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현기,최인호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델을 기반으로 비행체 날개를 최적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잘 구축된 축소모델은 고유치 문제나 동적 해석 시 정확한 해석결과를 제공하며, 최적화 과정에서 필요한 민감도 계산에서도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축소모델은 모드기반으로 구축되는 축소차수모델(Reduce Order Model)과 자유도기반으로 구축되는 축소시스템(Reduced System)으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자유도 기반 축소시스템은 구조물의 거동에 지배적인 자유도를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 신뢰성이 검증된 2단계 축소방법을 사용하였고, IRS(Improved Reduced System)에 의해 최종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수치예제에서 최적화 과정에서 계산되는 등가응력, 고유치 및 설계민감도는 모두 축소시스템 기반으로 구해지며, 축소시스템을 통해 구속조건을 잘 만족하면서 목적함수에 대한 최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optimization of wing structure base on reduced model which assures the solution accuracy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Well-constructed reduced model assures the accurate result in the eigenvalue problem, dynamic analysis or sensitivity of design optimization. Reduced system is classified into the reduce-order model based on structural modes and the reduced system based on degrees of freedom. Because this study uses the reduced system based on degrees of freedom,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dominant degrees of freedom properly. For this work, robust selection method, two-level selection scheme, is employed and IRS(Improved Reduced System) is applied to construct the final reduced system. In the optimization process based on the reduced system, all of the equivalent stress, eigenvalue and design sensitivities are calculated from the reduced system. Through a numerical example, it is shown that the present optimization methodology based on the reduction method can provide an optimal results for objective function satisfying constraint condition.
김희연,이삼수,홍성조 대한건축학회 202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1 No.2
인구감소 추세에 따라 축소도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축소도시에 대한 기존연구는 총인구 중심이며, 공간적 관점에서 바라본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축소도시에서 기능적축소지역을 도출하고, 이 지역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공주시, 남원시, 청도군을 대상으로 AMOEBA 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기능적축소지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건조지역의 약 60% 가량이 기능적축소지역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축소지역의 공간적 분포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The increasing trend of population decline has heightened interest in shrinking cities. However, most studies on shrinking cities focus on totalpopulation, with limited attention to spatial aspects. This study identifies functional shrinkage areas within shrinking cities and analyzes theirspatial distribution. Using AMOEBA clustering, functional shrinkage areas were identified in Gongju-si, Namwon-si, and Cheongdo-gun. Theresults indicate that approximately 60% of built-up areas are functional shrinkage zone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built-up ratio and the service population in these areas. A common pattern of shrinkage was observed, beginning at the outskirts of cities,although variations existed between cities. In Gongju, functional shrinkage was observed internally. In Namwon, areas with high shrinkagepotential we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uilt-up area. In Cheongdo, shrinkage was most pronounced in outer regions.
스마트 축소를 위한 경기도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남지현,조희은,안성진,강희건 경기연구원 2020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역세권은 첨예한 용적률 상승과 복합화, 입체화 과정을 거쳐 빠르게 변화해온 도시개발 과정의 총체적 역사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앞으로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인 장소에 분배하는 것은 앞으로의 도시계획전략에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그동안 역세권의 개발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결핍에 주목하여 역세권에 무엇을 보충하여 지역 주민들의 생활의 질을 높일 것인지 그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급할 시설들을 결정하는 전략이 필수적이다. 스마트 축소는 2010년대 이후 축소도시 연구의 최근 경향에서 언급되고 있는 도시전략으로서 과잉공급된 토지를 관리하는 것부터 빈집 및 유휴공간 관리, 불필요한 과잉공급 자원을 정비하고 미래에 필요한 공공시설로 재정비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축소전략을 역세권에 적용해야 하는 이유는 역세권은 이러한 미래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도시의 핵심적인 자원이며 개발이득과 관련한 많은 이해관계자의 갈등이 집약적으로 모여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구감소 시대에 한정된 자원을 최적의 입지에 공급하는 스마트 축소전략을 검토하고 이러한 전략을 역세권의 지역 특성에 따라 적용하기 위하여 지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역세권의 유형을 지역 레벨과 역세권 레벨로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다. 지역 레벨로는 쇠퇴도를 측정하는 인구, 산업체, 건축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역세권의 경우는 유동 인구를 포함하여 주변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로 6개 클러스터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지역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역세권의 유형별 스마트 축소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tation area is a space that shows the overall history of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 that has rapidly changed through a sharp rise in floor area ratio, complexization, and three-dimensionalization. As population declines and aging progresses in the future, distributing limited resources to effective places will be the most important priority for future urban planning strategies. In the meantime,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station area, it is essential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ve shortage of the station area and decide what facilities should be su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local residents. Smart shrinkage is an urban strategy that has been mentioned in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on reduced cities since the 2010s, from managing excess land to managing vacant houses and idle spaces, reorganizing unnecessary excess resources, and rearranging them into public facilities needed in the future. it means. Summarizing the existing smart city planning strategies, the appropriate scale plan, location plan, vacant house, green space of idle land, and doctor support system for vacant land management, regenera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supply of attractive plac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creation of public spaces. The reason why this smart shrinkage strategy should be applied to the station area is that the station area is a core resource of cities that must actively respond to these future demands and is a space where conflicts of many stakeholders related to development gains are concentrated. In this study, the smart reduction strategy to supply limited resources to the optimal location in the era of population decline was reviewed, and in order to apply this strategy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area, the types of station area were classified based on regional level and station area level. At the regional level, it was classified into 9 types based on the population, industry, and building data measuring the degree of decline, and in the case of the station area, it was classified into 6 clusters as data that could identify surrounding resources including the population using st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we suggested some alterative strategies to apply smart reduction strategies for each type of station area.
이승수(Seung-Soo Lee),염기원(Ki-Won Yeom),박지형(Ji-Hyung Park),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5 No.5
문장 축소란 원본 문장의 기본적인 의미를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단어나 구를 제거하는 일련의 정보 압축 과정을 의미한다. 기존의 문장 축소에 관한 연구들은 학습 과정에서 대량의 어휘나 구문적 자원을 필요로 하였으며, 복잡한 파싱 과정을 통해서 불필요한 문장의 구성원(예를 들어, 단어나 구, 절 등)들을 제거하여 문장을 요약하였다. 그러나 학습 데이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어휘적 자원은 매우 한정적이며, 문장의 모호성과 예외적인 표현들 때문에 구문 분석 결과가 명료하게 제공되지 않은 언어에서는 문장요약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문 분석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템플릿과 품사 정보를 이용한 문장 축소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요약문의 구조적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문장 축소 템플릿(Sentence Reduction Templates)과 문법적으로 타당한 문장 구조를 구성하는 품사기반 축소규칙(Grammatical POS-based Reduction Rules)을 이용하여 요약 대상 문장의 구성을 분석하고 요약한다. 더불어, 문장 축소 템플릿 적용 시 발생하는 연산량 증가 문제를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 Hidden Markov Model)의 비터비 알고리즘(Viterbi Algorithm)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문장 축소 방법의 결과와 기존 논문의 연구 결과를 비교 및 평가함으로써 제안하는 문장 축소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한다. A sentence reduction is the information compression process which removes extraneous words and phrases and retains basic meaning of the original sentence. Most researches in the sentence reduction have required a large number of lexical and syntactic resources and focused on extracting or removing extraneous constituents such as words, phrases and clauses of the sentence via the complicated parsing process. However, these researches have some problems. First, the lexical resource which can be obtained in learning data is very limited. Secon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entence to languages that have no method for reliable syntactic parsing because of an ambiguity and exceptional expression of the sentenc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the sentence reduction method which uses templates and POS (part of speech) information without a parsing process. In our proposed method, we create a new sentence using both Sentence Reduction Templates that decide the reduction sentence form and Grammatical POS-based Reduction Rules that compose the grammatical sentence structure. In addition, We use Viterbi algorithms at HMM (Hidden Markov Models) to avoid the exponential calculation problem which occurs under applying to Sentence Reduction Templates. Finally,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acceptable result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entence reduction methods.
인구와 경제를 고려한 도시축소(urban shrinkage) 진단 및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김상민(Sangmin K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5 No.5
최근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다각적 대응정책 및 제도적·재정적 지원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여전히 지역에서는 효과적 대안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인구감소와 지역의 사회적·경제적 침체 문제는 비단 우리나라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해외에서는 ‘도시축소(urban shrinkage)’의 개념을 활성화시켰다. 이에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해당 국가의 도시축소 실태를 분석하거나,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본 연구는 도시축소가 가져올 수 있는 지역의 복합적 문제 발생에 대한 대응 필요성을 전제로, 인구와 경제활동의 축소로 인한 축소도시들을 진단하고, 축소도시와 비축소도시간 사회경제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특히 인구와 경제의 측면에서 같은 축소도시로 분류된 도시라고 하더라도 사회경제적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회·문화·복지·교육·의료 등 7개 부문 11개 변수를 선정하여 종합적 측면에서 축소도시들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비교적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축소도시들은 인구 및 총사업체수 측면에서의 수축현상 이외에도 의료 측면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축소도시들이 비축소도시들에 비해 열악한 여건에 놓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축소도시들의 경우 향후 사회복지 및 물리적 환경개선과 관련된 서비스 수요증가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재정적 측면의 자립성이나 사회복지 예산비중은 매우 낮은 이중적 위기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축소도시들이 안고 있는 복합적 측면에서의 공공서비스 공급 부족 및 서비스 질 저하 현상은 향후 인구감소 및 경제적 수축 현상에 더욱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악순환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선정된 76개 축소도시들을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유형화한 결과 크게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4개 유형은 인구규모, 인구 및 총사업체수의 변화율, 사회·문화·복지·교육·의료 전 영역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축소도시들이 단순히 천편일률적인 인구활성화 시책을 추진하기보다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여건 및 실태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정된 자원과 예산을 고려한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purposes to diagnose shrinking cities in terms of population decline and economic activity, then comparatively evaluate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between shrinking cities and non-shrinking cities. Since even cities classified as shrinking cities may exhibit differen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is study classifies shrinking cities in terms of a variety of socio-economic variables including society, culture, welfare, education, and medical care. The results show that the selected 76 shrinking cities are in worse conditions than non-shrinking cities in all areas only except for medical care. This means that shrinking cities are highly likely to face a double crisis: fiscal austerity and a very small portion of the social welfare budget on one hand, and the expected increase in demand for social welfare and improvement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n the other. Additionally, the cluster analysis categorizes those 76 shrinking cities into four types and these four types of shrinking citi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not only in terms of the rate of change in population and the total number of businesses but also in all areas of society, culture, welfare, education, and medical ca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ather than simply pursuing uniform policis focusing on population and economic decline, shrinking cities need to undertake a thorough analysis of local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problems, and then utilize a strategy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under limited resources and budget constraints.
문려화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4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2 No.-
本稿以崔順姬(2002)爲基礎,在韓中同形異義詞當中選出100個意義縮小的漢字詞,進行了補充硏究。首先擧出學習者在使用同形異義詞當中出現的錯誤例子,幷조出其産生原因。進而對100個意義縮小的漢字詞進行了意義差異的對比和分析硏究,조出了意義縮小的一定規律;1、在韓中同形異義詞當中意義縮小的漢字詞大部分是以基本意義縮小的。2、在中國廣泛使用的漢字,在韓國縮小爲特定范圍使用的漢字。3、在韓中同形異義詞當中縮小爲除基本意義以外的含蓄意義的漢字詞只占了小部分。通過以上硏究試圖조出更加有效的漢字詞的敎學方法。(北京工業大學)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편의에 미치는 영향
김경태 한국공인회계사회 201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5 No.2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특정 시기의 부채 축소 관행으로 인해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저하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미 증권거래위원회(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는 기업의 단기 부채 축소 관련 추가 정보의 제공을 통해서 정보이용자들이 추가적인 투명성의 수혜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정 시기의 일시적 부채 축소와 관련된 세부 정보 제공이 실제 정보이용자들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본 연구는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이 정보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기업의 재무 위험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채 관련 정보에 대한 공개 범위의 결정 및 공개 범위의 확대 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사안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용할 수 있는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 정보를 이용해서 정보이용자들이 실제 의사 결정에 있어서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 정보를 이용하고 있는가를 재무분석가의 측면에서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업의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편의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편의 간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외부감사인의 분기보고서 검토 제도의 영향을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의 부채 축소 관행은 재무분석가의 비관적인 이익예측 편의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표본을 분기보고서 검토를 실시하는 기업 표본과 분기보고서 검토를 실시하지 않는 기업 표본으로 나누어 각각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기보고서 검토를 실시하지 않는 기업 표본에서만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이 재무분석가의 비관적 이익예측 편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분석가가 기업의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에 대해서 부정적인 반응을 하며, 동시에 해당 기업이 분기보고서에 대한 검토를 받는 경우에는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에 대한 비관적인 반응이 완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전체 표본을 각 년도 별로 연말 기준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 표본과 낮은 기업 표본으로 나눈 후에 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재무분석가들은 부채비율이 높고 외부감사인의 분기보고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는 기업의 일시적 부채 축소 관행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양한 이익예측 편의 변수를 도입한 후에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정 시기의 일시적 부채 축소와 관련된 세부 정보 제공의 효과를 정보이용자 가운데 전문가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재무분석가 측면에서 검증하여 본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analyst forecast bias and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in comparison with earlier quart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because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may decrease the negative effect of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on analyst forecast bias. 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and analyst forecast bias. And, this paper also tests the effect of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and analyst forecast bia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associates with pessimistic analyst forecast. Second,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lowers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and analyst forecast bias. These result indicate that analysts negatively respond to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and the review of the quarterly financial statements mitigates analyst forecast bias. This paper also tests the association between temporarily lower debt level and analyst forecast bias after introducing many types of analyst forecast bias variables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e results show the main results robust.
약관에 있어서 효력유지적 축소해석 – 독일법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화 한국민사법학회 2018 民事法學 Vol.82 No.-
Brennpunkt im Rahmen der Auseinandersetzung der AGB. Sehr heftig wird dieses Thema im Zusammenhang mit der deutschen AGBG diskutiert. Diese bedeutet es, dass vielfältige Ansichte bezüglich dieses Thema in langem Zeitraum behauptet wurden. Der Schwerpunkt dieser Auseinandersetzung ist darauf zurückzuführen, dass der Grundsazt über die Teilnichtigkeit im BGB nicht im AGBG gelten darf. Vielmehr wird dieser Grundsatz so verändert, dass die reste Klausel in AGB ohnehin fortbestehen, falls einer der AGB-Klauseln wegen der AGB-Kontrolle nichtig wird. In diesem Zusammenhang wird foglende Frage gestellt, ob im Rahmen des einzelnen Klausels der AGB diese Grundsatz der AGB hinsichtlich der Teilnichtigkeit unverändert geltend bleiben soll.Diesbezüglich bestehen zwei gegenüberstehende Ansichten, die sich darumdrehen, ob geltungserhaltende Reduktion im Rahmen des einzelnen Klausels erlaubt werden soll, oder nicht. Die Ansicht, die sich gegen die geltungserhaltende Reduktion ausspricht,besagt, dass die geltungserhaltende Reduktion allgemeine präventative Ziel imAGBG beschädigen könnte. Mit dieses rechtliches Mechanismus könnte der Verwender ohne Sorge seine AGB benutzen, die gegen die AGB-Kontrolle verstoßen. Demgegenüber besteht derartige Meinung, die sich für die geltungserhaltende Reduktion ausspricht. Diese Meinung begründet sicht daraus, dass die Reduktion des problematischen Klausels vielmehr die Stelle der Kunden verbessern könnte, weil mit dieser Reduktion der betreffende Klausel weiterhin in Geltung bleiben, daher der Kunden alle die Rechte aufgrund dieses reduzierten Klausels im Griff ausüben kann. Meines Erachtens sollte die geltungserhaltende Reduktion verboten werden. Zuerst steht das Ergebnis der geltungserhaltenden Reduktion mit dem Ziel des AGBG im Widerspruch. Darüberhinaus könnte die Vertragslücke mit Hilfe von der Methodik, also einer ergänzenden Auslegung ausgefüllt werden, obwohl wegen des Verbots der geltungserhaltenden Reduktion das betreffende Klausel weggestrichen wird. Dazu könnte diese Lösung durch der ergänzenden Auslegung mehrer Beurteilungsspielraum des Gerichts gewähren. 약관은 그 본질을 약관작성자와 약관작성자의 상대방, 즉 고객 사이의 계약이라고 보고 있다. 약관의 본질이 약관작성자와 고객 사이의 계약이기 때문에 약관에대해서도 계약과 관련된 민법의 일반원칙이 적용되어야 하지만, 약관은 그 성격에있어 일반적인 계약과 구별되는 점들이 있고 이 때문에 계약에 대한 민법의 일반원칙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우리민법 제137조에서 규정하는 법률행위의 일부무효는 전부무효라는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약관규제법 제16조에서는 일부무효는 잔부유효라는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 약관규제법 제16조는 법문상으로 그 적용대상을 약관의 전부 또는일부의 “조항”이 계약에 편입되지 않거나 무효인 경우로 규정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하나의 약관조항에서 그 내용의 범위가 약관규제법이 정해둔 한계를 넘는 경우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의문이 생긴다. 즉, 하나의 약관조항의 내용이약관규제법이 허용하는 범위를 초과하여서 무효가 되는 경우 이를 약관규제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로 축소하여서, 문제가 되는 약관조항이 축소 내지 조정된 내용으로서 효력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가의 문제가 이른바 약관에 있어서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의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독일법에서 오랜 시간의 논의와 학설의 대립이 있어 왔다. 독일의 경우 2002년 독일민법의 개정으로 기존의 독일 약관규제법은 그 내용상 큰 변화 없이 독일민법 제305조 이하에 흡수되었지만, 독일입법자들은 지금까지 학설과판례로 다투어져 왔던 약관의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에 대해서 입법적 해결을 하지않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이론적 다툼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에 대한 긍정설과 부정설의 대립에 있어서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을 부정하는입장은 지금까지 독일법에서의 통설이라고 할 수 있다. 효력유지적 축소해석 부정설을 그 논거를 약관규제와 관련된 예방적 기능에서 찾는다. 효력유지적 축소해석부정설에 따르면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의 내용은 약관규제법에 반하여서 무효인 약관조항의 내용을 법률이 허용하는 최대 한계범위까지 축소하는 것인데, 이러한 축소해석을 통하여서 약관규제의 예방적 목적에 대한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서 효력유지적 축소해석 긍정설은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을 부정설과달리 약관내용을 양 당사자에게 정당한 범위 내로 축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한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는 약관의 내용통제를 통해 달성하려는 1차적인 목적은예방적 목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양 당사자의 공정한 이익균형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효력유지적 축소해석에 대한 긍정설과 부정설은 그 결론에 있어서는 서로 접근하고 있는데, 이는 약관의 분할가능성을 통하여서 문제가 되는 약관조항의 일부분을 제거하거나, 문제가 되는 약관조항 전부를 무효로 한다고 하더라도 그 계약상 공백을 보충적 해석을 통하여서 메우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준호(Joune Ho Kim),송근웅(Keun Woong Song),주진(Gene Joo),석진영(Jin Young Suk) 대한기계학회 201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1 No.5
본 논문은 실물크기 헬리콥터의 무힌지(힌지없는) 로터를 축소화하는 방법과 시험에 관한 것이다 축소형 로터 시험은 실물크기 헬리콥터 로터 개발의 기술적 위험과 비용 절감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물크기 무힌지 로터에 축소화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축소화된 기준형(사각형) 및 패들형 블레이드, 금속재 및 복합재 허브시스템과 같은 물리적 형상의 변화에 따른 시험을 통해 실물크기 무힌지 로터의 하중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축소화 기법은 헬리콥터 개발의 초기단계인 설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헬리콥터에 대한 비행성능, 동역학적 특성의 비교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사성을 유지하기 위한 축소화 조건, 축소형 무힌지 로터시험을 위한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시험결과를 고찰한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scaling method and test of the small-scale hingless rotor for helicopter. The test of small-scale rotor is very important to be able to reduce the technical risk and cost for the development of full-scale helicopter rotor. By applying scaling rules to the full-scale helicopter hingeless roto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ull-scale rotor loads with the changing of physical configurations such as small-scale rectangular and paddle type of blades, metal and composite type of hub systems. Also, it is used to perform the meaningful comparison of performance between helicopters of different sizes at the initial phase of design, modeling and simu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licopter. This study presented herein, scaling requirements for similarity, test rig and testing method, and test results for the small-scale hingeless rotor.
강은택(Kang, Eun Taek) 대한부동산학회 2020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8 No.4
This study explored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shrinking cities in Korea with a sharpe population decline in the near future. The 77 citie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continuously shrinking cities, temporary shrinking cities, temporary growing and stable cities, and continuously growing and stable citie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ected life satisfaction after 5 yea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life satisfaction 5 yea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Second, with respect to the current life satisfaction, the residents in temporary growing and stable citi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overall life than those living in continuously shrinking cities. Third, the results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in the continuously shrinking cities were the lowest among the four types of the cities in terms of the expected life satisfaction after 5 years. 본 연구는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 인구가 급속하게 감소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축소도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77개 도시를 대상으로 지속적 축소도시, 일시적 축소도시, 일시적 성장ㆍ안정도시, 지속적 성장ㆍ안정도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축소도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현재의 삶의 만족도와 5년후 삶의 만족도 예상 측면에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소도시 유형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5년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기초통계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전체 도시에서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보다 5년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지속적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에 비해 일시적 성장ㆍ안정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년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축소도시 유형별 변수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지속적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일시적 축소도시, 일시적 성장ㆍ안정도시, 지속적 성장ㆍ안정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5년후 예상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