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혼성체육수업의 남학생 역차별이 체육교사에 대한 동일시, 체육수업의 재미, 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창섭(Chang Seop Lee),여정권(Jeong Kwon Yeo),윤대현(Dae Hyun Yun),황명구(Myoung Goo Hwa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남학생들 대상으로 혼성체육수업의 역차별이 체육교사 동일시, 체육수업의 재미,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남학생 87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혼성체육수업의 처벌, 수업활동의 차별이 체육교사 동일시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혼성체육수업의 역차별이 체육수업 재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가의 차별은 사회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혼성체육수업의 역차별이 체육수업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가의 차별은 체육수업과정 통합과 수업행동과 의식의 일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혼성체육수업의 체육수업 재미가 체육수업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업의 용이성이 자기 목적적 경험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reverse discrimination in coeducational classes affected students` overall enjoyment of P.E. students` personal identification with the P.E. teacher, and student`s flow. For achieving this purpose, some relevan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71 third grad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different methods of punishment between genders during class activity produced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trust and identification with the P.E. teacher. Second, reverse discrimination in coeducational classes also produced a negative effect on the enjoyment of P.E., whereas differing standards in evaluation produce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ociality. Third, while reverse discrimination in coeducational classes had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absorption in P.E., differing gender requirements in student evaluations produce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ord between class behavior, consciousness, and the integration of the P.E. course. Finally, the overall enjoyment students experienced from a coeducational P.E. class played a positive role that improved student`s flow. The subsequently easier drills and exercises, however, were found to produce a negative effect on the overall experience for male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 분석

        배민우(Bae Min-Woo),곽은창(Kwak Eun-Chang),문희수(Mun Hee-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와 Y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고등학교의 2학년 학생 1138명(남학생: n=579, 50.88%; 여학생: n=559, 49.12%)이 선정되었다. 연구도구는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에 대하여 개방형과 폐쇄형 질문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7개 문항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폐쇄형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x2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문항은 각 질문과 성별로 구분하여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32.4%(n=369)의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활동 및 내용’, ‘수업환경’, ‘교수방법’,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67.6%(n=769)의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를 경험하지 못하였으며, ‘반복되는 학습활동 및 내용’, ‘차이 없는 교수방법 및 운영’, ‘비슷한 수업환경’,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여부를 파악한 결과, 66.1%(n=752)의 학생들이 흥미를 느낀 반면에 33.9%(n=386)의 학생들은 흥미를 느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서 흥미를 느낀 이유는 ‘신체활동을 통한 흥미’, ‘배움과 성취를 통한 흥미’, ‘함께하는 활동을 통한 흥미’ 순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를 느끼지 않은 이유는 ‘반복된 학습내용과 수준’, ‘관심 없는 신체활동과 부족’, ‘하나되지 않는 수업’,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체육교과의 학습내용은 점진적이며, 체계적인 학습위계를 갖추어야 하며, 다양한 신체활동의 경험과 배움이 있는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interes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38 second grade students(n=579, 50.88%; girls: n=559, 49.12%) of four high schools in A and Y cities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several open and closed questions regarding the differences and interes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of closed questions were conducted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open questions were categorized by each question and gender.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32.4%(n=369) of students who have the different experience indicat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 ‘class environment , ‘teaching method , and ‘the others’ were the followings. 67.6%(n=769) of the students who did not have the different experi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p. e. classes complained the most ‘repeated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and operation without difference , ‘similar class environment , and ‘the others were reported as the followings. An analysis of students’ interest in p. e. classes indicated that 66.1%(n=752) students were interested in p. e. classes, and 33.9%(n=386)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in p. e. classes. The most reason of interest in p. e. class was ‘interest through physical activity , ‘interest through learning and achievement , and ‘interest through activity together in order. The most reason of non interest in p. e. class was ‘repeated learning contents and level , ‘no interest in physical activity, lack of physical activity , ‘not unified class , and ‘the others in order. In conclusion, the content of p. 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uld have systematic hierarchy of learning experiences, and students should have proper and successful learning leaning opportunities.

      • KCI등재

        혼성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과 부정정서의 관계에 대한 체육수업내적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강상욱,문민권 한국체육교육학회 202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mo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negative affect in girls in mixed-gender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 After excluding missing values, total of 207 data from 1-2 grades in high school in Gyeonggido H city were used to perform mediation model analysis. Results: Social physique anxiety has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affect, but negative effect on physical education motive. Results of mediating analysis represented that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from the social physique anxiety to the negative affec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physical education motive. Thus,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motive betwee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negative affect in girls in the mixed class was verified.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that students with social physique anxiety have weak physical education motive which develops negative affect, and throughout the right education about there social physique so that students with high social physique anxiety can help reducing negative affect in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developing their physical education motive. 본 연구의 목적은 혼성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육수업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경기도 H시 소재 고등학교 여학생1,2 학년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207명의 자료를 통해 사회적 체형불안, 체육수업동기 및 부정정서를 측정한 문항들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사회적 체형불안은 부정정서에정적 영향, 체육수업동기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동기는 부정정서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체형불안이 부정정서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체육수업동기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혼성 체육수업에서 여핵생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체육수업동기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체형불안이 높은 여학생이 체육수업동기는 낮고 부정정서를 겪게 된다는 결론과 함께, 사회적 체형불안을 겪지 않도록 올바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여학생들의 체육수업동기와 정서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체육수업의 오래된 미래: 코로나19 속 체육수업의 성과와 그 이면

        오승현 ( Oh Seung Hyeo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전개된 체육수업의 성과와 한계를 학교 현장 교육 주체의 입장에서 파악하고 향후 체육 수업의 과제를 비판적으로 점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는 신체의 활발한 접촉과 소통에 기반한 체육수업에 비대면 수업이라는 난제를 던졌고, 대면 수업에서도 기존의 수업 방식에 대한 전면적인 손질을 요구하였다. 이에 따른 학교 현장의 대응, 성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학생과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개방형 설문 등의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성과는 건강교육의 실질적 강화, 체력 운동과 증진의 중요성 인식, 전통적 종목 외 수업 주제의 다변화가 꼽혔다. 한계는 체육수업 내 신체활동의 양극화, 개인 중심 활동 수업으로의 편중, 구기 종목의 침체 및 교내 체육 활동 코어로서의 체육수업 기능의 약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제출된 여러 체육수업에 관한 담론이 있지만, 학급의 집합 감정의 화수분인 체육수업, 공동체의 도덕을 수용하게 만드는 체육수업의 전개가 더욱 중요해졌다는 점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체육수업의 인성교육 성과 분석, 인성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체육수업 방법론의 모색, 단체 종목과 활동 중심의 체육수업을 전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id COVID19, and to check the task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VID19 ga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 task called non-face-to-face classes. COVID19 required a complete revision of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even in 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is regard.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and PE teachers. The results were shown as practical reinforcement of health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exercise and promotion, and diversification of class topics. The limitations are the polarization of physical activity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bias towards individual-centered activity classes, the marginalization of ball games, and the weakeness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function as a cor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school. The discussion dealt wi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is a production factory for the collective emotions of the class, an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makes the morality of the community accept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moral education performa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ter COVID19, the search for a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that enables mor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centered on team sport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초등체육수업 운영상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모색

        김재운(Kim, Chae-Wo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수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G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교사 10명을 비확률적 표집에 의하여 목적표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보고서 형식의 개방형 질문지로, 초등학교 교사로서 본인이 갖고 있는 체육수업에 대한 생각, 그리고 현재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 초등학교 체육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 초등체육수업의 문제점 등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교사 개개인과 기술한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듣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에서 먼저 연구자는 초등체육수업의 문제점에 관한 원자료에서 구체적인 주제나 의미 있는 개념이 무엇이지 결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문제점으로는 교사의 체육교과 전문성 및 책무성 부족, 초등학교의 여초현상으로 인한 체육수업 기피현상, 운동장과 실내체육관 시설 부족, 체육교구의 부실화, 관리자의 체육교과 외면, 학생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의무적·주기적 체육 직무연수 실시, 여분의 교실을 활용한 실내공간 확보, 체육수업 컨텐츠 개발, 뉴스포츠 활용 수업, 지도서의 내실화 및 체육 전담교사제 실시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ccurring in P. 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nd find the ways to vitalize P. E. For data collection,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 province were selected, using non-random sampling method. On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indicated their thoughts about, reality and problems of P. E. classes they taught, reasons why P. E. classes have not been well organized, and other issues they have concerned. As the next step, each participant described their thoughts more about the issues being studied in an in-depth interview. From the collected data, the investigator analyzed meaningful themes and concepts of the problems of P. E. classes. Ways to vitalize P. E. were also generat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problems of P. E. classes are 1) teachers’ lack of professionalism and responsibility in the P. E. classes, 2) teachers’ disliking-nature on P. E. caused by female teachers’ dominance in number, 3) lack of school yard and gymnasium, 4) deterioration of facility and teaching aids, 5) avoidance toward P. E. by managers in school, and 6) lack of students’ awareness on P. E. Meanwhile, ways to vitalize P. E. found in the study are 1) reinforcing mandatory/regular P. 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2) securing indoor space that are not in use, 3) enlarging P. E. contents, 4) having more classes using new sports, 5) reinforcing teaching manual, and 6) introducing P. E. specialist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신체특성에 따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의 변화분석

        정흥용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3

        연구는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체력특성 및 비만이 신체활동량의 지표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S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 12명(남 6명, 여 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쟁모형과 비경쟁모형으로 구분된 체육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나타났고, 혈중젖산농도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상호작용효과는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혈중젖산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는 수업 40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에 따른 상호작용효과에서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은 심박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체육수업 교재연구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임문택(Lim, MunTai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교재연구에 대해 초등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해 봄으로써 활발한 초등 체육수업 교재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설문지와 심층면담이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육수업 교재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약 86.7%의 교사들이 교재 연구가‘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체육수업 교재연구 실시 이유는‘수업 질 향상’(83.5%)으로 응답하였다. 체육수업 교재연구시 전문서적이나 연수의 필요성은, 약 81.7%의 교사들이 전문서적이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체육수업 교재연구에서 교사 경험이나 판단 능력의 중요성은, 약 94.6%의 교사들이‘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체육수업을 할 경우 정보교환 및 협의의 필요성에 대해, 약 96.4%의 교사들이 정보교환 및 협의가‘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체육수업 교재연구를 하지 않는 이유는 ‘업무로 인한 시간부족’(68.9%)으로 나타났고, 체육수업 교재연구 횟수는‘1주 1회’(34.8%)로, 체육수업 교재연구 시기는‘일과 중’(72.6%)으로, 교재연구 장소는‘교실’(78.0%)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교재연구 정보수집 방법을 조사한 결과는‘인터넷 교육관련 자료실’(75.6%)을, 체육수업 교재연구 참고 자료를 조사한 결과는‘교사용지도서’(70.1%)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교재연구 부족 자료는‘동영상’(69.5%)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by analyzing how the elementary teachers are recognizing and conducting the study on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The study methods us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an in-depth interview. Specific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Around 86.7%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study on the teaching materials is 'necessary' and answered as 'to promote the quality of class' (83.5%) for the reason to conduct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It was recorded that 81.7% of the teachers answered as 'necessary' for the needs of the technical books a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when conducting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94.6% of the teachers answered as 'necessary' for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experiences and judgement. As to the need of information exchange and discussion when perform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96.4%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discussion is 'necessary'. As to the reasons of not conducting the study of teaching materials, 'the lack of time due to tasks' (68.9%) was indicated the most and as to the frequency of the study of teaching materials, the answer of 'once a week (34.8%)' represented the most. For the time of study, 'during daily routine' (72.6%) was indicated the most and 'the classroom' (78.0%) was indicated as the place to study. As the information gathering method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utilizing 'internet educational resources' (75.6%) represented the most and 'the teacher's guide' (70.1%) was used mostly for the reference materials on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The video data (69.5%) was indicated as insufficient data in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육교사 이미지가 체육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슬기(Seul Gee Lee),박종률(Jong Lyoul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3

        이 연구는 사범계열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체육교사의 이미지가 체육수업태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현직 체육교사가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방안을 학습자 관점에서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S지역과 C지역의 사범대학교 2개교씩 4개교에서 총 4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교사 이미지는 체육수업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체육교사 이미지의 하위변인 중 학생수업지도 이미지, 품성 이미지, 학생생활지도 이미지, 외모 이미지 순으로 체육수업태도의 하위변인 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체육교사 이미지는 체육수업만족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운동수행만족도와 교수행동만족도에는 학생수업지도 이미지, 품성 이미지, 생활지도 이미지, 외모 이미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체육수업환경 만족도는 학생수업지도 이미지, 외모 이미지, 학생생활지도 이미지, 품성 이미지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체육성적 만족도에는 학생수업지도 이미지, 품성 이미지, 외모 이미지, 학생생활지도 이미지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This research set out by asking what image the freshmen of education colleges got from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ow that image would influence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and class satisfaction levels in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preceding studies mainly focused on assessing the image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ke a detailed look into improvement measure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by fiel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464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from four schools- two each from S and C regions. First, physical education teacher imag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had a significant impact. the student class guidance image, character image, student life guidance image, and appearance image from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im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sub-variabl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 in the stated order. Seco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image had also an impact on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levels. The motor performance satisfaction level and teaching behavior satisfaction level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order of student class guidance image, character image, student life guidance image, and appearance imag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 had an impact in the order of student class guidance image, appearance image, student life guidance image, and character image. The physical education grade satisfaction level had an impact in the order of student class guidance image, character image, appearance image, and student life guidance image.

      • KCI등재후보

        초등 체육 수업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 모색

        정상진,박대원,박종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체육 수업 컨설팅에 대한 경험 및 수용 의지, 체육 수업 컨설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초등 체육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체육 수업 컨설팅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P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524명을 대상으로 성별, 교육 경력, 대학 심화 전공, 체육 교과 전담 교사 경험에 따른 체육 수업 컨설팅에 대한 경험 및 수용 의지, 체육 수업컨설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SPSS프로그램을 이용한 χ2검정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육 수업 컨설팅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들은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적 체육 수업 컨설팅의 수용 의지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교사들은 체육 수업 컨설팅의 저해 요인으로 체육 수업 컨설팅에 대한 이해 부족,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와 수업 부담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교사들은 체육 수업 컨설팅의 활성화 여건으로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 확보,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 분위기 조성, 체육 수업 컨설팅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홍보, 체육 수업 컨설팅 참여를 위한 유인책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s of physical education(P.E) consult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qua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P.E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bout P.E consulting, accepting P.E consulting and a way to vitalize P.E consulting. In order to achieve the results, a sample of 524 teachers who work in Gyeonggi-do P City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bout P.E consulting, accepting of P.E consulting and the way to vitalize the P.E consulting was inqui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ith followings: gender, teaching experience, university intensive courses and experience in the P.E field. Then, the questionnair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χ2 verification by using SPSS program.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in P.E consulting, The amoun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received P.E consulting class were extremely low. Second, Recognition about utilizing P.E consult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hibited relatively strong willingness accepting P.E consulting. Lastly, Recognition of ways to vitalize P.E consult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rehended that the restraints of P.E consulting are lack of P.E consulting understanding and the heavy burden of the teaching work load. Based on these result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eferred conditions for initiating P.E consultant includes expertise, the establishment of a voluntary teacher atmosphere, detailed information and promotion about P.E consulting as well as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in P.E consulting.

      • KCI등재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교과흥미도와 체육수업행복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에 대한 매개효과검증

        윤찬수(Youn, Chan-Soo),조건상(Cho, Gun-Sa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참가를 통한 교과흥미도와 체육수업행복의 관계에서 자율성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BM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교과흥미도, 교사의 자율성지지, 체육수업행복은 인과적 관계가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교과흥미도, 교사의 자율성지지, 체육수업행복의 인과모형은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교과흥미도와 체육수업행복의 관계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매개효과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교과흥미도, 자율성지지, 체육수업행복은 부분매개모형에서 적합한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교과흥미도와 체육수업행복의 관련성을 매개하는 주요변인이라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school students" subject-specific Interest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34 primary school students of schools located in Gyeonggi-provinc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23.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by using the IBM AMOS 23.0 program. Results: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following conclusions were acquired; firs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subject-specific interest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the partial mediation model is adequate for cause-and-effect model of primary school students" subject-specific interest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school students" subject-specific interest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achers’ autonomy support has a mediating effect. Conclusion: In conclusion, primary school students" subject-specific interest thr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m an adequate causal relationship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s the main variable whi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pecific interest and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