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도권 대체항만으로서 평택항 개발에 관한 연구 : 평택항 5-8번 선석의 경우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ort of Pyungtaek

        조찬혁,최태영 국제무역학회 2004 국제무역연구 Vol.10 No.2

        평택항의 5-8번 선석 개발을 계기로 평택항의 장래 개발수요와 추이에 대해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평택항의 컨테이너 부두 개발계획도 수요와 주변 여건 차원에서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다시 한번 평택항의 개발여건을 차분하게 검토해서 중장기적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문제들을 면밀히 따져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평택항 5-8번 선석은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평택시, 경기도 등 공공부분이 운영에 참여한 특별한 사례여서 주목된다. 여기에서는 평택항의 성장 동인과 잠재 여건, 향후 추이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 5-8번 부두 운영시 공공운영참여의 타당성, 항만의 개발 전망과 방향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수도권 물류체제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volume of containers originated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is likely to increase significantly for the time being. For this reason, Korean government is constructing new container berths(no.5-8) at East Port of Pyungtaek. One special feature in port operation is to include public sectors such as Pungtaek City and Kyungki-Do to harmonize private and public aspect as much as possible. This article examines the future development prospect of Port of Pyungtaek and presents some of the empirical results of shipper responses. This research also evaluates the importance of public sector participation in the operation of new container berths.

      • KCI등재

        평택항의 제주도 화물 유치 방안 연구

        백종실(Jong sil Baik) 한국국제상학회 2014 國際商學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감귤, 무 등 농산물과 삼다수 등이 수도권에 상당량이 배송되고 있는데, 평택항이 제주도 화물의 배송거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화물을 유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 제주도 농산물은 주로 제주도에서 목포항과 녹동항 등으로 해상수송후 화물자동차를 이용하여 수도권의 유통시장까지 운송되거나 김포공항까지 항공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총물류비 절감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신중히 검토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다른 연구의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평택항의 제주도 화물 유치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목포항과 녹동항 그리고 부산항을 중심으로 제주도와 내륙간 항로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나, 향후 평택항과 제주도간 카페리 정기항로를 개설하고 운항할 경우 Modal Shift 정책에 부응하고, 카페리선이 신선화물을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주도의 신선농산물이 평택항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호남권과 영남권을 중심으로 제주도 화물의 항로네트워크가 구축되고, 농산물 등이 영남권과 호남권에서 수도권까지 도로운송되는 물류패턴을 평택항과 제주도간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물류비도 절감하고, Modal Shift도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가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mainly to suggest cargo inducement strategy for Pyeongtaek Port from/to Jeju in order to rationalize logistics system between Jeju and metropolitan area(Seoul) by way of using Jeju Logistics Center in Pyeongtaek Por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Both a literature research in relation to logistics system of Jeju products and a data analysis materials of precedent research about logistics costs and logistics procedures in this paper. Results : According to this research, Pyeongtaek Port has a lot of potential to attract Jeju products with Jeju Logistics Center in Pyeongtaek Port and enhance cold chain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Jeju to metropolitan area. Conclusions : Daily liner service between Jeju and Pyeongtaek Port is necessary and establish agricultural SCM within Pyeongtaek Port and activate logistics collaboration between Pyeongtaek Port and APCs of Jeju products located in Jeju.

      • KCI등재

        수입자동차의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최기영(Kiyoung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평택항이 자동차 수출입 특화항으로 부상하고 있다. 울산항에 이어 줄곧 2위항 자리를 지켜 온 평택항이 2010년 우리나라 31개 항만 중 자동차 수출입 처리 실적 전국 1위항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수출입 자동차 물동량이 10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평택항은 특히 외국산 수입자동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2011년 상반기 수입물량이 2010년 한해 물량에 거의 육박하고 있는 수준이다. 본 연구는 수입자동차들이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과 평택항의 개선 필요 요인게 대한 관계자들의 견해를 묻고 그 중요도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2011년 7월 현재 평택항을 이용하고 있는 14개 수입자동차 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AHP분석 방법을 통해 실시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국산 수입자동자들의 항만선택 시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항만입지’이며, 개선이 가장 시급한 요인은 ‘항만시설’로 분석됐다. Pyeongtaek Port is becoming a specialized for importing or exporting cars. In 2010, Pyeongtaek Port became the major port, out of the 31 ports in Korea, for import and export of cars. Usage of this port was especially high for imported cars. In 2011, more than 1 million cars are expected to be imported or exported via Pyeongtaek Port. This researeh analyses the factors for selecting Pyeongtaek Port for imported cars and recommendations required to improve Pyeongtaek Port. To do thi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4 imported car companies that currently, July 2011, use Pyeongtaek Port and used AHP criteria to asses the importances of each factors. According to this researeh,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the use of Pyeongtaek Port is ‘Port Location’ followed by ‘Port Cost’, ‘Port Facility’, ‘Port Service’, ‘Port Marketing' and ‘Port Cargo Volume’, in the order of importance. Also, imported car companies say that the factor in need for the most urgent improvement is ‘Port Facilities’ in Pyeongtaek Port.

      • 평택항 서부두 행정구역 조정에 관한 연구

        신기동,조성호,허지정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3

        2004년 헌재 판결로 평택항 서부두의 관할권이 당진군으로 귀속되었고 항만명칭 또한 평택ㆍ당진항으로 변경된 상황이다. 최근에는 내항매립지 외곽호안에 대한 당진군의 지적등록으로 부두뿐만 아니라 배후부지에 대한 관할권도 지역간 분쟁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택ㆍ당진항의 발전을 위해 서부두 관할권 분리에 따른 그동안의 문제점을 항만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ㆍ파악하였고, 아울러 항만분야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동일항만의 관할권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 항만의 경쟁력 하락요인을 파악하였다. 항만이용자 및 항만분야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와 각종 문헌, 국내외 주요 벤치마킹 사례를 통해 평택ㆍ당진항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항만관할권 분리로 인한 항만경쟁력 하락 요인으로 첫째, 시설 및 장비, 관리권 등의 신청ㆍ등록 관리 이원화로 터미널 입주업체와 배후단지 입주업체의 행정적애로가 발생하고 각 지자체별 도시기반시설 공급계획에 따른 도시가스, 상수도, 전기 등의 원활한 공급의 장애를 초래할 것이다. 둘째, 항만 및 배후단지의 개발지연으로 인한 항만이용자의 이탈과 배후도시지역과의 연계성 약화로 인한 물류비용상승도 항만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셋째, 동일항만 내지자체간 물동량 유치를 위한 과당경쟁으로 항만채산성이 악화되고 결국 항만서비스의 질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 넷째, 항만브랜드 가치의 저하를 들 수 있다. 관할권분리로 인해 항만의 인지도가 떨어지게 되고, 항만마케팅과 항만관리에 이중 비용이 지출될 가능성이 높다. 항만개발 투자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조기에 부두시설, 배후물류시설, 항로, 배후수송망 등 잘 정비된 항만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선사, 물류기업 등 항만 주요이용자들의 항만선택 시 중요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항만이용자들은 최초 선택한 이용항만을 특별한 사유 없이 다른 항만으로 변경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이는 항만통관 시 익숙한 통관절차환경 및 관련담당자 그리고 선적, 하역 등 물류지원기업 등과의 계약, 유대관계 등으로 인해 최초 선택한 항만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단적인 예로 부산항의 포화를 해결하고 동북아의 중심항으로 육성하고자 정부에서 2-port 시스템 발전전략의 일환으로 개발한 광양항의 경우 당초 예상보다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부산항의 선점효과가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중국의 수도권 및 중부권 수출입물 동량을 처리하는 항만으로서 평택항이 자리매김하고 있는 상황에서 행정관할권의 분리는 선택과 집중이라는 투자원칙에 어긋나는 중복투자 등 비효율의 초래로 국내 인근 및 중국항만과의 경쟁력이 더욱 약화될 것이 우려된다. 항만 행정관할권의 분리는 배후지역의 투자 및 개발을 위한 관리주체가 이원화되기 때문에 입지나 서비스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고 항만에 주는 긍정적인 면은 거의 없다. 따라서 2004년 헌재판결 이전부터 평택항으로 인지해 온 항만이용자의 편의성 제공 뿐만 아니라 평택시에 접해 있어 개발관리가 용이한 서부두 및 내항매립지에 대한 관할권을 행정구역 재조정을 통해 평택시로 통합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관할권이 분리된 상태라 하더라도 책임있는 한 기관으로 항만운영관리를 통일하고 다른 기관은 그 운영에 대한 참여나 투자지원 등을 하는 시스템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가적 차원에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평택시가 항만운영권을 가지는 대신 부대수익을 배분한다거나 국가나 도에서 당진군에 인프라를 건설해 주는 등의 배려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관련 지자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항만공사제를 도입하여 항만을 공동운영관리하는 방법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Fuzzy-AHP를 이용한 평택항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이동현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7

        본 연구에서는 평택항 전자상거래 관련 주체들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평택항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필요한 요인들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활성화에 필요한 요인의 우선순위와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먼저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의 요인 추출에 있어 요인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Delphi)을이용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요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성화 요인들을 평가하기 위해 Fuzzy-AHP를 적용하였다. 평택항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의 요인에 대한 중요도 평가 결과는 평택항과 중국 간 카페리 운송의데일리 서비스 시행(0.319),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자가 통관장 설치 허용(0.231), 우체국에서 시행 중인 전자상거래 해상특송 서비스 실시(0.196), 집화 및 배송대행 물류센터 설치(0.156), 자유무역지역의 전용 보세창고설치(0.099) 등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평택항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으로 첫째, 카페리항로의데일리 운송 서비스에 대한 즉각적인 시행, 둘째, 우체국 해상특송 등 평택항 전자상거래의 운영 주체 확대노력, 셋째, 민간기업에 대한 세관 지정장치장의 운영 대폭 허용, 넷째,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각 주체별노력과 상설 협의회 구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rew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cross-border e-commerce in Pyeongtaek port from experts related to Pyeongtaek port e-commerce. This study also produced the priorities of the factors necessary for activation of cross-border e-commer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the factors through expert research using Delphi technique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of the factors. And Fuzzy-AHP was applied to evaluate selected fa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hown as follows: daily ferry service between Pyeongtaek port and Chinese ports(0.319) as the first rank: private bonded shed by e-commerce companies(0.231) as the second rank: EMS by post office(0.196) as the third rank: logistics centers for collection and consignment(0.156) as the fourth rank: and bonded warehouses in FTZ(free trade zone)(0.099) as the last rank. Policy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e-commerce in Pyeongtaek port include as follows: first, the immediate implementation of daily sea transportation services, second, the efforts to start EMS, third, the operation of private bonded shed by e-commerce companies, Fourth, joint council by stakeholders in Pyeongtaek port to discuss activating plans.

      • KCI등재

        평택항 개항에 따른 배후 지역의 변화에 대한 연구

        신영재(Yeong Jae Sh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3

        1986년에 개항된 평택항은 국제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평택항의 배후 지역인 평택시는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택항 개항에 따른 평택시의 지역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평택항과 지역 간 평균 거리(23.7km) 기준으로 인구와 지가의 변화를, 입지 계수를 통해 산업별·지역별 산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인구와 산업별 종사자 수는 평택항에 가까울수록 증가율이 높았으며, 지가 상승률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입지 계수로 보면, 제조업은 촌락 지역인 읍·면 지역에서, 3차 산업은 도시 지역인 동 지역에서 특화가 이루어졌다. Pyeongtaek port, opened in 1986, has played a role as an international trading port. Pyeongtaek city which is a hinterland with Pyeongtaek port has both landscape of city and rural area. Aims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regional change of Pyeongtaek city according to the opening of Pyeongtaek port: the change in population and land value by the average distance(27.3km) between Pyeongtaek port and each region and the change in industry and regional industry with location quotient of region. The increasing rate of population and people who work for industry showed an aspect of rising as a place locates near Pyeongtaek port, yet the increasing rate of land value showed little differences. In short, as the area is closer to Pyeongtaek port,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employees are higher. Yet, the increasing rate of the land value showed little difference. The study showed that manufacturing industry is specialized in rural region(eup?myeon region), and tertiary industry is specialized in urban region(dong region) of Pyeongtaek city according to location quotient.

      • KCI등재

        상품 및 서비스혁신 : 환황해권 LCL화물의 유치를 위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항을 중심으로

        이동현 ( Dong-hyon Lee ),안우철 ( Woo-chul Ahn ),정현재 ( Hyun-jae Ju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3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화물은 FCL과 LCL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LCL화물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항만물동량 유치를 가능하게 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화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황해권 지역에서 발생하는 LCL화물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평택항으로 중심으로 LCL화물을 처리함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 분석을 통해 평택항의 LCL화물 유치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황해권 지역 LCL화물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는 관세청의 자료를 기본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평택항 LCL화물 처리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포워더, 카페리선사, 보세 창고업체 등과의 면담을 통해 주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평택항의 LCL화물 유치를 위한 주요 개선방안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퍼지 계층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평택항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통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사장비 및 인력의 확충이 가장 중요한 개선방안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관련업체들의 수익성 향상을 위해 지자체 등에서 지급하는 인센티브의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Generally Container can be seperated from FCL and LCL. The LCL cargo can be evaluated as a cargo that makes it possible to attract a relatively stable volume and create added valu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for atrracting LCL cargo in Pyeongtaek Por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 structure is following. 1) analyzing a movement path of the LCL cargo occurring in Pan Yellow-Sea. 2) analyzing the problems to handle LCL cargoes in Pyeongtaek Port. The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movement path of LCL Cargoes utilize the data of the Customs Service. and the problems of LCL freight handled suggested from forwarder, carferry liners, and bondedwarehouse companies by interview. In this study, We use Fuzzy-AHP as the methodology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attracting major improvement for LCL shipments in Pyeongtaek Port. As the result, The expansion of inspection equipment and personnel was presented as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 too solve the clearance problems that is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Pyeongtaek Port. and The realization of incentive payments that local government pay for Profitability of related companies are needed.

      • KCI등재

        평택항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이동현 ( Dong Hyon Lee ),정현재 ( Hyun Jae Jung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4 해운물류연구 Vol.30 No.4

        평택항의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은 2005년부터 지속적인 이용객의 증가로 인해시설 내 혼잡도가 심각한 상태이며, 시설 수용능력 증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택항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의 합리적인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을 중요도 분석을 통해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6개의 주요 고려요인을 도출하였고, 계층분석 의사결정법(AHP)을 활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택항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을 이용하는 한·중 카페리 선사들과 전문가들은 ‘CIQ의 시설 및 인력확충’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고, 하역사들은 ‘CY의 규모’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종합적으로 CIQ의 시설 및 인력확충(0.268)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다음으로 선박의 운항편의(0.218), CY의 규모(0.173)가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 당국이 평택항 국제여객부두 및 터미널을 개발함에 있어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gestion of international passenger wharf and terminal in pyeongtaek port has been serious by continuously increasing of users from 2005. So the necessity of enlargement for facility capability was rais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lect core factors for rational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assenger wharf and terminal in pyeongtaek port by analyzing importance. We draw sixth core factors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interviewing exports, and analyse relative importance. The result is that ‘expansion of facilities and manpower about CIQ’ and ‘scale of container yard’ are recognized as the best important factors by car-ferry compaines between Korea-China, exports and stevedoring companies respectively. Synthetically, ‘expansion of facilities and manpower about CIQ’, ‘the convenience of sailing’ and ‘scale of container yard’ are evaluated as top 3 importance factors.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mpt decision of government in case of developing international passenger wharf and terminal in pyeongtaek port.

      • KCI등재

        평택항 교통안전특정해역 설정에 관한 연구

        유상록,김득봉,정재용,Yoo, Sang-Lok,Kim, Deug-Bong,Jeong, Jae-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2 No.6

        본 연구는 평택항을 통항하는 선박의 항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교통안전특정해역 설정의 필요성을 정량적인 데이터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비교 대상 6개 항만과 평택항과의 안개 일수, 도선 거리, 대형선 입항 척수, 조업 어선 척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택항은 잦은 시계 제한의 영향을 받는 역 조건의 가운데 부산, 부산신항, 울산, 포항항보다 약 3.5 ~ 6배 더 긴 도선 구간을 항해 해야한다. 특히 어장이 형성되는 5 ~ 7월에는 통항로에 위치한 35척의 조업 어선을 피하기 위해 대형선이 역주행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상대 선박과의 충돌 위험을 갖는 교통 환경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평택항 접근수역에 교통안전특정해역으로 설정한다면, 대형선이 조업 어선 보다 법적 우위를 갖게 되므로 통항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presses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Pyeongtaek Port as a specific traffic safety area to ensure the safety of the vessels that navigate there using quantitative data. The number of foggy days, pilotage distance, the number of large vessels and the number of fishing vessels that traveled between Pyeongtaek Port and 6 ports chosen as comparative study obj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Pyeongtaek Port was more frequently affected by restricted visibility. With these perverse conditions, Pyeongtaek Port has a longer pilotage distance than Busan, Busan Newport, Ulsan or Pohang Ports by as much as 3.5-6 times. Especially from May to July, when fisheries were most functional, large vessels were required to navigat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avoid 35 fishing vessels that were observed, creating an increased possibility for collisions among vessels. Therefore, the navigational safety of Pyeongtaek Port should be further secured by defining the approaching waters as specific traffic safety areas, giving large vessels legal priority over fishing vessels.

      • KCI등재

        평택항 접근수역의 해상교통시스템 개선에 관한 실증적 연구

        윤병원,박진수,박영수,Yoon, Byoung-Won,Park, Jin-Soo,Park, You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는 평택항 도선구 주변해역의 해상교통 시스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는 연구로서, 평택항의 도선사와 기항 선박 선장들의 전문가적 시각에서 평택항 도선구 주변의 교통환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안서 도선사 승하선 구간과 입파 도선사 승하선 구간의 위해요소를 실증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해상교통시스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목덕도 분리수도와 안도수역에 분리수도 설정을 제안하였고, 장안서 분리수도의 폭을 조정하여 혼잡도를 개선함은 물론 분리수도 외측경계선에 등부표를 설치하여 어구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장안서 입파도 구간 해역에 교통안전 특정해역을 설정하도록 제안하고, 입파도 정박지 및 장안서 정박지 확충을 제시함으로서, 이러한 교통시스템 개선을 통하여 평택항 도선구 주변 통항선박의 안전운항 증진방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nvestigating of the improving measure of marine traffic system around Pyung-Taek Pilotage area. First, we analyzed the marine traffic environment o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expert point of view of pilot and shipmasters. Then suggested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traffic safety according to the analytic results of the hazardous items on the Jangan-Seo and Ippa pilot embarking/disembarking area. We suggested to establish Mokdeok-do TSS and TSS in Ando area, and to adjust the width of Jangan-seo TSS to improve the congestion on the TSSs. Also suggest to put lightbuoys along the outer limit of the TSS. In addition, recommend to establish traffic safety specific area on the Jangan-seo/Ippa-do water, and to suggest expand the anchorage area of Ippa and Jangan-seo anchorage. It is anticipated to improve the traffic safety on the study area through the marine traffic system impr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