there are shar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al contexts. But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cess, especially of the Korean religious situation, has been not fully reflected in the one hundred years of the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the researchers of Korean Christianity in almost fields of study have been beyond the horizon of Korea, regarded Korea as a geographical space to be Christianized with the view of Western orientalism. Korean Christianity is, however, not a peripheral thing which is justified by the lightening of the universality of Western Christianity. No Korean Christianity without Korea. No Christianity itself without Korean Christianity. Christianity obtains no more contents without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come into existence only in coexistence of Korean particularity and Western particularity. The attitude of study considering all particularities as the centers and cores is requested. It is the de-occidentalismic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goes beyond antagonism between Korean and Western. So this paper is given a title "For the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in Korean view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