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도 관광문화와 테마파크의 개발방향

        이승구 江原大學校 江原文化硏究所 2003 강원문화연구 Vol.22 No.-

        우리나라의 테마파크는 1989년 롯데월드의 탑승시설 위주의 테마파크로부터 본격적인 테마파크의 시대를 시작하여 사회경제적 향상으로 테마파크 사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에서의 테마파크는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또한 테마파크에 대한 연구가 적어 명확한 테마파크사업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개념을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재정립하고 그 발전과정을 탐색하였으며,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를 들어 테마파크사업의 비교하였고, 테마파크의 현재상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강원도 관광자원을 테마별로 분류하고 이를 지역적, 국내적, 국외적 시장성을 분석하여 그 개발방향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강원도 관광자원의 개발전략을 제시하였다. 강원도 관광자원의 현 위치는 내국인에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가 시급하다 하겠다. 이에 강원도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적으로 테마시설을 개발하고, 급증하는 관광수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국내 해외여행객을 강원도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도록 국제적인 테마파크를 조성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good using of theme park visitor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ocumentary study related to theme park is done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good using of theme park visitor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below. Development of theme parks on new concept tourism attraction is the best tourism development business for regional tourism promotion. Wide studies about them, however, are not enough still now. So this study has purpose on the show development process of theme parks, to build up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of regional theme parks through it. The change in social structure leads to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perceptions of general public about tourism. Changes in the pattern of spa tour and tourists' needs require an introduction of the facilities with a new concept and the development of theme park, which extends the concept from remedy and invigoration further to an area of leisure.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the study object are only for Kangwon area, so it is little difficult to estimate overall satisfaction degree of theme park visitors. Steady and systematic study which can cover those disadvantages is ultimately needed.

      • KCI등재후보

        캐릭터 마케팅을 활용한 국내 테마파크에 관한 연구

        김국선,윤종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4

        테마파크는 가족형 놀이문화의 대표적 공간으로, 각 테마파크는 캐릭터 산업화를 통하여 홍보 및 이미지 구축을 통한 이윤창출을 도모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국내 테마파크의 캐릭터 활용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현재 캐릭터 마케팅의 적용 현황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며, 연구의 범위로는 케릭터 마케팅이 적용된 국내 유명 테마파크 4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테마파크의 공간유형과 공간 전개 수법, 형태의 유형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테마파크에서의 캐릭터 마케팅 활용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4개사 모두 다양한 테마로, 직접적인 체험과 이벤트가 주된 전개수법이며, 테마유형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캐릭터들의 환상적인 공간연출로 구성되었다. 테마파크의 캐릭터 적용의 공간 구성요소 적용 결과는 비교적 모든 시설이 체계적인 접근이 아닌 외국의 유명 테마파크의 유형을 답습하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될 테마파크는 국내형 캐릭터 마케팅을 적극 반영한 한국 정체성이 있는 문화적 놀이체험의 장으로써 발전되어나가야 할 것이다. The Theme Park as the typical space for the family-typed recreation culture, is aiming to make a profit production through the character-industrialization by means of the public relation and its image-establishment. Thereby, this study purposes to inquire the application on present condition of the current character marketing of domestic theme park, and as the scope of study, the 4 domestic famous theme parks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space type of theme park and the space development method, the analysis on the type of form, it had compared and analyzed about the current state of character marketing utilization at the theme park . As the result, the main development method in all was in the various themes such as the direct experience and event, and their theme type was composed with the fantastic space direction of the characters utilizing animation. In the application result of the space component applied at the theme park character, comparatively all of the facilities are retaining the following form to the pattern of the foreign famous theme park. Accordingly, the theme park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should be promoted as the place of cultural recreation experience where actively reflecting the domestic-typed character marketing with Korean Identity.

      • KCI등재후보

        테마파크 어트랙션의 내러티브 구조와 필요성에 대한 연구 -디즈니월드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임성택 ( Seongt Taek L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0 No.-

        충분한 휴식과 여유가 필요한 현대인에게 테마파크는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상상의 공간을 제공해주는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지금까지의 테마파크는 어린이 중심의 놀이공간이자 단순한 지역관광지로만 여겨져 왔으나 테마파크로 인한 경제 효과가 급격히 늘어난 이후부터 테마파크는 도시와 국가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광 자원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국내 테마파크는 과거 창경궁과 어린이대공원의 열악한 시설을 기반으로 하던 시대에서 벗어나 현재는 아시아 상위규모의 에버랜드와 유일한 실내 테마파크인 롯데월드와 같은 준수한 규모의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 이런 테마파크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적절한 테마나 스토리를 가지지 못하는 단순한 놀이시설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3년부터 세계적 테마파크인 유니버셜 스튜디오는 아시아에서 3번째로 경기도 화성지구에 건립을 준비중이며 이로 인한 생산효과는 8조 4천억원에 이를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세계 최대 테마파크 도시이기도한 미국 올랜도에는 연간 수천만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몰리고 그들이 지출하는 규모는 그랜드캐년이나 나이애가라 폭포와 같은 자연관광지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엄청나다는 것은 테마파크의 필요성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설득이 될 것이다. 그러나 모든 테마파크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규모와 수용인원과 같은 수치를 감안하고서라도 성공하는 테마파크에는 필요한 스토리와 그에 따른 내러티브 구조가 반드시 존재한다. 테마파크의 주 구성요소인 어트랙션은 그래서 기획부터 제작, 홍보에 이르기까지 완벽한 준비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어트랙션이 가져야 하는 내러티브 구조와 필요성에 대해 조사, 분석해보는 과정을 통해 국내 테마파크 디자인 분야의 발전에 일조하고자 한다. Theme Park offers modern people need enough rest and free time with the imagined space to escape from reality. Previous theme parks have been regarded as the simple tourist destination and children`s play area. However, Theme Park is revalued as tourism resources that can have a big impact on the city and national economy since the proliferation of economic effect by it. Domestic theme parks had poor facilities like Changgyeong Palace and Children`s Grand Park in the past. But, there now obtain the proper size of resources such as the Asia`s top-ranked "Everland" and the Korea`s only indoor theme park "Lotte World". And unfortunately, these Theme Parks are recognized as the simple amusement facilities that do not have appropriate themes and stories. The global theme park "Universal Studio" is preparing to build up the third theme park of Asia in Hwaseong City, Gyeonggi-do from 2013. Therefore, the economists predict that economic effect through the theme park will reach until 8.4 trillion. Olrando in the United States is the world`s largest theme park city and annually is visited by tens of millions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The city`s revenue is as great as the natural attractions like Grand Canyon and Niagara Fall. For these reasons, the need for theme park is understood and persuaded. However, all theme parks do not always work successfully. As their size and capacity of the same figure is given, successful theme parks should have stories of the narrative structure. Attraction is the main component of Theme Park needs perfect preparation ranging from planning to producing and promoting. This thesis tries to examine and analyze about the narrative structure and necessity for the attraction, also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domestic theme parks` design field.

      • KCI등재

        국산 캐릭터를 테마로 한 어린이 실내 테마파크의 현황 및 시장전략에 관한 기초연구

        박성식(Park, Seongsi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8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비즈니스의 한 분야인 테마파크 비즈니스와 관련하여, 기존의 대규모 야외 복합 테마파크 중심의 접근에서 벋어나 소규모?소자본 전략의 실내 테마파크를 지향하는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의 대규모 야외 복합 테마파크가 수천억 원 규모의 자본과 고난이도의 기술력, 최신 운영 노하우 등을 필요로 함으로써 큰 리스크와 함께 높은 신규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는 것에 반해, 최근의 실내 테마파크들은 효율적인 리스크 관리와 탄력적인 시장전략으로 시장진입에 성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내 테마파크들 가운데 새로운 시장인 국산 캐릭터를 테마로 한 어린이 실내 테마파크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산 캐릭터의 프로퍼티 가치 확장과 국내 테마파크 시장의 확산이라는 두 가지 확장의 측면에서 이 시장의 시장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테마파크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공간적 분류와 테마별 분류, 주 사용자층에 따른 분류 등을 기준으로 국내에 존재하는 테마파크의 유형을 나누어보았다. 또한 국산 캐릭터를 테마로 한 어린이 실내 테마파크 가운데 수도권 소재 5개소를 직접 방문하여 현황조사를 실시하였고, 수도권 소재 2개소와 지방 4개소는 업체 담당자를 통해 현황자료를 입수하여 분석하였다. 또 올 4월 25일 신규 개관한 ‘디보빌리지’ 청계천점을 방문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국산 캐릭터를 테마로 한 어린이 실내 테마파크 비즈니스의 구조를 분석하고 수행중인 시장전략의 유효성을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테마파크 비즈니스의 틈새시장이라 할 수 있는 실내 테마파크 비즈니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의 단초를 마련하여 소규모 지역밀착형 실내 테마파크들이 국내 테마파크 산업의 유력한 비즈니스 모델로 연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캐릭터 비즈니스의 측면에서도 국산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의 프로퍼티 가치의 공간적?스토리텔링적 확장의 새로운 모델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Regarding the theme park business as an area of cultural content busin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trend of pursuing indoor theme parks as a small-scale?small capital strategy escaped from the existing approach oriented to large-scale outdoor complex theme parks. It is because although existing large-scale outdoor complex theme parks require the capital with the scale of hundreds of billion won and also high-level technique and the latest operational know-how that they have a great barrier for new entry as well as enormous risk, the rent indoor theme parks succeed in market entry with efficient risk management and flexible market strategies. Thereupo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ldren’s indoor theme park market with Korean characters as their theme as a new market among the indoor theme parks and also investigates the market strategies of this market in the two aspects of expansion: the expansion of Korean characters’ property value and the expansion of the local theme park market. For that, this article reviewed the advanced researches on theme parks and divided the types of theme parks existing in Korea with the criteria of classification by space and theme or classification by main users. Also, among the children’s indoor theme parks with Korean characters as their theme, this study visited five on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about two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nd also four in the local area, the current data were received from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companies for analysis. Also, with the subjects of spectators visiting the ‘DIBO VILLAGE, Cheonggye-cheon’ newly opened on April 25th, 2012, the research on satisfaction was conducted for analysis. Through tha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hildren’s indoor theme park business with Korean characters as their theme and suggested the grou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rket strategies being i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establish the clues of systematic and profound discussion for the indoor theme park business that can be said to be the niche market of the theme park business and allow the small-scale areal indoor theme parks to be examined as a significant business model for the local theme park industry. In the aspect of character business as well,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give a chance to establish a new model of spatial?storytelling expansion in terms of the property value of Korean animation characters.

      • KCI등재

        역사 · 문화 테마파크 개발을 위한 성공모델 설정

        권기창(Ki-Chang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테마파크는 일정한 주제로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연·전시·이벤트가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테마파크를 많이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화테마파크를 사례로 역사?문화 테마파크를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성공요소를 도출한 후 개발모델을 설정하였다.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정체성과 일관성 있는 테마 설정, 재미와 감동을 주는 프로그램,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편리한 지원시설, 집객력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마케팅, 주변문화자원과 연계한 입지 및 메시지를 전하는 공간, 민간주도형 사업추진 및 운영주체, 시장세분화 전략에 따른 타깃설정, 수요예측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 및 조화가 되어야만 테마파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테마파크가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끊임없이 개선해나가야 하며 시대적 상황과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게 콘텐츠 보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A theme park is a complex space, in which held is a performance & exhibition event created to make visitors feel fun and a deep impression through a certain theme. Recently, local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planning for theme parks with the aim of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ccordingly, this paper set up a development model for a Korean culture theme park after deducting success factors for creating a successful theme park through the case of Korean culture theme park. To be concrete, this paper deducted the success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research as follows: Setting of themes having identity and consistency; programs that can give fun and a deep impression; convenient support facilities reflecting customers needs; differentiated marketing for progress in customer attraction power; location linked with cultural resources around a theme park and a space for communicating a message; privately-initiated project promotion and the main body of operation; target setting consequent on market segmentation, and demand forecast, etc. A theme park cannot be successfully operated to contribute to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until such success factors should be closely linked and harmoniz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 order for a theme park to make a continued growth, its required that problems occurring at the operational stage should be endlessly improved, and contents strengthening should be continuously done in line with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viewers eye level.

      • KCI등재

        테마파크의 가공연출법을 적용한 어트랙션 대기공간에 관한 연구

        이해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3

        테마파크라는 단어가 과거 놀이동산 개념에서 최근에는 보다 다양한 공간에 확장, 사용 되고 있다. 따라서 테마파크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테마디자인의 영역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대표적 표현특징인 가공연출기법(Pretend Technology)이 파크 내 특정 공간에 적용된 사례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테마파크와 디자인의 특성, 그리고 가공연출기법에 관해 고찰하고, 국외의 유수 테마파크의 테마공간에 적용된 사례를 연구 하였다. 공간적 대상은 테마파크의 대표적 연출시설인 어트랙션의 대기공간을 중심으로 하였고, 연출의 기법은 현상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로 조사 하였다. 분석 과정을 통해 테마 디자인은 독특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공간 내의 각종 환경연출 요소의 통일적인 연출과 Hi-Tec한 기술력이 조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조사한 원리와 방법은 테마파크 디자인의 질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테마 공간 디자인 에도 참고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concept of theme park is enlarging from previous independent amusement park to synthetic space. Besides theme park, therefore, the area of theme design os enlarging in various fields day by day. In the background the study researched the case where pretend technology, which is a representativ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theme park, is applied to certain space. For the purpose. The space target was usually waiting space, which is a representative factor of attraction. The study was performed by dividing pretend technology into phenomen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Through analysis process, it is found that various hi-tech technologies shall be harmonized on the basis of unique imagination for theme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his study will improve design quality of theme park and it can be a model for various commercial space designs.

      • KCI등재

        테마파크 문화 산업 발전에서 영화와 애니메이션IP의 적용에 관한 연구 -중국 테마파크에 대한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셜 스튜디오의 시사점-

        진가준 ( Chen Jiaj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경제가 발전하면서 테마파크는 각 도시의 중요한 오락 공간과 문화의 일부분이 되었다. 테마파크는 발전 초기 매우 단순한 형식과 기능을 가졌지만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개선을 이루며 주목을 받고 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스토리, 유니버셜 픽쳐스의 영화와 같은 테마와 콘텐츠는 테마파크의 핵심으로, 테마파크 포지셔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최근 중국 테마파크는 증가하고 있지만 다수의 테마파크는 적자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다양한 애니메이션, 영화 IP (Intellectual Property)를 보유한 테마파크는 세계적으로 수많은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이는 중국 테마파크에 비해 영화, 애니메이션 IP에 대한 활용에 있어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테마파크는 IP를 바탕으로 몰입식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건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영화, 애니메이션 IP 적용 모델을 분석하여 향후 중국 테마파크의 발전에 참고 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최근 2년 동안 전 세계에서 테마파크를 방문한 관람객 수를 바탕으로 영화와 애니메이션 IP가 테마파크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밝히고 영화와 애니메이션 IP의 테마파크 적용 모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사례로 영화, 애니메이션 IP 적용 방식과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테마파크와 비교하여 향후 중국 테마파크의 발전 방향에 대한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화, 애니메이션 IP의 제작과 운영에 중점을 두고 영향력 있는 IP를 만드는데 주력해야 한다. 둘째, 테마파크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영화, 애니메이션 IP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테마파크의 IP 몰입감 구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셜과 같은 IP 활용 모델과 세 가지 제안을 통해 향후 중국 테마파크 개발 및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the theme parks have gradually become important places of the entertainment and part of culture in every city. The early forms of theme parks are relatively simple in forms and functions. After years of development, theme parks have been improved in all aspects. The parks now have many branded contents that are of great influence in various industries. Although the number of Chinese integrated theme parks has enjoyed a dramatic increase but most of them are in deficit. However, theme parks that boast film and animation IP, have attracted many tourists around the world. It can be told that the difference lies in the role played by the IP. It is inevitable that theme parks utilize immersed experiences of IP to promote their own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aper aims to summarize the experience and modes of the combination of Disneyland and Universal Studios and film and animation IP, so as to provide reference for designing Chinese theme parks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rists in global theme parks within recent two years, the researcher concludes that IP is of great importance to theme parks, and further categorizes the combination modes of them. Next the researcher finds out the advantages of IP and how it is utilized in theme parks like Disneyland and Universal Studios. Finally,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the researcher puts forward suggestions for developing Chinese theme parks. Based on the combination modes and the existing difficulties in developing Chinese theme parks, three suggestions are proposed in the conclusion: Firstly, lay stress on creating and operating an IP, and try to create it influential. Secondly focus on developing and upgrading IP in designing theme parks. Thirdly stress on creating the immersed experiences of IP in the parks. These suggestions together with the summarized combination modes is certai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nning, constructing, operating and selling of Chinese theme parks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테마파크 기획 연구

        안숭범(Ahn Soong-Beum),최혜실(Choi Hye-Sil)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테마파크가 기획되고, 실제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경제적 수익 면에서나 지역 정체성 확립의 차원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테마파크는 극히 드물어 보인다. 그래서 본고는 ‘공간 스토리텔링’을 장소 현상학의 입장에서 재정립한 후, 실제 테마파크 조성 사례를 논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연구는 지역 정체성 확립과 경제적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포항시가 발주한 ‘연오랑 세오녀 테마파크 조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먼저 지역 정체성 강화 및 확산은 ‘장소의 혼’을 지키면서 ‘장소의 창조’에 이르는 일과 관련되고 광광 수입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은 수익성 높은 종합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서 테마파크를 원 소스화하는 작업과 연결된다. 이 두가지 사안을 둘러싼 논의를 하다보면, 어느 한쪽에 쏠려서도 안 되고, 둘 중 하나를 포기하기도 어렵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래서 이 글은 먼저 장소 현상학의 담론 속에서 공간 스토리텔링 개념을 재정립한 후, ‘연오랑 세오녀’ 테마파크 조성과 향후 사업화 방안에까지 적용하여 보았다. 특히 현상학적 장소론을 심화시킨 학자들이 주창한 ‘장소의 혼’, ‘장소감’ 증대, ‘장소의 창조’ 개념은 공간 스토리텔링의 범주화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 원론적으로 풀어 설명하면, ‘연오랑 세오녀’ 설화는 포항의 ‘장소의 혼’을 담고 있기에 그에 관한 테마파크 조성은 ‘장소의 창조’로 나아가야 한다. 그와 관련하여 본고는 우선, 설화 내용 속에 잠재된 공간 스토리텔링 요소를 뽑아내어, ‘장소의 혼’이 담긴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데 하위 테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는 방문객의 ‘장소감’ 증대를 위해 공간 스토리텔링의 실천 기술로서 다감각 스토리텔링을 기획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포항의 관광 환경을 바탕으로 테마파크를 원 소스삼아 OSMU를 기획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은 참여를 통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완성하게 된다. 가상세계와 현실세계가 중첩하는 몰입과 놀이의 공간은 그런 순간에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지면의 제약상 부분적으로 약술된 측면이 있지만, 그에 대한 보충 논의는 실제 ‘연오랑 세오녀’ 테마파크가 조성된 시점에 다루기로 한다. 향후 선재하는 서사물을 기반으로 테마파크를 기획하고자 할 때 이 글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se days, there are diverse forms of theme parks that are in the making or under operation, yet they seem to be rarely enjoying profitability or contributing to a regional identity.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redefine the concept of “spatial storytelling” from the viewpoint of phenomenology of space and explore a case study on a theme park. In detail, this study is based on the “Basic Plan on Establishment of YS Theme Park”outsourced by the City of Pohang in order to build a regional identity and create added values. First of all, reinforcement of the regional identity is intended to preserve the “spirit of place” while engaging in “creation of place”. Creating added values on the back of tourism means making the theme park a comprehensive entertainment project as a one-source, multi-use business. The two goals should strike a good balance and not compromisedby each other. Thus, this paper re-establishes the concept of spatial storytelling in arguing the phenomenology of space, and then moves onto incorporating the concept in: the formation of the YS Theme Park and measures to make business out of it.In particular, enhancement of the concept of spirit of place, the “sense of place” and creation of place advocated by scholars who contributed to deepening the phenomenology of space are very important means of classification of spatial storytelling. Theoretically, the construction of the theme park should aim for creation of place, since the tale of “Yeon-oh-rang & Se-oh-nyeo” encompasses the spirit of place of Pohang. In light of this, this paper extracts elements of spatial storytelling inherent in the tale to provide a set of sub-themes in order to build a theme park inspired with a spirit of place, and then plans a multi-sense storytelling to increase the sense of place for visitors. Finally, the paper exemplifies the process of planning OSMU (one source, multi-use) with the theme park as the one source, on the basis of Pohang’s tourism environment, which will enable visitors to complete a story of their own through participation. This will help form a space of immersion and entertainment, in which the imaginary world and the reality overlap. Although the paper is written as a summarized formdue to spatial constraints, supplementary discussions will be mad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YS Theme Park. Hopefully, this paper may provide practical help to those planning for construction of theme parks that are based on certain narratives, tales or epics.

      • KCI등재

        드라마 테마파크 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 : MBC 드라마를 중심으로

        장해라(Chang Hai La) 인문콘텐츠학회 2006 인문콘텐츠 Vol.0 No.7

        드라마 테마파크는 놀이와 즐거움의 장소이다. 드라마 자체에 대한 향수와 그 드라마를 향유했던 시간을 향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지금도 수많은 드라마들이 방송되고 있으며 그 드라마를 통해 파생된 문화상품은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소수의 성공사례만을 가지고 정확한 테마와 타겟 없이 드라마 촬영지나 세트장이 테마파크란 이름으로 관광화되고 있다. 이러한 근시안적이고 급조된 방법으로는 방문객들에게 만족을 줄 수 없으며 드라마가 종영된 이후에는 애물단지로 변하기 십상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행착오를 줄이기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기존의 드라마 관련 테마파크의 사례를 분석하고 차별화 방안을 모색했으며 드라마 자체에 대한 분석, 그리고 그 드라마를 테마파크 안에 접목시킬때의 콘텐츠 기획 방법론을 제시했다. 드라마의 인기에 편승하여 단기간동안만 특수를 노리는 전략이 아니라 드라마 종영 이후에도 꾸준히 방문객을 끌어모을 수 있는 드라마 선정과 콘텐츠 구성, 이벤트, 리뉴얼이 이루어지는 드라마 테마파크가 필요함을 강조하겠다. 본 논문에서 기획한 드라마 테마파크는 최근 드라마보다는 방송된 지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고 그리워하는 드라마들을 선정하였다. 이는 방문객들로 하여금 향수를 자극하고 추억을 느끼게 하려는 의도이다. 7개의 드라마를 선정하여 ‘Rainbow of nostalgia’ 라는 메인 테마를 정하고 서브테마를 구성하여 각각의 서브테마 존마다 사람의 오감을 자극시킬 수 있는 컨셉을 구현하였다. 기존의 드라마 테마파크들이 관람 위주로 구성하였다면 이 드라마 테마파크는 오감을 통한 체험과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단순히 드라마 세트장을 오픈하여 구경하고 촬영장을 둘러보는 수동적인 관람에서 벗어나 방문객들이 드라마와 관련한 모든 콘텐츠를 직접 보고 만지고 듣고 느끼고 향수하고 공감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래서 드라마라는 원소스에서 파생된 드라마 테마파크라는 공간이 확실한 테마를 가지고 통일된 컨셉, 환경과 스토리를 보유하며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된 독립적인 공간을 창출하여 방문객으로 하여금 탈일상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거듭나는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형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성공 요인 분석- 문화콘텐츠 기반형 테마파크 전략을 중심으로-

        이기호,김형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1

        A theme park, in general, can be defined as a space that has both 'theme factor' and 'hands-on factor'. But theme parks in Korea are not recognized as having unity even though they provide diverse services, because they lack in a theme factor, which is the essence of a theme park. On the other side of the issue, themes and concepts that a theme park claims to stand for are not consistent, and they fail to provide representative themes as well. For this reason, although a business plan to invite overseas theme parks is pushed ahead, it causes a vicious circle to weaken the competitive edge of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s well as capital outflow. Consequently, from a theoretical viewpoint, a theme park with no specific theme is in critical situation to be out of the limelight by failing to provide visitors with purposefulness and attract their atten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nd to gain profitability and expanded customers lie in heightening their receptiveness through creating unique image of each theme park. With the awareness of the issu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heme-centered park which has culture contents in it and to suggest a viable alternative that helps to create hands-on theme parks that reflect customers' receptiveness. 일반적으로 테마파크는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주제(theme)’와‘ 체험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공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테마파크의 본질 요소인 주제 관련 요소를 갖추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성 있는 테마파크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테마파크가 표방하는 테마와 콘셉트가 불일치하고 대표성 있는 테마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 테마파크 유치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자본 유출은 물론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고 있다. 이론적 관점에서 특정한 주제를 갖추지 못한 테마파크는 방문객들의 목적성을 상실케 하여 결과적으로는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하게 한다. 이러한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익성과 고객 확장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개별 테마파크 자체 이미지 구축을 통한 고객의 수용성 제고에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아래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가 내재한 주제 중심의 테마파크를 제안하고 고객의 수용성을 반영한 체험형 테마파크 이미지 구축을 위한 실용적 대안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