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조사

        김기원,고영준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9 No.-

        청각장애인들의 장애로 여겼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문자나 영상 서비스 등을 이용으로 거리나 공간의 제약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서비스로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체험 분야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이 문화시설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장애 요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 조사를 통해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사용자의 경험의 이해 및 요소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두 번째, 국내 문화예술체험 앱 개발 사례를 통해 정보구조 분석 및 국가정보화기본법 제 32조 5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기준으로 준수정도를 평가하였다. 세 번째,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소속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퍼소나 모델링을 하였다. 네 번째, 관찰조사를 위해 청각장애인 중 대표사용자 4명과 비장애인 2명을 선정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을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여 청각장애인 배려 앱 개발 시 참고할 사용자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주요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는 수화영상과 자막의 동시 제공을 들 수 있고 정보구조의 단순화, 소리 및 음성에 대한 시각적·촉각적 피드백 제공, 익숙한 매체를 통한 디자인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 Eve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nce regarded as an obstacles of hearing-impaired people, it became possible to communicate without space or distance limit thanks to the message utilizing mobile device or screen service. Although these services are carried out, however, many hearing-impaired people are having discomfort because of services that did not consider them.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experience, there occurred many cases that hearing-impaired people experienced much discomfort due to lack of service that considers them. Thus, this research intended to ease the discomfort regarding the application service use when hearing-impaired people use cultural facilities and understand the user request for cultural facility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hearing-impaired people through user survey in order to remove the obstacles. For the research method, fist, literature was studied regarding the understanding and factors of user's experience and features of hearing-impaired people. Second, through the case of cultural art experience application development, observance level was evaluat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section 5 of 32 articles of information structure analysis and Framework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ird,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deaf belonging to the Korean deaf undergraduates association and based on its results, modeling was done for more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users. Fourth, for observation investigation, 4 representative users among hearing-impaired people and 2 people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had usability test.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ound in the research above, hearing-impaired peopl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nd user's claims that will be referred upon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the deafs were synthesized and suggested. User's claims resulted include sign language image, same time provision of caption,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visual and tactual feedback provision regarding the sound and voice, design provision through familiar media.

      •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현장 수화용어집

        안영회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용역연구 Vol.- No.9

        1. 발간목적 청각장애인들은 자립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직업재활 관련 교육을 받고 있거나 직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이 낮은 입금이나 업무과다, 직무관련 기능부족, 출퇴근의 어려움보다는 의사소통 문제로 인한 직장생활의 어려움이 더 크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는 직업을 갖기 위한 상담과정에서부터 출발한다. 보다 체계적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환경구축 및 상담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더불어 취업을 원하거나 직업생활중인 청각장애인을 위해서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현장에서 사용되는 직업재활관련 수화용어의 표준화이다. 현실은 직업재활관련 교육 또는 상담,취업현장에서의 애로사항 등의 내용을 적절하게 전달하고 개념을 형성시켜 줄 수 있는 수화어휘와 용어들의 사용범위가 매우 단순하다. 그나마 표준화되지 못한 수화를 사용하면서 의사소통에 있어서 혼란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자료가 만들어졌다. 직업상담과 관련된 수화는 매우 광범위 하므로 본 자료에서는 먼저 직업상담 현장이나 청각장애인들이 근무하는 작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단어들을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자료는 첫째,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직업재활관련 수화어휘를 통일하여 의사소통을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혼동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며, 둘째, 직업재활관련 수화용어의 표준화를 통해 전국의 청각장애인 직업상담관련 기관들에서 상담, 취업알선, 사후지도, 직업교육 시 청각장애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 셋째, 직업재활용어 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 직업재활관련 현장 종사자, 수화통역사들에게 표준적인 직업수화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본 자료는 직업재활 현장에서 사용되는 단어나 문장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자 못하고 있으며, 더구나 직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직종이나 직무별 세부단어나 문장은 여건상 다루지 못하여서 아쉬움이 남는다. 이번을 계기로 차후 현장중심의 다양한 직업재활 용어가 개발되고 정리되기를 기대해본다. 2. 활용대상 본 자료는 청각장애인과 더불어 일차적으로 청각장애인과 직업현장에서 만나는 관련기관 직원이나 수화통역사, 직장동료, 직업수화를 익히고자 하는 분들에게 적합하다. 3. 용어선정 본 자료에 수록된 단어는 모두 456개이며 연습문장은 총98개 문장이다. 이들 단어와 문장들은 우선 장애인공단이나 직업재활수행기관 등 청각장애인에 대한 직업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상담·평가기록지 등 각종 서식으로부터 1차로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어서 수화사전 등 기존 수화자료에 수록된 직업수화와 일본의 직업수화 자료 등을 통하여 2차로 관련 단어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3차로는 장애인공단 취업상담원, 직업훈련원 직업교육 교사, 특수학교 직업보도 담당교사, 전국 수화통역센터 수화통역사, 직업관련 전문수화통역사, 취업청각장애인, 농통역사 등을 대상으로 직업용 수화용어 및 활용도가 높은 단어와 문장을 수집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단어들은 다시 연구진 자체의 수정작업 후, 청각장애인 직업상담원, 수화통역사들로부터 단어나 연습문장의 현실성 등에 대한 적합성 자문을 구하여 최종선정하였다. 아울러 수화의 표현은 수화표준성이 입증된 우리나라 최대의 한국표준수화사전(2006)의 표기방식을 참고하여 자료화한 후, 표준성 확보의 수단으로 수화통역 표현 및 표기방식의 표준성 검증자문을 통하여 최종 자료화 하였다. 4. 내용구성 여기에 수록된 용어는 각 장별로 그 필요용도에 따라 기본적인 수화와 전문적인 수화, 연습문장을 함께 정리하였으며, 수화동작사진 안에 화살표시를 넣어줌으로서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사진의 한계를 보완하도록 하였다. 각 장별 내용을 보면 제1장은 직업상담 관련수화로 초기상담·평가 관련수화, 가족·주거 관련수화, 장애 관련수화, 교육·학교 관련 수화, 직업훈련 관련수화로 구성하였다. 제2장은 직종·직무관련 수화로 직종관련수화, 직무·직제 관련수화로 구성하였다. 제3장은 직업생활·근로현장 관련수화로 입·퇴사관련 수화, 직장생활 관련수화, 임금·근로조건 관련수화, 안전규칙·편의시설 관련수화, 출퇴근·교통수단 관련수화, 지원제도 및 법률관련수화로 구성하였다. 제4장은 기타 유관기관·관공서 관련수화, 지명 수화이다. 5. 자료활용 기존 자료에서는 직업수화용어를 청각장애인이 종사하는 직종, 직무, 직업상담 및 직업배치 등 보다 전문적인 영역의 접근보다는 아주 단순하고 이미 대중화된 용어의 소개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자료는 직업현장에서 전문가, 상담원, 수화통역사, 표준화된 직업수화를 필요로 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실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현장중심의 직업수화를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자료와 차별성이 있다. 주로 직업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수화통역 및 학습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경험 향상을 위한 QoLT 미래사회 서비스 디자인 시나리오 연구

        조예린(Jo, Yelin),구유리(Koo, Yoori)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3

        연구배경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회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술과 서비스가 적용되기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장애인 중 청각장애인은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사회생활로부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픽션의 개념을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회에서의 기술 적용 관계를 파악하여 청각장애인이 자립적인 생활을 효과적으로 누리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미래사회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현황조사를 진행하고 문헌에서 발견 가능한 니즈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디자인 픽션의 개념을 바탕으로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Video Diary 및 인터뷰 영상 분석과 청각장애인 및 이해관계자 대상 심층 인터뷰 등으로 청각장애인의 니즈와 페인포인트을 분석하고, 미래 기술 적용의 방면에서 사용자 중심의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아이데이션을 진행하였다. 이후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서비스 경험여정맵과 스토리보드로 미래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위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 사용자 조사 결과 청각장애인은 의사소통에 있어서 농인과 난청인 두 집단 모두에게 맞춤화 되어야 하고, 수어를 이용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청각장애인과 청인 간 소통이 원활한 환경 조성을 위한 AI 수어 아바타 비서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두 번째, 기존의 내구성이 약하고 실용적이지 못했던 보조기기를 개선하며 안경 형태의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서비스를 통한 미래 시나리오를 제안하며, 시나리오 내에서 수어 센터와 같은 단체 및 기업, 개발자 등의 여러 이해관계자가 함께 참여하는 연결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다가올 미래사회에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디자인 픽션 개념을 바탕으로서비스 디자인 접근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서비스를 통한 사용자 경험여정맵과 미래사회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나리오는 향후 기술개발자와 정책 관련자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미래정책 및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요자 중심으로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고 융합하여 청각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changes using various smart devices are rapidly taking place. However, in most cases, technology and services are applied to non-disabled people, so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disabled is not actively carried out, and hearing-impaired people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ies from social life.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based on the design fiction to identify the technology application relationship in society, seeks a metho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 hearing-impaired person effectively enjoy independent life, and proposes a future society scenario.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current status, and needs of the hearing impaired. Based on the design fiction,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was used. Through this, video diary and interview video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earing impaired and stakeholders were analyzed, and user-centered new perspectives were conducted in the future technology application. After that, it was improved based on expert opinions, and finally, future scenarios were created with a service experience journey map and storyboard. Result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services should be customized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that it is important to enable sign language communication. Accordingly, we proposed an AI sign language avatar assistant service for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in which hearing impaired people can communicate smoothly. Second, we proposed a smart wearable device service in the form of glasses by improving the existing weak devices. Finally, we propose a future scenario through the above services and derive a connection several stakeholder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deaf people in the coming future society, this study tried to look at problem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find solutions. Finally, a user experience journey map and a future society scenario were produced through an effective communication service. The created scenari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hearing impaired by technology developers and policy-makers.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in promoting and convergence of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ed on consumers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hearing impaired.

      • KCI등재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 진료에 대한 인식

        최진욱,조희경,이성기,도현진,오승원,임열리,최재경,권혁중,조동영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9

        Background: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a lot of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hen they visit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family physicians’ perception and attitude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and the effect of those factors on the actual physicians’ practice behavior for the disabled. Methods: We sent questionnaires by post mail to 1,000 members listed in the 2007 address book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Medicine. Results: Among the total of 90 family physicians who had answered, 72 (80.8%) had willing attitude to treat the hearing impaired people,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it was essentially a doctor’s duty. In the group who were unwilling to treat the disabled, the most principal reason was that they were not equipped with sufficient facility and medical system. Gender was the only factor affecting the physicians’ attitude significantly and the female doctors had a higher intention to treat the hearing impaired people than male doctors (P=0.035). Age, location of hospital, number of patients, practical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peop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octors’ attitude. The number of physician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s health promotion personall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treatment intention (P=0.007). Nevertheless, few physicians had the willingness to equip the hospital facility for the hearing disabled, even in the group of willingness to treat the disabled.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very few disabled patients visit their clinic, and so forth they felt no necessity to improve and re-organize their clinical environment. Conclusion: Most family physicians are willing to treat hearing impaired people. But even in the willing group, almost all of them are unwilling to improve or equip the medical facilities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personally, because only a few disabled people visit the primary care hospital in the real practice. 연구배경: 청각장애인들은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의료기관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일차진료를 담당하는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진료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 요인들이 실제 진료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도 대한가정의학회 개원의 명부에 등록된 명단에서 임의로 1,000명을 추출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설문 대상 1,000명 중 응답한 가정의학과 개원의 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청각장애인 진료에 대한 태도는 72명(80.0%)이 청각장애인을 진료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였고, 가장 큰 이유는 의사로서의 기본 역할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70명(77.8%)으로 가장 많았다. 진료의향이 없는 가장 큰 이유로는 진료여건이나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서가 14명(15.6%)였다. 청각장애인 진료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유의한 항목은 성별로서 여성에서 유의하게 진료의향이 높았고(P=0.04) 그 외 나이, 근무지역, 일 평균 환자수, 청각장애인 진료경험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 환자의 특성에 대한 믿음은 질병에 대한 지식이나 건강관리 상태 등이 일반인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다소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청각장애인 진료의향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원의가 개인적으로 청각장애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참여를 희망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진료의향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07). 그러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진료환경을 향후 개선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개원의는 매우 소수였으며 개선 의지가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청각장애인 환자가 거의 없어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였다. 결론: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은 대부분 청각장애인을 진료할 의향이 있었다. 그러나 진료의향이 있는 군에서도 청각장애인 환자 수가 소수이기 때문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병원 진료환경을 구비하고 있거나 향후 개선할 의지가 있는 개원의는 매우 적었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조사

        김기원 ( Ki Won Kim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9 No.-

        청각장애인들의 장애로 여겼던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문자나 영상 서비스 등을 이용으로 거리나 공간의 제약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서비스로 많은 청각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체험 분야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서비스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이 문화시설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장애 요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 조사를 통해 청각장애인 배려 문화시설 앱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사용자의 경험의 이해 및 요소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두 번째, 국내 문화예술체험 앱 개발 사례를 통해 정보구조 분석 및 국가정보화기본법 제 32조 5항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기준으로 준수정도를 평가하였다. 세 번째,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 소속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퍼소나 모델링을 하였다. 네 번째, 관찰조사를 위해 청각장애인 중 대표사용자 4명과 비장애인 2명을 선정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을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여 청각장애인 배려 앱 개발 시 참고할 사용자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도출된 주요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는 수화영상과 자막의 동시 제공을 들 수 있고 정보구조의 단순화, 소리 및 음성에 대한 시각적·촉각적 피드백 제공, 익숙한 매체를 통한 디자인 제공이 포함될 수 있다. Eve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nce regarded as an obstacles of hearing-impaired people, it became possible to communicate without space or distance limit thanks to the message utilizing mobile device or screen service. Although these services are carried out, however, many hearing-impaired people are having discomfort because of services that did not consider them.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experience, there occurred many cases that hearing-impaired people experienced much discomfort due to lack of service that considers them. Thus, this research intended to ease the discomfort regarding the application service use when hearing-impaired people use cultural facilities and understand the user request for cultural facility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hearing-impaired people through user survey in order to remove the obstacles. For the research method, fist, literature was studied regarding the understanding and factors of user``s experience and features of hearing-impaired people. Second, through the case of cultural art experience application development, observance level was evaluat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section 5 of 32 articles of information structure analysis and Framework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ird,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deaf belonging to the Korean deaf undergraduates association and based on its results, modeling was done for more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users. Fourth, for observation investigation, 4 representative users among hearing-impaired people and 2 people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had usability test.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ound in the research above, hearing-impaired peopl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nd user``s claims that will be referred upon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the deafs were synthesized and suggested. User``s claims resulted include sign language image, same time provision of caption,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visual and tactual feedback provision regarding the sound and voice, design provision through familiar media.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융합적인 신체적 감정표현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동작에 관한 연구

        고성희(Koh, Sung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표현동작의 연구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의 감정에 관한 표현을 신체적으로 수행할 때 나타나는 동작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를 시행하기 위하여 감정표현을 시행조건에 따라 분석을 시도하였다. 감정표현은 신체사용 정도, 방향성, 그리고 움직임의 질적평가로 구분되었다. 청각장애인 3인과 비장애인 29명이 대상자에 포함되었으며, 4개의 소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청각장애인의 감정표현은 비장애인보다 크고 명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인의 감정에 관한 신체표현의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신체사용 정도는 단독시행때보다 단체시행에서 현격히 줄었으며, 단체시행에서 비장애인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다. 이는 주변에서 함께 시행되는 팀원의 동작과 맞추려는 의도적인 행동으로 예측된다. 두 번째, 청각장애인의 방향성은 비장애인보다 높은 점수 분포를 유지했으며, 단독시행 때보다 단체시행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이러한 현상은 수화의 명확한 동작을 시행하였던 경험(또는 학습)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청각장애인의 움직임에 관한 질적인 표현은 단독시행과 단체시행에서 유사한 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이 감정을 신체적으로 표현할 때, 단체시행이라는 조건이 개입되면 신체사용과 같은 양적인 변화가 있지만, 오랫동안 경험되었던 동작의 방향성이나 움직임의 질적인 변화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들의 다양한 표현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begin with movements of the person with dea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overacting in integral body expression with a preliminary description of movem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tatic(joyful, sad) and dynamic (exciting, frustrating) emotions during demonstrations in a single and a group action. Three samples with deaf and 29 non-handicapped sample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ly, the rate of physical movement of the sample with deaf was decreased in a single action. This result indicated the persons with deaf was affected their actions by their group members’ movements. Secondly, the rates of movement direction of the samples with deaf was increased in a group action. It was considered to be stereotypical movement of the sign language. Thirdly, the rates of movement direction has no difference between movements in a single and in a group.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hysical movement of a person with deaf was affect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n a group action and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preliminary data.

      • KCI등재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에서 온열감 인지능 평가

        구호,김나리,최명애,이경완,박병건,김민선,박병림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1

        Tactile or thermal sensory substitution is applied to persons with sensory loss of vision or hearing. It has been known that the blind has more sensitive tactile acuity than the normal person. In this study, thermal acuity was assessed in groups of control, blind and deaf to investigate a thermal display system for blind and deaf. Thermal threshold on heat pain, warm, cool, and cold pain was measured by home-made thermal stimulator in five fingers. Thermal acuity in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among five fingers. Range of threshold of heat pain, warm, cool, and cold pain in five fingers was 43.2~44.9℃, 35.0~36.0℃, 23.1~23.8℃, 15.1~15.8℃, respectively, in control group, 43.0~43.7℃, 33.2~34.5℃, 22.5~23.9℃, 14.4~15.8℃, respectively, in blind group, and 42.5~43.2℃, 34.1~34.6℃, 22.0~23.6℃, 15.0~16.1℃, respectively, in deaf group. Indifferent thermal zone was 23.8~35.0℃ in control group, 22.9~33.2℃ in blind group, and 23.6~34.1℃ in deaf group, whic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mal acuity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ntrol, blind, and deaf groups. Thermal display system for blind and deaf should be considered the thermal threshold and indifferent thermal zone.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서 상실된 감각기능을 보조할 목적으로 촉감이나 온열감을 사용하며, 시각장애인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촉감인지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서 감각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온열감제시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에서 온열감인지능을 측정하였다. 연구실에서 개발한 온열감제시장치를 이용하여 온자극과 냉자극을 다섯 개의 손가락에 가하였을 때 열통, 온감, 냉감, 냉통에 대한 온도역치를 측정하였다. 온열감인지능에 대한 남자와 여자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측정된 다섯 개의 손가락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인에서 열통, 온감, 냉감, 냉통에 대한 다섯 손가락의 역치온도 범위는 각각 43.2~44.9℃, 35.0~36.0℃, 23.1~23.8℃, 15.1~15.8℃이었으며, 시각장애인에서는 각각 43.0~43.7℃, 33.2~34.5℃, 22.5~23.9℃, 14.4~15.8℃이었고, 또한 청각장애인에서는 각각 42.5~43.2℃, 34.1~34.6℃, 22.0~23.6℃, 15.0~16.1℃으로 정상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감각온열범위는 정상인 23.8~35.0℃, 시각장애인 22.9~33.2℃, 그리고 청각장애인 23.6~34.1℃로 실험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정상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에서 온열감인지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에서 온열감제시장치를 이용할 경우 열통, 온감, 냉감, 냉통의 역치온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또한 무감각온열범위의 온도는 사용할 수 없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건청인과 청각장애인의 시각 및 청시각 제시조건에서 문장인지도 비교

        곽종현,최재희,장현숙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4

        배경 및 목적: 건청인과 청각장애인 모두 의사소통에서 청각과 시각 단서를 활용하고 있으나, 청각장애인의 실질적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청각 조건(AO)뿐만 아니라 청시각 조건(AV)에서도 어음인지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표준 일반용 문장표(KS-SL-A) 목록 간 시각적 난이도의 동등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VO 및 AV 조건에서 건청인과 청각장애인의 문장인지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남녀 화자의 KS-SL-A 발화 영상을 제작하고, 32명의 건청인에게 VO 조건에서의 문장인지도를 검사하여 8개 목록 간 난이도의 동등성을 확인하였다. 동등성이 확인된 목록을 사용하여 21명의 건청인과 11명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VO 및 AV (5, 10, 15 dB SL) 조건에서 집단 간, 제시조건 간 문장인지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VO 조건에서 문장인지도를 측정한 결과, KS-SLA 목록 8개 중 1, 3, 4, 6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각적 난이도의 동등성을 확인한 목록 4개를 사용하여 AV 조건에서 청각정보의 제시강도를 15 dB SL까지 높였을 때 건청인과 청각장애인 그룹 모두 문장인지도가 증가하였으나, VO 및 5 dB SL에서 청각장애인이 건청인보다, 15 dB SL에서 건청인이 청각장애인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에 비해 시각적 정보를 크게 활용하고 있으며, 청각정보가 추가되었을 때 독화능력이 최대화되므로 실생활 속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추후임상연구에서는 AO 조건과 AV 조건에서청각장애인의어음인지를평가할필요가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이 고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충남지역 고용가능 사업장을 중심으로

        이정랑,최인덕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2

        This research was made to know that the awareness about the deaf impaired people by employers affects the intention of employing them. This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600 employers in Chung-nam for 7 weeks from July 27 to september, 11 using Cluster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and 394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recognition improvement to the deaf impaired people are very needed by employers. Especially, by the law of the employers' responsibility, the promotion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impaired person act is required to enforce obligatorily. Second, by us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mooth communication should be made to keep the fellowship as well as the dissolution of conflicts with coworkers. Also, club activities and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should be supported to adjust to the organization well. Third, it is necessary that it be enlarge the obligatory quota business and reinforce the obligatory quota system to impaired peopl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bligatory quota system, it is required to prevent the malicious exploit of paying allotment and use the excellent cases of exemplary employers working with deaf impaired people actively.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이 고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2015년 7월 27일부터 9월 11일까지 7주간 충남지역의 고용주 6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초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각장애인의 작업수행에 관한 인식에서는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조직 생활 및 적응에 관한 인식에서는 중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및 지원에 관한 인식에서는 다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주의 인구사회학적및 사업장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청각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한 고용주와 고용하지 않은 고용주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인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이 향후 고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현재 청각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는 청각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고있지 않은 고용주보다 향후 고용할 의사가 약 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의 고용 확대를 위한 몇 가지 과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의 확대와 장애유형별로 구분하여 교육 할 필요가 있으며, 청각장애인에 대한 정보제공과 인식개선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보조공학기기 및 수화통역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직무수행은 물론 직장 동료들과의 유대관계 및 갈등해소 등을 위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의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 셋째, 장애인 의무고용대상 사업체를 확대하고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고용의무를 충실히 이행 할 수 있도록 부담금납부의 악의적 이용을 방지하고, 현재청각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의 우수사례를 적극적으로 활용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감 • 농문화 • 장애인식에 대한 배경변인별 분석과 구조관계 연구

        김은정,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lural relationship among identity, deaf culture, disability awareness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The 258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college or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designed by survey method. SPSS 20.0 and AMOS 19.0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degree of hearing loss, parental sign language skill, age of onset, and the experience to attend hearing impaired special school were important background variables to identity and deaf culture factors, and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unique variable to disability awareness factor: and (b) the identity factor was offered by the factors of the degree of hearing loss and the experience to attend hearing impaired special school, however the deaf culture factor was no related with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directly. Als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were no related with the disability awareness. And the disability awareness was no related with the deaf culture factor directl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o identity, and the identity factor was related to deaf culture.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dentity was prior factor rather than deaf culture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이 연구는 전국의 청각장애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정체감 • 농문화 장애인식에 대한 배경 변인별 분석과 구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SPSS 20.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감과 농문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장애등급,부모의 수화 사용 능력,장애시기,청각장애 특수학교 경험 유무로 나타났다.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인식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배갱변인은 장애등급이었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등급과 특수학교 경험은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고,정체감은 농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청각장애 대학생의 배경변인이 직접적으로 농문화에 영향을 마치는 구조는 아니었다. 청각장애 대학생의 배경변인은 장애인식 요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또한 장애인식 변인은 농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도 아니었다. 또한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등급과 청각장애학교 경험 등과 같은 배경변인은 청력손실 정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대학생의 청력손실 정도가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며, 이는 다시 농문화로 연계되는 경로 구조를 보인다. 청각장애대학생은 농문화보다 정체감이 먼저 형성되는 구조를 보인다고 이 연구에서는 또한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