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유아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정애경(Ae-Kyung Jeong),정재은(Jaeeun Jung)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meaningful and effectiv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preschool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of preschool teachers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expert groups, and consultation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n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2, to 25, 2022. The develop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25 questions divided into two sub-areas of awareness and demand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5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IPA) were conducted for dem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but the degree of interest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contents, methods, and educational resources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he contents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of preschool teachers. Relatively, creativity related content elements were intensively requir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reconsider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to develop early childhoo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보다 의미있고 효과적인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있다.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영유아교사 등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한 후 2022년 8월 12일부터 25일까지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의 2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38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요구분석을 위해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창의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관심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인성교육의 내용, 방법, 교육자원 등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들의 창의인성교육 내용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창의성 관련 내용요소들이 집중적으로 요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창의인성교육의 근본적 해법

        김왕동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Issues & Policy Vol.- No.-

        □ 주요내용 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 중점추진과제로 창의인성교육 강화를 제시했다. 하지만 교육현장은 여전히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의 창의인성교육 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교육현장의 설득이 요구된다. 최근 전 세계는 창의성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창의성을 강조하게 될수록 사회는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게 되고, 특히 과학분야에서는 국익이란 명분하에 새로운 시도를 장려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런 추세가 지나치게 되면 과학자들은 인간 본연의 과시적 욕망과 국익이 어우러져 통제할 수 없는 성과를 창출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창의인성교육의 범위를 글로벌 창의시대에 맞게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추격형 사회에서 글로벌 창의사회로 전환해 감에 따라 창의성과 인성의 개념이보다 융합적이며 포괄적으로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보고서는 창의인성교육의 차원을 창의적 사고 덕목 함양 교육, 윤리적 덕목 함양 교육, 글로벌 시민 덕목 함양 교육으로 구분하였다. 더불어 위 세가지 요소를 토대로 향후 교육현장의 창의인성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해법을 제시했다.

      • KCI등재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경철(Kim, Kyung-Chul),한유진(Han, Yoo-Jin),심효영(Xiaoying, She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하는 가치를 가지고 창의인성의 사고와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1단계 문제분석 및 기획, 2단계 정보수집 및 통합, 3단계 설계, 4단계 초기개발, 5단계 평가 및 수정개발의 5단계 개입연구방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면담조사와 현장조사 결과를 근거로 개입 구성요소와 개발원칙을 개발하였으며, 중국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전문가 서면평가 실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 원형을 설계하였다. 초기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연구를 거쳐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중국 북경의 사립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8주 동안 1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중국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China.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was developed through multiple phases of investigation. They included problem analysis and planning in the first stage,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gration in the second stage, program design in the third stage, initial development of the program in the fourth stage, and evaluation and revision of the program development in the fifth and final s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components and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program were developed based on interviews and on-site surveys. The original program was designed as well based on written evaluations of curriculum experts in China. The program was organized through initial program development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was carried out through 18 sessions over eight week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Beijing, China. Secon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of the experimental group. It is expected that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esirable character for Chinese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본 포스트모던그림책의 유아 창의인성교육 매체로서의 의미 탐색

        김경은,조부경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그림책에 나타난 유아 창의인성교육 매체로서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 창의인성요소(최현주, 최연철, 2017; 서현정 외, 2017)’, 좋은 그림책 기준,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이 명확히 드러나는지에 대한 분석 및 유아의 관심과 요구, 현장 적용의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 선정한 5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임의로 선정한 5인의 공립유치원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8년 4월 2일부터 5월 13일까지 6주 동안 면담, 저널, 토론 등의 절차가 이루어졌으며, 이 기간 중 연구자는 연구 자료로 면접과 토론 및 비형식적 대화내용 전사본, 연구 참여자의 저널, 현장노트, SNS 및 MMS 메시지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적 맥락 포착, 영역 분석, 반복적 검토, 해석, 수정, 유목화, 재확인 및 재검토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본 포스트모던그림책의 유아 창의인성교육 매체로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창의인성의 출발: 교사의 자기성찰’, 둘째, ‘열린 결말이 주는 권한’, 셋째, ‘서로 다른 입장에 서보는 열린 장’, 넷째, ‘갈등을 허용하고 다름을 조율’, 다섯째, ‘탐구와 열정’, 여섯째, ‘끝나지 않는 몰입’이다.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볼 때 포스트모던 그림책 속에는 유아 창의인성교육의 의미가 다면적으로 내포되어 있으며 이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이 활성화 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n post-modern picture books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perspectives. First,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413 picture books that were used for the 62 previous relating studies. Out of 413 picture books, 164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s the inclusion of child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Choi & Choi, 2017; Seo et al., 2017). Second, based on the theories from criteria of good picture books (Lee et al., 1997; Kim & Park, 1999; Kim, 2000; Jalongo, 1992; Galda, Gullinan & Sipe, 2010) and various character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Lewis, 2001/2008; Anstey, 2002/2010; Anstey & Bull, 2004; Coats, 2010; Goldstone, 2004; McGuire, Belfatti & Ghiso, 2008), 10 picture books were selected through the education value analysis. Third, considering the interests and demands of children and appropriateness of using post-modern picture books addressed by five teachers who volunteered to b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 total of five picture book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s of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of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in the perspective of kindergarten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e Beginning of Fostering Creativity-Character: Self-reflection.’ Second, ‘A Shared Authority for an Open-ended Story.' Third, ‘The Open Discussion for Different Perspectives.' Fourth, ‘The Acceptance and Mediation of Conflicts.’ Fifth, ‘Passion for Investigation.’ Sixth, ‘Finding the Endless Flow.’ In the perspective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enhanc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al values in multiple w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using post-modern picture books.

      • 아동문학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공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조 ( Lee Yongjo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9 교육학논총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문학를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이들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공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시에 소재한 O초등학교 3학년 2개 반 학생 총 54명이 참여하였다. 이들 중 한 개 반은 실험집단에 다른 한 개 반은 통계집단에 무선 할당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적 설계는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이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총 12회기의 아동문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다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학습 효능감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 및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아동문학(동화 동화 시)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정서지능 총점 및 하위요인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문학(동화 동화 시)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창의적 공부 효능감 총점 및 하위요인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문학(동화 동화 시)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공부 효능감의 전‧후 검사 비교에서도 사후 검사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교 장면에서 아동문학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한 창의성 및 인성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literature base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study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54 students from O Elementary School in 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dopted in this study. Using SPSS26,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children’s literature base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had impacted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showed that children’s literature based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had impacted on creative study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mplications and remark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김경은(Kim, KyoungEun),정수정(Jeong, Su Jeong),윤정진(Youn, Jeo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암묵적 지식을 통해 대학생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인성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인, 창의인성교육을 살펴보았고, 2018년 4월 12일부터 6월 20일까지 부 산 및 경남 소재 3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암묵적 지식을 통해 대학생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이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생들은 창의인성 을 창의성과 인성의 결합으로 보고, 창의인성의 구성개념에는 관계유능성, 문제해결 을 위한 실천적 태도, 창의적 사고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창의인성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통적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개방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인식하는 창의인성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와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생들을 위한 창의인성교육의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and the understanding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From April 12 to June 20, 2018, 382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concerning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viewed creativity as a integr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he construct of creativity included ‘Relational competence’, ‘Practical attitude to solve problems’, and ‘Creative thinking’.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suggested that it was important to provide an open educational environment away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for fostering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is study thereby would be helpful to make an approach to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

        박창현(Chang-Hyun Park),김성희(Sung-Hee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정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프로그램의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은 대부분이 지각적 관심, 개인적 관심 수준이었으며, 정보를 얻는 수준이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대다수가 창의인성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하였으나, 현장에서 창의인성교육을 어떻게 실행해야할 지 엄두를 내지 못하거나 실행을 위해 기존의 교육내용 및 방법을 변형시키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창의인성교육실행을 위해서는 창의인성교육과 관련된 영유아 놀이 활동 확대와 유아발달에 적합한 교육내용에 대한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concerned kindergarten teachers are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how much they incorporate these concepts into their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4 kindergarten teachers. A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subsequent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teachers level of concer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perceptual stage of concern (97.8) represented the highest response rate, followed by the personal stage of concern (84.0), and the informational stage of concern (83.9). Secondly, the maj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placed emphasis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but they felt they lacked the knowledge to implemen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successfully, and to challenge the existing educational methods.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upport,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study recognized that activity guidelines and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education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분석

        진셴잉(Xianying, Jin),김경철(Kyungchul, Kim),최현주(Hyunjoo, Cho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중국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중국 유아의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중국 연변지역에 위치한 S유치원과 H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 51명(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 유아에게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약 8주간 16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유아 창의인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 창의인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차이를 살펴봤다. 연구결과 국내에서 개발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유아의 창의인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유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중국 유아의 효과적인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creativity-character of Chinese young children and their responses, by apply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Chinese young children. For this, selecting total 51 young children(24 children for experimental group, 27 for control group) of S kindergarten in Yanbian, China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er applied the 16 sessions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o the young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about eight weeks. On top of conducting the creativity-character test before/after applying the program, all the responses of Chinese young children shown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ogram were transcribed/analyz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Korea had effects on the creativity-character of Chinese young children in the significant range. Also, the responses of Chinese young children were changed throughout total three stages during the program. The stage1 shows the unfamiliarity and fear while the stage2 shows the conflict between hesitation and challenge. The stage3 shows the courage and practice. In other words, in the initial application of the program, Chinese young children felt unfamiliar and difficult to express their own thinking. As the program was progressed, however,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ffect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for Chinese young children.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 기반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경은,조부경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based on postmodern picture books. In this research, a draft proposal was organiz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creativity/character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and the results of analyses of the recognitions of teachers and the reactions of young children regarding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The draft proposal that was organized in this way went through a suitability verification process and was developed as the final proposal. The program consisted of 12 topics and 45 activities based on 6 book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fact that the possibilities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based on postmodern picture books have been expanded by faithfully considering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postmodern values an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그림책 기반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인성과 포스트모던 그림책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포스트모던 그림책 기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유아 반응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시안은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과 만 5세 유아 84명을 대상으로 9주 동안의 현장 적용 과정을 포함한 적합성 검증 과정을 거쳐 최종안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포스트모던 그림책 기반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그림책 6권을 중심으로 총 12가지의 주제, 45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가치와 창의인성교육의 접점을 충실히 고찰하여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기반으로 한 창의인성교육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지적장애학생 학교폭력 예방 창의인성교육 모델수업안 개발 연구: 빵 공예 활동을 중심으로

        김영화,박상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esson plan for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using bread crafts activiti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gainst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e purpose, the author collected theses, books, writings and revised curricula for special schools from Crezone Net and RISS. participated in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raining and was consulted by bread crafts experts. The lesson plan presented skills and direction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to nurture creative personality. It also suggested a theme, objectives, and goals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ncluding plans on class development, activities and evaluation. It was designed to evaluate originality, flexibility, forgiveness, possession, consideration and promise and the six hat thinking was used to enhance creativity.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results and limitations, and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의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빵 공예 활동을 접목하여 창의·인성교육 모델수업안을 개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창의인성 교육넷,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에서 검색한 논문과 저서, 창의인성교육기법 자료집, 개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수집했다. 본 연구자는 창의·인성교육 연수와 빵 공예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으며, 학습주제 관련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모델수업안을 개발했고, 수업안 구성 요소에는 학교폭력 예방 및 창의성 향상 기법 적용 내용이 포함되었다. 본 모델수업안에는 학습주제와 학습목표, 창의․인성교육 목표, 창의·인성 요소가 제시되었으며, 40분의 수업 시간 속에 전개계획, 활동내용, 평가계획이 나타나 있다. 창의·인성교육 목표의 평가 요소는 독창성과 융통성, 용서․소유․배려․약속 등이며, 창의성 향상 기법은 육색사고모자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