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 · 탈냉전 시대의 북한의 대 남한 인식과 남북 관계 상관성 분석

        이준희(Lee, June-he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2 No.-

        이 논문은 신년사 분석을 통해 냉전에서 탈냉전으로 바뀌면서 북한의 대남한 인식에 있어서 어느 정도 변화가 있는지와 남북관계에 있어서도 탈냉전으로 전환되면서 변화가 어느 정도 나타났는지를 살펴보면서 향후 북한 변화가능성을 진단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인식여부와 무관하게 부정적인 관계가 계속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냉전시대〉는 미 · 소에 의한 이데올로기적 대립으로 어떠한 인식(긍정/부정)이 형성되었는가와 무관하게 부정관계가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탈냉전시대에는 긍정인식이 커지면 부정관계는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부정인식이 커지면 부정관계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탈냉전시대는 긍정인식 · 긍정관계뿐만 아니라 부정인식과 부정관계 모두 냉전시대와 비교해서 크게 증가한 것이 특색이다. 탈냉전시대에 대 남한 정부에 대해 긍정인식 · 긍정관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대남 공세적인 정책을 끊임없이 시도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긍정인식 · 긍정관계의 상관관계도 냉전시대에는 긍정인식이 증가하면 긍정관계도 늘어난 반면, 탈냉전시대는 오히려 줄어들었으며 부정인식 · 부정관계는 냉전시대와 탈냉전시대 공히 부정인식이 증가하면 부정관계가 늘어나는데 탈냉전시대에 증가폭(냉전 0.114→탈냉전 0.303)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의 상식과 배치되는 것으로 탈냉전시기에는 냉전보다 부정관계가 줄어들 것으로 생각했지만 실제는(냉전 0.93 → 탈냉전 4.1)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북한의 지도자가 김일성 → 김정일로 교체되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으며, 북한의 이중적인 속성을 엿볼 수 있는 결과라고 판단한다. 대남한 인식과 남북관계는 시대별(냉전/탈냉전)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따른 4개의 연구 과제를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검정해 보았다. T-검정을 통한 통계분석 결과 긍정 · 부정인식은 냉전/탈냉전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 · 부정관계는 냉전/탈냉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과 관계의 상관관계 분석은 긍정 · 부정 인식변화와 부정관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부정인식 · 부정관계는 냉전/탈냉전 공히 부정인식이 증가하면 부정관계가 늘어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냉전시대보다는 탈냉전시대에 긍정 · 부정인식, 긍정 · 부정관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인식 · 긍정관계뿐만 아니라 부정관계가 크게 증가한 것은 북한의 이중성을 엿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establish through the analysis of New Year speeches the possibility of further change in North Korea by looking at how much change there has b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during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fter the Post Cold War era and how much change there has been in the North Korea perspective of South Korea as the Cold War era turned into the Post Cold War era. By piecing together the research results, it is apparent that a negative relationship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at this is irrelevant to any change (positive or negative) in recognition. Irrelevant to any development of recognition(positive/negative) negative relationship is taking place. It is also apparent that during the Post Cold War era there was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a negative relationship and positive recognition with changes in one being correlated with opposite changes in the other. Compared with the Cold War area, an especially distinctive feature of the Post Cold War era was that not only did positive recognition and positive relationship grow, but also negative recogni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 considerably increased This shows that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tried to adopt an offensive doctrine towards South Korea while they were building a positive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In the Cold war era, the positive relationship grew as the positive recognition increased, but during the Post Cold War era it decreas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negative recognition/negative relationship was such that, if recognition increased, then this was followed by an increase of the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m widened ( the Cold war 0.114 --> the Post Cold war 0.303). During the cold war era, positive recognition and positive relationship were linked. It was thought that during the post cold War era the negative relationship would be less than during the Cold war era, but, contrary to common sense, it has actually greatly increased (the Cold war 0.93 --> the Post war era 4.1). These findings appear to demonstrate the duplicity of North Korea.” Attach this sentence to the end of the previous paragraph. Start a new paragraph as follows; “Our research project wa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the Cold War and post Cold War eras in North Korea’s recognition of South Korea and th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analysis of our data showed tha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sitive and negative recognition between the Cold War and the post Cold War eras, there was a difference in positive/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eras. Interrelationship analysis of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was performed, focusing on positive/negative recognition change and negative relationship. In both the Cold War and Post Cold War eras, an increase in negative recognition was followed by an increase in negative relationship. Overall, positive /negative recognition and positive/negative relationship have increased over the Post Cold War era compared with the Cold War era.

      • KCI등재후보

        탈냉전과 한국 정치의 변화

        조정관 ( Jung Kwan Cho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3 동북아연구 Vol.28 No.2

        이 논문은 1990년대에 일어난 탈냉전 현상이 한국정치에 준 영향을 정당 및 선거 정치와 정치 엘리트의 변화를 초점으로 탐구하였다. 탈냉전은 3당합당의 환경과 명분을 제공하였고, 구 권위주의 정치엘리트들이 민주적 정당 정치에 적응하도록 하는 데에 촉진조건이 되었다. 탈냉전의 상황은 민중당과 통일국민당의 도전에 도움을 주었으나, 그 정당들이지역주의 정당정치구조를 극복하는 데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탈냉전 덕택에 저항을 최소화했던 문민정부의 개혁은 「민주 대 반민주」가 아닌 보통의 정치를 키워나가기 위한 기초를 만들어갔다. 김대중에 의한 정권교체는 엘리트 변화와 탈냉전 시대에 변화된 엘리트 및 유권자들의 심리정향(mentality)에 의하여 가능하였다. 즉 탈냉전은 한국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탈냉전의 전환기에 한국 정치는 정책 대결로서의 정치로 발전하지 못했고 이 때 만들어진 정치 행태의 틀 -특히 지역주의 -은 오늘날까지 한국 정치의 발전을 제한하는 구조적 조건으로 작동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coming of the Post-Cold War era in the 1990s influenced Korean politics, with particular focus on political parties,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elites. The end of the Cold War provided apt justification for the 1990 ‘three-party-merger’ and facilitated the adaptation of formerly authoritarian regime elites to democratic party politics. It also helped the creation of both Minjungdang(People`s Party) and Tongilgukmindang(Unification Nation`s Party), which were not able to overcome the existing regionalistic party system. Democratic reform by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was assisted by the post-Cold War setting that minimized the otherwise strong resistance from the formerly authoritarian leaders. The change of governmental power by Kim Dae Jung, which consolidated Korea`s electoral democracy, was possible both by the preceding elite change and by the alteration of the mentality of the elite and the masses, which was caused in part by the post-Cold War setting.

      • KCI등재

        탈냉전과 한반도 평화 그리고 민주주의

        김근식(Kim,Keun-Shik)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0 평화연구 Vol.18 No.2

        탈냉전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는 냉전의 적대적 대결관계 약화, 민족화해의 진전 및 상호 인정과 관용의 정치문화가 확산되면서 한 단계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반도 평화는 완성되지 못했고 답보상태였다. 따라서 한반도 평화체제가 온전히 정착되어야 탈냉전이 완성될 수 있고 이는 곧 확장된 한반도 평화의 제도화를 통해 한반도 민주주의가 완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반도 평화체제의 과제로는 동북아 차원의 냉전 유제인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한반도 차원에서 정치적 화해협력과 군사적 신뢰구축을 진전시키는 것 그리고 대내적 차원에서 북의 선군주의와 남의 반북주의 및 안보이데올로기를 극복하는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는 단지 군사적 측면에서가 아니라 남북관계 개선과 민족화해의 증진이라는 핵심 요인을 통해 진전되고 촉진되고 구축되는 것이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의 핵심으로서 남북관계가 질적으로 개선 발전되면 북핵 해결을 통해 북미관계가 개선되고 이는 곧 북한 내 선군주의와 반미주의가 약화되고 한국 역시 남북의 적대관계 해소를 통해 남남갈등과 반북주의가 약화되면서 민주주의가 공고화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평화가 민주주의인 것이다. 민주주의 체제가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보장하듯이 한반도 평화가 역으로 한반도의 민주주의를 진전시키고 공고화시키는 셈이다. 천안함 이후 한반도 정세는 남북관계 경색이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고 다시 한반도 긴장고조가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탈냉전의 완성으로서 한반도 평화체제가 자리매김되고 다시 되돌이킬 수 없는 화해와 협력의 남북관계가 한반도 평화의 핵심임을 전제로 한국의 민주주의는 한 단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Cold War, democracy in South Korea was able to make a progress with the weakening of confrontations and proliferation of political culture that acknowledged the progress of national reconcili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Howeve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still at a standstill. This signifies that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established to conclude the Cold War and to realize democracy in South Korea. Major tasks for the peace regime in the region involves the resolution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 political reconciliation and military trust-building, and overcoming the conflicting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ongun politics of the North and anti-North Koreanism of the South, as well as security ideology.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pursued not only from the military standpoint but should move forward with emphasis on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and national reconciliation. As the core constituent of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ter-Korean relations is the key to improving the US-DPRK relations through resolving the nuclear dilemma. This in result will weaken the songun politics and anti-Americanism within North Korea as well as decrease the domestic political strife and anti-North Koreanism within South Korea, and bolster democracy. In other words, peace is democracy. Through democratic system, war can be prevented and peace be guaranteed. Likewis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promoting and advancing democracy on the peninsula. Cheonan incident was a clear illustration of demonstrating how insecure inter-Korean relations can threaten the peace and democracy in the peninsula. With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can return to the relationship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in effect will also bring out positiv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South Korea.

      • KCI등재

        탈냉전의 사유와 냉전의 이면 - 장세진, 『숨겨진 미래』(푸른역사, 2018)

        황병주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5 No.-

        This thesis aims to review Hidden Future with sub title genealogy of post cold war imagnation. This book try to reveal and rethink strata of cold war and post cold war in Korea. The author analyze many intellectuals from such as the middle-of-the-roaders in directly after liberation to Ham sukheon in 1970s. Cold war means long term peaceful coexistence as well as political, military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capitalist bloc and socialist bloc. There are several wars such as Korean war and Vietnam war but there is no war between USA and USSR in cold war period. Coexistence’s nick name is economy war. Two big countries try to prove their superiority with the superior production power. In this context, cold war era is a period of grand industrialization in northeast Asia. Market is a ideological symbol of cold war. Market economy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capitalism against planned economy of socialism. Liberal project based on market economy is a basic grammar of cold war. In the case of South Korea, ‘cold war liberalism’, combined political oppression and freedom of market, began to be formed There are many attempts to criticize cold war. Unification is one of them and most important symbol of post cold war because of cold war in Korea is based on divided Korea. The joint communique of 4 July 1972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have influenced so many intellectuals. But if the scheme which unification is post cold war is intermingled with nationalism it is difficult to deviate from the danger of nation-centrism. It would be a deja-vu that the scheme which establishing nation state is postcolonialism. 『숨겨진 미래』는 한국사회가 경험한 냉전의 여러 지층들을 들춰내어 다시금 재사유하고자 한다. 특히 냉전의 극성기에 진행된 탈냉전의 흔적을 찾아내어 그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 해방 공간의 중간파로부터 1970년대 함석헌의 평화 인식에 이르기까지 탈냉전을 위한 지식인들의 고민과 실천을 파악하고자 했다. 냉전은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대립이자 장기간의 평화공존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열전이 전개되기도 했지만 세계적 규모의 열전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대체로 미국과 소련은 평화공존의 길을 택했다. 평화공존의 다른 이름은 경제전쟁이었다. 미국과 소련은 자신들의 체제가 더 우월하다는 점을 경제적 생산력의 확충으로 증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60∼1970년대 동북아시아는 거대한 산업화의 시기이기도 했다. 시장 자체가 일종의 냉전의 이데올로기적 대결장이기도 했다. 시장경제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특화된 형태로 재현되었고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대립항처럼 여겨졌다. 시장경제에 기반한 자유주의적 기획이 냉전의 기본 문법이 되었고 한국의 경우 정치적 부자유와 시장의 자유가 결합된 냉전 자유주의가 나타났다. 탈냉전의 유력한 시도 중의 하나는 통일이었다. 북한을 적으로 상정한 냉전 구도였기에 남북의 통일은 탈냉전의 가장 강력한 상징이었다. 많은 지식인들이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자극받아 통일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러나 탈냉전이 곧 통일이라는 단순 도식이 민족주의와 결합하게 된다면 국가와 민족 중심의 회로를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이는 탈식민화가 곧 민족국가 수립이라는 민족주의 도식을 반복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일성의 탈냉전 전략의 등장과 좌절 -기회의 창과 계승의 정치를 중심으로

        안경모 ( Kyung Mo Ah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3 북한학연구 Vol.9 No.1

        탈냉전 이후 북한의 대외전략에 대한 연구는 핵정책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왔다. 물론 1990년대 이후 핵문제가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변수로 작용해 왔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핵 위기에 초점을 맞춘 이와 같은 연구들은 한반도의 지속되는 갈등과 위기를 북한의 변치 않는 속성과 탈냉전이 부과한 구조적 제약이 결합된 일종의 ‘필연적 결과’로 간주함으로써 행위자의 선택을 통한 다양한 가능성을 간과하는 한계를 보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북한의 대외정책 일반을 ‘탈냉전 전략’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김일성이 추구한 탈냉전전략의 핵심은 남한과 미국을 ‘혁명과 해방’의 대상에서 ‘공존’의 대상으로 재규정한 탈급진화(de-radicalization), 그리고 한·미·일과의 관계개선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방위전략’이었다. 둘째, 1994년 이후의 통미봉남(通美封南) 전략은 핵 위기나 정권의 속성으로 인한 필연적 산물이라기보다는 ‘기회의 창’으로서의 대외적 환경의 변화와 ‘계승의 정치’를 중심으로 한 국내정치적 동학에 의해 선택된 결과였다.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North Korean foreign policy have focused on its nuclear policy. Actually, it is no doubt that nuclear issue has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U.S-.North Korean relations and inter-Korean relations from 1990s. However, this approach cannot fully examine various chances because it has a tendency to regard the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North Korean nature and the intrinsic discrepancies in interest.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North Korean foreign policy through the concept of Post-Cold War strategy. The argum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key components of the North Korean Post-Cold War Strategy from the late 1980s to early 1990s were de-radicalization and comprehensive strategy. The de-radicalization meant that North Korea decided to coexist, not to have a confrontation with South Korea and U.S., and the comprehensive strategy aimed to improve relations with South Korea, U.S., and Japan at the same time. Second, the failure of this strategy was not only due to a security dilemma, but also to a shutdown of a window of opportunity and effects of political succession.

      • KCI등재

        탈냉전 30년 북한 경제발전전략의 변화

        이창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4

        In the 1990s, Socialism collapsed during the post-Cold War. However, even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Cold War, the D.P.R.K.(hereafter North Korea) still adheres to the socialist system. China and Vietnam advocate socialism, but they are classified as system-converting countries that have embraced the market economy. Their marketization is underway, and some predict the possibility of a regime change in North Korea, where plans and markets coexist institutionally. On the other hand,, the party-state system is also being strengthened in North Korea, where the market continues to grow. Despite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heavy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closed-door quarantine of the COVID-19, and the flood damage, the party has refused to provide outside assistance and is recovering the flood damage through an 80-day battle with the party and the military at the forefront, and is preparing for the eighth party congress on January 2021. With the severe economic difficulties, wasted resources on military power, and the existence of political instability in the third generation, North Korea maintains a socialist system while seeking new development strategi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based on the North'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after the Cold War, not on the theory of regime change. It tri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socialist economy and draw future prospects. The analysis provides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which seeks to promote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1990년대 탈냉전을 맞이하여 사회주의권이 몰락하였다. 그러나 탈냉전 30주년에도 여전히 사회주의체제를 고수하는 나라로 북한이 존재한다. 중국과 베트남은 사회주의를 표방하지만, 시장경제를 수용한 체제전환국가로 분류된다. 물론 시장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계획과 시장이 제도적으로 공존하는 북한에 대해서도 체제전환의 가능성을 전망하기도 한다. 그러나 시장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북한에서 당-국가 체제도 강화되고 있다. 강도 높은 대북제재와 코로나19에 대한 쇄국적 방역, 수해 등의 3중고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외부 지원을 거부하며 당과 군대를 앞세운 80일 전투로 수해를 복구하고, 내년 1월의 제8차 당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극심한 경제난을 겪기도 하였고, 군사력에 자원을 낭비하기도 하고, 3대 세습의 정치적 불안정성이 존재함에도 북한은 새로운 발전전략을 모색하면서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체제전환론이 아닌, 발전전략 차원에서 탈냉전 이후 북한의 경제발전전략을 중심으로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북한 사회주의경제의 특색을 살펴보고, 향후 전망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남북경협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꾀하려는 우리에게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탈냉전시대 양국간 군사분쟁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중국․러시아와 대비되는 미국의 분쟁행태를 중심으로

        송윤진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1

        This article analyzes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in the Post-cold War. It stresses that 9․11 as a turning point in the Post-cold War has brought the landscape of conflict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 sea change. The reason is that in the mapping of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in the Post-cold War, the US as the hegemon of international system has displayed different behavior before or after 2001 when 9․11 happened. This article finds that the tendency that the US prefers to stand on the offensive and to use force in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has become even more pronounced after 2001. Thus, it argues that the hard-power mechanism of the US has not worked effectively after 9․11 in the Post-cold international system. 본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 방법을 적용하여 탈냉전시대에 발생한 양국간 군사분쟁들에서 미국의 분쟁행태를 중심으로 시각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의 과정에서 미국의 분쟁행태가 9․11을 전후한 시점에서 국제체제상 분쟁의 네트워크 구조가 차별적 의미성을 부여할 수 있을 만큼 큰 변화를 보이고 있음이 발견됨을 본 논문은 강조한다. 왜냐하면 탈냉전시대 양국간 군사분쟁 형세와 관련하여 미국의 분쟁행태가 9․11 이전과 이후 사이에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다른 하드파워 강대국들인 러시아, 중국과 대비할 경우 보다 선명해지는 바 9․11 이후 미국은 이전보다 분쟁 발생시 개시자가 되기를 선호할 뿐만 아니라 무력을 사용하는 경향 또한 이전보다 강해지고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특정 국가와 반복하여 군사분쟁을 재연하는 경향까지 보인다. 결론적으로 탈냉전시대 분쟁의 네트워크 구조에 있어 미국의 하드파워 기제가 9․11 이후 그 이전과 다르게 작동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본 논문은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s on Unification during the Early Post-Cold War Era

        Kim Ji-hyung(김지형)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7 No.1

        탈냉전 초기, 즉 노태우 정권기의 통일논의와 통일운동의 특징을 정부와 민간의 공존과 경쟁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노정권은 탈냉전을 맞이하여 북방정책과 7.7 선언 등을 내세우며 적극적인 대북 접근전략을 구사해나갔다. 남북고위급회담을 비롯한 각종 남북대화가 전개되는 가운데 남북기본합의서를 채택함으로써 남북관계의 새로운 이정표가 마련되었다. 남북 기본합의서를 통해 남북관계의 특수성이 확인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남측의 적극적인 리더십이 동력으로 작용한 반면 북측은 사회주의권 해체를 동반한 탈냉전이라는 위기 타개의 일환으로 방어적 공존을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남북 유엔 동시가입이라는 한반도문제의 새로운 국제적 패러다임이 펼쳐졌다. 그러나 핵문제를 둘러싼 북미간의 마찰과 함께 정부의 대북 강경파에 의한 고의적인 남북관계 파탄 시도가 확인됨으로써 남북관계 단절의 내외적 요인이 뚜렷이 드러났다. 특히 대북 강경파들의 인위적인 남북관계 경색화는 보수정치세력의 대통령선거전략과 밀접한 연관성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시기는 민간 통일논의 및 운동이 폭발적으로 나타났으며 각계각층의 남북교류 운동이 분출하였다. 남북학생회담운동, 남북공동올림픽 개최 주장을 비롯하여 일련의 방북사건이 벌어짐으로써 사회적 주요 이슈를 형성하였다. 동시 에 북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으로써 북한바로알기운동이라는 현상이 나타났다. 냉전시기 반공을 빌미로 권위주의적 독재를 유지하던 보수권력의 논거가 의심받기 시작하였으며 북한에 대한 실사구시적 지적 호기심이 비등해져갔다. 민간 통일운동세력은 좀더 북한 친화적인 조직과 일정한 비판을 전제한 조직으로 분화되어 나갔다. 남, 북, 해외의 3자 공조를 내세운 범민련과 국내의 다양한 통일운동의 가치를 존중한 새통체의 출현은 사실 통일운동세력 내부의 북한 이해를 둘러싼 인식의 차이가 반영된 대립적 구조물이었다. 이같은 현상에 따라 민간 통일운동세력의 통일논의는 중층적 구도를 보이며 내부로부터 경합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민간 통일운동세력과의 긴장관계를 지속하였으며 ‘창구 단일화’ 원칙 하에서 민간 통일논의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탈냉전기 정부와 민간의 통일논의는 서로 의식하는 가운데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 경쟁하지 않을 수 없는 새로운 시대에 진입한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고립된 전사, 경계의 타자 -탈냉전시대 한국전쟁 영화에 나타난 "북(北)"의 표상-

        박유희 ( Yu Hee Par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고에서는 탈냉전시대에 제작되고 개봉된 한국전쟁 영화를 대상으로 그 영화들에 나타난 ‘북(北)’의 표상이 냉전시대와 달라지는 양상과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추이를 고찰하고 그 함의를 밝혀 향후 나아갈 바를 조망하고자 했다. 탈냉전시대가 시작되는 1990년부터 2012년에 이르기까지 ‘북’에 관련된 표상이 드러나는 영화는 1990년대 말을 변곡점으로 하여 크게 둘로 나뉜다. 1990년대에는 그 동안 다루어지지 못했던 빨치산이나 좌익운동을 소재로 취하여 인민군 혹은 공산주의 그룹의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그들도 우리와 같은 피해자임을 보여주는 영화들이 나온다. 2000년대에 가면 한국전쟁을 비롯해 간첩, 탈북, 이산가족상봉 등 ‘북’에 관련된 제재가 영화 장르의 관계망 안으로 편입되면서 표상이 비교적 다양화된다. 그런데 2010년에 가까워올수록 또 다른 변화가 감지된다. 우선 기술과 스펙터클 면에서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관습의 혁신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장르의 답보 내지 퇴행상태에 머물고 있다. 그것은 분단에 대한 문제의식이 깊어지지 못하고 있는 데 큰 이유가 있다. 그리고 그 기저에는 개인감정을 최우선시하는 경향이 자리 잡고 있다. 개인감정은 적을 인간적으로 보이게 하고 이념과 경계를 무화시키며, 모든 가치에 우선한다. 그래서 기성의 경직된 질서를 깨뜨릴 때는 긍정적으로 작동할 때가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동향에는 분명히 우려할 만하게 과잉되는 점이 있다. 우정, 형제애, 민족애와 같은 감정에 의존하여 문제들을 봉합하여 온 것은 남북문제를 다루는 영화들의 뿌리 깊은 관습이다. 그런데 감정이 행동을 지배할 때 냉철한 판단과 합리적 소통은 설 자리를 잃는다. 게다가 ‘우리’라는 전제로 움직일 때 거기에는 언제나 타자화 되는 ‘다름’이 있을 수밖에 없다. 탈냉전시대에 들어서며 이분법을 해체하는 경계공간들이 생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곳에서 여전히 타자로 남아있는 것은 ‘이념’ 문제이다. 그래서 한국전쟁 영화에서 끝까지 이념을 고수하는 인물들은 고립된 전사로 죽어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 in films on the Korean War made and released during the post-Cold War era (as opposed to the Cold War era), trace their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explore their future directions through implications. Films containing the representations related to "North Korea" from 1990 when the post-Cold War era began to 2012 ar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with the late 1990s as the inflection point. In the 1990s, films were made and released which depicted partisan or left wing movements, which were not treated before, delved into the inside of the people`s army or community groups, and showed that they were victims like us. In the 2000s, the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 became relatively diversified as the materials related to "North Korea" such as the Korean War, spies, defection from North Korea, and reunion of dispersed families were included in the network of film genres. Another round of changes was detected after 2008 when the keynote of policies for North Korea was changed. In spite of the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spectacle, there was no noticeable reform of conventions, which led to the stalemate or regression of genres. It is largely because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sepa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not deepened. At the bottom of the reason was the trend of putting personal feelings before anything else. Personal feelings make enemies look human, break down ideologies and boundaries, and come before all other values, thus playing a positive role in breaking the old strict order. The recent trend, however, clearly has some excessive points that call for concern. One of the deep-rooted conventions of films on North and South Korean issues is to stitch up problems by resorting to such emotions as friendship, brotherly affection, and love for the race. When emotions rule actions, hard-headed judgments and rational communication have no place to stand in. Furthermore, when we move based on the premise of "us," "being different" always becomes others. Even though the dichotomous boundaries collapsed in the post-Cold War era, the issue of ideology at the boundary cannot help remaining as others. Such limitations are demonstrated in the figures who stick to their ideology till the end, facing death as isolated warriors in films on the Korean War.

      • KCI등재

        2·28민주운동과 탈냉전의 흔적

        안도헌 ( Ahn Do Hun ) 대한정치학회 2023 大韓政治學會報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이 남긴 교우지와 그들의 4월 혁명기 활동을 중심으로 2·28민주운동에 드리워진 탈냉전의 흔적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미국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학생들이 냉전논리에 갇혀 있었다면, 자유진영의 중심 국가인 미국을 비판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탈냉전의 영향을 받은 학생들은 한국전쟁과 남북분단, 그리고 한미경제협정과 관련해 미국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둘째, 2·28 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북한과 남북통일에 관해 민족적이고 평화적인 시각을 간직하고 있었다. 냉전논리 안에서는 북한을 같은 민족으로 보기 어렵고, 박멸해야 할 적으로 인식했을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은 냉전논리에서 벗어나 북한을 우리와 동일한 민족으로 인식했고, 평화적 통일의 한 주체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한국전쟁에 관해 인도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냉전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면, 한국전쟁과 관련한 부정적인 인식과 전쟁의 비극에 대한 인도주의적 관점을 갖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은 전쟁의 비참함을 드러내고 무기 사용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탈냉전 의식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and post-Cold War, focusing on the school magazines left by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and their activities during the April Revolu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took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United States. If students were trapped in Cold War logic,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criticize the United States, the central country of Free World. However, students affected by the post-Cold War took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U.S. in relation to the Korean War,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Korea-U.S. Economic Agreement. Seco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had a national and peaceful view of North Korea and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Within the Cold War logic, it would be hard to see North Korea as the same nation and would have recognized it as an enemy to be eradicated. However, students broke away from the Cold War logic and recognized North Korea as the same nation and recognized it as a subject of peaceful reunification. Thir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28 Movement for Democracy had a humanitarian perspective on the Korean War. If they had not escaped from the Cold War logic,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and humanitarian perspective on the tragedy of the war. However, students showed an attitude of accepting the post-Cold War consciousness by revealing the misery of war and show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weap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