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학교급별 교사와 학생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이인재 ( In Jae Lee ),박균열 ( Gyun Yeol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탐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학교 통일교육을 위한 이론적인 근거로는 국가의 입장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사회화의 측면과 피교육자가 스스로 깨우쳐야 한다는 탐구의 측면이 있다. 사회화는 주어진 사회의 규범이나 이상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하도록 개인들을 도덕적으로 사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반면 탐구는 진리를 찾는 주체가 개인이며 그들이 스스로 발달시키며 새로운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런 점에서 탐구는 발달과 구성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존의 통일교육은 전자의 입장이 강했으며, 앞으로는 후자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조사결과, 통일교육방법 면에서는, 우선 다양성 면에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통일교육방법의 유용도 면에서도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가 가장 컸다. 흥미도 면에서도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가 가장 컸으며, 중등학교에서는 교사들의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학생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통일교육내용 면에서는, 우선 만족도 면에서 초등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적극성 면에서는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흥미분야는 DVD 등 시청각교육에 대해 초등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의 흥미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차이가 났다. 희망하는 통일교육내용 분야에서는 통일필요성과 통일국가미래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가 가장 컸으며, 통일내용으로서 북한의 실상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 고등학교-중학교-초등학교 순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인식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방법 VS 내용의 대립구도에서는 다양성, 유용도, 흥미도 등 모든 측면에서 학생이 더 높은 인식을 하고 있으며, 탐구 VS 사회화의 대립구도에서는 탐구 요인(흥미도, 만족도, 적극성)보다 사회화 요인(다양성, 유용도)에서 학생들이 교사보다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도덕과에서 통일교육을 수행할 경우, 다양한 척도별로 초·중등 학교급별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차이가 많이 있음을 고려하여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에서 학교급별 통일주제에 대한 계열성(sequence)를 확보하고, 같은 학교급내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고려하는 범위(scope)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tries to analyse the consciousness gap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UE, here-after)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E at school comes from, in one side, social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function for the State to carry on, and in other side, inquiry which has to make realize in the student`s position. The former focuses on adjust the student to fixed norms or ideal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makes better position on developing the self of student and constructing acquired informations pertaining to themselves as a subject to search for the truth. The existing UE has sticked to the former approach, future education needs to the latter inquiry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n side of the Diversity of UE Method, there are big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also in side of the Utility of UE, there are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ide of the Excitement of UE, there are highest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middle school, teachers show much higher degree than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UE Contents shows somewhat interesting results, In side of the Satisfaction, there are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ide of the Positiveness to the UE Contents, there are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middle school. In side of the Interest Area,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has shown much bigger consciousness gap on the audio-visual multi-senses education way including DVD etc. In the desirable UE contents area, teachers and students has shown biggest gap to necessity of unification and future vision to unified state. And the perception ga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as shown about the opinion that it does as the unified contents including North Korea`s real affairs with ranking sequence of high school, middle school, elementary school order. Next, in the confrontation of the method VS content, the awareness in which the student is higher was done in all sides including the diversity, availability, interest, and etc, And the awareness in which the students are higher in the socialization factor (the diversity and utility) in the confrontation of the socialization vs exploratory than the exploratory factor (interest, satisfaction, and positiveness) than the teacher was displayed. This research has confirmed significant consciousness ga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all schooling system, Afterward, next research needs to specify the differences among each branches among schooling system. That is educational Sequence. One more important thing to be developed could know the Scope that it considers the perception gap of the teacher and student within the same school class to be important.

      • KCI등재

        사회통일교육에 대한비판적 고찰 및 제언

        신희선 (Shin, Hee-s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남북한문제와 관련한 한국사회의 갈등을 평화적으로 관리하고 통일 미래를 구체화하기 위해 사회통일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요한가에 대한 시론적 고찰이다. 즉 남남갈등의 상황에서 통일교육에 대한 합의된 콘텐츠(contents)가 가능할 수 있는지, 사회통일교육을 담당할 주체는 누구여야 하는지, 가장 효과가 높은 통일교육의 방법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 사회 통일교육의 현주소를 진단해 보았다. 한국사회의 평화적인 갈등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민주적인 의사소통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통일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의 접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우리 사회의 사회통일교육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점을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통일교육은 객관적인 '언론'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과, 둘째 통일부나 통일교육원 등 정부에서 준비한 자료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텍스트(texts)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통일교육은 일방향으로 전달하는 강사(lecturer) 보다는 통일문제를 사고하게 하고 논의를 자연스럽게 이끄는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역할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통일교육은 폭넓은 '시민교육'의 차원으로 접근해야 하며 동시에 통일 미래의 구현은 대화와 협상과 같은 의사소통교육을 통해 상생과 공영의 마인드(mind)를 형성하는 것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즉 시민사회의 민주주의 가치를 확산하는 가운데 분단과 통일문제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것에 사회통일교육의 지향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paper forms a preliminary study addressing how best to approach 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peacefully manage South Korean society's internal conflicts related to inter-Korean issues and to allow a more united future of Korea to develop. In other words, in the context of internal conflicts within South Korean society, this research paper diagnoses the current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including whether concerted contents of this can be made, which party should be responsible for it, and wha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its implementation. This paper also argues that in unification education a facilitator's role is to lead discussion and thinking on the issue, which can be more effective than a lecturer's one-way communicative mode. This paper also emphasizes that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be approached within an extensive "civic education" program, and at the same time, the materialization of the united future of Korea has to be based on a win-win approach and a perspective focusing on co-prosperity, which can be formed by communication education that addresses conversation and negotiation. That is, within the goal of expanding civil society's democratic mindset,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lies in providing opportunity to think about division and unification issues within Korea.

      • KCI등재

        탈북민을 통한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개선 방안

        주승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and actual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North Korean defector groups participating in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o summarize the activities of their affiliated unification education institutions, thereby proposing the methods of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course of the cold war era, the post-cold war era, fierce regime competition, and the recent South-North relations, the transi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may be said to have basically gone along with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can largely be divided according to periods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the period of anti-communist security education (1953 - 1989), the period of unification security education (1990 - 1999), and the period of unification education (2000 - the present). And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forms of unification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until now. It is forecast that their participation will increase further according as the anticipation of unification is heightened in our societ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it has been emphasized that discovering and nurturing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capacity for unification are entirely dependent on the will of our government and society to prepare for unification, and that the first step toward it can start from the activiti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many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 directly or indirectly.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통일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탈북민 및 탈북민 단체의 변천 과정과 실태를 조사하고, 소속된 통일교육 단체의 활동을 정리하면서 탈북민을 통한 통일교육의 개선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냉전과 탈냉전, 치열한 체제경쟁과 작금의 남북관계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탈북민이 참여한 통일교육의 변천은 기본적으로 정부정책과 그 궤를 함께해 왔다고 볼 수 있다. 탈북민이 참여한 통일교육은 시기별로 반공안보교육시기(1953-1989), 통일안보교육시기(1990-1999), 통일교육시기(2000-현재) 등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도 탈북민은 전국적인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통일교육 현장에 참여해왔다.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통일에 대한 기대가 고조될수록 이들의 참여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를 통해 통일역량의 탈북민 발굴과 양성은 전적으로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 정부와 사회의 의지에 달려 있으며 그 첫걸음은 많은 탈북민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통일교육 활동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 분석

        강구섭,이학운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5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textbooks an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developing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More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9 sample history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history education textbooks, 3 critical aspects of dealing with unification related issues can be pointed out as follows. First, they tend to describe a series of related things and historical events in a compact and brief way, so that their important historic meaning are not dealt with in detail. Second, they depict particular things and events at a certain period tim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uch as division into North and South Korea after Korean war 1953 and North-South tension in the 1960s. But it is shown that they don’t treat the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education. Third, they focuse on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or North and South cooperative work regarding unification not including North Korean government’s perspective, which make students difficult to understand unification issues in a broad and comprehensive wa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textbooks need to be reconstructed to improve their current shortcomings as presented above. In addition to that, some contents lik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should be dealt with more specifically in order for students to understand North Korea in a systematic way. Lastly,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focuse on the issues like how we progress and achieve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order for students to approach unification issues more specifically. 본 논문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목적이 있다. 총 9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역사 교과 통일교육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 분석 결과, 첫째, 통일과 관련된 사건들을 압축적으로 다루면서 중요한 사건들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미가 명확히 다뤄지지 않았고 사건이나 사실을 나열하여 제시하는 방식으로 내용이 다뤄졌다. 둘째, 통일과 연관있는 시기의 내용을 다루면서 통일교육 관련 내용은 거의제시하지 않아 통일교육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셋째,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남한 정부 또는 남북한 공동의 노력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고 남북한 관계의 한 축인 북한의 관점에서는 내용을 다루지 않음으로써 북한의 통일 정책이나 방향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제고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역사 교과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개선하기 위해 첫째, 통일 관련 일부 사건을 나열식으로 제시하고 있는 역사 교과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역사교과서 내용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통일의 대상인 북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북한과 통일 관련 내용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역사 교과의 통일교육을 통해 통일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역사적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관련내용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경희,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1

        This thesis is on the political philosophical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subject among the study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is a value of freedom. Unification education cleaning of freedom can not be established and existed. That is to say, freedom and unification education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this respect, to analyse the meaning and its character of freedom value in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starting point in the study on the unification problem and North Korea’s problem. If I might analyse a political philosophical undertone with view of freedom, freedom is basic el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is always based on the feedom. Next, unification education is tired by freedom i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destination. The destin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founding of unification nation by the universal value, freedom. For this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value of freedom is a core value. Finally, the value of freedom plays a central role o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ideology.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정치철학의 주제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는 바로 ‘자유’라고 하는 가치이다. 자유를 빼고 통일교육은 성립하기 힘들고 존립하기도 어렵다. 즉, 자유가 전제되지 않은 통일교육은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자유와 통일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골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교육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가 지니는 의미와 그 성격을 면밀히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은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본원적인 연구의 출발점을 이룬다고 하겠다.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해서 분석해보면 우선 자유는 통일교육의 기초이자 전제라고 할 수 있다. 자유가 기초되지 않는 통일교육은 존립하기 어렵다. 통일교육은 오직 자유가 기초되고 전제되어야만 성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일교육은 교육의 목적지를 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에 의해 결정적으로 구속받는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통일교육의 목적지는 국가의 내적 기반조성을 통해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담보된 통일국가의 수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일교육의 목적을 위해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 가치임에 틀림이 없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의 이념을 설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인 역할과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학교통일교육의 이념과 실제

        박상욱,박창언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draws to implication on reality improvement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nalysing research of that. To accomplish their purpose, inspected closely the trend of research and characteristics on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school. And setting on what the limitation have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ssignment on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it. As the results, it needs a systematic diagnosis of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on the preferential basis.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rule and way of integration of it. Finally, provided basic information presentation on unification capability cultivation to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showing the policy tasks for development. Go through of these, it suggested to need a attitude and building of valued to integrate of unification on that. 본 연구는 학교통일교육에 관한 국내의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종합하여 학교통일교육의 실재적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의 달성을 위하여 학교통일교육교육의 연구동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교통일교육 연구의 한계는 무엇이며, 학교통일교육의 개선 및 발달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를 설정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 우선적으로 체계적인 학교통일교육 진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고, 나아가 남・북한 학교통일교육 통합의 원칙과 방법을 명확히 규명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통일교육을 위한 지원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균형적인 통일역량 배양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하여 남・북한이 사회・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이질감을 갖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통합할 수 있는 태도와 가치관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통일교육정책 변동과정 분석: 통일‧안보지향 통일교육으로의 변동을 중심으로

        이미혜 북한연구학회 2018 北韓硏究學會報 Vol.22 No.2

        분단이 지속되어 오는 동안 정부는 통일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고 그 중에 하나가 국민들에게 통일에 대한 의식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초기의 통일교육정책은 반공교육을 실시하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오랫동안 지속되어 오던 반공교육은 통일과 안보를 지향하는 통일교육으로 변동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 십년간 지속해오던 반공교육이 왜 이시기에 통일‧안보지향 통일교육으로 정책이 변동되었는지를 킹던의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문제흐름에서는 탈냉전, 민주화, 남북 대화 확대, 남북 역량 격차 증가를 통해 통일교육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노태우 대통령의 취임과 북방정책의 추진, 3당 합당을 통한 국정 주도권 확보, 북방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지지, 국가적으로 북한‧통일 의식의 긍정적 변화, 통일 논의 개방으로 인한 반공교육 거부감이라는 정치흐름을 통해 통일교육정책 변동의 여건이 조성되었으며 정책흐름에서는 변화된 환경에 맞게 통일교육도 함께 변화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세 흐름은 탈냉전이라는 정책기회가 발생하면서 정책선도가인 국토통일원의 역할로 결합할 수 있었다. As long as the division has lasted for a long time, the government efforts for the unification have also been continued. One of them is implemented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and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is important to prepare for the aftermath of reunification of Korea and to foster unity and promote it as a soluble challenge of the divided country. Early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was implemented in anti-communism education. Long-lasting anti-communist education was changed into unification education aimed at unification and security. The paper analyzes why the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has changed at this time using Kingdon’s multiple-streams framework. In the problems stream, it was recognized that changes in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were needed through post-cold war, democratization, enlargement of inter-Korean dialogue, and increase of South-North Korean capability gap. On the politics stream, Roh Tae-woo's presidential inauguration and the implement of Northern policy, Securing the leadership of the state through merging 3 party, people's high support for Northern Policy, positive Change of national mood in North Korea and Unification, Resistance to anti-communism education by opening discussion on unification established conditions for policy change. With the policies stream, proposals assert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Three streams put together by the National Unification Board when post-cold war started.

      • KCI등재

        통일교육의 역할과 지향성에 대한 정치철학적 고찰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2

        This thesis is on the political philosophy’s considera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s directivity and role. The unification education has a important meanings in the inner establishment of foundation overcoming the division’s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On this point, the political philosophy’s meaning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not that simple. A unification education roles in the cognition of the serious security situation , the establishment of our state’s identity and the cognition of our unification state’s future image. And unification education has various directivity. It is as follows; First, with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unification education seeks for people’s unification will. Second, unification education must unfold as a part of political education. On this point, unification education and Korean Peninsular unification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each other. First, unification education has the political philosophy’s meanings in the establishment of foundation of unification. Second, unification education cause our people to create belief-system. Finally, unification education implants the possibility of unification in our peoples.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역할과 지향성이 지니는 정치철학적 고찰에 관한 것이다. 통일교육은 한반도분단체제를 극복하는 내적 기반 구축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런 점에서 통일교육이 지니는 정치철학적 의미는 결코 간단하지가 않다. 통일교육은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안보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하고 통일국가의 미래상을 국가 구성원에게 인식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통일교육은 여러 가지의 지향점을 지니고 있는데 우선 통일교육은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구성원들에게 통일의지의 확보에 매진해야 한다. 둘째, 통일교육은 정치교육의 일환으로 전개되어야 하고 셋째 통일교육은 민족통일의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통일교육과 한반도통일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데 첫째 통일교육은 통일의 국내적 기반구축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정치철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둘째, 통일교육은 통일에 대한 신념체계를 조성하게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은 장기적 측면에서 통일에의 희망과 가능성을 구성원에게 심어주고 있다.

      • KCI등재

        평화통일교육정책의 형성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신숙영(Shin, Suk-Young),주현준(Joo, Hyun-Ju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의 평화통일교육정책의 형성과정을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정책의 창, 정책선도가를 분석틀 설정하고 선행연구, 주무부처 발간 자료집, 언론보도, 여론 조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일교육정책을 바라보는 중점시각은 국내외 주요 사건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이는 통일교육에 관한 환류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문제의 흐름으로 북미관계와 남북관계의 변화와 종전 통일교육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으로 통일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한반도 정책의 추진, 남북정상회담 이후의 국가적 분위기와 높은 국민들의 지지라는 정치의 흐름으로 평화통일교육 정책변동 여건이 조성되었다. 그리고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통일교육도 함께 변화되어야 한다는 정책대안이 정부와 학계에서 논의되었고, 이러한 세 가지의 흐름은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최와 4·27 판문점 선언이라는 정책기회가 발생하면서 정책선도 가인 대통령과 통일부장관의 역할로 결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와 통합에 기초한 평화통일교육정책의 선제적 실현을 위해서 평화통일교육의 철학적 비전의 필요성과 추진체계의 정비를 제안하였다. 또한 평화통일교육 정책을 위한 새로운 거버넌스의 구축과 지속적인 연구 ․지원 체계의 마련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on what direction the peace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should move forwar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pective and feedback of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stream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stream that had a decisive influence in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was the stream of politics. Second, the three decisive events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s inauguratio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the 4.17 Panmunjom Declaration has vast influence on the window of policy. Third, President Moon Jae-in not only laid the foundation for promoting the peace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by promulgating a peace-based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played a decisive role in its adoption. Major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hilosophical vision of an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Also, it is crucial for systematic, continuous, and permanent supports of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통일문학교육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연구

        임인화 ( Im In-hw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본 연구는 통일문학교육과정의 핵심인 교육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그 바탕이 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통일문학교육의 교육이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계에서 논의되는 통일교육은 크게 통일 이전시기를 준비하는 ‘준 비교육’과 통일 이후를 준비하는 ‘대비교육’으로 나뉜다. ‘통일대비교육’이 통 일 이후 한반도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교육이라면 통일대비 교육의 핵심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통일문학교육과정의 여러 요소 중 본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교육이념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이념은 교육목표 설정의 이론적 토대이자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올바른 교육이념은 교육과정의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통일문학교육의 이념 모색을 위해 그동안 이루어진 통일교육의 변화양상과 함께 통일교육이 국어과에 어떤 모습으로 투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문학교육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가 가진가능성 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통일문학교육의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 의’가 가진 가능성과 한계를 살피고 두 이념의 한계를 보완-대체할 수 있는 ‘열린민족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통일문학교육의 이념으로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a ideals of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which offer theoretical basis on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two kinds of Preparing Unification Education. One is ``Preparing Educaton`` which is done before reunification. And The other is ``To Prepare Education`` Which will be done past reunification. Even though no one knows when it happen, It is essential to research about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Components of Education curriculum, What I give Attention is a ideals of education. The Ideals of education is a theoretical basis on educational objectives and is a standard of general aspects about its Curriculum. So it is important to set a good ideals of education When we design curriculum. To seek a ideals of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Examining aspect of transition about goals of reunification, and Checking a aspect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influnced by transition about goals of reunification. I checked its pros and cons between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To prevent those of Cons, I suggest ‘Open Nationalism’ and ‘Interculturalism’ in place of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