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질환 환자들의 시상면 정렬에 대한 골반의 역할

        김용찬,유기한,장철영,Ji Hao Cui,Sirichai Wilartratsami,김태환,오재근,박문수,김석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2

        연구 계획: 종설. 목적: 골반과 요추부 퇴행성질환 환자들의 상호 관계에 대한 최신 지견을 제시하고, 요추부 퇴행성질환 환자들의 시상면 정렬에 대한 골반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골반과 요추부 퇴행성질환 환자들의 시상면 정렬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많은 저자들은 골반이 요추부 퇴행성 질환 환자들의 시상면 정렬에 대해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해 왔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골반과 요추부 퇴행성질환 환자들에 대한 참고 문헌들을 검색하였고, 지난 30년간의 문헌에 대해 꾸준히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골반과 요추간의 관계는 전 인체 시상면 정렬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골반과 요추부 퇴행성질환 환자들의 시상면 정렬간에는 매우 밀접한 상호관계가 있다. 따라서 골반과 요추는 요추골반복합체(Lumbopelvic complex)라는 하나의 개념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결론: 우리는 요천추관절(Lumbosacral joint)이 아닌 요추골반관절(Lumbopelvic joint)의 개념을, 그리고 요추전만(Lumbar lordosis)이 아닌 요추골반전만(Lumbopelvic lordosis)의 개념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전 인체 시상면 정렬과 동적 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요추골반복합체를 고려해야만 한다. Study Design: Literature review. Objectives: To present updated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of the pelvis and lumbar degenerative disease (LDD) patients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pelvis in sagittal alignment of LDD patien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the relationship of the pelvis and sagittal alignment of LDD patients is controversial, many authors have reported a significant impact of the pelvis on LDD sagittal align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identified references through a literature search on the pelvis and LDD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literature during the past 30 years. Results: The pelvis and lumbar levels were related to whole-body sagittal alignment. The pelvis is also closely related to sagittal alignment of LDD patients. Therefore, the entire area should be regarded as a lumbopelvic complex. Conclusions: We need to consider the concept of a lumbopelvic joint and lumbopelvic lordosis, not a lumbosacral joint and lumbar lordosis. We must also evaluate the lumbopelvic complex to assess whole-body sagittal alignment and dynamic balance.

      • KCI등재

        50세 이상의 퇴행성 요추 질환 환자에서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의 비교 -

        김환정,박건영,성환일,구제윤,권원조,박창규,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2

        Study Design: Cross-sectional study. Objectives: Sagittal imbalance cannot be predic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lumbar lordosis. Thus, we tried to evaluate thenecessity of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through comparison of the spinal and pelvic parameter between supine lumbar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No studies in the literature compare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lateral radiograph. Materials and Methods: We randomly selected 50 males and 50 females among the patients over the age of 50 who visited ourhospital for outpatient due to degenerative lumbar disease. Lumbar lordosis (sLL/wLL), sacral slope (sSS/wSS), and pelvic tilt (sPT/wPT)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pectively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Wecategorized as group AI (sLL<30˚) and group AII (sLL≥30˚)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analyzed them. We also categorized asgroup BI (SVA≤5 cm) and group BII (SVA>5 cm) by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and analyzed them.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umbar lordosis (sLL/wLL: 35.1˚/37.7˚) and pelvic parameter (sSS/wSS: 32˚/31.7˚, sPT/wPT: 24.3˚/24.2˚. sPI/wPI: 56.3˚/58.2˚) between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and therewere also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group AI & AII) in SVA, lumbar lordosis and pelvic parameter. Pelvic parametercompared by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and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based on sagittal balance was no significantdifference, but lumbar lordosis appeared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Sagittal imbalance appears quite a lot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and supine lateral radiograph can’treflect the whole sagittal imbalance. So,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hould be performed routinely to analyze the sagittalalignment. Key Words: Degenerative lumbar disease, Supine lumbar lateral radiograph, Whole 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 Sagittal balance 연구 계획: 횡단 연구목적: 요추 전만각 정도에 따라 시상면 불균형을 예측할 수 없어,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의 척추 지표와 골반 지표를비교하여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외래로 내원한 50세 이상 환자에서 남자 50명과 여자 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요추 전만각(sLL/wLL), 천추 경사(sSS/wSS), 골반 경사(sPT/wPT)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앙와위 요추부 측면사진 상에서 요추 전만각이 30도 미만인 Group AI과, 30도 이상인 Group AII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시상수직축이 제 1천추의 후상연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전방 5 cm 미만인 Group BI과 5 cm 이상인 Group BII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왕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에서 요추 전만각(sLL/wLL: 35.1도/37.7도) 및 골반 지표(sSS/wSS: 32도/31.7도, sPT/wPT:24.3도/24.2도. sPI/wPI: 56.3도/58.2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AI과 AII에서 시상 수직축 및 요추 전만각, 골반 지표는 모두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상면 균형 여부에 따라 앙와위 측면 사진과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 상에서 비교한 골반 지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요추 전만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퇴행성 요추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시상면 불균형이 적지 않게 나타나고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으로는 전체적인 시상면 불균형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시상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을 일괄적으로 촬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색인 단어: 퇴행성 요추질환, 앙와위 요추부 측면 사진,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 시상면 균형약칭 제목: 기립 전신 척추 측면 사진의 필요성

      • KCI등재
      • KCI등재

        요추부 유합술 후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으로 5년 이내 조기 재수술을 시행한 군과 10년 이상 경과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군의 비교 분석

        소재완(Jaewan Soh),김중혁(Junghyeok Kim),이재철(Jae Chul Lee),신병준(Byung-Joo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3

        목적: 요추부 유합술 후 5년 이내 조기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이 발생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10년 이상 경과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들과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부 질환으로 유합술을 시행 받고, 5년 이내에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 받은 19명(A군)과 10년 이상 경과되어 재수술을 시행 받은 13명(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 환자의 성별, 나이, 유합 분절 수, 수술 전 진단, 유합방법, 유합부 위치와 수술 전, 후의 요추부 전만각 및 유합 분절의 전만각, 유합 분절당 전만각과 그 수술 전, 후의 차이를 측정하였고, SPSS 14.0으로 각 요인들을 교차 분석하고 χ²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B군에 비해 A군에서 유합 방법상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p=0.018)와 수술 후 유합 분절당 전만각이 20도 이하였을 때(p=0.046), 유합부 인접 분절이 제4-5요추부 및 제5요추-제1천추부를 포함하고 있을 때(p=0.009) 조기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발생이 빈번하였다. 결론: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유합 분절당 전만각이 20도 미만인 환자, 유합부 인접 분절이 제4-5요추부 및 제5요추-제1천추부일 때 조기 인접 분절 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 받는 경우가 많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for early adjacent segment disease (EASD) in patients undergoing revision surgery within 5 years from the first operation as compared with those after more than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755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underwent lumbar spinal fusion of 3 or less segments between August, 1988 and May, 2009. Of these, 44 patients underwent revision surgery due to adjacent segment disease (ASD) until May, 2014. These patients presented with ASD, 19 and 13 of whom underwent revision surgery within 5 years and after more than 10 years of the first one, and were thus assigned to group A (n=19) and group B (n=13), respectively. Thirty-two of thes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baselin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age, fusion method, preoperative diagnosis,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fusion level, and radiological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adiological measurements included pre- and postoperative lumbar lordotic angle (LLA), pre- and postoperative fusion segment lordotic angle (FSLA), pre- and postoperative FSLA per level and the correction of LLA, FSLA, and FSLA per level. For statistical analysis, univariate analysis with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14.0. Results: In group A, the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rather than posterolateral fusion, those with postoperative FSLA per level of <20° and the adjacent segment levels to L4-5 and L5-S1 was significantly larger compared with group B (p=0.018, 0.046, and 0.009, respectively.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risk of EASD was relatively higher in association with PLIF, postoperative FSLA per level of <20° and the adjacent segment levels to L4-5 and L5-S1.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과 후측방 유합술의 결과 비교

        이진영,강정우,박현태,송경원,신성일,김갑래,현윤석,이정길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3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authors found that problems such as axial pain, donor site pain, loss of reduction, loosening or failure of fixation materials occurred relatively frequently after posterolateral fusion. For this, we had views on the ideas that the problems could be improved by an operation that fused vertebral bodies. Furthermore, we performe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nd wanted to know the resul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We performe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s an alternative, due to complications of autoiliac bone graft that has complications, such as donor site pain.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ith single segment degenerative lumbar disease were treated with decompression,pedicle screws fixation, and spinal fusion.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2 years. Thirty patients, who had undergone posterolateral fusion with autologous iliac bone graft, were classified as the “group 1”. The second 30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with cage and local bone graft, were classified as the “group 2”.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fusion rate,lumbar lordotic angle, segmental angle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Kim’s functional evaluation scale. Results: The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group 2 (142.74 minutes vs 171.64 minute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2groups.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more in group 2 (563.40 vs 551.78 mL), but total blood loss, including postoperative drained blood was less in group 2. The bony fusion rate was 90% in group 1, 97% in group 2. For the lumbar lordotic angle, the last outcome was less than the preoperative valu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The segmental angle in group 1, the last outcome was less than the preoperative value. The segmental angle in group 2 was maintained the value through pre-operation to post-operation. Clinical outcomes were satisfactory in group 1 (96.67%) & in group 2 (100%). In group 1, 7 patients experienced pain at the iliac graft donor site. In group 2, there were 2 cases of retroposition of the cage. Conclusions: In the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group, operation time was shorter, total blood loss was less than in the posterolateral fusion group.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egmental angle in sagittal and coronal radiographs showed better outcomes, axial pain and iliac donor site pain were less. It is the authors’ position that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s an alternative operation to supplement the faults of posterolateral fusion. Key Words: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orders,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osterolateral fusion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후측방 유합술에서 요추부의 축성 동통 및 공여부의 동통, 방사선 소견상 정복의 소실, 내고정물의 이완이나 실패 등의 합병증이 비교적 흔하다. 따라서 추체를 유합시키는 방법으로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자가장골을 이용한 후측방 유합술의 경우 공여부 동통 등의 합병증이 발생 가능하므로, 최근 그 대안으로 국소골을 이용한 후방 요추체 간 유합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분절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감압술,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요추 유합술을 시행받고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했던 60명을 대상으로, 후측방 유합술을 실시한 30명(1군)과 케이지와 국소골을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실시한 30명(2군)으로 구분하였다. 수술 시간, 실혈량, 수술전후 및 추시 중 방사선 사진상 골유합, 요추 전만각, 분절간 각을 비교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Kim 등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1군(171.64분)에 비해 2군(142.74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 수술 중 실혈량은 1군(551 ml)보다 2군(563.4 ml)에서 약간 많았으나 수술 후 배액량을 포함한 총 실혈량은 2군이 적었다. 골유합은 1군에서 90%, 2군에서 97%로 나타났다. 요추 전만각은 1군과 2군 모두 술 전에비해 술 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양상으로 서로 차이가 없었다. 분절간 각은 1군에서 술 전에 비해 술 후 증가하였다가 추시 중 오히려 술 전보다 감소한 반면, 2군에서는 추시 기간 중 1군에 비해서 유지되는 양상이었다. 임상적 평가에서 1군(96.67%)과 2군(100%)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합병증으로 1군에서 이식골 공여부 동통이 7예, 2군에서 케이지의 후방 전위가 2예 관찰되었다. 결론: 단일 분절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실시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후측방 유합술보다 수술 시간이 짧았으며, 총 실혈량이 적었다. 분절간 각의 회복과 유지에 있어서도 나은 결과를 보였으며, 축성 동통 및 공여부 동통이 적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이 후측방 유합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색인 단어: 퇴행성 요추 질환,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후측방 유합술약칭 제목: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의 유용성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질환의 수술 후 척추-골반 지표의 임상적 의미

        박수안,이주헌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3

        Study Desig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bjectives: To discuss how to evaluate, interpret, and utilize measurements of spino-pelvic alignment before and after spinal surgery in patients with lumbar degenerative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Various spino-pelvic parameters are currently utilized in the evaluation of spinal patients; however, interpretation of these parameters is not easy. Materials and Methods: Each spino-pelvic parameter and factors affecting its value, and how to interpret and utilize the spino-pelv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spinal surgery were discussed for patients with lumbar degenerative disease with and without sagittal spinal deformity. Results: Sagittal modifiers in the SRS-Schwab classification including pelvic incidence minus lumbar lordosis (PI-LL), sagittal vertical axis (SVA), and pelvic tilt (PT) are widely accepted in the evaluation of lumbar degenerative disease with sagittal deformity. Surgery for sagittal realignment is meant to restore both the SVA and PT by restoring the LL in reference to the PI. However, patients with an extremely high SVA and PT or those with a high SVA and low PT can end up with postoperative residual malalignment. In patients without deformity, PI-LL mismatch (> 10°) should be highlighted and should be actively corrected by restoring the lordosis of the pathologic segment. Conclusions: Sagittal modifiers are beneficial for their simplicity and comprehensibility; however, they are insufficient for evaluating sub-regional spinal deformity. Spino-pelvic parameters can be useful for evaluating spinal patients in a clinical setting, but the measurements are greatly affected by confounding factors such as poor patient posture, unqualified testers, and manual measurement techniques. 연구 계획: 종설. 목적: 시상면 척추 변형이 동반되었거나 동반되지 않은 요추 퇴행성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척추-골반 정열 관점에서 어떻게 환자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해석하여 임상에 적용할 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다양한 척추-골반 지표들이 척추 환자의 분석에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 임상 증례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고, 몇가지 교란 요인들에 의해서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 등의 이유로, 척추-골반 지표는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상 및 방법: 각각의 척추-골반 지표와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요추 퇴행성 질환 환자중 척추 변형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어떻게 측정된 지표를 해석하고 치료에 활용할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각각의 주제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결과: SRS-Schwab 분류에서 사용되는 3개의 시상면 수정지표인 골반 입사각-요추 전만각(PI-LL), 시상면 수직축(SVA), 골반 경사각(PT)이 시상면 척추변형을 동반한 요추 퇴행성 질환을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시상면 재정열 수술은 PI를 참고하여 LL를 교정하므로써 수술 후 SVA와 PT 가 회복되도록 하는 것이지만, SVA와 PT가 과도하게 큰 환자나 SVA는 크지만 PT가 PI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환자들은 재정열을 목표로 수술 하더라도 수술 후 부정 정열이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척추 변형이 없는 요추 퇴행성 질환의 수술에서도 10도 이상의 PI-LL mismatch가 존재한다면 병소 분절의 전만각이 증가하도록 교정하는 것이 술 후 임상증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시키는 방법이다. 결론: SRS-Schwab 분류에서 사용하는 3개의 시상면 수정지표는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면은 장점이지만 척추 세부 지역의 변형을 평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척추-골반 지표는 임상에서 사용함에 있어 유용하지만, 환자의 자세, 관찰자, 측정 방법 등에 따라 오차 범위가 커지는 점을 기억해야한다.

      • KCI등재

        만성 신장질환으로 혈액 투석을 시행하는 환자의 퇴행성 요추 질환에 대한 수술 결과

        장해동,이재철,신병준,홍시전,안중현,최성우,강덕원,조형규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outcomes of degenerative lumbar spine surgery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due to chronic kidney disease (CKD).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atients who undergo hemodialysis due to chronic renal disease tend to exhibit accelerated changes in bone quality, deterioration of spinal stenosis, and accompanying neurological degeneration. The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spinal diseases is also becoming more necessary with the increased lifespan of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patients with CKD undergoing hemodialysis who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posterior lumbar spinal surgery. We evaluated clin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 variables. For a comparative analysi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age (65 years old), duration of hemodialysis (10 years), and type of surgery (simple decompression or fusion). Results: We included 21 patients (5 men, 16 women) with a mean age of 66.2 years (range, 48-87 years). The mean duration of hemodialysis and follow-up was 18.9 years and 43 months, respectively. Decompressions with fusion were performed in 11 patients and simple decompressions in the other 10. The mean visual analog scale (VAS) of leg pain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surgery at time of the last follow-up; meanwhile, the mean VAS score for lower back pai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e postoperative ODI was correlated with age (correlation coefficient=0.71, p=0.006). In patients less than 65 years old, the ODI improvement was greater (p=0.035) than in those 65 years of age or ol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emodialysis.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1 patients (52.4%, 7 in fusion and 4 in simple decompression), of which 2 cases were infections, and reoperations were performed in 5 patients. The union rate of the fusion cases at the 1-year follow-up was 81.8%. Conclusions: Appropriate spine surgery improved radicular pain and the ODI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undergoing hemodialysis. Howev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frequent and the improvement of clinical outcomes was minimal, especially in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and in those who underwent fusion. Therefore, the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disease undergoing hemodialysis requires adequate consideration of age and the duration of hemodialysi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투석을 시행 중인 만성 신장질환 환자의 퇴행성 요추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 후 임상적, 영상의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만성 신장질환으로 인한 혈액투석을 시행하는 환자는 골질의 변화, 척추관 협착증의 악화, 그리고 동반하는 신경학적인 퇴행이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다. 해당 환자군의 수명 증가와 함께 만성 척추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만성 신장질환으로 혈액투석을 시행하는 환자 중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본원에서 후방 접근에 의한 척추 수술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된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검토하였다. 임상지표와 영상의학적 자료 등을 조사하였으며, 나이(65세 이상과 미만의 군), 혈액투석 기간(10년 이상과 미만의 군), 수술의 종류(단순 감압술, 유합술)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총 21명(남자 5명, 여자 16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66.2(48~87)세였다. 평균 투석기간은 18.9년이었고, 추시 기간은 43개월이었다. 유합술이 11예, 단순 감압술이 10예였다. 하지 방사통의 평균 VAS 점수와 평균 ODI 점수는 술전에 비해 최종 추시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나 요통의 평균VAS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술 후 최종 ODI는 환자의 나이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상관계수=0.71, p=0.006), 65세미만의 환자 군에서 술 후 ODI의 호전 정도가 유의하게 컸다(p=0.035). 혈액투석 기간에 따른 임상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총 11 명(유합술 7예, 감압술 4예)에서 관찰되었고, 그 중 감염은 2예였으며, 재수술은 5명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유합술 환자의 술 후 1년째 유합율은 81.8%였다. 결론: 혈액투석을 시행중인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서 적절한 척추 수술 시행 후 하지 방사통과 ODI점수는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특히 65세 이상과 유합술 환자군에서 임상 결과의 호전이 미미하였다. 따라서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장질환 환자의 수술적 치료는 나이및 투석 기간 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약칭 제목: 혈액투석환자 퇴행성요추 수술결과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질환에 있어서 황색 인대의 조직학적 소견

        이정섭(Jung Sub Lee),신종기(Jong Ki Shin),최경운(Kyung Un Choi),서근택(Kuen 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에 있어 황색 인대의 병리 조직학적 소견과 임상 증상 및 방사선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단분절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척추관 협착증 15예와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 11예를 대상으로 황색인대를 전절제하여 조직 병리학적으로 황색 인대 내의 탄성 섬유의 양과 주행방향, 교원 섬유의 양 그리고 국소 병변을 측정하였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나이, 성별, 술 전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점수, 신경학적 파행의 양상, 척추 전방 전위의 정도, 추간판의 높이, 추체간의 각도, 추체간 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황색 인대 내 탄성 섬유의 양, 탄성 섬유의 주행방향, 그리고 교원 섬유의 양은 술 전 JOA 점수와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황색 인대 내의 국소병변으로 혈관 형성이 15예, 석회화가 10예, 연골세포가 9예, 골화가 8예, 결절종성 낭종이 5예, 육아종성 조직이 4예가 있었다. 석회화가 있었던 군(10예)에서의 환자의 나이는 평균 70.3세였으며 없었던 군(16예)은 평균 63.8세로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석회화의 발생이 높았다. 석회화가 있었던 군과 없었던 군의 술 전 평균 JOA 점수는 13.5점, 15.6점로 석회화가 없었던 군에서 접수는 높았다. 골화는 퇴행성 척추 전위증(7예)에서 척추관 협착증(1예)에서 보다 발생 빈도가 높았다. 결론: 퇴행성 요추 질환의 황색 인대의 조직소견에서 다양한 국소병변이 관찰되었다. 황색 인대 내 석회화의 발생은 연령이 높은 환자에서 빈도가 높았으며 술 전 JOA 점수는 석회화가 발생한 군에서 낮았다. 골화는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 환자에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보다 발생 빈도가 높아 국소 동적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ligamentum flavum (LF) and the clinical symptoms or radiological findings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ith mono-segmental degenerative lumbar diseases (15 patients with spinal stenosis and 11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underwent a surgical decompression with en bloc resection of the LF. Tissue specimens of the LF were pre-pared, and the changes in the elastic and collagen fibers were evaluated. The focal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LF. The follow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le association with the histological findings: age, gender, preoperativ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the type of 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 slip, height of the intervertebral disc, intervertebral angle, intervertebral angle of mo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s in the elastic or collagen fibers and the JOA score. In regard to the focal lesions in the LF, vascularization was observed in 15 cases, calcification in 10, chondrocyte in 9, ossification in 8, ganglion-like cystic lesions in 5 and granulation in 4.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calcification were 70.3 and 63.8 years, respectively. The average preoperative JOA scores of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calcification were 13.5 and 15.6 points, respectively. Ossification was more commonly observed in those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7 cases) than in those with spinal stenosis (1 case). Conclusion: Various focal lesions in the LF were observed. Calcification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elderly patients, and the average preoperative JOA scores of the patients with calcification were lower. Ossification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7 cases) than in those with spinal stenosis (1 case), suggesting involvement of a mechanical load in the ossification of ligaments.

      • KCI등재
      • KCI등재

        요추 또는 요천추 유합술 후 천장 관절 퇴행의 방사선학적 비교

        이제민,남우동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degeneration of sacroiliac joint (SIJ) following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IJ is adjacent to lumbosacral junction and its degeneration can be the potential cause of pain. However, the study addressing SIJ degeneration following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is very limit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2 to June 2012, 98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and posterolateral fus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range of fusion. Group A had fusion to L5 and included 34 patients. Group B had fusion to S1 and included 64 patients. We evaluated the five years postoperativ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ilateral preoperative subchondral sclerosis and osteophytes of the SIJ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group B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ubchondral sclerosis and osteophyte formation of the SIJ than group A on every radiographs after postoperative 1 year. In group B, the number of fusion segments and age were statistical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eneration of the SIJ. Conclusions: Degeneration of the SIJ revealed more rapid and more severe progression in lumbosacral fusion group than in lumbar fusion group. The number of fusion segments and ag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eneration of the SIJ in lumbosacral fusion group. Therefore, these fa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erforming spinal fusion. Key words: Lumbar degenerative disease, Posterolateral fusion, Sacroiliac joint, Adjacent segment diseas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요추 또는 요천추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 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진행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천장 관절은 요천추 분절에 인접하고 여기에 퇴행성 변화가 생길 경우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요추 또는 요천추 유합술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2년 1월 사이에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요추 또는 요천추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 받은 총 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5요추까지만 유합한 34명을 A군, 제 1천추까지 유합한 64명을 B군으로 분류하여 수술 후 5년간의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천장 관절의 연골하 골 경화의 범위, 골극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로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대한 시각 통증 등급(VAS) 및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전 양 군간의 양측 천장관절 연골하 골의 경화 정도 및 골극의 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수술 후 1년 이후 B군의 연골하 골 경화정도 및 골극 형성 정도가 A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B군에서는 유합 분절수와 환자의 나이가 천장 관절 퇴행성 변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요천추 유합군에서 요추 유합군에 비해 수술 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더 빠르고 심했고 유합 분절 수와 환자의 나이는 요천추 유합군에서는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 척추 유합술을 시행할 경우 이러한 사실들을 고려해야 한다. 약칭 제목: 요추 또는 요천추 유합술 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