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부착식 진동측정방법에 의한 공용중 교량의 진동사용성에 대한 실험적 평가

        신현섭,박기태,이규완,전진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4 No.6

        본 논문에서는 비부착식 진동측정기법에 의한 공용중 교량의 진동사용성을 평가하고자 레이저 진동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진동사용성 평가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가속도계 및 처짐계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레이저 진동측정장치의 측정에 대한 정확도는 실교량의 고유진동수를 측정하고, 이를 가속도계로 구한 값과 비교함으로서 검증하였다. 진동사용성 평가 실험 및 비교 분석 결과에 의하면, 측정속도의 수치미분을 통하여 가속도를 추정하고, 가속도 진폭에 대한 Reiher-Meister 진동사용성 평가기준을 이용함으로써 공용중 교량의 진동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추정된 변위 진폭에 대한 경우 측정속도의 시간영역 수치적분 과정에서 발생된 오차로 인해 실제 측정된 변위 진폭에 대한 진동사용성 등급과는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evaluate vibration serviceability by means of non-contact vibration meter, serviceability of existing bridge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by using laser vibration meter. Test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evaluation results acquired by using accelerometer and LVDT. To testify accuracy of laser vibration meter measured natural frequency were compared with that acquired by using accelerometer. According to test and comparison results it is showed that serviceability can be evaluated properly enough from the tolerance curve of Reiher-Meister for the estimated acceleration that can be calculated by the numerical differentiation of measured velocity. But because of cumulative numerical error occurred during integration of measured velocity in the time domain serviceability grade could be different from the result acquired by LVDT.

      • 쌍동선 요트의 선실진동 및 진동규정에 관한 연구

        유영훈,김봉철 해양환경안전학회 2011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06

        Yacht 진동은 여객의 안락감을 결정하거나 승조원의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Yacht의 안락감을 결정하는 진동은 선박의 속도를 좌우하는 추진방식의 발달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Yacht를 비롯한 선박에서는 추진력을 발생하기위하여 성능이 뛰어난 내연기관이 설치되어지고 내연기관의 연속적인 폭발과정에서 기인하는 강력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진동 환경에 인체가 노출 되는 경우,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는 생리적인 피해와 심리적인 피해로 발생하게 된다. 선박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여객의 안락감을 결정하 거나 승조원의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매우 중요하다. 선박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선박의 속도를 좌우하는 추진방식의 발달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이 추진력을 발생하기위하여 선박의 기관실에는 디젤엔진의 연속적인 폭발과정에서 기인하는 강력한 진동이 발생 하게 된다.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는 생리적인 피해와 심리적인 피해로 발생하게 된다. 진동 환경에 인체가 노출되는 경우, 선내의 진동에 대한 평가는 국제표준화지침인 ISO 6954:2000(E)에 의해 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진동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기위 해 ISO 6954:2000(E)에서 규정하는 지침에 의해 선박진동의 영향이 가장 큰 기관실, 기관제어실, 각종선실 및 브리지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를 측정 비교하여 평가한다. The vibration generated on shipboard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greatly affect on the comfortable mind of passenger and working conditions of crews. Shipboard vibration is closely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propulsion method that is main engine to decide speed of ship. To make the propulsion power, the main engine of ship engine room have continuous explosion process, so the shipboard vibration is generated. The physiological damage and psychological damage of human body have caused by the vibration of shipboard. In the case of the human body is exposed to the shipboard vibration, the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to whole-body vibration is prescribed in ISO 6954 : 2000(E). In this paper, to evaluate the shipboard working environment, the vibration levels of two kinds of ship onboard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engine rooms, engine control rooms and bridges by the regulation of ISO 6954 : 2000(E)

      • SCOPUS

        진동시뮬레이터와 디지털 카이모그래피를 이용한 반폐쇄성도운동 시 성대진동의 특성

        김지성(Ji Sung Kim),최성희(Seong Hee Choi),이경재(Kyungjae Lee),최철희(Chul-Hee Choi),왕수건(Soo-Geun Wang),이동욱(Dong-Wo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4

        배경 및 목적: 반폐쇄성도운동은 직업적 음성사용자와 전문 음성사용자의 음성훈련뿐만 아니라 병리적인 음성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져 온 방법이다. 본 연구는 진동시뮬레이터와 디지털 카이모그래피(DKG)를 이용하여 SOVTE 시 성대진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SOVTE의 이론적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30세 정상음성 성인 12명(남 6명, 여 6명)이다. 대상자들은 개방모음 /ㅏ/와 SOVTE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성도의 좁힘 정도(개방모음 /ㅏ/, 허밍, 유성양순마찰음 /β/)와 SOVTE의 진동원 수(단일진동원: 빨대발성, 이중진동원: 물저항빨대발성)에 따른 성대진동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진동시뮬레이터 및 DKG를 사용하여 성대의 진동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변수는 성문틈 비율(Glottal Quotient, %), 성대접촉지수(Speed Qoutient) 및 진폭(pix-el)이다. 결과: 허밍과 유성양순마찰음은 개방모음보다 GQ (p=.000)와 SQ (p=.000)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진폭에서는 허밍(p=.018) 및 유성양순마찰음(p=.003)이 개방모음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또한, 진동유형에 따라서는 이중진동원이 단일진동원에 비해 GQ (p=.000)와 SQ (p=.008)에서만유의하게높았다. 논의 및 결론: SOVTE는 개방모음과는 다르게 성문틈을 보이며 약간 외전된 형태의 성대진동을 보였으며, SOVTE 시성대진동의개방기가 더 길고 진폭은 더 작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SOVTE를 이용한 음성치료와 음성훈련에 대한 보다 과학적이고 직접적인 이론적, 임상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 vi-bration during sustained vowel /a/ phonation and various 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 (SOVTEs) using a vibration simulator and digital kymography (DKG). Methods: A total of 12 normal young speakers (6 males, 6 females) aged 20-30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phonated a sustained /a/ vowel and performed SOVTE. The vocal fold vibratio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bration sources (single vs. double), and vocal tract occlusion degree using a vibration simulator and DKG. Glottal gap quotient (GQ, %), speed quotient (SQ, %) and amplitude (pixel) were estimated quantitatively from the DKG imag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ly higher GQ (p= .000) and SQ (p= .000) were observed in the humming and bilabial fricative /β/ compared to open vow-els. The ampl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pen vowel /a/ than in humming (p= .018) and bilabial fricative /β/ (p= .003). Also, when comparing the vocal fold vibration parameters according to vibration type (single source: straw phonation vs. double source: straw phonation with water), the double source presented a significantly higher GQ (p= .000) as well as SQ (p= .008) in comparison with a single source. Conclusion: SOVTE showed a glottal gap that is different from the opened vowel /a/. It also had a longer opening of the vocal fold and a smaller amplitude than the vowel. This suggests that SOVTE may be help-ful for facilitating vocal fold vibration and good voice quality in clinical practice. The current study can be meaningful in providing theoretical and clinical evidence for SOVTE.

      • 열차에 의한 구조물의 진동 영향

        김두환,이영선,고상훈,이승수,황윤성,정준영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철도 및 도로에 인접한 건물을 설계할 경우 안전성과 쾌적성을 위하여 소음, 진동 문제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특히 도로 및 철도 진동은 진동원으로 부터 지반을 타고 여러 파의 형태로 주위로 전달되어 인접 건물의 구조적·기능적 손상의 문제 및 거주자에 대한 심리 생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열차에 의한 진동은 주민들에게 직접 진동으로 느껴지거나, 빌딩내의 각 실에서 소리로 방사되어 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진동에 민감한 장비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빌딩에 구조적인 손상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시 및 초기 양생 과정에서의 어느 정도의 진동은 콘크리트에 불리한 균열이나 강도저하 등의 결함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선로 주변에 건축물을 새로 신축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열차 진동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 영향 검토가 필요하다.지하철 운행하중에 대한 인접구조물의 효율적인 진동해석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지반-구조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고조물의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발생된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진동 사용성 기준은 크게 Reiher & Meister가 제시한 주파수영역의 기준과 BS, ISO등에서 사용 중인 시간영역의 기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주파수영역의 기준으로 지중구조물의 진동을 평가하였다. 또한 해석의 효율성을 위하여 모드중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참조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한 후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지중구조물의 인접한 구조물에서 고속열차와 전철의 주행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수치해석과 실험을 실시하고 이들을 평가하여 고속열차와 전철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신설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진동, 파동치료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이재흥,백지유,장성진,필감매 대한의료기공학회 2020 醫療氣功 Vol.20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vibration(or wave) therapy in Korea, to actively utilize vibration(or wave) therapy, and to help research activities of vibration therapy in Korean Medicine. Methods : The following Korean words “진동기”, “진동요법”, “진동운동”, “진동치료”, “파동요법”, “파동운동”, “파동치료” were searched on three specialized search sites (RISS, NAL, DBpia). Trends of vibration therapy were analyzed through the selected researches suitable for this study among these searched researches in an overview format. Results : 1. A total of 8,116 studies were searched and a total of 365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2. From 2000 to 2019, when research began to increase in earnest, there were 17.45±10.28 studies per year, and the AGR(Average Annual Growth Rate) was 11.92%. 3. In the main field of research, the ‘Medicine and Pharmacy’ was the largest with 147(40.16%) studies. In the Middle Field, the ‘Kinesiology’ was the largest with 99(27.05%) studies. In the study design,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the largest with 138(47.75%) studies. In the Age Group, ‘Youth’ was the largest with 126(48.84%) studies. 4.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24.90±17.44. 5. The most used Intervention was the ‘WBV(Whole Body Vibration)’ with 177(61.25%) studies. 6. The average of Intervention Period was 5.99±4.14 weeks, while the maximum was 36 weeks. 7.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ost research papers is ‘K. J. of Sports Science(체육과학연구;13)’, and the society is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한국재활복지공학회; 14)’. The University that published the most dissertations is ‘Sahmyook University(11)’. 8. The authors who published the most studies are Ju-Hwan O(8) as the main author and Tae Kyu Kwon(18) as the co-author (including the thesis Director). In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authors and co-authors, Tae Kyu Kwon published the most numerous studies(19) Conclusions : 1. The study of vibration or wave therapy has been increasing noticeably every year. 2. The major academic Fields studying vibration or wave therapy are the ‘Kinesiologic Field’, ‘Physical Therapy Field’, and ‘Biomedical Engineering Field’. 3. The most chosen method of study design on vibration or wave treatment was ‘RC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annual presentation rate. 4. Types of vibration or wave therapy could be classified as ‘LVS(Local Vibration Stimulation)’, ‘WBV(Whole Body Vibration)’, ‘MV(Micro Vibration)’, ‘BV(Bio Vibration)’ and ‘SWV(Sound Wave Vibration)’, and the study on Whole Body Vibration is most active. 5. Most of the studies of vibration or wave therapy were on musculoskeletal systems, but there were very few studies on internal diseases.

      • KCI등재

        진동절연재로 보강된 기둥부재의 진동저감효과 및 구조적 거동분석

        김진호,이나현,허진호,김희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0 No.4

        For elevated railway station on which track is connected with superstructure of station, structural vibration level and structure-borne-noise level has exceeded the reference level due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which transmits vibration directly. Therefore, existing elevated railway station is in need of economical and effective vibration reduction method which enable trai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In this study, structural vibration non-transmissible system which is applied to vibroisolating material for column member is developed to reduce vibration. That system is cut covering material of the column section using water-jet method and is installed with vibroisolating material on cut section. To verify vibration reduction effect and structural performance for structural vibration non-transmissible system, impact hammer test and cyclic lateral load test are performed for 1/4 scale test specimens. It is observed that natural period which means vibration response characteristics is shifted , and damping ratio is increased about 15~30% which means that system is effective to reduce structural vibration through vibration test. Also load-displacement relation and stiffness change rate of the columns are examined, and it is shown that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is increased. From test results, it is found that vibration non-transmissible system which is applied to column member enable to maintains structural function. 궤도가 역사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차운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선하역사에서 구조물 진동과 이로 인한 구조물 기인 소음이 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기존 선하역사에 대하여 열차 운행의 중단 없이 진동저감이 가능한 경제적, 효율적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동전달 경로상의 기둥에 워터젯 공법으로 기둥단면에서 피복재 부분을 파쇄한 후 진동전달 절연기능을 가지는 에폭시 소재의 방진재를 보강하여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조진동절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방진재의 보강체적을 변수로 한 진동절연시스템을 실제역사 기둥의 1/4축소모형에 적용하고, 충격가진 시험을 통한 진동저감 성능과 횡하중 반복가력시험을 통한 구조적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충격가진 실험결과로부터 구조진동절연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고유 진동주기가 하향되어 진동응답 특성이 변화되고 감쇠비는 약 15~ 30%까지 증가를 나타내어 진동저감 성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복하중 가력에 의한 구조성능 실험에서 하중-변위 및 강성변화에 대한 고찰과 연성도 및 에너지 소산의 증가를 보인 결과로 부터 구조부재로의 기능을 유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음악의 셈여림표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진동 아이콘의 설계

        유용재,황인욱,최승문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7 No.5

        이 연구에서는 의미 전달을 위한 진동 신호, 즉 “진동 아이콘”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음악의 악상 기호 중 셈여림표의 개념을 적용하여, 진동의 세기의 변화를 위주로 하는 16가지의 다양한 진동 아이콘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한 진동 아이콘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모형(Mockup)을 사용하여 왼손과 오른쪽 허벅지에 재생시킬 때의 정보 전달 (Information Transfer, IT)을 구하는 인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얻어낸 혼동행렬을 이용하여 각각 진동 아이콘의 정확률 및 진동 아이콘간의 유사성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왼손과 오른쪽 허벅지에서 평균 3 비트(bit) 이상의 정보 전달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손과 허벅지의 각 부위에서 약 8~9개 정도의 진동 아이콘을 구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아이콘의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휴대 전화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설계함으로써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created 16 “tactile icons” for mobile devices with variations of amplitude, which was analogous to dynamics in music. For investigating these icon's usability, we conducted an identification experiment, measuring their information transfer(IT) with a mockup of mobile devices. The two possible locations of a mockup were participants' left hand and right thigh in this experiment. As the results, hit ratio of each tactile icon was calculated and similarities between tactile icons were investigated by building confusion matrices. The average information transfer(IT) was above 3 bits in both stimulus locations of left hand and right thigh. This result says that we can discriminate 8 to 9 tactile icons at human hand or at human thigh. We also derived a scenario which is applicable to current mobile devices in order to verify the usability of these tactile icons.

      • KCI등재

        다채널 진동 센서를 이용한 선박 엔진의 진동 감지 및 고장 분류 시스템

        이양민,이광용,배승현,장휘,이재기,Lee, Yang-Min,Lee, Kwang-Young,Bae, Seung-Hyun,Jang, Hwi,Lee, Jae-K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7 No.2

        진동 정보를 통해 기계 설비의 상태나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연구들이 다수 진행 중에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설비에 대한 진동을 모니터링하거나 고장 유무를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준이다. 본 논문에서는 진동에 의한 고장 진단과 판별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하는 선박 엔진의 고장 감지 기법과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일차적으로 이중적 진동 정보 판별 기법을 적용하여 진동 정보를 확인한 다음에 고장 유무를 검사한다. 만일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진동 정보의 오류 부분만을 이용하여 고장 진동 파형에 대한 오차 범위를 기준으로 어떤 유형의 고장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선박의 진동 경향 분석과 엔진 안전 보존을 목적으로 진동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 시스템을 선박 엔진의 고장 판별 유무와 고장 진동 파형 감별 인자에 대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장 유무 판별은 약 100% 정확성을 가졌고 고장 진동 파형의 유형 인식에서는 약 96% 정확성을 가졌다.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in the equipment defect detection based on vibration information. Most research of them is based on vibration monitoring to determine the equipment defect or not. In this paper, we introduce more accurate system for engine defect detection based on vibration information and we focus on detection of engine defect for boat and system control. First, it uses the duplicated-checking method for vibr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engine defect or not. If there is a defect happened, we use the method using error part of vibration information basis with error range to determine which kind of error is happened. On the other hand, we use the engine trend analysis and standard of safety engine to implement the vibration information database.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engine defect determination is 100% and the probability of engine defect classification and detection is 96%.

      • KCI등재

        진동다짐에 의한 기초사석의 침하거동

        유건선(Yoo Kun-Su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1 No.4

        기초사석 위에서 진동하중을 받는 진동다짐판의 침하는 일시적인 진폭과 소성침하로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진동하중이 사석의 지지력을 초과하지 않는 한, 소성침하량은 극한값으로 수렴하며 궁극적으로 정상적인 진동을 한다. 이러한 진동다짐의 침하거동에 대한 실내실험은 수평방향이 구속된 시료에 대하여 진동하중이 전체면적에 작용하도록 수행되었거나 진동대에 시료를 놓고 실험을 수행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진동하중이 기초사석 표면적의 일부에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건에 맞게 쇄석에 진동하중을 작용토록 하였다. 쇄석에 대한 진동다짐실험에 따르면 전체 침하량의 약 90%가 2분 이내에 발생하며, 정적 및 동적응력을 포함한 진동웅력 수준이 증가할수록 침하는 증가하였다. 진동다짐시, 진동다짐수, 진폭, 침하량, 재하폭, 진동응력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제안하였다. The settlement of a compaction plate resting on the surface of rubble-mound and subjected to a vibrating vertical load can be characterized by a transient amplitude and a plastic settlement. As long as the maximum imposed load does not exceed the bearing capacity of the rubble-mound, plastic settlement will approach an ultimate value and essentially steady-state vibration will ensue. For the settlement behavior by vibro-compaction, most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laterally confined samples with loads over the full surface area or on samples placed on a vibrating table. In the field, the loads cover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surface area. In this study, crushed stones are loaded with the same as field condition. According to the vibro-compaction experiments on crushed stone,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90% of total settlement occur within 2 minutes and plastic settlement increases with increasing cyclic stress levels including static and dynamic stress. A compaction equation on which the number of load cycles, amplitude of plate, settlement, width of plate, and cyclic stress are related each other is proposed.

      • KCI등재후보

        지반진동 규제기준에서 진동레벨과 진동속도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

        최병희 ( Byung Hee Choi ),류창하 ( Chang Ha Ryu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12 화약발파 Vol.30 No.2

        국내에서 발파풍과 지반진동을 취급하는 유일한 법규가 바로 환경부의 소음진동관리법이다. 하지만 이 법규는 생활소음과 생활진동을 주로 취급하고 있으므로 지반진동에 대한 안전기준을 dB(V) 단위의 진동레벨에 의해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발파로 발생되는 지반진동은 충격진동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지속시간도 기계류나 장비류, 시설물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비교하여 매우 짧은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발파작업에 대한 진동법규에서는 통상 구조물 손상에 대한 지반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안전기준을 최대입자속도(peak particle velocity; PPV)로 설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동파동의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한 충분한 고려도 없이 PPV로부터 진동레벨(vibration level; VL)을 예측하거나 m/kg1/2이나 m/kg1/3 단위의 환산 거리에 따라 VL을 추정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 시도들은 주로 발파공사 과정에서 소음진동관리법을 충족시키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는 속도나 가속도 피크치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도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관관계나 추정식의 유도작업은 반드시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지니는 파동들에 한해서 수행되어야 한다. The only law related to airblast and ground vibration control in Korea is the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is law mainly deals with the annoyance aspects of noises and vibrations in ordinary human life. Hence, the law defines the safety criteria of ground vibration as the vibration level (VL) of dB(V) unit. The ground vibrations produced from blasting, however, ha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hown in shock vibrations, and the duration is also very short compared to the vibrations from machinery, tools or facilities. Hence, vibration regulations for blasting operations usually define the safety criterion as the peak particle velocity (PPV) considering the effect of ground vibrations to structural damage. Notwithstanding, there are several attempts that predict VL from PPV or estimate VL based on the scaled distances (SD; in unit of m/kg1/2 or m/kg1/3) without considering their frequency spectra. It appears that these attempts are conducted mainly for the purpose of satisfying the law in blasting contracts. But, in principle there could no correlation between peaks of velocity and acceleration over entire frequency spectrum. Therefore, such correlations or estimations should be conducted only for the waves with the same or very similar frequency spec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