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 번식기 흰날개해오라기(Ardeola bacchus)의 분포 및 번식에 관한 보고

        황재웅(Jae-Woong Hwang),이지연(Ji-Yeon Lee),최유성(Yu-Seong Choi),남형규(Hyung-Kyu Nam),박진영(Jin-Young Park),허위행(Wee-Haeng Hur),유정칠(Jeong-Chil Yoo)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집단번식하는 백로류 중 구체적인 번식 현황 정보가 부족한 흰날개해오라기 (Ardeola bacchus)의 번식지 분포와 번식 과정에 대해 기록하였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백로류 집단번식지 조사에서 흰날개해오라기 번식은 8개 번식지에서 17개의 둥지가 확인되었다. 흰날개해오라기의 번식이 확인된 번식지는 주변에 논을 비롯한 습지가 비교적 넓게 분포하며, 번식지는 수목 연령이 30년 이상, 흉고직경은 18cm 이상의 수관층 밀도가 높은 침엽수와 활엽수로 구성되어 있었다. 2020년에 발견한 1개 둥지의 번식과정 확인 결과, 한배산란수는 4개이며, 6월 11일에 마지막 4번째의 알을 산란하였고, 7월 1-4일에 새끼 4개체가 모두 부화하였다. 이후 7월 30일에 새끼 4개체가 모두 이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흰날개해오라기의 전국적인 번식지 분포와 인천 번식지에서 번식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흰날개해오라기의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colonial breeding egrets,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ecology of the Chinese Pond Heron (Ardeola bacchus) in Korea.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recorded the distribution and breeding of this heron species. From 2018 to 2019, 17 nests of the Chinese Pond Heron were identified in 8 breeding colonies. The breeding colonies were distributed in paddy fields and wetlands, with trees are over 30 years of age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18 cm, dominated by dense conifers and broad-leaved species. In one nest found in 2020, the clutch size was 4, and the laying date of the last egg was June 11. All eggs hatched between July 1 and 4, and all chicks were successfully fledged on July 30.

      • KCI등재

        Testing the potential of lightweight drones as a tool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colonially breeding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Han-I Choi(최한이),Hyung-Kyu Nam(남형규),Jongmin Yoon(윤종민)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1

        무인항공기는 최근 물새류의 번식지를 포함한 다양한 야생 동물 현황을 조사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야생동물의 개체수와 분포에 대한 조사 데이터를 얻는데 용이하다. 검은머리갈매기(Saundersilarus saundersi)는 갯벌 주변 매립지에서 집단 번식하는 물새류로, 집단 방어행동으로 인해 둥지를 직접 조사 등 인위적인 방해 없이 번식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매립지 서식 검은머리갈매기 집단 번식지에서 소형 드론을 사용하여 번식 현황을 조사하였다. 2018년, 선조사 방식의 Distance Sampling 방법으로 번식기 동안 반복 조사를 실시했다. 드론으로 녹화된 비디오 데이터는 조사 선에서 개체 또는 둥지까지의 거리로 변환하여 기록하였다. 결과적으로, 번식기 동안 집단 번식지의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18년 집단 번식은 둥지포식에 의해 완전한 실패하는 패턴을 보였다. 따라서, Distance Sampling 기반으로 비침습적이고 저비용의 무인항공기 조사방법은 데이터 수집과 추정에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물새류 집단 번식지 모니터링에 유용하다고 추론된다.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are recently used to survey a diversity of wildlife status, including breeding colonies of seabirds, which provides empirical data of wildlife numbers and distributions with fewer disturbances. The Saunders’s gull (Saundersilarus saundersi) is a colonially breeding seabird species on reclaimed lands near mudflats. It is also known to be difficult to estimate the breeding status without disturbance such as directly checking nests due to their group defense behavior. In this study, we used a lightweight drone to survey the breeding status of Saunders’s gulls in a reclaimed area of Incheon, Republic of Korea. Then, we approached a distance sampling method with fixed line transects along multiple surveys during the breeding season of 2018. The video data recorded by UAV were transcribed into individual- or nest-based distances from each line transect. The results of our survey indicated that the relative size of breeding colony rapidly decreased throughout the breeding season, showing the complete failure pattern of the breeding colony in 2018. We suggest that this non-invasive, less expensive UAV method with distance sampling may be useful to estimate the breeding status of seabird colonies in spite of uncertainty of data collection and estimation.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와 태안 난도의 괭이갈매기 번식현황

        김미란(Miran Kim),이용순(Yong-soon Lee),최세준(Se-jun Choi),김양모(Yang-mo Kim),김재훈(Jae-hun Kim),황보연(Bo-yeon Hwang),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2

        전세계적으로 350여종의 바닷새가 있으며 이 중 10여 종이 우리나라에서 번식한다. 바닷새는 개체군이 감소할 경우 느린 성장과 작은 한배산란수로 인해 회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와 태안군 난도에서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2022년 5월에 수행되었으며 괭이갈매기(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의 알크기, 한배산란수, 둥지 밀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한배산란수는 홍도에서 1.89±0.57, 난도에서 1.91±0.48로 나타났다. 알크기는 홍도에서 59.22±5.47㎤, 난도에서 59.63±3.96㎤로 유사하였다. 둥지 밀도는 홍도(1.27±0.18개/㎡)가 난도(0.54±0.15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번식 면적으로 추정된 번식개체군 크기는 홍도가 56,729쌍, 난도가 14,112쌍으로 산정되었다. 번식개체군 장기모니터링은 괭이갈매기 번식지 보호를 위해 번식 개체군 변동을 파악하는데 필요하다. Seabirds take a long time to recover if their population decreases due to slow growth and small clutch siz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of breeding status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on Hongdo Island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and Nando Island. These two breeding colonies a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We investigated egg volume, clutch size and nest density in May 2022. As results, clutch size was 1.89±0.57 in Hongdo Island and 1.91±0.48 in Nando Island. The egg volume was also similar between Hongdo Island (59.22±5.47) and Nando Island (59.63±3.96). The nest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ongdo Island (1.27±0.18/㎡) than in Nando Island(0.54±0.15/㎡). Breeding population was estimated as 56,729 pairs in Hongdo Island while 14,112 pairs in Nando Island based on the proportion of breeding areas. Long-term monitoring is required to know the trends of Black-tailed gulls to protect breeding colonies.

      • KCI등재

        무인항공기 기반 항공영상을 활용한 칠산도의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 개체수 산정

        이윤경,노두리,김우영,김혜진,오수정,강지현,유성연,김서하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시간에 따른 야생동물의 개체군 변동을 파악하는 것은 효과적인 보전 관리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s)의 기술적 발전은 다양한 분야의 생태 연구와 개체군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모니터링 접근 방법인 무인항공기 기반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칠산도 괭이갈매기의 개체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번식지 내에서 괭이갈매기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7개 섬으로 구성된 칠산도에서 괭이갈매기가 번식지로 이용하는 섬은 일산도, 이산도, 삼산도, 사산도, 육산도 5개 섬이었으며, 총 개체수는 2019년에 48,102마리, 2020년에 52,823마리, 2021년에 51,048마리였다. 이 중 육산도에서 가장 많은 괭이갈매기(26,457-29,040)가 번식하였고, 다음으로 사산도에서 13,153-14,491마리, 이산도에서 4,741-5,595마리, 삼산도에서 2,569-3,378마리, 일산도에서 1,182-1,300마리가 분포하였다. 섬별 괭이갈매기 분포를 살펴보면, 육산도 중앙의 저지대, 북동쪽 정상, 남서쪽 능선 지역에 괭이갈매기가 집중적으로 분포하였고, 이산도와 사산도의 괭이갈매기는 정상 능선, 삼산도의 괭이갈매기는 남동쪽 사면과 정상에 밀집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칠산도의 장기간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번식지 내에서 공간적 분포의 차별화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다른 지역, 다른 종에 적용함으로써 바닷새와 집단번식지 보전을 위한 관리 방안을 수립할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백령도에서 검은이마직박구리(Pycnonotus sinensis)의 번식 및 월동 현황

        강종현,김동원,서재화,박진영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3

        On 4 May 2011, a total of four adult Light-vented Bulbuls (Pycnonotus sinensis) were observed for the first time at Baengnyeong Island, Ongjin-gu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irteen adults and nine fledglings were observed from their habitats on September 23, 2011 as a potential breeding population. A flock of 51 individuals was also found in the southern area of Baengnyeong Island on December 17, 2011, which could be the largest in South Korea. 2011년 5월 4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도에서 검은이마직박구리 성조 4개체가 처음으로 관찰되었으며, 9월 23일에 성조 13개체와 새끼 9개체가 관찰되어 번식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12월17일에는 51개체가 집단으로 월동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가장 큰 월동집단이다.

      • KCI등재후보

        쇠백로(Egretta garzetta)에서의 청각적 친족인식

        정훈,유정칠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3

        The study is selected 20 nests in breeding site of the Little Egret, Egretta garzetta, and examined individual recogni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young, and sibling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young little egrets selectively responded to their siblings and non-siblings at 18~20days after hatching. But parents do not recognized their offspring before 20days after hatching. In an experiment of vocal recognition between siblings and non-siblings,parents and non-parents, the young little egrets neither approached their siblings nor parents significantly before 20 days after hatching. The individual recognition in a mass breeding site provided an important evolutionary indicator in terms of their social behavior. 본 연구는 쇠백로(Egretta garzetta)에서 부모와 새끼 그리고 형제간 개체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백로류 집단번식지에서 20개의 쇠백로 둥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새끼들은 부화 후약 18~20일 정도에 그들의 형제와 비 형제에 선택적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는 새끼가 부화 후 20일전에는 자신의 새끼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적 인식을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새끼는 자신의 어미와 형제 모두에게 다가가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번식지에서 개체 인식은 그들의 사회행동에서 중요한 진화적 지표가 된다.

      • KCI등재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사회 특성

        안경환 ( Kyunghwan Ahn ),임정철 ( Jeongcheol Lim ),한창욱 ( Changuk Han ),이윤경 ( Yunkoung Lee ),조항수 ( Hangsoo Cho ),서재화 ( Jaehwa Suh ),서민환 ( Minhwan Suh ),신영규 ( Youngkyu Shin ),김명진 ( Myung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providing basic ecology informations based for heronries. We investigated the 25 heronries sites to have more than a hundred nests in the country. The vegetations of heronries were arranged 8 plant communities that consisted of 60 families, 129 genuses and 167 species including 17 species of exotic species. The communities of heronries were composed of high NCD (Net Contribution Degree) of plants, such as pokeberry (Phytolacca americana), japanese chaff flower (Achyranthes japonica), asiatic dayflower (Commelina communis) including diagnosis species, that was heliophilous and tolerance of eutrophic and/or acidic soil condition, and had the highest composition with the annual plants. As locational condition, they were distributed a favorite feeding place (rice field, stream etc.) inside 0.5 km radius, and located on the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The vegetative composition among plants in the heronries didn’t have plant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ites. But generally, they had trends in floristic composition like the areas of polluted soil, open canopy and disturbance.

      • KCI등재

        A census of colonially breeding Saunders’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using aerial imagery data from lightweight unmanned aerial vehicles

        이선주,윤종민,유동균,윤채원,최수용,이종구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Estimating the population size of a species is essential to investigatethe status of endangered or vulnerable species during the breeding season. However, the census of breeding colonies or populations for colonially breeding seabirds, including Saunders’ gulls (Saundersilarus saundersi), is especially difficult because oftheir colonial nest defense. To acquire accurate census data, we conducted an aerial survey using lightweight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in 2022 to examine the breeding population size of Saunders’ gulls in Songdo Newtown, a reclaimed land in South Korea. First, three UAVs simultaneously flew for an hour and photographed the entire surface of the target area (153 ha) in mid-May. Second, we classified and marked their behaviors into three categories (incubation, standing, and flying) in the 1,807 UAV images. The image files were then merged into a single grand map, excluding overlaps. The number of nests with an incubating parent was counted while accounting for nest attentiveness (95 %). The breeding population size of Saunders’s gulls was surveyed to be a total of 1,456 pairs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highlights that this type of aerial survey using lightweight UAVs is a rapid and noninvasivemethod to accurately survey the population size of colonial breeding seabirds on a large-scale ground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