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속 치병(治病)의례의 유형과 치병 원리

        이용범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7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types of healing rituals and principles of healing in Korean shamanism through mainly examining healing rituals of shamanism in Seoul. Especially this paper tries to perceive the central principle of healing by examining Chibyeong Guts(healing rituals of large scale in Korean shamanism). Usually it is thought that healing rituals of Korean shamanism are composed of ritual actions for direct healing of illness. Of course there are such ones, but they are limited to healing rituals of small scale. In Chibyeong Guts the dialogues and communications between man and ancestors who are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illness have important meaning. Ancestors’ lives and a patient and his families’ come to be understood and sympathized through mutual dialogues and communications between man and ancestors. It is an essential ritual mechanism in Chibyeong Gut to establish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ancestors by such mutual understanding and sympathy. This mechanism is peculiar to Chibyeong Guts. And in this respect it comes to be understood that Chibyeong Gut continues to function as a living healing ritual up to the present in spite of modern medical systems. This fact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healing rituals of small scale composed of direct healing ritual actions and Chibyeong Guts for healing individual special illness are disappeared and disappearing. 이 글은 서울 무속을 주된 논의 대상으로 무속 치병의례의 유형과 치병원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굿의 규모로 행해지는 치병굿을 대상으로 무속 치병의례에서 나타난 중심 치병 원리를 파악하고자 한다. 흔히 무속의 치병의례는 직접적 치병을 위한 의례 행위로 이뤄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직접적 의례 행위가 두드러진 치병의례가 있으나, 그것은 굿보다 작은 규모의 치병의례에 한정된다. 굿의 규모로 행해지는 치병굿에서는 조상처럼 병의 원인이 된 존재와의 대화와 소통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상호 간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병의 원인이 된 조상의 삶은 물론이고 병자와 병자 가족의 삶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이뤄진다. 이러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 조상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치병의 핵심 메카니즘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무속 치병굿 특유의 치유 메카니즘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무속의 치병굿이 현대 의학이 일반화된 현재에도 나름의 생명력을 유지하며 지속될 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직접적 치병을 위한 의례행위로 구성된 작은 규모의 치병의례나 특수한 개별 질병의 치유를 위한 치병굿이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 신라불교 수용기의 치병(治病)과 초기 밀교경전

        장익 ( Jang Ik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3 密敎學報 Vol.14 No.-

        불교의 治病과 관련된 내용들은 주로 인도 고대의학인 아유르 베다(Ayur veda)에 의한 것이었으며, 인도 고대 종교의 일환인 탄트리즘(Tantrism)과 관련을 갖는다. 이러한 영향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기 밀교경전들에서 주로 발견된다. 초기 밀교경전들이 중국에서 번역되는 시기의 시작은 대개 A. D. 3세기 정도이며, 초기 밀교경전들 속에는 治病과 관련된 내용들을 찾아 볼 수 있고, 이들 경전들이 신라 불교의 수용기에 해당하는 5세기 이후에는 신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에 불교가 수용되는 5-6세기 초에는 초기 밀교경전에 수록된 치병에 관한 지식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시기였다. 신라불교의 초전자인 阿道와 墨胡子의 행적 중에는 香을 사용하여 治病한 사례를 들고 있다. 기존의 의술로 부족한 치병의 역할을 통하여 불교를 수용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이 점은 신라인들이 요청하는 치병의 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신라 불교수용에 대면한 갈등을 해소하는 계기를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라에 최초로 역출되는 경전인『栴檀香火星光妙女經』이 전단향을 이용한 치병과 관련된 초기 밀교경전이라는 점을 인정할 수 있다면, 신라 불교 수용기에서 아도와 묵호자가 보여준 치병관련 행적이 香을 사용한 점에서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阿道와 墨胡子가 香을 이용한 治病의 방법들은 이와 유사한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 불교 수용기에서 香을 사용한 阿道와 墨胡子의 焚香의 치병활동은 당시 중국에서 유행하였던 香을 사용하는 초기 밀교경전의 치료방법과 유사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초기밀교 승려인 密本과 惠通의 치병활동으로 이어지면서 신라에 불교가 정착하게 되는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contents of treatment using Buddhist are mainly related Ayurvedic medicine in Indian ancient(Ayur veda) and ancient India religion(Tantrism). It is found mainly in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in order to solve practical problems. It is usually about A.D.3th century that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and we can be seen the contents of treatment using Buddhist in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So, It is guessed that these scriptures have given influence to Silla Buddhism after the 5th century, that is, the time of Silla embraced Buddhism. The period of early 5-6th century in Silla, it was a time that all people acutely request the knowledge of the treatment using Buddhist listed in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Ado(阿道) and Mukhoja(墨胡子) were the first preached Buddhism to the Silla, they were case to be treated using the incense in their achievements. That is to say, It will be attempted that, as part of the lack of traditional medicine, its role in trying to Buddhism. It had to make an opportunity to resolve the conflict the face of Silla Buddhism accepts, demand for treatment of the people of Silla to meet the needs. 『栴檀香火星光妙少女經』,it is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of Silla, If it is related to the using the treatment of candana gandha(栴檀香) direction for early esoteric scriptures to recognize that, it showed a treatment of incense by Ado and Mukhoja, it is related with the acts can be found in terms of similarities. This is similar to the treatment by Ado and mukhoja of using incense methods. Such a treatment of using the burning incense(焚香, gandha-pradhupita) activities was prevalent in China, it had used the incense of the early esoteric scriptures seems to be similar to the treatment, after it leads to the treatment activity of the early esoteric monk Milbon(密本) and Hyetong(惠通) and it seemed to be a role of settled Buddhism.

      • KCI등재

        <혜통항룡(惠通降龍)〉의 치병(治病)과 구제(救濟)

        이강엽 ( Lee Kang-yeop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이 논문은『삼국유사』「신주(神呪)」편의 <혜통항룡〉에 나타난 질병의 퇴치 과정을 통해, 병자의 병을 치료하면서 치병자와 주변 인물, 나아가 중생을 구제하는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첫째, <혜통항룡〉의 서사구성의 상당부분이 독룡(毒龍)의 퇴치에 할애되고 있으며, 첫머리의 출가 이전의 이야기와 맨 끝에 있는 혜통의 불교사적 의미가 맞물린다. 혜통은 불필요한 살생에서 문제를 인지하고 스승을 찾아 해결책을 찾은 후 스스로 문제를 풀어나가지만, 독롱의 퇴치로 인해 더 심각한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치병을 넘어선 조치가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둘째, <혜통항룡〉은 치병에 그치지 않고 중생을 구제하고 깨침을 얻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 우선, 세 차례의 치병(治病)이 등장하면서 단계적인 진화를 보인다. 가장 낮은 단계에서는 병을 병자의 밖으로 내모는 데에 중심을 두다가, 다음 단계에서는 병자의 삶에 관심을 두면서 병의 퇴치와 함께 삶을 반성하게 하고, 맨 마지막 단계에서는 병마로 지목되는 대상을 찾아 위무하여 원을 풀고 화합하게 한다. 다음으로, 치병 과정에서 치병자 혜통 자신도 변하고, 나아가 그의 스승 무외나 그에게 도움을 청했던 정공 또 한 변화한다. 혜통은 처음 수달의 살생에서 촉발된 문제의식을 놓치지 않고 자기 병통을 씻어내기에 이르렀다. 무외는 변방 사람을 제자로 거둘 수 없다는 자기모순을 벗어나 금세 가르침을 베풀고 밀교의 전파에 성공한다. 정공은 치병에 성공함으로써 오만함을 보였다가 해원(解寃)한다. 셋째, <혜통항룡〉은 밀교사(密敎史)에서 혜통이 차지하는 위상을 드러내 보이면서 전체 주제에 맞닿게 짜여 있다. 밀본이 치병에, 명랑이 호국에 중점을 두었다면, 혜통은 치병을 하면서도 결과적으로 호국에 연결되도록 한 인물이다. 또, 초기 밀교에서 강조하던 현세이익적인 성격을 넘어섬은 물론, 신라 지역 이외에까지 밀교의 깨침을 전해 사람을 구제하고 만물을 교화하는 이상에 근접했다. 이처럼 <혜통항룡〉에서는 치병 행위를 중생 구제와 구도의 문제로까지 확대하면서 상생(相生)과 선린(善離)의 기치를 높여주는 작품이다.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s of a Healer, the people surrounding him in the course of curing patients of their diseases, and the relief provided to mankind through the process of disease termination specified in〈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in book 「Mystical Charm(神呪)」, 『Samgukyusa』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can be read as three parts. A considerable part of the initial descriptive co比position of it is devoted to the execution of a venomous dragon. He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pparent connection between the story before Hyetong became a Buddhist in and the meaning of his very existence in terms of Buddhist history. The second part provides relief to mankind and enlightens them by not letting them settle just for the remedy of diseases. In the initial phase the〈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 focuses on dispelling a disease from a patient and in the next phase, it helps the patient reflect on their life along with disease extermination with the focal point being the patient`s life. In addition, in the last phase, it gets the disease to vent its spite and to be harmonized with the patient by looking for and pacifying the object pointed out as the disease. Then, in the process of remedying the disease, the curer Hyetong himself undergoes a transformation, and his teacher Muwoe also known as Jeonggong, who asked Hyetong for assistance, is also transformed. In the third and final part the〈Buddhist Monk Hyetong`s bringing Dragon into Submission〉connects the entire theme while revealing the status of Hyetong in Esoteric Buddhism history. If Milbon put his focus on remedy for diseases, and Myeongrang on the defense of fatherland, then Hyetong is the figure who while curing a disease connected it to the defense of the fatherland.

      • KCI등재

        근대 증산교 치병담의 전승적 특징 -『대순전경(大巡典經)』 초판을 중심으로-

        박상란 ( Park Sang-ra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5 No.-

        본 논문은 증산교 치병담의 주요 서사 요소인 병인과 치료 방식에서 전래 치병설화의 모티프를 확인하여 그 전승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대상은 『대순전경』 초판본 수록 치병담이다. 먼저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 증산교 치병담은 전래의 치병설화에 근접해 있다. 신체적 쾌유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그렇다. 또한 서사 요소의 측면에서 병인으로서 원한 및 척, 치료 방식으로서 회개 및 대속 등은 치병설화와 공유하는 것이다. 이처럼 증산교 치병담의 전승적 특성은 질병과 치료에 대한 증산교의 관점에 기원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대순전경』 초판본의 형성 과정, 거기에 수록된 치병담의 서사 구조 및 요소의 특징을 고려하면, 증산교 치병담의 이러한 특성은 치병설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I examined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Remedy Narratives of Jeungsan-Gyo on the ba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elements shared with the Oral Remedy Stories in this thesis. First of all, in terms of narrative structure, the Remedy Narratives of Jeungsan-Gyo are close to the traditional Oral Remedy Stories. This is because it results in physical recovery. Also, in terms of narrative elements, grudge and hatred relationship as the etiology, and repentance and redemption as a treatment method are shared with Oral Remedy Stories. As such,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Remedy Narratives of the Jeungsan-Gyo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Jeungsan-Gyo perspective on disease and treatment. However, conside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first edition of Desunjeongyeo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Remedy Narrativ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contained therein,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Remedy Narratives of the Jeungsan-Gyo can b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influence of Oral Remedy Stories.

      • KCI등재

        무속에 나타난 질병관과 치병(治病)의례 유형

        조성제 남도민속학회 2023 남도민속연구 Vol.46 No.-

        이 글은 무속의 질병관과 치병의례와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무속에서 질병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무속에 나타나는 치병의 원인과 치병의례의 유형을 무속 중심의 사고로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 무속의 질병이란 결코 고립된 현상이 아니라 마을 전체에 내리는 재앙의 증후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모든 종류의 굿이 질병을 포함한 재앙을 물리치는 데 이바지한다. 병이 죽은 자와 산 자의 관계에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될 때 무속의 치병 목표는 이승과 저승 사이의 질서를 회복하는 데 있음은 자명하다이는 조상이나 잡귀의 상호소통과 관계 회복이라는 치유 방법이 무속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귀신관과 세계관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이는 무속의 치병의례가 다른 의례와 구분되는 특수한 절차를 갖지 않고 일반적인 굿 절차에서 특정한 굿거리가 더욱 강조된다는 것에서 확인된다. 무속의 모든 굿은 일정부분 예방과 치병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치병굿이라고 해도 일반 재수굿과 그 기본구조와 기능이 다른 것은 아니라, 일반 굿에다 개별적인 병자에 대한 배려로 공수나 주술행위에 추가된다는 특징이 있다. 치병굿이 지금까지 현존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 민족 특유의 사고방식뿐만 아니라 인류의 보편적이고 원초적인 사유형식이 반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haman's view of disease, healing rites, and types. In particular, how the disease is viewed in shamanism, and the cause of the disease and the types of healing rites appearing in shamanism are to be understood through shamanism-centered thinking. A disease in Korean shamanism is never an isolated phenomenon, but a symptom of a disaster that befalls the entire village. Therefore, all types of exorcism contribute to warding off disasters, including diseases. When it is judged that disease is caused by a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it is self-evident that the goal of shamanism is to restore order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world. This is because the healing method of mutu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restoration between ancestors and ghosts conforms to the universal view of ghosts and worlds in shamanism.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shamanic healing rite does not have a special procedure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ites, and the specific exorcism is more emphasized in the general exorcism procedure. All the shamanic exorcisms play a role in preventing and curing diseases. So, even if it is a gut that heals a disease, its basic structure and function a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a general luck gut. In addition to the general exorcism,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dded to word of god or witchcraft as a consideration for the individual sick. The reason why exorcism to heal disease is still present is probably because it reflects not only the unique way of thinking of our people but also the universal and primitive way of thinking of mankind.

      • KCI등재

        러시아 극동 우데게족의 치병(治病)의식과 치병용 신상(神像)의 문화기술지적 고찰

        엄순천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유럽사회문화 Vol.- No.29

        The Udege's notion of illness or death shows a different aspect before and after the acceptance of shamanism. Before the acceptance of shamanism, illness and death were caused by evil spirits attacking the soul and weakening it. However, after the acceptance of shamanism, illness and death became a phenomenon that occurred when evil spirits infiltrated the body, took the soul to the underworld, and took over the body instead. Before the acceptance of shamanism, the healing ritual was to exorcise the evil spirits that invaded the body, and rituals related to the human soul were not performed. These rituals include the Ilaonda ritual, the gun (arrow) ritual, and the Okjeoji ritual. After the acceptance of shamanism, a ritual to summon the soul is essential in the healing ceremony, and the healing ceremony for children and adults goes through different procedures. The children's healing ritual goes through a three-step process in which they exorcise the evil spirit from the body, go to sky god Tagu Mama, bring the soul Ome, and settle it in the body. The adult's healing ritual is gradually converted into a ritual to exorcise evil spirits, a ritual to summon a soul that has been separated from the body by an evil spirit, and a ritual to Kusalayanku, depending on the symptoms. There are Sebehi, Myonki, Amnyahu, and Jaikda among the Udege's healing statues. Each statue has a different role and function, and must be made according to the shaman's instructions. 우데게족의 병이나 죽음에 대한 관념은 샤머니즘 수용 이전과 이후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샤머니즘 수용 이전 병과 죽음은 악령이 영혼을 공격하여 영혼이 허약해졌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었다. 하지만 샤머니즘 수용 이후 병과 죽음은 악령이 육신에 침투하여 영혼을 하계로 데리고 가고 대신 육신을 차지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 되었다. 샤머니즘 수용 이전 치병의식은 육신에 침범한 악령을 퇴치하기 위한 것으로 인간의 영혼과 관련된 의식은 수행되지 않으며 일라온다 의식과 총(화살) 의식, 옥제오 지 의식이 대표적이다. 샤머니즘 수용 이후 치병의식에서는 영혼을 불러오는 초혼의식이 필수적이며 아이들과 성인의 치병의식은 다른 절차를 거친다. 아이들의 치병의식은 악령을 육신에서 퇴출시킨 뒤 상계 타구 마마에게 가서 영혼 오메를 데리고 와 육신에 안착시키는 3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성인의 치병의식은 증세에 따라 악령 퇴출 의식, 악령에 의해 육신을 이탈한 영혼을 불러오는 초혼 의식, 쿠살랸쿠 의식으로 단계적으로 전환된다. 우데게족 치병용 신상에는 세베히, 먀온키, 암냐후, 자익다가 있는데 신상마다 역할과 기능이 다르며 반드시 샤먼의 지시에 따라 만들어야 한다.

      • KCI등재

        <치병활인금척>과 <머슴의 꿈> 설화유형의한일 비교(2) -<머슴의 꿈> 설화를 중심으로-

        박연숙 한국구비문학회 2015 口碑文學硏究 Vol.0 No.40

        This research, as a follow-up study, compares two kinds of folktales, Chibyeong Hwalin Keumcheok and Farmhand's Dream, created based on the similar motif of a measuring rod healing incurable disease and bringing a dead person back to life, and the same types in Japan, investigates factors in common and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based on the results,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types and its relation with ‘Keumcheok (a golden measuring rod) folktales’. The previous study has analyzed the Korean and Japanese types of Chibyeong Hwalin Keumcheok, and this research investigates Farmhand's dream. The Korean and Japanese types of Farmhand's Dream can be summarized that the main character working as a farmhand boasts that he has had a big dream but has not accepted the noble’s request on disclosing its content, so he has come to be punished. However, as obtaining magic objects controlling life and death during the punishment, he comes to save lives of two noble women’s. Accordingly, he finally gets married to those women and lives in wealth and honor, which menas he ultimately realizes his dream. In this way, its contents are mostly common, but some part of its composition or factors, and the dream content of the main characters appear differently. When it comes to the subject, both types describe desires to achieve ideal life which is hard for ordinary males, the main transmitters, to realize in the reality, but they want to experience through dreams. In other words, what they dream of as ideal life is entering the upper class with extraordinary abilities, marry women from noblesse, and ultimately live in splendor by satisfying physiological needs and making stable family. In addition, they also try to acquire attitudes in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ideal life by depending on belief on the dreams, which shows two different senses of each nation, wisdom of life with aspiration and plenty of courage in Korean’s and wisdom of overcoming hardships through change in attitudes in Japanese’s. Accordingly, Farmhand's Dream and Chibyeong Hwalin Keumcheok are two different folktales, based on placing the focus on the realization of dreams in Farmhand's Dream and sharing magic objects for Chibyeong Hwalin in Chibyeong Hwalin Keumcheok, but shown differently in part. The western-type of this folktale, based on the realization of the dream, consists of a motif addressing dilemma not emphasizing magic objects for Chibyeong Hwalin, which is changed into ‘a measuring rod curing disease and bringing a dead person back to life’ and adds ‘Myeongeui (renowned doctor) folktale’ in the Korean’s. Subsequently, this part makes the final episode whose content is about saving lives of Korean Princess and daughters of the son of God, as the measuring rod and eventually realizing advancement in life. The two types of folktales concentrated on this research has been discussed as ‘Keumcheok folktale’ by causing confusion in the transmission system since ‘a golden measuring rod’, ‘dream’ and ‘curing disease and bringing a dead person back to life’ are all involved just like Keumcheok myths of Park, Hyeokgeose (progenitor of Silla) ․ Lee, Seong-gye (founder and 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y are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in part,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eventually makes their relations accurate. 이 논문은 불치병을 치료하고 죽은 사람도 살리는 자(尺)의 모티프를 공유하는 <치병활인금척>과 <머슴의 꿈> 설화에 대한 연구이다. 일본의 동일 유형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지역적인 상이점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금척설화’와의 관계도 해명해보려는 연구의 후속 작업이다. 이 논문에 앞서 <치병활인금척>의 한일 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번에는<머슴의 꿈>에 대하여 다루었다. <머슴의 꿈>은 남의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는 주인공이 대몽을 꿨다며 자랑만하고 그 내용을 알고자 하는 상류층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처벌을 받는 중에 생사를 관장하는 주보를 획득하여 고귀한 여성 둘의 생명을 살려 그 여성들과 결혼하여 부귀영화를 누림으로써 꿈을 실현하였다는 내용이다. 이처럼 설화의 내용에서 대부분 한일 모두 공통되며 일부구성이나 요소, 그리고 주인공이 꾼 꿈의 내용 등에는 차이를 보인다. 주제에 있어서는 두 나라 모두 주된 전승자인 서민 남성들이 현실에서는 이루기 어려운 이상적인 삶을 꿈을 통해 경험해 보려는 마음을 담았는데, 그들이 원하는 이상적인 삶이란 비범한 능력을 갖추어상류계층에 진입하고 고귀한 신분의 건강한 여성과 결혼하여 생리적 만족과 함께 안정된가정을 꾸려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이다. 또한 꿈에 대한 신앙에 의지하여 이상적 삶을 체험함으로써 삶의 자세를 터득하려고 하였는데, 한국의 설화에서는 포부와 두둑한 배짱을 가지는 삶의 지혜를, 일본은 기지에 의한 고난극복의 지혜를 가져야된다는 의식이 나타난다. 이처럼 <머슴의 꿈>은 꿈 실현을 주안으로 한 꿈 설화이며, 전설적인 성격을 띤 <치병활인금척>의 주보설화와는 치병활인주보를 공유하지만 별개의 유형이다. 이 설화의 서구형에서는 ‘꿈 실현’을 골자로 하면서 치병활인주보의 모티프 대신에 난제해결의 모티프가 구성되는데 그것이 한국의 설화에서는 ‘치병활인의 자’로 전환되어 있고 거기에 ‘명의설화’도 수용하여 자로 공주와 천자의 딸 생명을 살려 영달하는 후반부의 에피소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두 설화유형은 박혁거세 ․ 이성계금척신화와 함께 ‘금척’ ‘꿈’ ‘치병활인’ 등이 서로 얽혀 있고 얼마간의 수수관계를 가져서 전승 계통에 혼란을 야기하여 ‘금척설화’ 로 논의되었는데 이번 분석을 통해 그들의 관계는 분명해졌다.

      • KCI등재

        치병(治病) 관련 속신의식요(俗信儀式謠)의 치병 원리와 사설 구성과의 관계

        최자운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8 No.-

        When people’s health not good, They sing popular belief-ceremonial song on the cure. Because people don’t have any medicine, They treat a disease with folk remedies. In this article treats 4kinds of the popular belief-ceremonial song which is spread in Korea. First, When children have a tummy ache, their mother or grand mother sing touch on the tummy song(배 쓸어주는 노래). Because this song doesn’t have cause of the disease and treater, the character of the popular belief weak. This song have two kind of form. In order to calm children emotionally grandmother’'s hands is healing hands song sung. This song used as a assistance means of the treatment action. On the other hand, the song which sing Jarabae(자라배 소재 노래) is more concerned with the amusement than the treatment. So, Jarabae song become independent against treatment action. In order to remove the speck in one’s eyes children sing remove the speck in one’s eyes song(눈 티 없애는 노래). The singer consider a magpie will repay. They serve some food and then ask to magpie to remove the speck. Because children regard magpie Remove the speck. Remove the speck in one’s eye song(눈 티 없애는 노래) is more important than rub one’s eyes. When repel the ghost of a man who died while staying abroad people song ceremonial song which repel the ghost of a man who died while staying abroad. This ceremony consist of ceremonial song, some food and kitchen knife. This ceremonial song is made up call ghost, angry scolding and order. The singer is not non-professional exorcist. In order to keep another damage, they parade various ghosts, make their point clear do not repel deity of their village or family. When patient is a critical situation people sing Judangmaegi-norae(주당맥이노래). People do sham burial action like a beat down earth. Through the ham burial action Singer want to misfortune(煞) is lost natural. people do not sing long time. The cause of the disease influence popular belief-ceremonial song on the cure. 치병 관련 속신의식요는 사람의 몸에 이상이 생겼을 때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 글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면서 치병 원리가 대별되는 4가지 소리들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배 쓸어주는 노래는 주로 아이가 체했거나 소화불량 등의 원인에 의해 배가 아플 경우 어른이 배를 쓸어주면서 하였다. 이 노래에는 발병 및 치료 존재가 따로 나타나지 않는 관계로 전체 노래들 중 속신적 성격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이 노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그 중 ‘할머니 손은 약손이다’ 사설 소재 노래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주위 환기를 위해 부르되, 배를 쓸어주는 행위에 대한 보조적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반면, ‘자라배’ 사설 소재 노래는 치료에 대한 목적성 보다는 유희성만을 가졌기 때문에 배를 쓸어주는 행위에 대해 자립적으로 노래되었다. 눈 티 없애는 노래는 티가 들어서 눈을 뜰 수가 없을 때 스스로 눈을 비비거나 다른 이가 눈을 크게 해서 바람을 불면서 부른다. 이 노래의 주된 구연층인 아이들은 까치에게 음식을 제공하면서 눈에 든 티를 없애달라고 부탁하였는데, 여기서의 까치는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존재로 기능하였다. 눈에 티를 없앰에 있어 눈 티 없애는 노래는 눈을 비비는 행위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눈을 비비더라도 눈에서 티를 빼내주는 존재인 까치에게 부탁하지 않으면 행위 자체가 소용이 없기 때문이었다. 아울러, 아이들의 성장에 따라 부탁이 아닌, 조건이나 지시의 형태로 티를 빼달라고 하는 자료들이 나타난 것도 이 노래만의 특징 중 하나였다. 객귀 물림 노래는 잡귀잡신의 일종인 객귀가 사람의 몸에 들어와서 사람의 몸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단되었을 때 음식을 준비한 뒤 잡귀잡신을 쫓아내는 의례에서 불렸다. 이 노래는 객귀의 배를 채워줄 목적의 음식, 쫓아내는 용도의 식칼과 함께 객귀 물림 의례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였다. 객귀 물림 노래는 객귀에 대한 호명, 환자의 몸에서 얼른 나가라는 명령과 위협 등으로 구성되었다. 비전문 사제자가 축귀(逐鬼) 의례를 진행하는 관계로, 이 의례로 인한 제2의 피해를 막기 위해 자료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객귀를 나열하기도 하고, 또는 동신(洞神)이나 가신(家神)을 물리는 것이 아니라는 사설을 노래하기도 하였다. 주당맥이노래는 주당살이나 상문살 등의 살(煞)이 환자의 몸에 들어와 거의 죽게 되었을 때 달구질과 같은 모의매장행위 등을 하면서 부른다. 이 노래의 가창 방식은 교환창과 선후창이 있는데, 전자는 ‘오헤리 달구’와 같은 사설을 여러 사람들이 반복하고, 후자의 경우 달구소리를 원용 또는 주당맥이 관련 사설을 노래하기도 하였다. 주당맥이 의례의 치병원리가 환자가 죽은 것처럼 꾸며 병의 원인인 살(煞)이 자연스레 소멸되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행해지다 보니 다른 치병 관련 속신의식요들에 비해 전체 사설이 길게 노래될 여지가 적었다. 이상에서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치병 관련 속신의식요 네 가지를 살펴본 결과, 치료 행위를 결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은 병의 원인이었다. 몸에 이상을 일으킨 존재가 무엇이냐에 따라 그에 따른 의례 및 노래가 마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병의 경중(輕重), 가창자의 구연능력 등에 따라 소리별 사설 구성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

        醫員을 향한 多重的 視線과 他者的 慾望 - 치병설화에 나타난 醫員觀을 중심으로 -

        이인경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29

        This paper analyzed the various descriptive perspectives and insatiable desires of doctors, depicted in the old Korean Remedy Stories which are transmitted orally or included in book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storytellers were in awe of excellent doctors who had cured the patients' incurable diseases, and they had strong desires of contacting the excellent doctors and curing their own diseases, as well. In the old Korean Remedy Stories included in books, the narrators usually shows their jealousy of the doctors who had become successful in spite of difficult childhoods or poor financial situations resulted from their lowly status. Meanwhile, in the old Korean Remedy Stories transmitted orally, I found the patients' worries about the medical expenses or doctor's fee which they should pay. And, the stories, both transmitted orally and included in books, did show not only the doctors' having sense of inferiority and unstable ego-identity result from their low social status, but also their professional sense of duty and crisis as a doctor. Which presented through the various view points of the storytellers who had described the doctors' inward consciousness in the stories. Meanwhile, I found, in the stories, the inconsistent and improper ideas of the doctors that reflected the patients' selfish greed. The stories purported that doctors must have such professional sense of duty that they willingly take the sacrifice of giving up their own lives for saving the patient's life. Besides, the storytellers purported that the good doctors should properly give their medical services free for the patients, even though they used to look down on the doctors because of their low social rank. In conclusion, I found the old Korean Remedy Stories showed the self-contradictory and selfish desires for doctors such that the patients and storytellers want the doctors' medical services free, at the same time, they would despise the doctors because of low social rank. 본 연구는 문헌과 구비로 전승되는 치병설화에 나타난, 의원을 향한 전승자(서술자)의 다중적인 시선과 타자적인 욕망을 분석해 본 것이다. 그 결과, 치병설화에는 난치병이나 불치병을 치료하는 신의들에 대한 경외심과 그런 명의를 만나 병을 치료하고픈 병자의 열망이 강하게 드러나 있었다. 또한 문헌설화에서는 그런 긍정적인 시선만이 아니라, 본래 미천한 신분으로 태어나 매우 무식하고 가난했었지만 왕의 난치병을 치유하거나 신비한 약을 개발하여 일약 높은 벼슬자리를 얻거나 큰 부자가 되는 명의들의 인생역전극에 대한 질시와 폄하의 냉소적 시선도 드러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구비설화에서는, 의술을 仁術이 아닌 致富의 수단으로 여기는 부도덕한 의원의 탐욕을 신랄히 고발하는 비판적 시선이 드러나 있다. 이처럼 문헌설화의 서술자가 주목한 의원들과, 구비설화를 전승해온 민중이 마주치거나 상상한 의원들의 형상 사이에는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는데, 문헌설화에서는 미천한 신분에서 갑자기 출세한 명의들에 대한 질투가 드러나는 반면, 구비설화에서는 의원에게 지불해야 하는 치료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감이 짙게 투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문헌과 구비자료를 막론하고 치병설화에는 의원들의 자의식 분출을 서사적으로 재현하는 서술자의 시선을 통해서 의원들의 불안한 자아정체감과 신분적 열등의식 그리고 직업적 사명감과 위기의식을 다채롭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의 문헌설화에서 살펴본 의원을 향한 서술자의 냉소적이고 부정적인 시선에 비해, 상당히 온정적이며 긍정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한편 치병설화에는 의원을 향해 투사된 타자들의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욕망이 담겨있다. 즉, 의원이란 모름지기 자신의 목숨을 대신 내놓는 희생을 감수해서라도 반드시 병자를 살려내는 직업적 사명감을 지녀야 한다는 타자의 욕망이다. 또한 비록 그 자신은 평생 동안 절대적 빈곤과 싸우며 근근이 생계를 잇는 형편이었지만 언제나 무료진료에 적극 나서는 철저한 자기희생과 봉사정신을 갖춘, 民衆醫들을 칭송하고 열망하는 의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이처럼 치병설화에는, 의원들을 신분적으로 미천한 존재라며 폄하하면서도 그들의 도움은 무상으로 받고자 하는, 이중적이며 자기모순적인 타자적 욕망이 숨겨져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치병설화는 단순히 개인의 신체적 고통을 해결하는 개인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사회공동체가 해결해야 할 사회적 질병을 치유하는 仁德濟世의 上醫의 형상을 숙고하게 한다. 요컨대 사회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가는 이들을 바라보는, 보다 공정하고 온당한 시선을 진지하게 성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개혁개방 후 중국 소수민족 점복과 치병의례의 변화-중국 쓰촨성 이족 수니 사례를 중심으로-

        아주설화 비교민속학회 2023 비교민속학 Vol.- No.77

        The Yi people of Liangshan, who live in southwest China, believe in Bimo religion based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otem worship, natural worship and ancestor worship. Suni is one of the Bimo religion’s clerics who performs traditional augural and healing rituals by spirit possession. This essay studies how Suni’s augural and healing rituals have changed in Yi society of Liangshan under the process modernization.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e essay shows the process of becoming Sunis, Suni’s protective deities, shamanic materials, augural and healing rituals’ procedures firstly. Then it reveals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augural and healing rituals of Suni of Yi nationality of Liangshan at present. After the liberation of Yi society of Liangshan in 1950, especially between 1956 and 1978, the social status of the Sunis decreased dramatically due to the repressive policies against religions, and religious activities were almost impossible. After the reform and opening-up in 1978, Sunis were able to perform religious activity again due to a relatively relaxed political environment. The modernization process achie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reform and opening-up has brought about various changes as well as material wealth. And these changes have had an impact on Sunis. Suni’s augural and healing rituals emerged four characteristics, including commercialization, diversification, simplification and weakening of sanctity. By investigat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Suni augural and healing rituals, this paper replenishes the related research of Suni of Yi nationality of Liangshan and supplements the ethnographic data of ethnic minority folk religion in Southwest China. 중국 쓰촨성(四川省)에 거주하는 양산 이족(Liangshan Yi, 凉山彝族)은 영혼불멸, 토템숭배, 자연숭배, 조상숭배를 기반으로 한 피모교(畢摩教)를 신봉한다. 수니(ꌠꑊ)는 피모교의 성직자이며, 신내림을 통해 점복과 치병의례를 행한다. 이 글은 중국 소수민족 중 하나인 양산 이족의 민속조사를 바탕으로 급격한 현대화 과정을 겪고 있는 이들 사회 속에서 전통적인 종교 실천의 하나인 점복과 치병의례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 양산 이족 사회의 해방 이후, 특히 1956~1978년 사이, 중국 정부의 소수 민족 종교에 대한 억압으로 수니의 사회적 지위가 급격히 하락했으며 이들의 종교활동은 여러 제약을 받았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이들의 활동에 대한 제약이 느슨해지고 수니의 종교활동도 다시 가시화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렇게 재등장한 수니의 점복과 치병의례에는 그간 진행되어온 현대화 과정 속의 물질적인 변화들이 함께 했다. 본 연구는 양산 이족 수니의 입무과정(入巫過程), 보호신, 무구, 점복과 치병의례의 진행 절차에 관한 민속조사를 바탕으로 현대화 과정 속의 수니의 점복과 치병의례를 ‘상품화, 다양화, 단순화, 신성함의 약화’라는 점에서 파악하였다. 수니의 점복과 치병의례의 변화에 대한 고찰은 양산 이족 수니와 관련 기존 연구를 보완하는 한편, 중국 서남지역 소수민족 민속신앙에 대한 민족지 자료를 풍부하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