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전지역 청년실업 해소방안

        이승준,박진근,안영일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0 社會科學論文集 Vol.28 No.2

        본 연구는 이른바 청년취업 위기를 맞이하여,청년실업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청년실업의 원인으로 단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을 살펴본 후,청년실엽의 대책을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중에서도 중점적으로는 대전지역 청년들의 취업증대에 초점을 맞추었으며,이를 위해 현행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실업 시책을 분석·검토하였다. 지역 청년실업문제는 대전지역 일자리 특성의 분석을 통해서 이에 기반한 맞춤형 전략의 실시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인식아래,청년층 일자리 증가율의 둔화,중소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고학력 심화라는 대전지역 고용특성 분석을 토대로,지자체가 실질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청년실업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구소멸지역 해결 대안으로써 안동 청년마을기업 사례의 성공요인 분석

        주소현,유다은,박희규,정수진,송지연,간기현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3 혁신기업연구 Vol.8 No.2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success of youth village enterprises, noting that youth village enterprises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henomenon of rural communalization and youth employment in the context of the serious problem of rural depopulation. Specifically, by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Danurim Cooperative,' a youth village enterprise in a depopulated area, we sought to find solutions to socio-economic problems such as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resolving population bia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reating youth job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of the youth village enterprise, first, human resources combined with social entrepreneurship and leadership of young entrepreneur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ere found to be the main success factors. Second, a flexible support system that reflects local characteristics was a positive factor in the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village enterprises. Third, a business model that combines young entrepreneurs, creative business items, and networks was found to be a key factor leading to the success of village enterprises. Fourth, utilizing local traditional resources and social capital was found to be a foothold for the mid- and long-term operation of village enterprises. Fifth, village enterprises that discover and utilize the value of local culture can lead to self -sustained local development, and sixth, collective impact, which is a shared understanding between village enterprise officials and local residents, enables residents and village enterprises to grow toge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ed that in depopulated area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young leaders and provide policy support for the influx of external youth,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develop business models that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and youth entrepreneurship, build cooperative networks, raise community awareness, and provide flexible polic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continue to analyze cases of excellent youth village enterprises in other regions to explore various aspects.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 인구소멸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청년마을기업이 지방 공동화 현상을 해소하고 청년고용문제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청년마을기업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소멸지역에 있는 청년마을기업 ‘다누림협동조합’의 성공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수도권 인구편향 해소,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년마을기업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 첫째, 청년창업가의 사회적기업가정신, 리더십 그리고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어우러진 인적자원이 주요한 성공요인으로 드러났다. 둘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지원제도가 마을기업 정착과 활성화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청년창업가와 창발적 사업 아이템, 네트워크가 융합된 비즈니스 모델이 마을기업의 성공으로 이끄는 핵심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지역의 전통자원과 사회적자본 활용이 마을기업의 중‧장기적인 운영에 발판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문화의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하는 마을기업을 통해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일궈낼 수 있으며, 여섯째, 마을기업 관계자와 지역주민들이 공동의 이해를 지닌 콜렉티브 임팩트(Collective Impact)를 실현해 감으로써 주민과 마을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소멸지역에서는 청년 리더 발굴과 외부 청년 유입을 위한 정책적 지원, 사회적경제조직을 통한 지역발전 도모, 지역의 특성과 청년기업가정신을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개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공동체의식 제고, 정부 및 지자체의 유연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고, 타 지역의 우수 청년마을기업의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감으로써 다각적으로 탐색해 갈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년의 취업선호가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엄창옥 ( Changok Um ),나주몽 ( Jumong Na ),백경호 ( Kyungho Bae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2

        청년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문제는 지역에서 수도권으로의 청년 유출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지역에서는 한편으로는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청년 일ㆍ경험 지원 정책을 실시하며 노동시장의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청년유출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의 미스매칭으로 인한 청년유출문제를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서 찾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 맞는 지역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역청년의 지역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청년의 취업선호를 조사하고, 이 취업선호의 어떤 요인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주, 대구, 강원의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선호의 어떤 요소가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신의 기능과 능력 활용’, ‘회사의 규모와 지명도’, ‘직무의 사회적 의미’, ‘능력중시 회사’, ‘전근이 없거나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전근’ 요인이 지역정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설명변수가 강원에 비해 대구와 광주에서 적극적 정착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적극정착에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사회ㆍ경제적 역할을 키우고,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경우 청년의 지역정착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job mismatch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problem of youth outflow from the region to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outflow of youth,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youth work experience and trying to resolve the mismatch, but the achievements are not showing well.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work-experience」 policies based on youth job preferences and reduce mismatches successfully, the possibility of youth settling in the local area will increase. Based on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job preferences on local settlem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OLR). The survey data of youth in Daegu, Gwangju, and Gangwon was used in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factors such as ‘use of one's own skills and capabilities’, ‘the siz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social meaning’, ‘capacity-oriented companies’, and ‘areas with no commuting or limited commu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cal settlement of youth. There was a som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rom region to region. the job preference factors of youth in Daegu and Gwangju had a greater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compared to youth in Gangwon. It is thought to reflect the geographical factor that Gangwon is close to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older group, the more males than females had an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This means that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various ways for youth to develop their social and economic roles and utilize their abilities within the region, the local settlement of young people can increase.

      • KCI등재

        한말·일제하 김해지역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김승(Kim, Seung) 역사문화학회 2014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7 No.2

        일제시기 군?면 단위의 지역은 식민지 민중의 일상적인 삶이 실현되는 공간이었다. 따라서 일제시기 지역민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군?면 단위에서 전개된 지역민들의 다양한 삶의 형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경남 동부지역에 위치한 김해는 일제시기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역량이 강했던 곳이다. 그러나 기존의 김해지역 연구에서는 농민운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정작 일제시기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배수지 역할을 하였던 청년운동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다루지를 못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 연구들에서 미흡했던 청년운동을 중심으로 김해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지의 전개는 먼저 한말 김해지역에서 전개되었던 애국계몽운동을 통해 김해지역 여론주도층의 동향과 각 인물들의 출신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일제시기 김해지역 활동가들의 인적 관계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일제시기 김해지역의 청년운동가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천도교와 기독교 계열의 활동가들이 많았음을 밝히고, ‘김해형평사사건’을 통해서는 김해청년회가 직면했던 현실적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한편 김해청년회와 김해교육회 중심으로 진행된 합성학교 유지운동을 통해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식민지 공공성’ 문제와 관련해서 김해지역사회내부의 갈등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김해지역의 청년운동은 1927년 8월 청년동맹이 결성된 이후 면 단위의 지부조직들을 정비함으로써 김해지역 사회운동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고는 한말로부터 신간회가 해소되는 시기까지 김해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흐름을 분석함으로써 1930년대 김해지역의 혁명적 농민운동이 출현할 수 있었던 배경이 무엇이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 경기도 지역화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이상훈,박누리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 경기도에서 청년배당 지급 조례와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조례, 경기도 지역화폐의 보급 및 이용 활성화 조례가 제정되어 지역차원의 입법이 이루어졌고, 지역화폐의 도입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임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청년배당과 출산가정에 지급되는 산모건강지원 사업 등, 지역화폐 사업에 대한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시(군)별로 분석하고자 하였음 ○ 청년배당에 의한 경기도 31개 시군의 총 생산유발효과는 1조 1,191억원이 발생할 전망이며 연도별로는 2019년 2,867억원, 2020년 2,849억원, 2021년 2,752억원, 그리고 2022년 2,723억원이 발생할 전망임 - 청년배당에 의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총 5,309억원, 취업유발효과는 6,569명임 ○ 경기도 산모건강비 지원 사업의 경우 31개 시군의 생산유발효과는 1,819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918억원,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는 1,292명으로 추정됨 ○ 경기도 지역화폐로서 청년배당과 산모건강지원비에 의한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결과 생산유발효과는 총 1조 3,010억원으로 추산되며 부가가치유발효과는 6,227억원,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는 7,861명으로 추정됨 ○ 지역화폐로 지급되는 청년배당과 산모건강 지원사업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 문제는, 인구규모가 큰 지역에 혜택이 크고 규모가 작은 낙후 지역에서 혜택이 한정된 문제로서 빈익빈 부익부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마련해야할 것임 ○ 또한, 청년배당과 산모건강지원 등 사업이 구체적으로 시행 완료되는 첫 번째 연도인 2019년 이후에 보다 정밀한 자료를 근거로 최종수요를 판단하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지역화폐 관련, 지역내 가맹점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시군과 경기도 예산의 매칭결과에 따라 파급효과 분석은 달라질 수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지역화폐 사업의 추진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시군단위별로 구체적으로 추산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gional economic effects on local currency projects, such as youth dividends and maternal health support projects currently being pushed by Gyeonggi Province. In Gyeonggi Province, the Act on the Payment of Youth Dividends, the Act on Support for Postpartum Preparation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he Supply and Use of Local Currency in Gyeonggi-do were enacted, and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local currency. Tot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31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 Province by youth dividend is expected to be 1.19 trillion won, and 286.7 billion won by 2019; 284.9 billion won by 2020; 272.3 billion won by 2022. The effect of inducing value added by youth dividend totals 530.9 billion won and the effect of inducing employment is 6,569 people.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31 cities and counties from the maternal health support program is estimated to be 181.9 billion won. The value added effect is about 91.8 b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estimated to be 1,292 people. In total,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analysis of youth dividend and maternity health support is estimated to be 1.31 trillion won for Gyeonggi province.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is 622.7 b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7,861 people. Youth dividend paid in local currency and maternity health support project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 limitation is that there are limited benefits in areas with small populations with low-income, thus, alternative solutions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the problem of balanced benefits. In addition, the final demand needs to be determined based on more precise data after 2019, the first year when projects such as youth dividend and maternal health support are completed in detail, and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needs to be analyzed more precisely. There ar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economic effects of local currency without its local merchants membership being confirmed. Moreover, the economic effects analysis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ching results of the city government"s budget. Nevertheless,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estimate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promotion of the local currency project by city and county unit.

      • KCI등재

        이산선택모형을 이용한 경남지역 청년의 취업상태 결정요인 분석

        신정우(Jungwoo Shin),김태현(Taehyun Kim),이미숙(Misuk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5

        본 연구에서는 청년패널조사 자료와 이산선택모형을 이용하여 경남지역 청년의 취업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경남지역 청년 취업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업무능력과 이에 대한 최종 학력의 기여도를 함께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남지역 청년의 개인특성이나 가구특성은 취업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청년의 취업준비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취업준비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경남지역 청년 취업자를 대상으로 업무능력 중요도를 식별한 결과, 산업 특성에 따라 필요한 업무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업무능력의 향상에 대한 최종학교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경남지역 청년 취업자들은 스스로 배우는 능력, 변화적응능력, 전문지식 등을 제외한 업무능력 향상에 최종학교가 기여하는 바가 낮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청년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로서 청년의 취업준비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경남지역 청년실업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of young people in Gyeongnam area using the youth panel survey data and the discrete choice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status of young people in Gyeongnam area, but their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we investigated the work ability which is required by each industry. However, the contribution of the final educa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 ability was evaluated to be low or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ability of self-learning, change adaptation ability, and expert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young people"s job preparation activities and policies on youth unemployment,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nam area.

      • KCI등재

        지역청년의 정주 및 귀환 결정요인

        엄창옥(Um, Chang Ok),노광욱(Roh, Kwang Uk),박상우(Park, Sang W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한국에서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은 지역경제활력과 잠재성장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방소멸’의 가장 중요한 원인 역시 지방 청년의 수도권 유출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지방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에 대한 연구성과도 상당하게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최근 변화하고 있는 청년층의 이동과 직업선택의 특성을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원인으로 경제적 요인만이 아니라 사회적 요인, 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청년의 유출과 유출청년의 지방 귀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청년의 지방 유출과 귀환의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관계적 요인과 주체적 요인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만족도가 청년의 정착과 귀환에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만족도는 경제적 요인보다 사회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방의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에 정착시키고 유출된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으로 귀환시키는 정책은 경제적 정책뿐만 아니라 지역문화의 혁신, 사회적 관계자본 형성 그리고 청년의 주체적 참여를 확장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Inter-local movement of the youth is working as a critical factor in the local economic activity and potential growth power in Korea. In particular, recently w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outflow of local youth generation from local area to the metropolitan area a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ollapse of the local area’. Therefore, research performance on the youth outflow toward the metropolitan area have been accumulated considerably in Korea. However, these studies fail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youth culture shift and job selection criterion of young people, because of mainly focusing on economic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outflow of local youth and the possibility of return to the their provinces through a survey that included variables such as social factors, relational factors, and subjective factors as well as economic factors. Th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al and subjective factors are also very important as factors of youth"s outflow and return to rural areas even though economic factors ar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with life’(so called work-life balance) was analyz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settlement and return of young generation, which is more affected by social and subjective factors than by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this analysis, We could understand the implications that policies for settlement and return of the youth to the local area should focus not only on economic factors but also on innovation of local cultur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subjective-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 KCI등재

        경북지역청년의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 요인 분석

        신하영,이미나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22 대구경북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지역의 인구소멸 문제와 더불어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른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 지역청년의 대도시 및 수도권 이주의 상황에 문제의식을 두고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지역 내 대학에서 지역인적자원개발 및 지역-대학 간 산학협력 등의 다양한 투자를 통해 배출된 대졸자가 지역 내 고용시장에 진입하도록 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 및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2016년 졸업자에 대한 2018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에 활용한 전체 코호트 규모는 18,199명 중 4년제 대학 졸업자면서 국내 가장 급격한 인구소멸을 경험하는 경북지역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지역 소재 대학 졸업자 1,012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청년이 졸업한 대학이 있는 지역의 고용시장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선택속성은 ‘출생지역’, ‘의약계열 전공여부’, ‘사업체 규모’, ‘개인의 발전 가능성을 우선시 하는 정도’, ‘출퇴근 거리를 우선시 하는 정도’로 나타났으며, 임금수준이나 정규직 여부는 제외되었다. 그동안 청년의 구직 활동과 취업준비 행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임금, 산업체 규모 등의 구조적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변수였던, 지역청년의 고용시장 선택속성 중 정의적 요소로 포함시켰던 취업처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우선순위를 중 ‘개인의 발전가능성’과 ‘출퇴근 거리’ 등이 경북지역청년의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 대학 졸업자가 고용시장 진입 단계에 필요한 지원을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의 관점에서 재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을 추진하는 경북지역의 정책추진 주체 뿐 아니라 다양한 산학협력 및 대학-지역 간 협력을 추진해야 하는 지역 소재 대학에도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섬 어촌 국화도의 지역재생과 청년문화 활동 연구

        방미영(Mee-Young Bang),이건웅(Gun-Woong Lee)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8

        Korea is facing a declining population and an aging population, which is leading to a rise in sprawl.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are being explored at the national level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y are not having much effect. The biggest problem with regional decline is the disappearance of young people and the aging population, which is caused by the influx of young people into large cities such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natural marginalization of rural areas. This problem is more severe in island fishing villages than in general rural areas. The Gyeonggi-do Fishermen’s and Fisherwomen’s Support Center conducted capacity-building projects for fishermen and cultural activities for youth centered on Pungdo Island in 2020 and Gukhwado in 2021, and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In particular, the center conducted unconventional youth cultural activities by analyzing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people and exploring alternatives for promoting Gukhwado and revitalizing tourism. The youth, mainly university students,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Gukhwado and came up with revitalization plans based on them. For example, they pointed out problems in marginalized areas, such as signage problems, marine garbage, and problems receiving electronic boards. In order to resolve these inconveniences and promote the hardware-oriented development of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the government proposed a plan to implement the ‘Friendly Chrysanthemum Seed’ program, install digital tourist information signs, campaigns and educational activities, Smart Island Ecotourism, establish smart city services, install public wireless internet (Wi-Fi), and provide convenience for tourist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it solved the problem of Gukhwado through youth cultural activities and presented a new solution to solve the disappearance of island fishing villages. The government is carrying out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and while such hardware-centered development is important, it is also necessary to transform the island fishing village into a livable island through cultural activities and establish it as a prosperous island. Gukhwado, which was presented as an example, is also a representative area where young people are disappearing, and by pointing out the problem and deriving sol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people, we are diagnosing the fundamental problem of “why” young people are turning away from island fishing villages. In this respect, Gukhwado can be seen as a novel youth cultural activity success story. 우리나라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지역소멸이 가중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다각적인 정책과 방안을 모색 중인데,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지역소멸에 가장 큰 문제는 청년은 사라지고 고령화는 가중된다는 점인데, 청년이 수도권 등 대도시로 유입되고 지역은 자연스럽게 소외되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는 일반 농어촌보다 섬 어촌이 더욱 심각하다. 경기도 귀어⋅귀촌종합지원센터는 2020년 풍도, 2021년 국화도를 중심으로 지역재생 사업과 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어활 활동을 진행했고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국화도 홍보와 관광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청년의 시각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역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색다른 청년문화 활동을 전개했다. 대학생들이 중심이 된 청년들은 국화도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활성화 방안 등을 내놓았다. 예를 들면, 안내판 문제, 해양쓰레기, 전판 수신 문제 등 소외 지역에서 빚어지는 문제들을 지적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하드웨어 중심의 개발인 어촌뉴딜 300 사업을 추진하면서 동시에 ‘친절한 국화씨’ 프로그램 진행, 디지털 관광안내 표지판 설치, 캠페인과 교육활동, 스마트 아일랜드 에코투어리즘(Smart Island Ecotourism), 스마트 도시 서비스 구축, 공공 무선인터넷(Wi-Fi)을 설치, 관광객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 서비스 방안을 제시했다. 문화어활을 통해 국화도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섬 어촌에 겪고 있는 지역소멸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결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국가가 중심으로 어촌뉴딜300을 진행 중인데, 이러한 하드웨어 중심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문화어활을 통해 살기 좋은 섬 어촌으로 전환해 풍요로운 섬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사례로 제시한 국화도 역시 청년이 소멸하는 대표적인 지역인데, 이 문제를 청년의 시각으로 문제를 지적하고 해결안을 도출해서 청년이 “왜” 섬 어촌을 외면하는지 근본적인 문제를 진단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국화도는 참신한 문화어활 성공 사례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청년×여성의 여성주의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충전소'를 만들고, '기피시설'로 여겨지다

        최나현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2 여성학연구 Vol.32 No.1

        이 논문은 지역 청년여성 페미니스트 그룹의 여성주의 실천 경험을 토대로, 이들의 여성주의 실천 활동이 지역 청년여성에게,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어떤 의미로 구성되는가를 설명한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지역의 청년여성들은 지역사회 안에서 여성들이 페미니즘이라는 언어로, 페미니스트라는 정체성으로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는 리부트 세대 여성들에게 페미니즘이 ‘생존자원’이 되었다는 기왕의 분석을 토대로, 지역 청년여성 페미니스트 그룹의 여성주의 실천 활동을 페미니즘 ‘충전소’로 규정한다. 지역 청년여성에게 이들의 활동은 페미니즘이라는 ‘연료’를 충전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지역의 다양한 페미니즘 ‘충전소’는 지역 청년여성 페미니스트들을 중심으로 지역 내 교류 및 지역 간 교류를 활성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지역 여성운동 내부에 차이가 가시화되는 과정으로 읽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시선에서 페미니즘 ‘충전소’는 ‘기피시설’이고, 페미니즘은 ‘오염물질’이다. 지역사회에서 이들이 배제되는 현실은 지역에서 청년여성 페미니스트들이 고립되어 있는 현실을 드러내고 있다. 이 연구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지역에서 일어나는 여성주의 실천 활동을 역동적으로 이해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각 지역의 특수한 상황적 맥락, 광역시-소도시라는 지역 규모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못했다. 앞으로 지역 청년여성 페미니스트 그룹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져, 각 그룹의 활동내용이 구체적이고 깊이 있게 탐색되기를 염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