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언어교육 분야 연구 논문의 영문 초록에 사용된 연결어의 특성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영문 초록 비교-

        원명옥 ( Myong Ock 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7 외국어교육연구 Vol.21 No.1

        최근의 학계에서 연구 논문이나 보고서를 제출하려면 영문초록을 첨부하는 것이 필수적인 관행이 된 관계로 잘 씌어진 영문초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영문초록을 잘 쓸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연결어의 특성과 용법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지만 지금까지 초록에서의 연결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 화자와 한국어 화자의 영문초록에 사용된 연결어의 특성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한국어 화자의 영문초록 작성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언어교육 분야의 저널에 실린 120개의 영문초록이 선정되었으며, 영어 화자의 초록 60개는 2개의 국제적인 저널에서, 한국어 화자의 초록 60개는 2개의 국내 저널에서 발췌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두 언어 화자의 초록 모두에서 부가적 연결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특히 and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영어 화자가 한국어 화자보다 전체적으로 더 많은 연결어를 사용하며, 더 자주 반의적 연결어를 사용하며, 초록의 도입 부분에 더 많은 연결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는 텍스트 이해와 생성과 관련된 인간 인지 구조의 보편적 특성, 영어 문장의 길이, 초록의 개별 의미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초록 필자의 태도와 관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An English abstract is today an essential part of research articles that are to be published, and its essential nature has thus stimulated further research on how to write an English abstract properly. Ability to use connectors in appropriate contexts lays sound foundation for producing an informative English abstract.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 articles that show the functions of connectors in an English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and compare properties of connectors in English abstracts produced by English-speaking writers and Korean-speaking writers. The sources of data are 120 abstracts from two international journals and two Korean journals in the fields of language education and applied linguistics. The results of analysis in terms of the types,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connectors show that, in general, English speaking writers used more connectors than Korean writers, while additive connectors were most frequently used by both groups of writers. It was also found that Korean writers used fewer adversative connectors than their English counterparts. Finally, English speakers used most connectors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an abstract whereas Korean speakers used them most in the results and conclusion parts.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may draw attention to connectors in English abstracts and provide guidance for inexperienced abstract writers.

      • KCI등재

        초록의 구조와 내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우권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 정보관리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s by analyzing the status of abstract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components of and the types of abstracts. Target abstracts were those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1984 to 2015. The journal published 1,168 articles with indicative abstracts accounting for 96.6%, informative abstracts 3.4%, and abstracts written in both English and Korean 99.5%. As for research methods, case study through literature review was 52.8%, surveys 21.1%, and experimentation 26.1%. The percentage of abstracts consisting of one paragraph was 92.1%, more than two paragraphs were 7.9%, fewer than 5 sentences were 79%, and 6 sentences or more were 21%. The use of the first person was 90.5%. In terms of topic area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was 19.4%, information services 17.3%, information technology 16.2%, information retrieval 15.1%, and informetrics 9.6%, etc. 이 연구는 정보관리학회지의 초록의 현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초록의 특징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회지의 저자초록을 중심으로 초록의 구성요소, 초록의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초록은 1984년부터 2015년까지 간행된 학회지 논문이다. 그 결과 수록논문은 1,168편, 지시적 초록은 96.6%, 통보적 초록은 3.4%, 국어와 영어 병기 초록은 99.5%였다. 연구방법에서 문헌사례 52.8%, 설문조사 21.1%, 실험이 26.1%였다. 문단과 문장에서 1문단이 92.1%, 2문단 이상이 7.9%, 5문장 이하가 79%, 6문장 이상이 21%, 1인칭 사용이 90.5%로 나타났다. 주제영역은 도서관/정보센터경영 19.4%, 정보서비스 17.3%, 정보공학 16.4%, 정보검색 15.1%, 계량정보 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학계열 학생 대상 논문 초록 작성법 교육 방안

        정호진 ( Chung Ho 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초록은 논문의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논문의 인용지수를 높이는 도구이기도하다. 그러나 초록을 작성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이는 다른 전공 학생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글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공하계열 학생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초록은 특별한 이동마디 패턴, 즉 IPMRD (연구 개관,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 토의)를 따르며, 각 이동마디에는 정형화된 표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록의 구조적 특성과 이동마디별 정형화된 표현을 이용하여 공학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논문 초록 작성법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록의 전형적인 이동마디 구조로 알려져 있는 패턴에 따라 공학계열 석사 학위논문 초록 100 편을 무작위표본추출하여 이동마디 패턴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분석한다. 또한 공학계열 박사 학위 논문의 초록을 분석하여 각 이동마디에 사용된 정형화된 표현을 추출하여 제시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 중심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위논문의 초록을 작성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석사 학위논문 초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초록의 구조가 극히 다양하고, 전형적인 구조인 IPMRD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초록이 17%에 불과하였다. 이는 논문 초록 작성법에 관한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또한 인문사회계열에서 이루어진 선생연구와는 달리 M(연구 방법)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학계열 논문이 실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한 실험 방법이나 실험 절차, 실험 장치에 대한 정확한 기술을 요하므로 초록에서도 이를 비중 있게 다룬 결과로 보인다. 초록에 사용된 정형화된 표현을 살펴보면, 초록은 학문적 텍스트의 특성을 지니므로 ‘기대된다’, ‘판단된다’, ‘사료된다’ 등의 서술어로 끝나는 피동문(passive sentence)이 자주 사용된다. 더욱이 각 이동마디에는 해당 이동마디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R(연구 결과)의 경우, ‘-(으)ㄹ 수 있었다’와 ‘-(으)로 나타났다’, ‘-(으)로 밝혀졌다’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록의 이동마디 패턴과 각 이동마디에서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을 활용하여 초록을 가르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글에 제시된 대로 초록 작성법을 교육하면, 글쓰기가 다소 부족한 공학계열 학생들도 쉽게 초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 abstract provides overall information on a thesis while also being a tool to increase the impact factor of the thesis. However, writing abstracts is not easy, which is especially true for engineering students who usually have more difficulties in writing in comparison to students of other majors. Abstracts follow a special move pattern, i.e. IPMRD (introduction, purpose, method, results, discussion), where each move uses special stereotype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eaching plan of thesis abstracts writing for engineering students us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tereotype expressions. For this, the study analyses move patterns of 100 abstracts, and extracts and presents stereotype expressions of each move used in them. The analysis of the master’s theses abstracts showed that the abstracts had an extremely diverse structure, and only 17% of them followed a typical structure, i.e. IPMRD. Th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thesis abstract writing education. Moreover, unlike the researches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 (research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This is due to a fact that the engineering research papers require accurate descriptions of methods, procedures, and apparatus used in the experiments, and those abstracts reflected such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ering theses. When examining the stereotype expressions used in the abstracts, we can see that the abstracts share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exts with a frequent use of passive sentences ending in predicates, such as ‘기대된다 (is expected to be)’, ‘판단된다 (is judged to be)’, and ‘사료된다 (is thought to be)’. Furthermore, the analysis showed that each move used the stereotype expressions commonly used for that mo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R (research result), expressions such as ‘-(으)ㄹ 수 있었다 (was able to do something)’, ‘-(으)로 나타났다 (was shown as)’, and ‘-(으)로 밝혀졌다 (turned out to be)’ were frequently repeated. On the basis of those results, we propose a result-based teaching method which teaches how to write an abstract, or more precisely, teaches the move patterns of an abstract, and the stereotype expressions used in each move. Engineering students shall write their abstracts with ease, as long as they learn the proper abstract writ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디지털 영상 초록의 설계와 평가에 관한 연구

        김현희,김용호,고수현,Kim, Hyun-Hee,Kim, Yong-Ho,Ko, Su-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상 초록의 배열 모형을 영상물의 소통 구조 이론, FRBR 모형 및 용어간의 구문적 및 어의적 관계를 고려하는 PRECIS 색인 이론 등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이 모형에 따라서 영상 초록을 구성한 후 순차적 영상 초록과 요약문과 색인어 추출의 정확도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6개의 표본 비디오와 26명의 피조사자를 이용하여 실험을 통해서 조사해 보았다. 조사 결과, 배열 모형 기반 영상 초록이 순차적 영상 보다 더 정확한 요약문을 추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색인어 추출의 정확도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상 초록의 반복 보기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순차적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배열 모형 영상초록을 반복해서 본 경우에 요약문의 정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비디오 도서관 환경에서 영상 초록의 두 가지 활용 방안 즉, OPAC 환경에서 영상 초록의 초기값으로 순차적 영상 초록을 제시하고 선택을 통해서 배열 모형 기반 영상 초록이 함께 출력되는 비디오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과 제안된 배열 모형 기반 영상 초록을 영상 질의의 구조화된 매칭 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sign and utilization of video storyboard surrogates in the digital video libraries. To do this, first we constructed the arrangement model of key-frames for storyboard based on the FRBR model, image communication and PRECIS Indexing theories and evaluated the model using 6 sample videos and 26 participan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video storyboard surrogates based on the arrangement model has a higher accuracy value in terms of summary extraction than that of the sequential video storyboard. Moreover, watching both types of video storyboard one after another, especially browsing the sequential video storyboard first and then the arrangement model-based one, produces a remarkable increase in accuracy value of summary extraction. The study proposes two methods of utilizing the video storyboard surrogates in the digital video libraries: Designing a video browsing interface where users can use the sequential storyboard as a default and then the arrangement model-based one for re-watching; and utilizing the arrangement model-based storyboard as structured match sources of image-based queries.

      • 인터넷을 이용한 학술대회 초록업무 자동화시스템의 개발과 적용

        박래웅,장우영,이상엽,고영혜,주희재,이기범 대한의료정보학회 2002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8 No.1

        그동안 여러 학술단체에서는 정기 학술대회를 개최하기 위하여 초록과 관련한 많은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였다. 초록업무를 살펴보면 초록을 우편으로 접수하여 심사위원에게 전달한 후, 심사위원을 소집하여 심사결과를 정리 및 조정한 후에 최종 확정하여 초록자료를 출판사에 보내어 초록집을 출판한 후에 각 회원에게 배포하여야 했다. 최근 일부 학회에서는 전자우편이나 전자게시판을 이용하여 초록접수를 시행하고있지만 초록접수에만 국한되어 실제 전체 업무과정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초록접수, 초록심사 및 결과발표와 전자초록집제작 및 배포에 이르기까지 초록업무 전과정을 인터넷으로 구현하여 2001년 대한병리학회 가을학술대회(http://www.pathology.or.kr/abstract.htm)에 적용함으로써, 회원들의 편의를 증대하였다. 심사를 위해 심사위원들을 소집하지 않고 인터넷상에서 심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인터넷으로 공개하여 즉시 검색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동시에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전자초록집을 실행파일로 작성하여 인터넷으로 배포하였다(http://www.pathology.or.kr/way-board/db/File_Archives/file/Path2001.EXE). 인터넷을 이용한 초록업무 자동화 시스템은 학회 회원과 임원의 편의를 도모하였고, 학술대회 초록관련 업무량을 감소시켰다.

      • KCI등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 의복의 배색 및 구매 선호도

        박영희(YoungHee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과 초록색 의류 선호도 차이 그리고 초록색 의류 구매 선호도의 차이와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초록색을 중심으로 한 배색 선호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50대의 성인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진 조사연구이다. 분석 방법은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등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 선호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 유무, 월 소득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록색 겉옷에 대한 선호도 차이 분석결과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 월 소득 그리고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록색 속옷에 대한 선호도 차이 분석결과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 월 소득 그리고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록색 의류 구매 선호도 차이 분석결과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 월 소득, 직업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초록색 의류 구매 선호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초록색 겉옷 선호도로 나타났다. 초록 배색 선호도 분석 결과 모든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가장 선호하는 배색은 초록과 흰색 배색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difference in color green preference and green clothing preference, the difference in purchase preference of green cloth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purchase preference, and the preference to color scheme focused on color gree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r this study, 212 people in their 20s to 50s were survey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carried out with SPSS 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fference in color green pre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green outer clothing pre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martial statu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green underwear pre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The difference in purchase green clothing preferenc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A variable influencing most on the purchase preference of green clothing was the preference to green outer clothing. The preference to green color scheme showed that the color scheme of green and white was most preferred by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 group.

      • KCI우수등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에 구조적 초록을 도입하기 위한 예비 연구

        이재윤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2

        이 논문은 구조적 초록 형식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에 도입할 것을 검토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구조적 초록을 도입한 해외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사례를 파악한 후, 연구의 가치와 실무적/사회적 의의 섹션을 강조하는 Emerald 출판사 발행 학술지 중 4종을 대상으로 구조적 초록을 구성하는 각 섹션별 사용 통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구조적 초록을 도입하면 초록의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을 감안해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4종의 초록 관련 규정과 최근 게재된 초록 길이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국문초록의 구성요소 현황을 분석하여 필수 요소가 일부 초록에서 누락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를 위한 구조적 초록 도입 방안을 초록의 길이와 섹션 구성 위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구조적 초록 형식을 도입한다면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도서관 및 정보관리 실무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structured abstracts to Korean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To achieve this, we first identified examples of overseas LIS journals that have adopted structured abstracts, and analyzed the occurrence statistics of each section of structured abstracts for four journals published by Emerald Publishing that emphasize the value of research and practical/social implications sections. Considering the inherent drawback of longer abstracts, we examined the abstract policies and the abstract lengths of recently published articles of four Korean LIS journals. Additionally, we identified some cases where essential elements were missing from the Korean abstracts. Finally, a proposal for the adoption of structured abstracts for Korean LIS journals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length of abstracts and the organization of se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adoption of the proposed structured abstract format will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Korean LIS research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

      • 연령별 초록과 녹색의 색이름을 통한 색채분포 연구

        홍해령(Haeryung Hong),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초록과 녹색의 각각의 색이름을 연령별로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색채공간분포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셀색채계를 기초로 한 종이나라 200색종이의 색상 중 GY_G_BG 영역의 색종이 56색을 설문을 위한 색시편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색시편을 보고 초록과 녹색을 구별하는지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41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초록과 녹색의 색채인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험자 전체는 G_GY영역의 채도가 높은 영역분포로 초록을, Y_GY 영역의 채도가 낮은 영역분포로 녹색으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표준규격(KS) 기본색이름 개정 후 기본 유채색 12가지 색이름에 명시된 초록으로 교육과정을 배워온 10대 그룹의 초록과 녹색의 색채인지 차이점이 있는지 10대 그룹과 20-40대 그룹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10대는 20-40대 보다 Y_G계열의 넓은 색상분포로 초록을, GY_G계열의 좁은 색상분포로 녹색을 인식하여 10대는 다른 연령에 비해 녹색의 색이름 보다 ‘초록’의 색이름에 대한 색채인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정된 초록의 색이름이 20-40대 연령에서는 초록과 녹색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10대에서 ‘초록’ 색이름이 혼용되지 않고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박사학위 논문 영문초록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김남국(Kim, Nam-G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응용언어학 분야 박사학위 논문의 영문초록을 무브 분석을 통하여 수사적이고 언어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각각 20편의 영문초록을 선정하여 무브 분석 틀을 사용하여 초록의 수사적 구조와 언어적 특성을 분석 · 비교하였다. 또한 언어 분석 도구 WordSmith Tools 6.0을 이용하여 빈번하게 사용된 어휘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브 유형별 출현 빈도는 한국이나 미국 박사학위 논문의 영문초록에서 거의 대부분 연구의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 무브가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구의 배경과 논의 무브는 반드시 제시되지는 않았다. 둘째, 무브 패턴에서 한국 학위의 경우 목적-방법-결과-논의의 네 가지 무브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미국 학위의 경우 세 가지 패턴 즉, 목적-방법-결과 무브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무브 순서는 배경-목적-방법-결과-논의의 순으로 나타나며, 패턴 유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무브를 나타내는 데에는 전형적인 언어적 표현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그리고 각 무브를 표현하는데 사용된 문장 구조나 명사, 동사 등의 어휘 사용에 있어서 한국과 미국 학위 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와 과거 시제가 함께 사용되었다. 넷째, 한국 학위나 미국 학위의 영문초록에서 상위 100위까지의 어휘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어휘는 대부분 기능어와 한정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e, have, use, find, base 등과 같은 동사가 약간 사용되었고, 나머지 어휘는 응용언어학 분야에서 다루고 있는 언어, 교육, 실험, 교실, 학습자 등과 같은 내용어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응용언어학 분야의 영문초록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수사적인 구조와 어휘의 정보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장르 분석을 통한 다양한 글쓰기 방안을 제안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국내외에서 학위논문의 영문초록을 준비하거나 국제적인 저널에 논문을 기고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이 분야의 영문초록에 관한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rhetorical structure and linguistic features of English dissertation abstracts published i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he area of Applied Linguistics. A total of 40 abstracts were collected and the move analysis based on a five-move patter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hetorical structure and patterns of the English abstracts. A computational tool, WordSmith 6.0 was utilized to find out the frequently used words in the abstract tex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urpose(P), methods(M) and results(R) moves are the most frequent and common moves in the two groups. However, the background(B) and discussion(D) moves do not appear regularly in the English dissertation abstracts.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frequently used sequence of move is the order of background(B)-purpose(P)–methods(M)-results(R)-discussion(D) move. The analysis also displayed miscellaneous exceptional patterns depending on move pattern types. Third, the analysis of linguistic features indicated that most of the abstracts employed typical and proper expressions to carry out the move. A variety of sentence structures, nouns and verbs were utilized in each move. The use of the present and past tense is fairly present in the Methods move. Lastl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n the abstracts were function words and determiners. A few verbs like be, have, base, use and content words related to Applied Linguistics were also us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gained from the move analysis and word frequency analysis of English dissertation abstracts will be utilized as a useful information and source for EFL writing as well as for graduat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ir dissertations in the area of Applied Linguistics.

      • KCI등재

        한국어 초록 작성의 자동화에 관한 연구 -미생물학분야 학술지의 논문을 대상으로-

        이태영 한국정보관리학회 1992 정보관리학회지 Vol.9 No.2

        자연 언어 처리 문법 중 격문법, 개념 의존 문법, PATR-II, DCG를 응용하여 미생 물학 분야에 대한 한국어 자동 초록 시스템의 구축을 연구하였다. 표본으로 선택된 초록들 을 분석하여 초록의 구조가 연구 목적 문장, 방법.결과 문장, 결론 문장 의 순으로 이루어지 는 것을 알았고 이를 초록의 이상적인 구조 형식으로 정하였다. 본문에서는 문장 발췌와 발 췌된 문장들이 초록의 문장으로 정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명사 역할 자질과 그 자질을 부여하는 규칙을 개발 하였다. 그리고 발췌된 문장들을 재정렬시키기 위 한 재정렬 규칙, 초록 문장을 생성하기 위한 문장 생성 규칙을 두었다. 그리고 본 시스템의 방법론으로 작성된 자동 초록들을 평가한 결과, 본 시스템의 방법론이 저자 초록과 같은 수 준에 오르려면 정밀한 역할 자질의 확립과 문장 생성 규칙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 다고 사려된다. This study proposes a Korean aut.omatic abstracting system in microbiology by applying Case Grammar, Concept Dependency Grammar, and Unification-Based Grammar(PATR- I[. DCG). The sample abstracts are analyzesd to clarify the ideal structure of abstract-a purpose sentence as first sentcnce, 2-3 method and result sentences as middle sentences, and a conclusion sentence as last sentences. To extract and refine the representative sentences constructing an automated abstract requires tht. rules giving the role features to nouns. And t.he rules rearranging the extracted sentences and the rules generating the abstract sentences arc also required. Evaluat.ing the effic~ency of this system. the method used in this automatic abstracting system needs thc more precise role features and the rules of sentence generation to reach the level of the author abstr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