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자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직업윤리 연구 동향

        이화진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20 직업과 자격 연구 Vol.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work ethics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keywords in articles from 2002 to 2019 containing ‘work ethics’ retrieved from the KCI database, which provides a range of academic information on domestic articles. Finally, 565 related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e KCI list of academic articles, and 2,495 keywords were extracted by refining the keyword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refinement process, and 44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to matrix data and analyzed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use of keywords for analyzing the main concept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 ethics, ethics, education, and professional job were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Second, job, ethics, professional job, education, expertis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except for work ethics. Third, the keyword network was visualiz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dex, this study diagnoses the past and present of work ethics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직업윤리 연구의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2002년에서 2019년까지의 ‘직업윤리’를 검색어로 한 연구논문 중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의 연구물 656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2,495개의 저자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출현빈도에 근거한 ‘직업윤리’ 연구의 주요 저자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8회 이상 사용된 저자키워드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자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지표인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을 활용하여 직업윤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윤리 관련 연구는 직업윤리, 윤리, 교육, 전문직, 변호사, 직업기초능력, 직업, NCS 등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둘째, 저자키워드 중심성 분석결과, 직업윤리, 윤리, 직업, 교육, 전문직, 전문성, 직무만족은 연결․근접․매개중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치, 의사 저자키워드는 연결강도가 높아 연결중심성이 높았고, 치위생사, 의료윤리 등의 저자키워드는 근접중심성이 높아 다른 저자키워드와 가깝게 위치하며, 교육과정, 분석, 보육교사 등의 저자키워드는 다른 저자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넷째, 직업윤리 연구는 그룹별로 ‘교육, 도덕, 전문직, 직업의식, 윤리강령’ 등이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었으며, ‘직업, 직무만족, 전문성’ 등이 관련되어 있었고, ‘NCS, 교육과정, 대학생’ 등이 관련되어 연구되었으며, ‘변호사, 로스쿨, 자율성’ 등의 주제가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었다.

      • KCI등재

        공무원 직업윤리의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효과

        양소영,김남숙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Occupational ethical awareness is a system of norms and standards of behavior and an important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that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ommi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th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ivil serva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mployment. 26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ethics of civil serv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fessionalism. The higher the years of service, the higher the level of ethics. Second, the work ethic of public officia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ternal commitment of civil servants to the state of work ethic.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mor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ublic ethics of public servants are the basis for accepting public values ​​and goals. Vocational expertise with embedded codes of conduct and value systems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practical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ethical ethics of public officials,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ing ethic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job titles and duties were provided, and the ethical ethical competence was presented.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은 행동에 대한 규범과 기준체계이며 직업전문성의 중요한 요소로서 조직성과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직경력 1년 이상의 중앙부처 공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61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은 직업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개인적 배경변인 중 근속년수가 높을수록 윤리의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공무원의 조직몰입은 직업윤리의식이 내재화된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은 공공의 가치와 목표를 수용하는데 기반이 되며, 행동규범과 가치체계가 내재화된 직업전문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공무원 직업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으로 직급별, 직무별 윤리의식향상 교육프로그램과 직업윤리의식 역량규명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서 관련학과 직업윤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윤지영(Yun Ji-Young) 한국비서학회 200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4 No.1

        비서직 직업윤리란, 비서직 종사자가 지녀야 할 직업윤리로 정의되며, 직업일반의 윤리와 비서직 특수직업윤리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비서 관련학과의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비서 관련학과 교수와 현직 비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서 관련학과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필요성, 비서직 직업윤리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 비서 관련학과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적절성,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사내 직업윤리교육의 경험 여부와 실효성에 대한 인식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현재 40개의 비서 관련학과 중 12개 학과와 7개 학과에서 각각 직업일반윤리 중심의 교양과목과 비서직 특수직업윤리 중심의 전공과목으로 직업윤리 과목을 개설하여 교육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 대해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비서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을 통해 가장 비중있게 다루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나, 현재 비서 관련학과의 비서직 직업윤리교육 적절성에 대한 인식 결과는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는가의 질문에서 보통이거나,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과 중요도에 대해 비서직 특수직업윤리교육이 직업일반윤리교육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과목의 구분에서는 전공과목으로 하거나, 비서실무 등의 과목에 포함시켜 실시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직 직업윤리교육은 교양과목 중심에서 벗어나 전공과목으로서 발전해야 하며, 이를 위해 비서직 직업윤리 과목의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과정과 교재, 수업방법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creased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ecretarial scienc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a)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secretarial science department in junior college and university, and (b) to search for its desirable guides and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e face to face personal interviews with the expert group and the questionnaire surveys of professors and secretaries were conducted af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being closely review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sclose their recogni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and its present conditions, and to suggest the future improved directions for it. The researcher compared the attitude of professors and secretaries toward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secretarial science. Encouraging findings from this study include that (a) professors and secretaries at large place importance on the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secretarial science, more emphasizing the specific vocational ethics education than the general one, and (b) they highlight the current vocational ethics is insufficient with a number of possible reasons, such as lack of concrete and practical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instructions, etc. Compared with secretaries, professors take the more negative look at the real situation. In order to make students aware of and well prepared for ethical dilemmas that may arise in the workplace, the contents and the curriculum of specific vocational ethics education in school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 KCI등재

        경호직 직업윤리정립을 위한 경호무도교육 방안 연구

        권태일(Kwon, Tae Il),최기종(Choi, Ki Jo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8 No.-

        This study intended to consider precedent studies on professional ethics and security marital arts, analyze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situation security marital arts education situation of the department related to guard and suggest the measures of security marital arts education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 ethics of bodyguard by dividing into studying and teaching aspect, systematic aspect and political aspect as follows. The first, security marital arts education must secure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from the studying and teaching aspect. The current classes of security marital arts focus on physical training of security marital arts. And, there is no theoretical class or it is progressed formally. Also, although students got marital arts training, all of them neither be excellent for the ability of marital arts nor have ideal spirit of marital arts mentally. So, when considering both mental aspect of marital arts and its physical training from monistic aspect which is the basic of marital arts, they can be professional bodyguards who have literary and martial arts. For that, the educational methods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learner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by considering conditions of teaching method, limitations, effectiveness, etc. In most of departments related to guard, there are classes of security marital arts every semester from freshmen to seniors, so long-term educational methods must be studied so as to play an important role of majors by raising the rate of credits. The second, qualifications and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in charge of the subject of professional ethics of the guard must be considered from the systematic aspect. It's necessary to train professors who can suggest the solutions of professional ethics of the guard concretely based on the knowledge of understanding for bodyguard's ethical conflicts occurred in actual working place, sense of duty and general ethical philosophy and theory and teach them how to study. In the curren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e subdivision of majors such as professional ethics, security marital arts, etc. is not achieved. In the training course of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etc, they must complete subjects related to professional ethics and security marital art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profession and professional world as well as obtain the knowledge of security marital arts' spirit and physical training for establishing professional ethics of the guard sufficiently. In addition, marital arts training for the measures of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of the guard must be fulfilled not only schools but also general company lives after their graduation, so academic fundamental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security marital arts spirit's cultivation for the solution of ethical problems bodyguards are experienc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etc. must be conducted continuously. The third, the opportunities of periodical training or seminar for establishing ethics of the guard in all kinds of societies and associations related to the guard must be provided from the political aspect. In addition, the opportunity developing level test for physical training of security marital arts and education which cultivates the guard's own professional ethics for mental training must be prepared in the qualifying examination related to the guard. 본 연구에서는 직업윤리와 경호무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경호 관련학과의 직업윤리 교육 현황과 경호무도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경호직 종사자의 직업윤리정립을 위한 경호무도 교육 방안을 학습 및 교수 측면, 제도적 측면, 정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및 교수 측면에서 경호무도교육은 교육방법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현행 경호무도 수업은 경호무도의 육체적 수련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론수업이 없거나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무도수련을 했다고 하여 모두 무도 능력이 탁월한 것이 아니며 정신적으로 무도의 이상적인 정신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무도의 기본인 일원론적인 측면에서 무도의 정신적인 면과 육체적 수련이 함께 할 때 비로소 문무를 겸비한 전문 경호직 종사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수업 방법의 조건, 제한점, 효과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는 교육방법을 개발, 활용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호 관련학과에서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 매 학기 경호무도 수업이 있으므로 학점의 비율을 높여 전공과목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교육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둘째, 제도적 측면에서 경호직 직업윤리 과목 담당 교수의 자질과 전문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실제 직장에서 발생하는 경호직 종사자의 윤리적 갈등 상황에 대한 이해력, 사명감, 전반적 윤리철학과 이론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경호직 직업윤리문제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교수의 양성과 연구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대학, 대학원에서는 직업윤리, 경호무도 등 전공의 세분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대학과 대학원 등의 양성과정에서 직업윤리 경호무도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여 직업과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경호직 직업윤리정립을 위한 경호무도의 정신성과 육체적 수련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호직 직업윤리교육 방안을 위한 무도수련이 학교에서만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졸업 후 직장 생활 전반에 걸쳐 실시되어야 하므로 대학과 대학원 등 교육기관에서 경호직 종사자가 겪고 있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위한 경호무도정신을 함양의 중요성에 관한 학문적 기초 연구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정책적 측면에서 경호직과 관련한 각종 학회 및 협회에서 경호직 윤리정립을 위한 정기적인 연수 또는 세미나의 기회도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경호직 관련 자격시험에 경호무도의 육체적 수련을 위한 승단시험과 정신적 수련을 위한 경호직 특수 직업윤리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경호 관련학과 직업윤리교육 방안 연구

        최판암 한국재난정보학회 201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7 No.3

        경호직 직업윤리란, 경호직 종사자가 지녀야 할 직업윤리로 정의된다. 직업윤리 교육은 경호원으로 하여금 직업윤리 의식과 행동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경호 관련학과의 직업윤리교육 현황 파악, 직업윤리교육의 부재로 인 한 사건 사례연구를 통해 직업윤리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호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경호무도의 정신수련의 강화, 경호상황을 중심으로 사례연구, 다양한 교육방법의 다양성 확보해야 한다. 둘째, 직업윤리교육은 교양 중심에서 벗어나 전공과목으로 발전해야 한다. 셋째, 직업윤리 과목 담당 교수의 자질과 전문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직업윤리교육은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직장 내 윤리프로그램과 다양한 기관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선원 직업윤리의 법적 기초와 직업윤리 강화방안 연구

        최진이(Jinyi Cho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현대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과학문명의 발달이라 할 것이다. 정보통신기술(IT), 인공지능(AI) 등과 같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삶을 통째로 바꿔놓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직업이 특히 그러하다. 기존의 직업들이 내용적으로 분화하여 새로운 형태의 직업이 출현하고,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형태의 직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사람의 직업환경의 변화는 종래의 직업적 가치관에 대한 판단기준과 직업활동에 대한 관념들을 약화시키고 있다. 무엇보다 직업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도덕적 관념이나, 윤리의식이 무시되거나 간과하는 경향이 보편화되고 있다. 선원이라는 직업은 그들이 수행하는 직무활동이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따라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선박이 위험에 처하면 선원들이 그들의 직무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가에 따라 피해의 규모가 결정된다. 그렇게 때문에 선원의 직업윤리는 사회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에서 당시 선박에는 15명의 선원이 승무하고 있었지만, 구조조치 없이 승객을 두고 선박을 탈출한 선장을 비롯한 선원들의 직무해태는 그들의 법적 책임이 어떠한가를 논하기 이전에 직업윤리 부재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원의 직업윤리는 선원의 직무수행에 관한 법규범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행동규범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직업과 선원의 직업윤리 성질을 검토하고, 선원법과 선박직원법 등 선원 관련 법률에서 규정하는 선원의 직무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선원 직업윤리의 법리적 기초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원의 직업윤리 강화를 위하여 선원법 등에서 선원 직무 구체화, 선원 중 직업윤리가 특히 강조되는 선박직원에 대하여 그 전제가 되는 해기사 면허취득과정에서 선원의 윤리관 평가반영, 직업윤리를 선원의 행위규범으로 객관화함으로써 선원 직무와 법제도의 합치성 제고 필요성, 그리고 선원의 직업적 만족과 자긍심을 위한 정당한 대가지급 등 처우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modern society i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T)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changing all areas of human life. Among these changes, there are many changes, especially in the professional field. Existing occupations are divided into content, and new types of occupations are emerging. And completely new types of jobs that did not exist before are emerging. As such, changes in human work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are weakening the conventional judgment standards for professional values ​​and ideas about professional activities. As a result, people tend to ignore or overlook moral ideas or ethical consciousness in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The occupation of seafarer is one of the fields that have a great social impact depending on how their job activities are performed. It is very important for a ship to sail safely with what kind of mindset a sailor carries out his duties assigned to him. Seafarer's professional ethics can be an important code of conduct that can supplement the legal and normative limitations of seafarers' job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nature of occupation and occupational ethics of seafarers was reviewed. And the duties of seafarers according to the ship organiza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SEAFARERS’ ACT」& 「SHIP PERSONNEL ACT」, and the legal basis of seafarer occupational ethics was analyzed. Lastly, several measure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occupational ethics of seafarers.

      • KCI등재

        현대 직업윤리의 관점에서 조망해 본 다산의 공직윤리

        송기호(Giho s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0

        최근, 우리사회의 직업윤리는 부패 및 전문성 부재와 같은 도덕적인 혼란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은 직업윤리의 보편적인 가치들이 경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한다면 다산의 공직윤리를 구성하는 중심적 가치들은 오늘날 직업윤리의 위기를 해결하는 해법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중대한 가치를 갖는다. 가령, 내면적 도덕률로서의 상제관념이나 공리주의적 관점에서의 청렴, 전문성신장, 애민정신등은 다산의 공직윤리에서 뿐만이 아니라 현대 직업윤리의 중심 가치로서 확대 적용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고전의 현대적 적용이라는 차원에서뿐만이 아니라 다산 공직윤리의 중심 가치들이 현대 직업윤리의 정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새롭게 조망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를 통하여 다산 공직윤리의 중심가치들이 오늘날의 경제윤리나 교직윤리 법조윤리와 같은 전문 직업윤리가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 위기의 해결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산의 공직윤리의 중심가치들이 현대 직업윤리의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Recently, Korean society's vocational ethics is confronting moral pandemonium including severe corruption and an absence of professionality. This kind of crises is fundamentally caused by people making light of universal value within vocational ethics. Based on this kind of consciousness, central values which comprises Dasan's public service ethics hold a significant meaning in an aspect that they provide us with a solution to overcome nowaday's crises concerning vocational ethics. For example, 'Sang-je' concept as internal moral code, or integrity, an increase in professionality, and love toward the people in the perspective of utilitarianism are meaningful not only because they are related to Dasna's public office ethics but also because they can be extendedly applied to vocational ethics as its central values. It has to be newly observed not only with the perspective of modern application of classics, but also with a point of view that the central values of Dasan's public office ethics provid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vocational ethics. Through this writing, I would like to set a direction of my study to how the values of Dasan's public office ethics can specifically contribute to overcoming real crises faced by today's professional ethics like economic ethics, educational ethics, and legal ethics. By this, I would like to make clear that Dasan's central values of public office ethics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vocational ethics.

      • KCI등재

        한국인의 직업윤리의 현황

        박화춘(HwaChoon Park),문승태(Seung-Tae Mo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직업윤리를 ‘한국직업윤리측정도구(Korean Employability Skills Assessment)’ 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한국인의 직업윤리 중 진취성, 대인관계기술, 신뢰성, 사려깊음의 네개의 요인을 교육수준별, 직업유형별, 고용형태별로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인 성인 남녀 900명을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분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수준별로는 네 개의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직업윤리의 네 개의 요인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다. 직업유형별로는 관리직 및 전문직 두 집단과 농업․임업․어업․공업 분야의 기술 및 기능직 종사자 집단과의 사이에서 진취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고용형태별로는 진취성에 대하여 자가 고용 집단과 비고용 집단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가 고용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연구결과의 활용 등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ork ethic of South Koreans as measured by a Korean translation of the Employability Skills Assessment (KESA). The four dimensions of the KESA which are initiative, interpersonal skills, thoughtfulness, and dependability were compared for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employment status. A total of 900 Korean adults who were 18 years old and above provided usabl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with post hoc tests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tiative, interpersonal skills, thoughtfulness, and dependability for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tiative for different occupation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itiative depending on employment statu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직업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 언론윤리의 형성과정

        남재일(Jae-Il Na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0 No.2

        이 연구는 언론윤리를 기자집단의 직업이데올로기로 보고 한국 언론윤리가 형성되는 역사적 과정에 나타나는 특수한 조건들을 언론윤리의 형성에 개입하는 사회적 관계들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언론윤리의 성격을 해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윤리의 정립을 위한 언론현장의 실천 전략과 언론윤리 논의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다. 그래서 한국 기자들의 직업적 위치 변화 추이와 언론윤리 담론의 전개양상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한국의 언론윤리 담론은 윤리의 전제가 되는 직업적 자율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의 압력에 대응하는 도구적이고 수사적인 방편으로 이용되었음이 밝혀졌다. 그 결과 한국 언론윤리의 성격은 언론윤리 강령의 수사적 성격, 구조화된 인식과 실천의 괴리, 책임과 윤리의 개념적 혼동 등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직업이데올로기로서 언론윤리의 정립을 위해서는 윤리에 접근하는 기자집단 내부의 방식이나 사회적 논의의 양상이 기자의 직업적 현실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journalism ethics as job ideology by analyzing the specific conditions revealed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Korean journalism ethics, focusing on the change of social relationships which intervene in the construction of journalism ethics. By this interpret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desirable directions in journalism ethics discussion and practice strategies in the journalism fiel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ical process and the development phase of discourse in journalism ethics in which the job position of Korean journalists have changed. In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course of Korean was used for the instrumental and rhetorical means to cope with the outside pressure in the lack of occupational self-control which becomes the premise of ethics. Because of this, the Korean journalism ethics characterize the rhetorical feature of ethical code, the structured separation of practice from cognition, the conceptual confusion of responsibility from ethics.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윤리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활용하여

        안윤정(An, YoonJung),오현주(Oh, Hy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직업윤리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우리 사회에 직업인으로서 준비가 필요한 대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윤리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경험한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봄으로써 대학사회에서 진로교육이 직업윤리를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담아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참여자의 자발적 참여와 실행 과정에서 교육적 효과가 높은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였고,A대학교 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 다. 참여 학생들의 마인드맵기법을 통해 표현된 직업윤리의 키워드는 차별과 평등, 기업윤리와 경영윤리, 도덕성과 인성 등의 각 영역에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포토 보이스를 통해 분석된 직업윤리의 의미는 사회적 역할과 소명을 다하는 것, 도덕성과 양심을 지키는 것, 편견을 갖지 않는 것, 오랜 시간 만들어지고 발전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참여 대학생들이 비윤리적인 상황에서 결정한 행동은 선택을 위한 갈등, 자기성찰과 인내,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소통 등으로 드러났다. 마지막 직업윤리를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체로서의 책임감, 윤리적 가치관(직업가치, 신뢰, 양심) 등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직업윤리 교육에 대한 대학사 회의 제언과 한계, 포토보이스 활용 방안의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vocational ethics can b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ho need to be prepared as professionals in the age when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ethics is required. This study used the photovoice methodology which has a great educational effect i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ecution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participants were eight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The keywords of vocational ethics revealed through the mind map technique of participating students was variously presented in each area such as equality and discrimination, enterprise ethics and management ethics, morality and personality, etc. The meaning of vocational ethics analyzed through photovoice was found to be fulfilling social roles and calling, maintaining morality and conscience, not having prejudice, and being made and developed for a long time. The behaviors determined by unethical situations of participating university students were revealed as conflict, self‐reflection and perseverance for choice, and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the other party. As a way to protect last vocational ethics, responsibility as a community and ethical values (job value, trust, conscience)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ollege society about vocational ethics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utilizing photovo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