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곽현주,김영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 예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효과를 나타 낸 변인들을 생리적 효과 변인군, 신체기능 효과 변인군, 심리적응 효과 변인군, 행동적응 효과 변인군, 사회적응 효과 변인군으로 분류한 뒤 메타분석을 통하여 치료효과 변인군들 의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예술치료 효과의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변인군은 신체기능효과 변인군을 제외한 모든 변인군들이 유 의한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응 효과 변인군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 다음이 행동적응 효과 변인군, 사회적응 효과 변인군, 생리 적 효과 변인군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의 예술치료의 효과를 검 증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 정리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 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예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비슷한 변인에 대한 연구 들이 반복되는 비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의 통합적 분 류를 위한 기초 작업에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size of art therapy effectivenes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over the last 10 years in the categories of the variable groups of physiological function effect, physical function effect, psychological adaptation effect, behavioral adaptation effect and social adaptation effect through a meta-analysis.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include: What is the effect size of art therapy effectiveness? As for the variable groups regarding the art therapy effectiveness, all variable groups except physical function effect variable groups had a significant effect size.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size, psychological adaptation effect variable group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behavioral adaptation efffect variable group, social adaptation effect variable group,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effect group in order.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made an attempt for quantitative integration to draw objective results by integrating and organizing the studies over the past 10 years which suggested the foundation for the works to reduce the inefficiency in repeating the studies on the similar variables and the integrative classification of a wide range of variables in similar kinds regarding the effect of art therapy.

      • KCI등재

        국내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채은영 ( Eun Young Chae ),정문주 ( Moon Joo Cheo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집단 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마련하고 그에 따라 실제 임상 현장에서 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요약·정리 할 수 있는 메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최근 10년간의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종합·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30편(효과크기 293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체 평균 효과크기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전체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분류별 효과크기를 분석해 본 결과 게임놀이, 치료놀이, 놀이 활용, 표현예술놀이, 놀이치료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변인과의 효과 크기를 분석해 본 결과 아동 개인 변인, 양육자 변인, 관계 변인의 순이었다. 중재변인으로서 연구대상을 중·고, 영·유아, 초등학생으로 분류한 후 놀이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효과크기는 중·고등학생, 영·유아, 초등학생의 순이었다. 총 회기 수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크기는 10~20회기, 20~30회기, 10회기 미만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1회기 당 시간(분)을 범주화하여 각 효과크기와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30분 이상에서 40분미만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마지막으로 출판연도를 연속 변인으로 코딩한 후 각 연도에 따른 효과크기를 회귀 분석하였는데 학술 논문에 있어서 최근 연도일수록 과거에 비해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상승한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gathering data, when engaged in group play therapy in the fields, and to also gather empirical data on th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For this purpose, we synthesiz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programs over the last ten years, using a meta-analysis-a systematic approach, by using summaries and reviews of the previous literature. We analyzed the studies published in major nations, 30 studies(effect size samples n= 293), were chosen, using meta-analysis. Group play therapy program groups showed much more significant effects than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the effect siz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play therapy program type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 sizes in order of the game play, theraplay, using play, expressive-arts play, and play therap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s in this group play therapy program and relate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 sizes in order of the infants individual variables, rearer variables, and related variables. Th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or infants, and thes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The effect size order was as follows; high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fants, and elementary stud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10~20 sessions, 20~30 sessions, under 10 sessions to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total program sess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order of whether there were 10~20 members, 20~30 members, under 10 members to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total subject members. Lastly, after coding the published years to integers, inputting variables and then doing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blished years, there were also clear improvements observed on the effect sizes.

      • KCI등재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웃음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강지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nds of laughter therapy in Korean journals an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laughter therapy in Korean Journals. Methods: KISS, DBPIA, KERI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as searched for relevant journals by using the following key words ‘laughter treatment’, ‘laughter intervention’ and ‘laughter therapy’. 18 journ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CMA ver 2.0 and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effect size of laughter theray was 0.722. 2) The sub-group effect size were emotional(0.912), psychological(0.735), social(0.643), psycho-somatic(0.600), physiological(0.464), physical(0.389), behavioral(0.275) by each. 3) As the laughter therapy program, the effect size of only laughing therapy was larger than parallel therapy and the effect size of 4 step program was larger than 3 step program. More program in a week was larger effect size of laughter therapy. Conclusion: It might be useful for this study to review systematic research on laughter therapy in Korean journals. Laughter therapy was also effective therapy for people and develop program based on knowledge from laughter therapy research. 본 연구는 웃음치료의 전체 효과크기와 영역별 효과크기 및 웃음치료 프로그램 특성별 효과크기를 확인하여 임상간호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간호중재로써 웃음치료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학술정보, DBPIA(누리미디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 검색엔진에서 웃음치료, 웃음중재, 웃음요법을 주제어로 검색된 학술지 논문 중 메타분석이 가능한 18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웃음치료의 전체 효과크기는 0.722로 매우 컸다. 둘째, 웃음치료의 영역별 효과크기는 정서적(0.912), 정신적(0.735), 사회적(0.643), 신체화(0.600), 생리적(0.464), 신체적(0.389), 행동적(0.275) 영역 순이었다. 셋째, 웃음치료 프로그램 특성에서는 웃음요법이 주요법인 경우(0.644)가 병행요법인 경우(0.438)보다 효과크기가 컸으며, 프로그램 구성에서도 4단계구성(1.923)이 3단계구성(0.720)인 경우보다 효과크기가 컸다. 또한 주당 운영횟수가 많을수록 웃음치료의 효과크기가 컸다. 웃음치료는 전체 효과크기가 매우 크고 특히 정서적 영역, 정신적 영역에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을 확인하여 간호중재로써 보완대체요법 중 하나인 웃음치료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웃음치료 프로그램 특성에 대한 효과크기로 웃음치료가 주가 될 때, 주당 운영횟수가 많을수록, 프로그램에서 목적을 분명히 하고 구체적일 때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웃음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로 근거의 축적과 웃음치료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표준화 및 근거제시를 추후연구로 제언한다.

      • KCI등재

        국내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그룹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허영주(Heo, Yeong-Ju),전병진(Jeon, Byoung-Jin),장종식(Jang, Jong-Sik),장우혁(Jang, Woo-Hyuk)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그룹치료 연구들을 수집 분석하여 그룹치료의 특성과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3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Cochrane Library의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 그룹치료의 효과크기(1.48)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하위중재별 효과크기에서 미술치료(1.81)와 음악치료(1.19)는 큰 효과크기를, 작업치료(0.54)는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다. 효과변인 별 효과 크기는 우울(1.76), 삶의 질(1.53), 자아표현통합감(1.38), 인지기능(1.31) 순으로 큰 효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그룹치료 효과성을 토대로 작업치료의 임상 현장에서 복합중재를 적용한 그룹치료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therapy and the effects of treatmen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group therapy stud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 We selected 23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rom 2009 to 2019 as the subjects of our analysis through databases in Korea. We derived the effect sizes using RevMan 5.4 software by Cochrane Library. Results : The effect size of group therapy(1.48)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art therapy(1.81) and music therapy (1.19) showed a larger size, while occupational therapy(0.54) showed intermediate treatment effect size. The effect sizes of each e ffect variable were s ignificant in the o rder o f depression(1.78), quality of life(1.53), Ego-integrity(1.38), and cognitive function(1.31). Conclusion :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therapy in this study, group therapy research applied with complex interventions at the clinical practices of occupational therapy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초등학생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홍성란,유형근,김현경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 ·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평균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지,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종속변인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지, 또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처치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 부터 2009년까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중 효과크기 산출이 가능한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79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미술치료가 정서영역에서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학년별 효과크기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대상특성별 효과크기는 부적응 아동에세 미술치료를 적용했을 때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에서는 7명 이하, 8~19명, 20명 이상의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총 시행 회기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16~20회, 21회 이상, 11~15회, 10회 이하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기당 시행시간에 따른 효과크기는 60분미만, 처치기간은 13주~16주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활용도를 높이고, 향후 효과적인 미술치료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과 더불어 더 발전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의 설계 및 수행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음악치료 효과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성인ㆍ노인을 중심으로

        김현주,박성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4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지난 10여년 간(2000년 1월∼2013년 7월) 음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효과를 나타낸 변인들을 심리변인군(억제, 강화), 신체변인군, 생리변인군, 사회성변인군, 인지변인군으로 분류한 뒤 메타분석을 통해 치료효과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분석했다. 또한 대상(성인, 노인)과 대상유형(정신심리, 신체생리, 사회적응)에 따라 효과크기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모든 변인군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을 나타났으며, 심리변인군-억제기능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심리변인군-강화기능, 사회성변인군, 신체변인군, 생리변인군, 인지변인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에 따른 효과크기는 심리변인군의 억제기능과 강화기능, 사회성변인군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변인군-억제기능에서 통합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성인, 노인 순이었다. 심리변인군-강화기능에서는 성인, 노인 순으로 나타났고 사회성변인군에서는 성인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통합, 노인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심리변인군의 억제기능과 강화기능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변인군-억제기능에서 정신심리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사회적응, 신체생리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변인군-강화기능에서는 정신심리, 사회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variables that showed therapeutic effect in the music and therapy studies conducted over the last 10 years from Jan 2000 till Jul 2013 were categorized into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physiological variable group, social variable group, cognitive variable group and then the effect of the therapeutic variables were analyzed and measured using meta-analysis.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effect in conjunction with subject(adults, senior citizens) and subject types (mental psychology, physical physiology, social adjustment)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all variable groups had significant effect. Of them,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suppress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variable group-enhancement, socal variable group, physical variable group, physiological variable group and cognitive variable group. With regard to the effect by subject,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uppression, enhancement and social variable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integration in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uppress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in the order of adults and senior citizens. In psychological variable group-enhancement, adults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senior citizens. In social variable group, adults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in order of integration and senior citizens. With regard to the effect by subject typ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uppression and enhancement showed significant effect, and mental psychology in psychological variable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in the order of social adaptation and physical physiology. In psychological variable group-enhancement, mental psychology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social adaptation.

      • KCI등재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국내 학위논문의 메타분석

        임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200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하여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결과들을 통합하고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변인들을 음악치료 전공여부에 따라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상은 71편의 음악치료 관련 사전·사후 실험 연구물로 최근 10년간 국회도서관, 한국교원학술정보원,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학위논문이었다. 분석자료는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관련변인을 기준으로 연구자 및 대상자 특성, 독립(중재)변인, 종속변인, 측정도구, 중재기간(총/주당) 및 횟수(1회당 처치시간), 통제(비교)집단의 처치유형, 음악 제시유형(선호/제시, 생음악/녹음), 세션유형(개별/집단)이었으며, 이를 토대로 전체 평균 효과크기와 음악치료 전공여부에 따른 각 변인의 평균 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71편에서 22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90이었다. 이는 정상분포곡선 하에서 82%에 해당하는 것으로 Cohen의 효과크기 기준으로 볼 때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것이었다. 음악치료 전공여부에 따른 결과는 전공자의 연구물( .97)이 비전공자의 연구물( .85)보다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자의 연구물에서는 대상연령, 회당 세션(처치)시간, 비교집단 처치에서 변인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전공자의 연구물에서는 중재변인, 종속변인, 세션 총 횟수와 회당 세션(처치)시간, 비교집단처치, 음악제시, 측정도구에서 변인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편, 전공여부가 각 중재변인의 효과크기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results concerning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based on whether or not the researcher was a music therapy majors or not.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71 theses in Korea submitted within the last 10 years. Results from these studies have indicated that music therap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with a mean effect size of 0.90 and with an overall effect size of 0.70 after applying inverse variance weights. The studies conducted by music therapy majors yielded a larger effect size(0.97) than those by non-music therapy majors(0.8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tudies by music therapy maj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subject age, session times, and the type of control group intervention were measured. Among the studies conducted by non-music therapy maj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ys musical activities, independent variables, session length and times, the type of control group intervention, and music type preferred or exposed to were measured. The interaction of both types of researchers and music activities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ffect size.

      • KCI등재

        연극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신동인(Dong-In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연극치료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보다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연극치료의 실행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시행된 연극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개별연구들을 메타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2021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연극치료의 효과성과 관련된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등을 검색하여 이루어졌고, 구체적 선정기준에 따라서 최종 18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메타분석 통계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치료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은 평균효과크기가 1.325, 우울·불안은 –1.230, 스트레스는 1.025, 사회성은 1.018, 정서지능은 0.907, 심리적 안녕감은 0.897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연극치료의 효과성이 조절변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의 효과크기에 있어서 ‘대상자의 특성(아동·청소년 or 성인)’, ‘총회기수(10회 미만 or 10회 이상)’, ‘연극치료유형(복합연극치료유형 or 공연중심 연극치료유형)’ 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향후 연극치료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효과성의 종속변수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인대상, 총회기수는 10회 이상, 공연중심의 연극치료유형 등을 보다 확대해서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연극치료의 실행방안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rama therapy in Korea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June, 2021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18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drama therapy were ES=1.325 of self-esteem, ES= -1.230 of depression and anxiety, ES= 1.025 of stress, ES=1.018 of sociability, Es=0.907 of emotional intelligence, ES= 0.897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by analysing the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drama therapy, adult, the number of session ‘performance based drama therapy’ of self este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study results, the drama therapy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in Ko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아동학대의 예방적 개입과 치료적 개입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지현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23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예방적 개입과 치료적 개입에 관한 효과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을 통한 검색과 논문 분류기준을 통해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에 관한 논문 10편, 아동학대 치료 및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논문 19편이 최종 분류되었다. 이들 논문에서 각각 28개, 63개의 소연구가 도출되었으며 메타분석은 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값은 0.667로 중간 효과크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아동학대 인식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아동학대 행동 및 잠재성, 인성, 부정적 정서행동요인, 긍정적 정서행동요인 순으로 중상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적용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운영시간과 운영회기 수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학대 치료 및 중재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 값은 1.68로 나타나 큰 효과크기에 속하였다. 치료 및 중재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인지행동치료, 미술치료, 게임놀이치료, 치료놀이, 현실요법, 놀이치료, 무용치료 순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집단 간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아동학대의 예방 및 치료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향후 프로그램 수립 및 운용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아동기 외상에 대한 국내 심리 치료 개입 효과의 메타분석

        김혜영,박성옥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7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0 No.1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size of domestic psychotherapy on childhood traum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29 theses were selected through 4 databases. 185 effect size values exacted from the theses used meta-analysis program to calculate the whole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of domestic psychotherapy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 and continuous variable. The effect sizes of trauma type are as follows: escaping from North Korea, multiple abuses, physical abuse, bullying at school, overindulgence, and rape. As a result, the effect size for the whole program turned out to be 0.004, which is very effective. As compar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sychotherapy program, the most effective program in order as follows: reality therapy, music therapy, integrative arts therapy, literature therapy, art therapy, play psychotherapy, and group counseling.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are as follows: emotional control, self-control, aggression, self-concept, relationship, behavior, emotionality, communication, peer group, social skill, PTSD, school adjustment, inconstant emotion. In addition, as the session continues, the effect size gets bigger, and as the longer the operating time, the smaller the effect size. As based on such study result, this thesis offers implications to apply psychotherapy on childhood trauma, and points out the direction of the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아동기 외상에 대한 국내 심리 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된 자료에서 총 2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에서 추출한 총 185개의 효과 크기 값은 메타분석 프로그램인 CMA를 이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범주형 변인, 연속형 변인에 따른 국내 심리 치료 개입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값은 0.994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유형에 따른 효과 크기는 탈북, 중복학대, 신체학대, 학교폭력, 방임, 성폭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값을 비교한 결과 현실치료, 음악치료, 통합예술치료, 문학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집단상담 순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정서조절, 자기통제, 공격성, 자아개념, 관계성, 행동&정서성, 의사소통, 또래관계, 사회성기술, 외상후 스트레스, 학교적응, 부정정서 순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행회기가 길수록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고, 운영시간이 길수록 효과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아동기 외상에 적용하는 심리치료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였고 후속 연구방향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