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전성균,박상욱,이은경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4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o provide basic materials so that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onverges with related subject and can be done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s, the perception and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for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needs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the teacher majored in computer and information education or had experience in software education,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id that it is possible to converge for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is high. Also,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of following the class progres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was high. In the school environment, preparation for software tool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we suggested the strategic implications in terms of education direction, teacher training, education program, and learning too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교육 요구를 조사하여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이 관련 교과와 융합하여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일반 현황, 컴퓨터·정보 소양 관련 융합 교육 인식 및 현황,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16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정보 교육을 전공하거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경험이 있는 경우 컴퓨터·정보 소양 관련 융합 수업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융합 교육을 수행할 때 수업 내용의 구성이 어렵고,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환경에 있어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 교구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방향, 교원 양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 교구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 현황 분석

        전성균(Seongkyun Jeon),상경아(Kyongah Sang),박상욱(Sangwook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1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초·중학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화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교육 정책을 펼치며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국 32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6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코딩 또는 프로그래밍 학습 현황, 관련 학습 경험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학습 목적의 컴퓨터 사용 빈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수업에서의 주요 ICT 활동 빈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교육을 통한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 기회가 부족하였고, 상대적으로 읍면지역 학생들의 교육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련 학습 경험이 많을수록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th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s essential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various software education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o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e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32 middle schools nationwide. For the 640 students, we surveyed the students" status of coding education,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coding experience,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mputer use for learning purposes, and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ajor ICT activities in class. As a result, there was a lack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school and relatively lack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in the rural area. And the more learning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 KCI등재

        우리나라 학생들의 ICILS 2018 컴퓨터·정보 소양 정답률 분석

        전성균(Seongkyun Jeon),김경희(Kyunghee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5

        우리나라는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을 국제적인 수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개된 ICILS 2018 국제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정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대체로 ICILS 2018 참여국 평균보다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그러나 ‘컴퓨터 사용의 이해’영역은 컴퓨터・정보 소양 성취도가 높은 국가(덴마크, 핀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그리고 대체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컴퓨터 사용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평가하는 문항, 우리나라 학교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은 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문항 등에서 상대적으로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바탕으로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orea participates in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that objectively evaluates students’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t an international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ct-answer rate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published ICILS 2018 international database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n students generally were achieved a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the average of participating countries in ICILS 2018. However, the strand of “Understanding computer use”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Denmark and Finland, countries with high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chievement. In general, the rate of correct answers was relatively low in items about evaluating basic knowledge and functions of computer use that were not included in Korean curriculum, and items about using applications that were not used much in Korean schools. Based on thes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implications for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체코, 호주, 한국의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변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박지현,김수진,이문수,신학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최근 미래 시민이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으로 부각되고 있는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ICILS 2013의 학생 및 교사 설문 결과 중 컴퓨터·정보 소양 영향 변인을 선정하여, 학생 및 학교수준으로 이루어진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ICILS 2013 컴퓨터·정보 소양 상위국인 체코, 호주, 우리나라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국가에 대해 연구 모형은 적합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간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세 국가 공통으로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고, ICT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컴퓨터·정보 소양이 높았다. 특히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은 다른 변인에 비해 ICT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많이 받고, 학교에 ICT 자원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교사들에게 배운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수준 변인의 경우에는 공통적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학생수준 변인의 경우도 일상생활에서의 인터넷 활용과 학교에서의 ICT 과제 수행 경험 변인은 국가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xtual variables and CIL scores. The study also compared the effect that student and school factors have on students’ CIL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n this study, ICILS 2013 data is used to determine how students and schoo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in Australia, Czech Republic, and Korea. The theoretical model fits are acceptable for all countries regarding the SEM analyses. These results can provide insights into principal elements on the student level and the school level which contribute to a higher CIL performance.

      • KCI등재

        중학생의 컴퓨터ㆍ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ICILS 2018을 중심으로

        박지민 ( Park Jimin ),길혜지 ( Kil Hyej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의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ICT 활용, ICT 과업 수행, ICT 자기효능감 그리고 컴퓨터·정보 소양 간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였고,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2018 한국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2,872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에서의 ICT 활용(학업 목적, 의사소통 목적, 여가 목적), 학교 수업에서의 ICT 과업 수행, ICT 자기효능감이 컴퓨터·정보 소양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ICT 자기효능감이 컴퓨터·정보 소양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ICT 활용과 학교 수업에서의 ICT 과업 수행이 ICT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Z점수를 통해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직접 및 간접효과의 경로계수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컴퓨터·정보 소양을 제고하기 위하여 이들의 ICT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ICT와 관련된 과제에서 성공적인 경험을 갖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A structural model among ICT utilization, ICT task performance in school classes, ICT self-efficacy, and CIL was established, and 2,872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from th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ICILS 2018).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athways among ICT utilization in the daily life, ICT task performances in school classes, ICT self-efficacy, CI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impact of ICT self-efficacy was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CIL. Second, the indirect effects of ICT utilization in the daily life, ICT task performances in school classes mediating ICT self-efficacy on CI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rd, when comparing by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to increase ICT self-efficacy is necessary, and in particular, successful experiences in ICT related tasks is important.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 현황 분석

        전성균,상경아,박상욱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2

        In Korea, th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s essential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various software education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o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e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32 middle schools nationwide. For the 640 students, we surveyed the students' status of coding education,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coding experience,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mputer use for learning purposes, and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major ICT activities in class. As a result, there was a lack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 school and relatively lack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in the rural area. And the more learning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confid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초ㆍ중학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화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을 펼치며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국 32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컴퓨터ㆍ정보 소양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6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코딩 또는 프로그래밍 학습 현황, 관련 학습 경험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학습 목적의 컴퓨터 사용 빈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수업에서의 주요 ICT 활동 빈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교육을 통한 컴퓨터·정보 소양 교육 기회가 부족하였고, 상대적으로 읍면지역 학생들의 교육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련 학습 경험이 많을수록 컴퓨팅 사고력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이은경,박상욱,전성균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romoting CIL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actual school fields. We conducted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needs for 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analysed 227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CIL convergence education was very high while understanding level of the 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actual frequency of teaching experiences were relatively low. In addition, CIL convergence education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through Informatics curriculum rather than various subjects. We identified that the main constrains of CIL convergence education were the burden on the progress of subject based curriculum as well as the lacking of teaching and learning equipments including computers. We identified that the needs for empower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s and constructing the phys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school sites were high. In discussion, we suggested the support strategies in term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ional supports, and physical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융합 교육 활성화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중등학교 교사 2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융합 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 교육 수행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융합 교육 활동은 다양한 교과가 아닌 정보 교과를 통해 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융합 교육 수행의 어려움은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과 컴퓨터를 비롯한 기자재의 부족 및 노후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학교 현장의 물리적, 제도적 환경 구성에 관한 요구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 제도적 지원, 물리적 환경 구축 측면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대학교의 컴퓨터 환경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박지은,한선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3

        연구는 교육대학교 내에서 컴퓨터 활용의 편리성을 높이고 초등예비교사로서 가져야 할 정보소 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학 내의 컴퓨터 활용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교대생의 평소 교내 컴퓨터 사용에 대해 평소 생각이나 행동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대학교 내에 서의 컴퓨터 활용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컴퓨터 기기의 성능개선과 환경의 개선을 요구하 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대학 생활에 필요한 정보소양과 컴퓨터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에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ICT 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및 개선방안 연구 : 초등교사 인식중심으로

        이미자,송지은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최근까지 5, 6 학년 대상으로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컴퓨터 소양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교수 학습 과정에 컴퓨터 활용교육을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교육방침에 따라 7차 교육과정은 2001년부터 초등학교 모든 국민기본공통과목 교수 학습 과정에 10% 이상 'ICT활용교육'을 필수화하였다. 따라서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은 이러한 초등교육과정 변화와 이에 따른 초등학교 현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한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ICT활용교육 필수화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제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 중심으로 ICT활용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또한 이러한 초등 ICT활용교육 변화와 교육대학교 교육과점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지역에서 무선표집된 초등교사 316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으로 각 문항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초등교사들이 ICT활용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ICT활용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였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ICT 활용 능력 함양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ICT활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현장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교육대학교 ICT 관련교육은 ICT소양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ICT활용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초등학교 ICT활용교육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ICT활용교육에 대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무엇보다 다양한 ICT활용 교수 학습방법에 관한 교육내용을 강화 또는 이러한 과목을 신설하여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Until recently,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as computer literacy education for 5th - 6th children. According to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computer education is extended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mposes that it is mandatory for teachers to impl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at least 10% of instructional process for all of the fundamental curriculum sub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o make change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ability adapting the computer education policy change in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been implementing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relevancy of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for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for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3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34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Seoul, Gwangju, and Kyunggi province. The participants have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fter graduating from one of the 11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for the study. This study used SA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of each questionnaire items was analyzed and the variance among subjects groups was analyzed using for x^2 for a few selective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hink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elementary education in 21st century information age. However, they have lack of ability to implement ICT Application Education in classroom instructional process. Secon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relevancy between elementary school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is relatively low. The curriculum of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emphasizes mainly ICT literacy education, but rarely ICT application education yet. Third, most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in Teachers'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CT Application Education.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정보소양교육에 관한 연구

        김경민 ( Kyungmi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4

        정부는 4차 산업 혁명에서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소양을 갖춘 창의 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교양 과목에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교육이 학습자들에게 프로그래밍 학습 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 컴퓨팅 사고력 향상이라는 근본적인 목적을 놓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의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실무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정보소양교육을 통하여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 해 정보소양교육도 문제에 대한 충분한 인식, 분석 및 효율적 절차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 컴퓨팅 사고력 향상과 아울러 기능 습득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olicy to cultivate the creative convergent talent with software literacy in order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leading the economy. Therefore, software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is being adopted in liberal arts courses in universities. However it would be damaged the fundamental objectives for increasing computational thinking by a weighted stress of students to learn programming of software edu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eaching method that can improve computing thinking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in practice as a way to reduce the burden on the programming learning of software education. Through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an improve the computing thinking as well as the computing ability 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enough knowledge, analysis and efficient procedures for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