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안수민(Sumin Ahn),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고등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409명이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산출, Pearson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을 검정하였고, 측정변인들 간의 총효과와 직․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정보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 하였다. 둘째, 모 정서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부 정보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및 모 정서적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들의 총효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모 정서적지지, 내적 직업가치관, 부 정보적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과 개인 심리 내적 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부 정보적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모 정서적지지는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내적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부모가 각각 자녀의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ir parent career support process. The data of 409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reshman year, living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however, it had an indirect affec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mothers emotion-related support had a direct impa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as well as indirect affec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and mothers emotion-related support with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indicated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urth, the total effect of each variable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others emotion-related support, intrinsic work value and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elucid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internal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results that both fathers information-related support has an indirect effect and mother emotion-related support has a direct and an indirect affect (mediated by intrinsic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decision status suggest differences in parents effects on their child s career decision status.

      •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정지우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0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진로코칭프로그램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는 만 13세에서 16세의 청소년 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9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단일집단 대응표본 t-test,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 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인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의 평균점수는 모두 높아졌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문제해결은 평균점수가 높아졌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미결정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미결정수준의 구성요소인 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 인식 부족, 외적장애의 평균점수는 모두 높아졌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진로코칭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미결정수준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adolescents on the effects of a career coaching program. This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 First, are there any the effects i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a career coaching program? Second, are there any effects in career indecision of adolescents on a career coaching program?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of 29 adolescents in Goyang-si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8.0, a single group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Data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a career coaching program was partly effective in changing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dolescents' choice of goal selection, career information, and future planning was found to increase. However, there was found to decrease in problem solving, although the average score increased.. Second, a career coach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indecision. The average scores of lack of job information, lack of self-responsibility, lack of awareness, and extern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improved after the program. In conclusion, a career coaching program was found to be ha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adolesc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of adolescents through the coaching program.

      • KCI등재후보

        진학장벽 지각과 진로결정효능감이 일반계 남고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현림,김영숙,송명자,허선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2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lucidate the effects of perceived educ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high school boys. From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nd the discussion on them, the conclusions were deduced as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perceived by the bo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one. The primary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mong subordinate indexes in educational barriers wa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career fields and pupils’ incompetence to search for the target information’. The 2nd graders in high school are on the edge of getting into the real world of competition for more prestigious colleges and feel much pressure from the lack of information, inability of referring to the effective information and insecure state of mind.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verified after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recognized by the bo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Setting the goal’ was the main factor that mostly influences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mong subordinate index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students' self-confidence to map out their own future, along with the long-term plan for their lives to come is the essential element in improv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남고생의 진학장벽 지각과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4개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상관관계 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반계 남고생들이 지각하는 진학장벽과 진로결정수준 사이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진학장벽의 하위 척도에서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진학정보 및 탐색능력의 부족’이 27.3%로 나타났고, ‘불안한 심리수준’의 2.6%를 포함하여 전체 변량의 29.8%를 설명해 주었다. 둘째, 일반계 남고생들이 지각하는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진로결정효능감의 하위 척도를 살펴보면,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목표선택’으로 24.9 %를 나타냈고 ‘미래계획’은 4.8%로 전체변량의 29.7%를 보여 주었다.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첫째, 진학장벽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낮아졌다. 본격적인 입시경쟁이 시작되기 전인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지각하는 진학장벽은 진학정보 및 탐색능력의 부족과 불안한 심리상태이었다. 이에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적절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진로탐색 능력을 높이기 위한 지도가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년별로 지각하는 진학장벽의 내용이 다르므로 학년에 따른 맞춤형 진학지도가 필요하며, 청소년의 불안한 심리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진로결정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특히 미래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진로목표 선택과 더불어 자신에 대한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진로결정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남고생들의 바람직한 진로결정을 위해 적절한 진학정보와 함께 진로결정효능감을 증대시키는 전문화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어윤경(Yun Kyung Au)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의 진로성숙수준과 의사결정수준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진로성숙수준이 실천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와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은 진로성숙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으로 실현시키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진로 연구분야에서 빠뜨릴 수 없는 진로의사결정 요인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 기존의 진로성숙수준은 행동을 이끄는데 더 이상 유의한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성숙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의사결정수준이 높아지고, 진로의사결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을 때 실천적 행동을 이끄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진로의사결정은 실천 행동을 이끄는데 완전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진로성숙수준, 진로의사결정,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는 인지적 측면의 진로관련 변인뿐만 아니라 행동적 측면에 대한 이론 모형을 정립하는데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진로성숙수준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행동의 동인이 된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진로준비행동을 실현시키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진로성숙수준을 증가시키려 는 개입 활동에 더하여 의사결정수준을 높이도록 조력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진로미결정 요인을 살펴보고 의사결정수준을 높이도록 지원하는 세심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present study, a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career decision-making skill has a mediating effect on college students`career matu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lly, college students`career matur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when career decision-making skillwas considered, career maturation no longer showed any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career decision -making skill was determin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two variables. The use of the relations model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kill and career maturation will enable the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foundations not only on the career variables related to cognitive aspects but also on those related to behavioral asp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a career counselor can increase the career decision-making skill of college students, which will positively affect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박신영,이동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1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CPB)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CDL)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SAC) in multiple domains.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rvey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one of four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SAC was measured in four domains including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of CDL and CPB,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DL and four SAC domains. Correlations between CPB and SAC domains, except for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were also positiv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P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DL and SACQ were significant in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whil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academic adjustment was significant only if CDL was very high or low (not moderat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college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when CDL was very hig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DL, but not CPB,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on social adjustment. Finally, CDL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and CPB had a unique negative effect on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consistent positive effects of CDL on SAC domains, the nature of effects of CPB can vary across different CDLs and SAC domai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다양한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역할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4 영역)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개념화에 기초하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모든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도 개인·정서적응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는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 영역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학업적응이 뚜렷하게 높아지는 반면, 진로결정수준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대학환경적응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진로결정수준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대학환경적응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동시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진로결정수준만이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인·정서적응에 진로준비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결정수준의 전반적인 긍정적 효과와는 달리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그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개인의 진로결정수준과 구체적인 적응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김기승 ( Ki Seung K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이 연구는 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탄력성 및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을 밝히고, 이 과정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전공선택만족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교 4학년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AMOS18.0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리직업선천성 → 진로결정수준’의 경로를 제외한 모든경로의 C.R.값이 2.58 이상으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였다. 잠재변수들 간의 경로에서 유의한 경로들의 표준화 계수를 살펴보면, ‘명리직업선천성 → 진로탄력성’의 경로계수는 .449, ‘진로탄력성 → 진로 결정수준’의 경로계수는 .971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였다. 그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간접효과와 총 효과의 유의성과 잠재변수들 간 경로계수의 효과를 분해하였다. 그 결과, 명리직업선천성은 진로탄력성에 .449 만큼의 직접적인 효과를 가진다. 명리직업선천성은 진로결정수준에는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주지 못하며 .436 만큼의 간접효과를 지닌다. 즉 명리직업선천성은 진로탄력성을 통해서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진로탄력성을 매개하여 진로행동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진로탄력성은 진로결정수준에 .917 만큼의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며, 이는 진로탄력성의 증가가 진로결정수준의 향상을 매우 직접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전공선택만족도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전공선택만족도가 높은 그룹의 경로계수와 낮은 그룹의 경로계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공선택만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경로계수가 더 크므로, 명리직업선천성은 전공선택만족을 통해 진로결정수준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명리직업선천성의 3가지 차원인 목표지향, 활용가치, 흥미열정의 영향력 크기를 판별하였는데, 흥미열정 > 목표지향 > 활용가치의 순으로 진로결정수준에 대해 영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결국 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능력에 따라 진로를 결정하는 것이 순리적이라고 볼 수 있지만, 흥미열정이 직업적 성공을 위한 탄력적인 진로태도 및 적극적인 진로결정을 실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resilience and moderation effect of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A structuralized survey was conducted on 360 undergraduate students on their 4th yea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MOS 18.0 statistical program to verify the study problem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C.R. value was above 2.58 for all paths except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 career decision level’, showing significance at 1% significance level. Looking into standardization coefficient of significant paths in paths among latent variables, path coefficient was 0.449 for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 career resilience’ and 0.971 for ‘career resilience → career decision level’, showing significance at 1% significance level.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and the effects of path coefficient among latent variables were disintegrated. As a result,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has direct effect of 0.449 on career resilience.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does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only has indirect effect of 0.436. In other words,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can have 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via career resilience, and it is mediated by career resilience to affect career behavior and performance. Also, all of such indirect paths are significant. Career resilience has direct effect of 0.917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o mean that increase of career resilience can directly facilitate improvement of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moderation effect of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the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 between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and group with low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has higher path coefficient,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was found to reinforce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Additionally, when the influence of 3 dimensions of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including goal orientation, utilization value, and interest and passion was deter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ir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shown in the order of interest and passion, goal orientation, and utilization value. In the end, career resilience was confirmed to show complete med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yongri occupational aprior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it would be reasonable to decide career based on ability, but interest and passion was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resilient career attitude and enthusiastic career decision for occupational succes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역할

        박예영,이동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job-search self-efficacy(JSSE)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CD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CPB) with a sample of 213 3rd- or 4th-year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city in the southeast region in Korea.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mean differences in CDL, CPB, and JSSE by gender and college years and the simpl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hen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JSSE, based on a prediction from the self-efficacy theory, in the relationship of CDL and CPB and mean differences in JSSE across 4 groups of career development typology derived from CDL and CPB scores.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JSS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ere positive and moderate bivariate correlations among CDL, CPB, and JSSE. Third, JSS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DL and CPB, indicating that CDL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CPB but also an indirect effect on CPB by way of JSSE. Finally, college students with high CDL and low CPB exhibited the lowest JSSE than the other groups of career development typolog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me students with high CDL may not actively engage in CPB as they do not possess sufficient JSSE and provide an implication that interventions to increase college students' JSSF should b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ones to facilitate their career decision in order to increase their actual CPB.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provided and fully discussed. 본 연구는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이 적절한 진로준비행동을 수반하지 않는 이유가 낮은 구직효능감과 관련된 것인지 탐색하기 위하여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영남권의 한 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3, 4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구직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후, 자기효능감 이론의 예측에 기초하여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분류한 4개의 진로발달유형 집단에 따라 구직효능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는 구직효능감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구직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과 구직효능감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직효능감에 의해 매개되어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발달유형 상 진로결정수준이 높지만 진로준비행동이 저조한 학생들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모두 높은 대학생들이나, 진로결정수준이 낮은 대학생들에 비해 구직효능감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높더라도 구직효능감이 충분하지 않을 때 낮은 수준의 진로준비행동을 보일 수 있으므로 그들을 위한 진로교육 및 상담에서 진로결정을 촉진하는 개입뿐 아니라 구직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진로준비나 취업을 위한 실제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백수진,안성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affect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6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ys in Busan and Chungcheong-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f SPSS 23.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ll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it was found that on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level of career confidence had an effect on both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career undecided level.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충청도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의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대학생활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준은 모두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중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들 중에서는 목표설정과 계획수립이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 중 진로확신수준에서는 대학생활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모두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전반적인 대학생활과 대학 교육의 질이 진로확신수준에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이 장애대학생의 진로확신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 중 진로미결정수준에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독립변인의 하위요인들 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설정과 계획수립이 장애대학생의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지원의 진로지원체계의 실제적인 자료가 되어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른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모에 대한 갈등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아 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 : Mediated by Ego - Identity Status

        김은진,천성문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1 동서정신과학 Vol.4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 정체감 수준이 부모에 대한 독립 및 애착과 진로 결정 수준간 관계에 미치는 매개변인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특히 이러한 매개변인 효과에 정체감 수준별, 부모 ·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남녀 학생 942명이었다. 독립은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척도(PSI;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의 네 하위 척도 중 갈등적 독립 척도만을 사용하였고, 부모에 대한 애착, 자아 정체감 수준, 진로 결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부모에 대한 애착 척도, 자아 정체감 수준 척도, 진로 결정 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독립 및 애착, 자아 정체감 수준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체감 수준과 성별에 따른 각 집단에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에 대한 독립 및 애착과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자아 정체감 수준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정체감 수준과 부모와 자녀의 성별에 따른 각 집단에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에 대한 독립 및 애착, 자아 정체감 수준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정체감 혼미, 유실 수준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진로 결정 수준에 가장 강력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예 수준 남녀 대학생의 경우 정체감 유예 정도는 부적, 이성 부모에 대한 애착은 정적으로 진로 결정 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체감 수준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경로분석 결과, 정체감 유예 수준 남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자아 정체감 유예 수준이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독립과 진로 결정 수준간 경로를 유의하게 매개하였고, 여학생 집단에서는 정체감 유예 수준이 어머니에 대한 독립과 진로 결정 수준간 경로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또한 남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체감 유예 단계가 가치관과 대인관계에 대한 고민과 탐색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써, 동성 부모 특히, 어머니에 대한 분노, 죄책감, 원망 등으로부터 자유로울수록 비관여, 미결정 특성을 보이는 유예 정도가 낮아지고 진로 결정에 대한 확신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성부모와 애착을 보일수록 진로 결정 정도가 높아진다. 반면, 혼미와 유실 단계에서는 심리적 독립 이전의 동성 부모에 대한 강한 긍정적 동일시와 분리 회피 성향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status on the path from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to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recruited sample of 932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other rural areas. Hoffman's(1984)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and Armsden & GReenberg's(1987)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were used to obtain a measure of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Ego-identity status and career decis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measured by Adams, Shea, & Ritch's(1979) Extended Objective Measure of Ego Identity Status-2 and Osipow's(1980) Career Decision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 of fitting the model for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with father and mother, ego-identity status, and career decis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among variables only in men's and women's moratorium status groups. In men's moratorium statu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s from paternal and m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s to career decision statu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s from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s to career decision status. Just men's maternal attachment influences directly on career decision status. In women's moratorium status group, there w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 from m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to career decision statu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y moratorium status in the paths from paternal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s to career decision status. There was no direct influence from parental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attachment to career decision status. This result shows that as the college student of moratorium status is free from wrath, guilt, resentment, etc. toward homosexual parent specially mother, so moratorium degree of no involvement and no decision decreases and certainly about career decision increases. On the contrary, the college students of diffusion and foreclosure statuses show strong identification with homosexual parent and separation avoiding tendency.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라기훈,임나영,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ati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desirabl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test tool was produc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70 item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1 items), parent support (22 items), career decision level (22 items), and resilience (27 it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50 students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Area and 689 piec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of non - respondents and untru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by grades. Also, parental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emotional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were more than 50%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overall resilience and sub - factors such as control, positive, and soci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a program linked to the school and the home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both domestic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Especially, as the grade increases, it should be preceded by education that can form positive parent support and resilience by utilizing emotional and linguistic aspect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1문항), 부모지지(22문항), 진로결정수준(22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68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언어적 격려가 진로결정수준에 50%이상의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