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시니어 소비자의 주관적 연령에 따른 패션정보원활용 및 패션점포선택기준

        김미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1

        기존의 시니어 세대와 다른 소비행태를 보이는 뉴 시니어(new senior)는 건강과 외모에 관심이 많고 자기개발에도 적극적인 50-60대를 지칭한다. 이들의 특성으로 은퇴로 인한 시간적 여유, 중년과 노년의 과도기라는 인생의 변화, 경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 학습의지가 높아 자기개발 욕구가 강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내적 상태가 반영된 자신이 지각하는 연령인 주관적 연령(subjective age)으로 시장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뉴시니어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주관적 연령에 따른 패션정보원활용과 패션점포선택기준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기관에 의뢰하여 2014년 10월 13일 - 10월 23일까지 서울시에 거주하는 50-60대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연령집단은 자신의 실제연령보다 젊게 지각하는 집단, 실제연령과 같게 지각하는 집단, 실제연령보다 많게 지각하는 집단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둘째, 뉴 시니어 소비자의 주관적 연령에 따른 패션정보원활용과 패션점포선택기준이 유의하게 다르므로 시장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체적인 패션정보원활용은 50대가 60대에 비해 높고, 주관적 연령을 젊게 지각하는 집단이 인적정보원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판매원을 단순판매업무가 아닌 사회적 교류를 중요시하는 뉴시니어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비자와 판매원과의 관계를 통한 사회적 활동으로 발전시키는 인식의 전환과 시각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패션점포선택기준은 50대가 60대보다 상품ㆍ시설ㆍ분위기 요인을 더 고려하며, 주관적 연령을 젊게 지각하는 집단이 상품ㆍ시설ㆍ분위기요인과 판매원ㆍ서비스요인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이를 강조하기보다는 뉴시니어의 젊음에 대한 욕구와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디스플레이와 상품, 시설 및 인적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뉴시니어의 등장은 향후 시니어 계층의 특성변화를 의미하므로 뉴 시니어 시장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고객 니즈에 맞는 상품개발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wly rising consumer entity named as New Senior and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to establish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by studying their criteria for selecting stores and their use of fashion informational sour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ult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residing in Seoul and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Subjective ag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who perceive their age younger than their actual age, perceive their age equal to their actual age, perceive their age older than their actual age. 2. In the case of the use of fashion informational source, group of fifties who perceive their subjective age younger than their actual age and group of sixties who perceive their subjective age younger than their actual age relatively use more of human informational source. The difference found was that in case of non-human informational source, the group of fifties who perceive their subjective age older than their actual age and the group of sixties who perceive their subjective age older than their actual age use relatively more of non-human informational source. 3. As for the criteria for selecting stores, the product․facility․ambiance were mor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order of the group with their actual age of fifties who perceives their subjective age younger, older, and equal to their actual age. In the group with their actual age of sixties the results were different in that product․facility․ambiance were mor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order of the group who perceives their subjective age younger, equal and older than their actual age.

      • KCI등재

        패션사진에 나타난 오마주(homage) 표현 특성 - 팀 워커(Tim Walker)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을 중심으로 -

        범서희,임은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팀 워커의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에 나타난 오마주 사례를 분석하였다. 시각 예술 분야에서 혼동되고 있는 오마주의 개념을 명확히 하여 오마주의 표현 방식과 의의를 재조명하였다. 또한 시대와 영역별로 나타난 다양한 사례를 분류하였으며 재해석, 삽입, 재구성으로 유형별 분석을 통하여 팀 워커의 오마주 패션사진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선대의 거장에 대한 외경심이 창작의 동기가 되는 오마주는 영화 예술 분야에서 부각된 이래 중요한 창작 방법의 하나로 주목받으며 현대의 다양한 창작 분야 내에서 굳게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에디토리얼 패션사진의 특징과 오마주의 개념 및 그 표현 특징을 밝히고, 패션사진의 대표적인 사진작가 중 한 명인 팀 워커의 오마주 패션사진의 사례 연구를 통해 패션사진이 내포하는 오마주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동안 팀 워커가 주로 활동한 패션 잡지인 영국 보그, 미국 보그, 이탈리아 보그의 오마주 기법이 사용된 에디토리얼 사진을 분석하고자 한다. 팀 워커의 패션사진에서 오마주는 고전 예술 작품이 갖고 있는 생명력을 창조적으로 이어받아 패션 산업과 현대 예술 양자 사이의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다. 그로 인해 패션 사진에 대한 대중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강력한 도구로 일조하고 있다. 원작을 계승하면서도 차이를 디자인하는 오마주는 늘 변화를 추구하는 패션에서 패션사진의 표현기법으로서 앞으로도 중요한 기술로서 나타날 것이며, 그 다양한 전개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homage examples into Tim Walker's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as a communication tool and polish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homage by refining existing confusion about homage. Also examples are categorized by different time period and various field. Lastly, a concept for Tim Walker's homage fashion photography is established through analyzation of divided category such as representation, insertion, reconfiguration. Since homage, a genre in which awe for a maestro is the creative motive, appeared as a characteristic in the film arts field,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leading creative methods and has established itself in various fields of modern art. The method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first reveal the editorial fashion photo features the concept of homage and its representations characterized by the literature, fashion photo of a master Tim Walker's the leading photographers through a study case of homage fashion photography that implie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homage from 2006 to 2015 for 10 years Tim Walker is mainly active fashion magazines,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the homage of the Italian vogue and techniques to analyze editorial photo used. Homage of Tim Walker's fashion photographs intends to creatively extend the life of classic works of art, and has acted as an intermediary between industry and modern art and thus become a powerful tool that helps attract the public's interest in the fashion photographs. Homage, which succeeds the originals and designs differences, will become an important technique of fashion photographic expression in the fashion industry that pursues differences, it is expected to develop in various ways.

      • KCI등재

        해외 진출 한국 패션 브랜드의 기업 마케팅 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 진출 유형별 SWOT 분석을 중심으로

        주보림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3 No.1

        국제화, 정보화, 네트워크화, 대형화, 전문화, 고급화, 세분화, 양극화 등 급변하는 최근 시장 환경에서 한국 패션은 국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거시적인 산업 시스템의 개혁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기 진출한 한국 패션 브랜드들의 기업 마케팅 전략을 조사 연구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국 브랜드의향 후 전망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1:1 인터뷰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기업 마케팅 전략 중 유형별 SWOT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각 기업의 진출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요구되는 경쟁력인 디자인, 시스템, 마케팅 역량에 대한 확보가 필수적인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특히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를 확보하고 있는 수출기업과 패션브랜드 운영 노하우 및 디자인 강점을 지닌 브랜드 운영기업의 역량을 서로 보완, 연결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순차적인 육성정책 수립과 함께 디자인, 시스템, 자본 역량 기반을 연결하는 도킹 시스템(docking system)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상품기획 시스템 강화를 위한 집중 지원 사업과 소싱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소싱 네트워크(global sourcing network) 기반 구축, 장기적인 글로벌화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앞으로 국내 패션 브랜드 기업은 영업·기획·생산 등의 기본기를 충실히 다져 국내 마켓에서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한 후 세계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상품력과 통일된 브랜드 콘셉트, 마케팅 능력, 그리고 이를 통합해 매뉴얼 화 할 수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향후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하는 한국 패션 기업 및 브랜드가 자사의 역량에 맞는 비즈니스 전략을 선택적,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클라우드 기반의 패션디자인 프로세스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이운영(Woon Yo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과 패션디자인이 융합된 연구로 패션디자인 전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관계형데이터로 생성하여 패션디자인 지식정보를 체계화 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디자인 프로세스과정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한 패션정보 집약체로 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이다. 소단위로구성된 패션디자인 요소의 전문 지식정보는 QR코드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언제 어디서나 별도의 장비나소프트웨어 없이 간편하게 인터넷에 접속하여 활용될수 있는 체계적인 콘텐츠로 구성된다. 연구의 이론적,기술적 배경은 국내외 관련 업체 및 기관, 연구소들의동향 보고서와 논문 및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의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연계시킨다. 연구범위와 내용은 정보산업기술의 발달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IT패러다임과 패션 패러다임의변화, 콘텐츠를 구성할 패션디자인 실습 교육내용을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패션디자인 전개과정의 지식정보체계 내용은 국내 패션디자인 관련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선적으로 구축이 필요한 과목을 선정하였다. 우선적으로 설정한 각 항목은신뢰도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자 입장에서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교육 지식정보는 각 과목별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라는 설문분석결과를 얻었다. 둘째, IT 패러다임의 변화는 패션 패러다임에 영향을 미쳐 단순하면서도 즉각적으로 감성을 자극 할 수있는 이미지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확산시켰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소통하는 비주얼 소셜 네트워크나동영상 기반의 교육시스템이 확산되었다. 셋째, 패션디자인 프로세스 설계를 위한 단위별 지식정보는 문헌연구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설정하였다. 넷째, 패션 디자인 전개를 위한 단위별로 제작된 지식정보는 QR코드로 제작하였다. QR코드는 상호 연관성 있는 관계형 테이타 베이스로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새로운 스마트 미디어와 콘텐츠가 연결될 본 연구의 패션디자인 프로세스 시스템은 패션 디자인 교육에 있어 활용도는 물론, 패션 전문 기술의 체계적인정보화 작업이 될 것이며, 쌍방향 시스템 구성으로 업체에서 요구하는 지식정보 전달의 도구로 사용 되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converged research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fashion design. It tries to create relational data, the basis information necessary to develop fashion design, and systemize fashion design knowledge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tents of fashion design processes, the result of fashion information, applicabl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formation about fashion design factors composed in small units are based on QR code and applications, the systemized contents which can easily be used at any times and any places through internet access without any separate device or software.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reconstitute and associate trend reports made by domestic and foreign relevant companies,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sis, independent volumes, books and publications. The study scope and study contents ar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y, the changes in IT paradigm and fashion paradigm,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fashion design practice. For the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of fashion design development proces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domestic students majoring fashion design, and as a result, the subjects that require system establishment first were selected. The reliability of each item selected wa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obtained survey analysis results showing that education contents required above all from the viewpoint of consumer were basic knowledge. Second, the change of IT paradigm had an effect on fashion paradigm, and spread image or emotional communication that could instantly stimulate emotion. Therefore, visually communicating visual social network or image-based education system was spread. Third, with regard to knowledge information according to unit for the design of fashion design process, a database item was set up through literature review. Fourth, with regard to knowledge information produced according to unit for fashion design development, QR Code was made. The correlated relational database of contents was built for QR Code. The process comprises of preparatory phase, implement phase and modification and supplement phase. And the research will follow the fashion design process.

      • KCI등재

        패션의류기업의 국제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효정,박남규,권기환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2 국제경영리뷰 Vol.16 No.4

        최근 들어 성공적인 글로벌 기업의 등장으로 패션의류산업의 국제화와 이를 통한 성과 창출이 더욱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전략적 적합성 관점에서 패션의류산업의 국제화 과정에 관하여 살펴보고 있다. 글로벌 패션의류기업이 어떻게 환경에 적합한 전략으로 성공적인 국제화를 이루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국제화 프로세스를 거친 글로벌 패션의류기업 대비 한국 패션의류기업의 부족한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기업인 ZARA, GAP, theory, 한국 기업인 이랜드, 솔리드 옴므, 성주인터내셔널을 선정하여 전략적 적합성 측면에서 비교분석 하였다. 글로벌 패션의류기업은 환경이 요구하는 핵심성공요인에 적합하게 글로벌 핵심역량의 확보, 국제화에 대한 학습역량 보유, 글로벌한 가치사슬의 확보라는 자원과 역량을 보유하고 성공적인 국제화 과정을 거쳐 왔으나, 한국 패션의류기업은 필요한 핵심역량을 보유하지 못하거나 제한적인 국제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ashion apparel industry and its performance creation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have received greater attentions because of the emergence of a successful global companies. This paper examine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ashion apparel industry from the strategic management Perspective. We reviewed how global fashion apparel companies achieved successful internationalization with proper strategies fit for their environments. Based on a review of global strategy theory and successful global companies, we suggested the deficiency of Korean fashion apparel companies. We chose ZARA, GAP, theory from global companies and E-land, Solid Homme, Sungju international from Korean apparel companies and compared their global strategies from strategic fit view. Following the requirements of environments, global fashion apparel companies could build the global core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from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 value chain successfully. However, Korean fashion apparel companies could not build core competence fit for global environment or expand to further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무윈 ( Mu Yun ),김순구 ( Kim Soonk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3

        패션은 유행문화의 메신저로, 패션 연출 공간 역시 일반적으로 모두 강한 시대감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소비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사람들의 소비수준과 품위유지수준이 높아지면서 상업적 속성을 지닌 패션 연출 공간이 상품 판매에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공간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의미에서 보면 공공공간으로서 문화, 예술, 미(美)를 전파하는 책임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 소비자는 더이상 단순히 쇼핑을 목적으로 쇼핑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가를 즐기면서 문화, 예술, 미적 감각의 공간 속에서 쇼핑에서 얻는 즐거움을 체험한다. 따라서 패션 연출공간의 디자인은 시대감과 스타일의 특색을 강조해야 할 뿐만 아니라 더욱 강한 예술적 감화력을 갖춰야 한다. 본문에서는 이론 및 사례 연구를 통해 설치 미술 형태의 4가지 중요한 특징을 연구했는데, 그 4가지는; 도시화 예술성 특징, 현품(.品)의 현장성 특징, 관람자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특징, 그리고 미디어 하이테크놀로지 크로스 오버성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들과 패션 연출 공간 형태 간의 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설치 미술의‘예술 관념’을 추출하여 패션 연출 공간 속에서 ‘패션 문화 관념’이 형성되었는데, 이러한 ‘관념’은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그들의 마음을 움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념 특유의 인정하고 동의하는 태도는 브랜드 관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소비자들의 패션 브랜드에 대한 탐구를 지속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브랜드 구매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정신적인 즐거움과 만족감을 가져다주어 사회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설치를 이용해 나타난 미술 관념 형태의 특징과 패션 연출 공간을 설계적으로 연결하여, 패션 연출의 미술 형태를 위한 영향력 있는 모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랜드의 다양화된 시각적 이미지를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 경영기업의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디자이너가 디자인 상태의 출발점과 창작 목표를 세우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로써 참신한 창작 사고 관념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루트를 개척하고, 패션 문화의 보급에 깊은 의미를 남길 수 있다. In current consumer society, fashion has a growing influence on social life and activities and has become a very important cultural phenomenon in nowadays. So it is called as``fashion culture``. Fashion also means fashion (clothes) in English, so it is undoubtedly the best carrier to reflect fashion. Through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form and comparative study with fashion communication space, we can find that both the art concept of installation art and fashion culture ideal are important mediums to transmit concepts to the public, aslwell as significant leader and founder of popular culture. This article summarizes four important features of installation art form, i.e. urban art, ready-made products on site, viewers’ participating experience, and multi-media interdisciplinary high technology, and studies coupling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mmunication space and installation art form with examples and field researches.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advisable to build diversified visual brand images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expression art concept, which helps fashion enterprises to implement differentiation brand strategy, helps designers to get into design condition and determine creation objectives, provides constructive reference to fashion communication space, and become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innovation ideas.

      • KCI등재

        에너지 하베스팅 패션제품 개발현황

        서성은,노정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 자가발전을 통한 에너지 수확, 저장, 전환은 스마트 패션제품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방향성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한 패션제품의 개발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의류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대표적유형을 열전, 압전, 마찰전기, 광전, 전자기파의 5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구글과 네이버 및 관련 웹사이트에서한영 키워드로 검색하여 140여개의 상용화된 패션제품 사례를 도출,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현재 기술성숙도가 높고 가장 많은 상용화가 이루어진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태양전지로 의류 전반의 다양한 아이템에 적용·개발되고 있다. 압전 기술은 압전필름을 설치하여 소리파장에 의한 진동, 신체 움직임에서 발생하는 압력 등을 전기로 변환하는 제품, 열전은 주로 사람의 체온 변화를 감지하여 에너지로 변환이 가능한 손목시계나 밴드형에서 침낭, 신발 등, 마찰전기는 접촉대전 나노발전기를 삽입하여 사람의 불규칙한 신체 활동에서 수확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제품 형태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전자기파는 패션제품화가 비교적 낮으나주변에 버려지는 전자기파유도 에너지를 텍스타일 안테나나 손목밴드 등의 저장장치에 수확하여 사용하는제품으로 나타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에 대한 기술적 관심은 국내외에서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본격적 상용화 개발은 미흡하기 때문에, 패션아이템으로서의 기능성과 실용성, 편리성, 그리고 무엇보다 트렌드 감각을 갖춘 심미성을 지닐 수 있는 기술적 접근과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이 중요하겠다. 패션커뮤니케이션의 확장으로써 패션 테크놀로지의 적용은 일상에서 친숙한 습관으로 다가오는 스마트 테크놀로지 트렌드, 일상의 건강과 웰빙을 추구하며 여가활동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부각된 에슬레져 트렌드, 그리고 친환경적 고부가가치의 그린디자인을 추구하는 지속가능 트렌드 등 시대적 메가트렌드에 부합하는 결과물로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nergy harvesting, storage, and conversion have played a major role in presenting a direction and vision for the smart fashion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status of fashion products using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In previous research, the representative types of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applicable to clothing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ermoelectric, piezoelectric, triboelectric, photovoltaic, and electromagnetic. We have searched for more than 140 commercialized cases in Google & Naver with both Korean and English keywords of energy harvesting fashion product, and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Solar-cell energy, which has the highest technology maturity and commercialization, is being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items such as outdoor jackets, shoes, caps, headphones, bags, watches and jewelry. Thermoelectricity using the body temperature difference is being developed as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wrist band type, sleeping bags and shoes. Piezoelectricity is being applied to a product that installs a piezoelectric film to convert vibrations caused by sound waves, and pressure generated by body movements into electricity. Triboelectricity is being actively developed as a product type that charges energy harvested from human irregular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running, and finger movements by inserting a contact nano generator. Electromagnetic waves are relatively low in commercialization, but used in storage devices such as a textile antenna or a wrist band by harvesting induced energy, which is abandoned in the vicinity.

      • KCI등재

        위르겐 텔러의 패션 광고사진에 나타난 예술적 표현

        범서희,임은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패션업체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나 광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독특하고 차별화된 이미지로 패션 촬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술과 예술의 두 가지 속성을 가진 사진은 그 속성들을 발휘하여 이미지를 조작해서 패션 이미지를 미디어를 통해 투사한다. 최근 대중 패션잡지에서 영향력 있는 패션 브랜드들의 광고는 예술사진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으며, 예술사진작가들은 상업 사진 기술을 차용하고 있다. 주류 미술관과 갤러리에 전시되는 예술사진작가인 위르겐 텔러는 매 시즌 해외 유명 패션 브랜드 광고사진을 촬영해 왔으며, 패션 광고사진을 현대 예술사진으로 끌어올린 작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작가 텔러의 패션 광고사진에 나타난 표현양식을 알아봄으로써 패션 광고사진의 예술적 표현이 시사하는 바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이는 패션과 예술의 관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그 접점에 서있는 사진을 고찰함으로써, 상업적인 패션과 예술적 가치가 있는 사진의 간극을 인정하고 매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방법은 문헌을 통해 현대 예술사진 및 패션 광고사진에 관해 고찰하고, 현대 사진작가 중 패션과 예술의 경계선상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텔러의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상업적인 미디어 중 하나인 패션잡지『Vogue』 속 텔러의 대표적인 패션 광고사진을 조사한 후 광고에 나타난 예술적 표현에 대해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분석한 텔러의 패션 광고사진에 나타난 예술적 표현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냅 사진에서 볼 수 있는 홈 스냅샷의 미학이다. 둘째, 수용자에게 낯설고 복잡한 이미지의 비유기적 파편화를 들 수 있다. 셋째, 영화적 내러티브의 매체 간 차용이다. 넷째, 기존의 광고사진과는 달리 소품으로서 묘사된 패션이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in a fashion market, it has made a lot of efforts in filming with a differentiated image of its own. A photograph with two characteristics, technology and art, display its attributes and operates an image to project the image of the footage through the media. The influential advertising of fashion brands in recent popular fashion magazines is changing the direction into art photography and it is exhibited in main museums and galleries. Juergen Teller, an artistic photographer, is taking photographs of famous seats of overseas famous fashion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artistic expression of advertising photographs suggests the knowledge of the expressive form shown in photographers' terrestrial photographs. Th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 and art. At presen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significance to recognize and mediate the gap between the photographs with commercial and artistic values.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it examines one of the commercial media from the 2000s to the present day of the most vigorous activity on the boundary between contemporary photographers of fashion and art. After investigating the photographs of typical fashion advertisements in the middle column of the fashion magazine, it makes an attempt at clarifying the artistic expressions displayed in the『Vogue』advertisements.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artistic expression in Teller's fashion ad photograph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esthetics of the home snap shot that can be seen in the snap photograph. Secondly, the metaphoric miracle fragmentation of the complex image that are unfamiliar to the user. Thirdly, it is borrowing between media of cinematic narratives. Fourthly,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dvertisement photograph in that fashion is represented as a small thing.

      • KCI등재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트링의 표현 특성 연구

        이주영,김정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디자이너들의 감성과 주제를 표현하는 창의적인 매체로서 사용되는 스트링에관한 논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패션에서 스트링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유형 분석을통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패션에서의 스트링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 이후 현대 패션에서 사용된 스트링을 패션관련 서적과 패션전시 및 패션 퍼포먼스 영상 그리고 세계 4대 패션컬렉션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트링의 유형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을 위한 스트링으로 옷을 입고 벗기 편하게 하는 개폐 기능, 착용자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기능, 그리고 치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착용 가능한 사이즈 조절 기능이 있었다. 둘째, 장식을 위한 스트링으로다양한 크기와 방향 그리고 색채와 결합되어 시선을 집중시키는 디자인 디테일 요소, 형태 변화를 통해 입체미를 표현한 실루엣 변형 요소 그리고 새로운 소재를 형성시켜주는 텍스쳐 구성 요소가 있었다. 셋째, 퍼포먼스 연출을 위한 스트링으로 빛을 활용한 발광 효과, 움직임에 의해 원근감을 형성하는 공간 확장 효과, 그리고 미디어와 결합하여 디자이너의 콘셉트를 표현하는 영상을 통한 효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스트링의 유형분석을 바탕으로 미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스트링은 움직임으로 의상의 크기를 확장시켜 시각적인 개방감을느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스트링의 유연한 성질은 새로운 질감을 형성시키고 독창적인 형태를 창출해내고있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매체들과의 결합을 통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감성적 메시지를 예술적으로표현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에서 스트링이 디자이너의 감성을 전달하는 표현 도구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과 매체와의 결합을 통해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modern fashion, strings became creative mediums to reflect designers’ artistic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trings are being used by analyzing types of strings and by looking into artistic features that strings have. The study looked into strings used after year 2000 and all of materials and references were collected from books, exhibitions, and fashion shows. Strings have three characters – the functional features, ornamental purposes and the one to body out artistic concepts that designers want to reflect. First, strings have a function of open and close. Second is known as the ‘fix and hold’. Third, it adjusts size of clothes. Strings are used to decorate clothes. First, it has design details which visually attract people’s eyes as string can be combined with lines, facets and colors. Second, strings can transform shapes of clothes by adjusting overall silhouettes. Third, strings sometimes become a new material visually as it can be mixed with other materials. Strings also reflect designers’ artistic concepts. First, designers make luminous effect by using strings with an optical fiber in a work to show future images of the fashion. Second, strings create stereoscopic spaces as strings move. Third, strings maximize designers’ identity by combining with visual sources produced by the mass media. The ductility of strings creates new textures and also transform into completely new shapes as strings can be tangled with each other. It also expresses designers’ emotional messages, meaning that strings are tools to reflect designers’ sensitivities. Likewise, the range of use for strings is consistently extending.

      • KCI등재

        패션잡지에 나타난 스타일링 연구

        조우영(Woo Young J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패션 스타일링은 패션브랜드가 늘어나고 캐주얼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의복의 착용경향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패션의 중요한 장르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스타일링을 학문적인 시각에서 접근하여 패션 스타일링에 대해 이론적인 고찰을 시도하고, 이 이론을 바탕으로 패션잡지의 화보를 연구대상으로 패션 스타일링을 분석하고 나아가 스타일링을 제시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스타일링의 분석 자료로는 세계적으로 가장 인지도가 있는 패션잡지인 「보그」(VOGUE) 이태리판을 선택하였고, 구체적으로는 여기에 게재된 패션 화보들을 분석하였다. 화보를 분석, 고찰한 결과 화보의 주제는 룩, 컬러, 패션 소품, 아이템, 소재, 패턴, 실루엣, 디테일, 내용 전개, 사진 기술, 모델, 계절감 등 12가지로 구분되었으며, 화보의 주제별 스타일링에 나타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화보는 트렌드에 근거하여 기획되고 연출되며 다양한 룩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연구의 범위인 비중 있는 패션매체를 통한 연도별 트렌드 및 패션 스타일링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트렌드는 여러 가지 디자인 요소가 믹스되면서 또 다른 트렌드를 창출해낸다. 예전처럼 한가지의 뚜렷한 트렌드가 제시되기 보다는 여러 가지 트렌드가 같은 화보 안에서 공존하며 다양한 룩을 표출해냈다. 셋째, 패션화보 속에서 스타일링은 옷뿐만 아니라 함께 작업하는 스텝들이 만든 화보의 스토리 라인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넷째, 화보에 보이는 스타일링은 비단 옷과 소품뿐만 아니라 사진의 기술적인 부분에 의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나 컴퓨터 그래픽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시도의 비주얼 작업이 가능해졌다. 이는 트렌드를 더욱 강렬한 이미지로 가시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트렌드를 전달하는 한 요소로서 모델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헤어와 메이크업이 스타일링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패션 트렌드와 함께 공존하는 것이 바로 뷰티 트렌드이므로 의상과 어우러지는 헤어와 메이크업이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여섯 번째, 시즌마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패션계의 특성에 따라 계절감을 초점을 맞춘 스타일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스타일의 변화는 패션 전반에 관한 지식과 폭넓은 상품정보가 밑받침될 때만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패션 화보에 나타난 스타일링의 주제와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패션 스타일링의 총체적 속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트렌드가 공존하는 패션잡지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Fashion styling can be a practical study that can help people create their personalities, rather than just a professional field. Therefore, in this research, fashion styling was approached from an academic viewpoint, and theory of fashion styling was examined by synthesizing previous researches and my practical experiences as a fashion editor. Based on established theory, fashion styling was analyzed by setting fashion magazines as a research target. The directing factors of styling were classified into item, fashion goods, color, fabric, model, pattern, hair & make-up, story of photographs, detail, images of photographs and then features of each factor and directing methods were considered. It was regarded that a look could be created by synthesizing those directing factors to complete fashion styling. As raw materials for this research, ``VOGUE Italy`` being known to all over the world, was selected among many kinds of magazines, and then photographs in some volumes of VOGUE which show various cases of fashion styling well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Futhermore, fashion products in those magazines are from various brands without focusing particular styles. Therefore, wide range of fashion styles could b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The themes of the photographs were twelve kinds, look, color, item. fashion goods, pattern, model, story, season, detail, fabric, photographs, and silhouette. The styling features as the followings were induced by analyzing those themes. Firstly, fashion photographs were planed and directed based on trends. Through it, the trends and fashion styling of each year in the later 1990s, the scope of this research, were grasped. Secondly, the directions and processes of the photographs reflecting trends were tried from professional viewpoints, and new, fresh, and somewhat exceptional Mix and Match styling was directed. Thirdly, models who transmit styling in the photograph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images rather than physical shapes. Fourthly, the theme of each photographs was planed and directed strictly based on T.P.O. Fifthly, the relative importance of hair styles and make-up was significant in directing styling though not visualized as the theme of photographs. Sixthly, it was to create a new image for season. This is made possible only when the knowledge of fashion as a whole and information on a wide range of products are easily available and accessible.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total relationships of fashion styling could be diagramm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future various approaches about fashion styling researches by giving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total relationships of fashion styling tha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rr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