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관성의 조절효과

        이진명,박서니,나종연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of smartwatch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by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are moderated by consumer inertia as a tendency to maintain the status quo. We develop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product attributes and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409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40s who did not have smartwatch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tibility of smartwatch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rivacy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Second, design and self-image enhanc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 watch.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ertia in adopting smartwatch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effect of perceived enjoyment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the group with high inertia. This study shows that enhancing both perceived usefulness as functional motivation and perceived enjoyment as emotional motivation is important for consumers' adoption of smartwatch, considering smartwatches have both attributes of IT devices and fashion products. Moreover, this study implies that perceived enjoyment can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adoption of new technology than perceived usefulness for consumers who tend to stick to current sit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IT와 패션이 결합된 융복합 제품으로서 스마트워치 제품속성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매개로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혁신적 대안이 존재함에도 현상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서의 관성(inertia)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워치를 보유하지 않은 20대에서 40대 소비자 409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치의 적합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프라이버시 위험은 지각된 유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유용성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과 이미지 고양은 지각된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즐거움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관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본 결과, 지각된 즐거움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관성이 높은 집단에서 관성이 낮은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능적 유용성과 정서적 즐거움이 소비자의 스마트워치 수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히고, 특히 관성이 강한 소비자에게는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 유용성보다 즐거움이 보다 중요한 동기일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퇴계문학(退溪文學)의 지각논(知覺論) 수용(受容) 연구(硏究)

        김병권 ( Kim Byeong-kwe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退溪學論叢 Vol.28 No.-

        退溪의 詩에서 대부분의 소재는 물이 흐르고, 꽃이 피며, 바람이 불고, 새가 나는 자연이다. 이런 退溪의 시를 어떻게 읽고 무엇을 느껴야 하는가?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退溪가 시를 창작한 경험에 근거하여 해결해야 한다. 退溪는 도산서당 주변의 자연과 사물이 저절로 마음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얕지 않았으며, 이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시를 지었다고 전한다. 이 내용은 마음이 즐거움을 知覺하였다는 뜻이다. 이 지각은 退溪가 시를 지었던 중요한 동기이면서 의미 있는 창작 경험이다. 그래서 退溪의 시를 知覺論의 관점에서 읽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먼저 마음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마음의 전체가 지극히 虛하고 고요하여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추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 설명은 간단한 말로써 표현하고 있지만 그 뜻은 예사롭지 않다. 마음이 허하고 고요하다는 말은 마음의 구조이고, 사물을 비춘다는 말은 마음의 기능이다. 그래서 마음은 사물을 지각하는 주체이다. 다음으로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학문에서 理를 탐구하는 일이 중요하며, 理가 밝으면 책을 읽든, 일을 만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음을 강조한다, 그래서 즐거움의 본질은 사물 자체의 아름다움일 수 있으나, 그 사물을 사유하고 지각한 理라고 보아야 한다. 사물에 내재한 理가 지각의 대상이다. 마지막으로 마음이 어떻게 사물의 理를 있는 대로 지각할 수 있는가? 退溪는 마음에 만약 어떤 사물이 달라붙으면 虛明하고 靜一한 기상을 가질 수가 없다고 하였다. 마음에 달라붙은 사물은 물욕을 비유한 것이다. 물욕으로 혼탁해진 마음을 깨끗하고 또렷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욕을 버려야 한다. 물욕을 버리는 한 방법이 敬이다. 敬을 유지하면 욕심은 줄어들고 이치는 맑아진다. 그래서 持敬은 사물을 있는 대로 보고 그 理를 지각하도록 마음을 성찰하는 방법이다. 退溪의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은 자연과 사물에서 지각한 理이며, 退溪는 이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시에서 표현했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理를 지각한 학문은 體이고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은 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음이 사물을 지각한 학문과 문학은 둘이면서 둘이 아니라고 보아도 좋을 듯하다. 따라서 退溪가 도산서당에서 자연의 이치를 지각하고 그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시에 표현했던 창작 경험은 『陶山雜詠』의 시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리라고 믿는다. A main theme in Toegye`s poems is the nature with water flowing, wind blowing, and birds flying. How should we read and feel Toegye`s poems? This question should be addressed based on Toegye`s experiences of creating poems. Toegye stated that he created poems to share his experience of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that was derived from the nature around Dosanseodang(陶 山書堂). This indicates that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was perceived in Toegye`s mind, which, importantly, motivated him to create poems. Thus, Toegye`s poem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perspective of a theory of perception. First, what is the mind? Toegye profoundly considered the mind as entirely empty and calm in a similar way that a mirror reflects things. The mind described as empty and calm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mind, while the mind portrayed as reflective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mind. In this respect, the mind is the main agent of perceiving things. Next, what is the pleasure that naturally occurs to the mind? Toegy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Li(理) in study because if people perceive Li(理), they will not have any obstacles in their way. Although the pleasure may simply be derived from the beauty of things, more profoundly, it may also be Li(理) on grounds of contemplating and perceiving things the way they are. Last, how can the mind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Toegye believed that if things are attached to the mind, the mind no longer has the spirit of brightness and calmness. These things attached to the mind are worldly desires. To make the mind clear and lucid, worldly desires should be discarded. When Jing(敬) is maintained, Li(理) becomes clear and worldly desires decrease. Thus, to maintaining Jing(敬) is to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In all, in his poems Toegye expressed Li(理) that he perceived from the nature, which was the pleasure itself that naturally occurred to his mind. Essentially, Toegye`s studies concerned the way in which he perceived Li(理), and such perception of Li(理) was also expressed in his literacy work. Thus, it seems that Toegye`s studies and literature did not comprise two different areas, but centered around a single theme of perceiving Li(理).

      • KCI등재

        소비자 독특성 및 편의점 관련 특성에 따른 편의점 재이용의도: 지각된 즐거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미현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4

        Lately, along with the increase of one-or two-person households, changes in consuming trends like preferring small goods or shopping at a near distance, or development of PB products, consumers are using convenience stores more and more. To suggest ways to satisfy convenience store users’ needs,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consumers’ recognition on the convenience store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reuse intention multilaterally. Particularly, this study analyzes in using a convenience store, how one of the variabl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consumer uniqueness, and convenience store-related variables,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are correlated with reuse intention. Furthermore, this author analyzes if perceived enjoyment has any moderating effect in correlation between all the variables and reu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analysis on difference regarding consumer uniqueness, convenience store-related variables, and convenience store reuse intention associated with perceived enjoyment, consumer uniqueness, perceived usefulness, social influence, and perceived enjoyment all indicate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the high, middle, and low. The high group indicates the highest convenience store reuse intention, and the next are the middle and low in order. Meanwhile, about perceived risk, the high and middle groups indicate lower convenience store reuse intention than the low group. Second,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njoyment on convenience store reuse intention, parti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has been found. In other words, there is significant interaction found between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enjoyment, and between social influence and perceived enjoyment, so perceived enjoyment has been found to exert moderating effect. Accordingly, to increase convenience store reuse intention,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s in practical aspects, for instance, a convenience store’s efficiency or economics;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endeavor to satisfy consumer needs in terms of enjoyment or interest. 최근 1-2인 가구의 증가, 소용량․근거리 쇼핑 등 소비트렌드의 변화, 다양한 PB상품 개발 등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편의점 이용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편의점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소비자들의 편의점에 대한 인식 및 재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다양하게 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을 이용하는데 있어 소비자특성 변수로서 소비자 독특성과 편의점 관련변수인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 사회적인 영향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제 변수와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즐거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소비자 독특성, 편의점 관련 변수, 지각된 즐거움에 따른 편의점 재이용의도에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소비자 독특성, 지각된 유용성, 사회적 영향, 지각된 즐거움 모두 상, 중, 하 세 집단간에차이를 보였고 상집단이 편의점 재이용의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중, 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된 위험의 경우에는 상, 중인 집단은 하인 집단보다 편의점 재이용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의점 재이용의도에 대한 지각된 즐거움의 조절효과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즐거움의 상호작용 효과, 사회적 영향과 지각된 즐거움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지각된 즐거움의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편의점의 재이용의도를 유도하기 위해 편의점의 효율성이나 경제성 등의 실용적인 측면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소비자들에게 즐거움이나 흥미에 대한 욕구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관광가이드의 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홍성준(Hong, Sung Ju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3

        최근 들어 관광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수요에 관광서비스는 이를 뒤따르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특히 관광을 안내하는 가이드는 관광의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관광가이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관광소비자가 관광 가이드의 서비스를 평가할 때, 어떤 서비스를 가장 중시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 관광가이드의 사회적 서비스, 감성적 서비스, 인지적 서비스를 두었으며, 종속변수로 만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매개하는 매개변수로는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유용성을 두었다. 즉, 관광가이드에 대한 만족에 어떤 서비스가 어떤 이유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는 사회적 서비스(예, 관광객과의 교제 중시), 감성적 서비스(예, 즐거움과 재미 중시)는 소비자의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인지적 서비스(예, 관광과 관련된 지식 중시)는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유용성은 관련성이 없었다. 특히 본 연구가 관광 영역에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지각된 즐거움이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였는데, 연구 가설과는 다르게 기각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살펴볼 때, 관광가이드는 관광객에게 즐거움과 유용성을 주어야 관광객을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광가이드가 관광객을 대할 때에는 관광객과의 관계, 관광 분위기, 관광에 대한 지식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Recently, tour guide's serv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urism issues. This research examine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play a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the tour guide's 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Als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what tour guide's service affect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useful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service and emotional service of tour guide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perceived enjoyment. cognitive service of tour guide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play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the tour guide's 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not significant.

      • KCI등재

        모바일 SNS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관여도의 조절역할

        정덕화,정철호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instant connectivity, contextual offer, self-efficacy, innova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 intention of mobile SNS.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through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stant connectivity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Second, contextual offer and innovativ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only perceived usefulness, however, contextual offer and innovativeness have no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use intention. Finally, involvement h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and use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주목적은 모바일 SNS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바일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모바일 SNS에 대한 즉시접속성, 상황기반 제공성, 자기효능감, 혁신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등이 모바일 SNS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즉시접속성과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상황기반 제공성과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각된 용이성과 즐거움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여도는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SNS 운영자에게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 홈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박주현,전재균,이재정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3

        Today, as part of the spatial revolution l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homes are bringing great changes to residential spaces.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technology. To this end, by applying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ddition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personal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included as antecedent factors of intention to u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 innovativeness,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nd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of use,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higher the perceived enjoyment.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 주도하는 공간혁명의 일환으로 스마트 홈이 주거공간에 커다란 변화을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홈의 기술을 수용하는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이외에도 개인 혁신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사용의도의 선행요인으로 포함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전국의 스마트 홈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표본 35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 홈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혁신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즐거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자경험(UX)이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몰입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성복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4

        In the intense smartphone market,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UX)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smartphone manufacturers are continuously putting diverse efforts to provide their own unique user experience. In this reality,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r experience(User satisfactory experience, useful experience, design satisfactory experience) on the perceived enjoyment and immersion. Also,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perceived enjoyment and immersion on the smartphone reuse intention. To verify this, hypothesis testing was carried ou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mo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useful experience and design satisfactory experience out of user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ived enjoyment while the user satisfactory experienc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enjoyment. Second, all the user experience(user satisfactory experience, useful experience, design satisfactory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ived immersion. Third, the perceived enjoy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use intention while the perceived immersion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u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able to expand the researches related to user experience,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UX strategies and marketing for the improvement of smartphone user experience, and also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researches related to smartphone user experience. 점점 더 치열해지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경험의 고찰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경험(사용자만족경험, 유용적경험, 디자인만족경험)이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몰입이 스마트폰 재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규명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가설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용자경험 중 유용적경험과 디자인만족경험이 지각된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사용자만족경험은 지각된 즐거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자경험(사용자만족경험, 유용적경험, 디자인만족경험) 모두 지각된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즐거움이 재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몰입이 재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사용자경험 관련 연구의 확장과 더불어 스마트폰 사용자경험의 향상을 위한 UX전략 및 마케팅적인 시사점을 함께 제공하고 스마트폰 사용자경험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 요인이 인스타그램에서의 관광콘텐츠 이용 시 지각된 즐거움, 몰입, 공유행동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왕리핑,정다은,한관희,이계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2

        Social media, Instagram in particular, as a platform to disseminate information and to share experiences related to tourism has been rapidly spreading not only to Koreans but also to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research on their travel-related online behaviors is insufficient.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as an underpinning framework,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effect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factors of self-determination) on flow experiences, sharing behavior, and revisit intention mediated by perceived enjoyment using Instagram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by a Chinese research firm to collect data. A total of 404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fter discarding 56 incomplete answers, 348 usable responses were analyzed for research hypothesis tests by structural model equations using AMOS 24.0. The results show that first, both autonomy and relatedness factors of self-autonomy exerted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s on perceived enjoyment. However, competence turned out not to be a significant precursor to perceived enjoy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enjoy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ow experience. Third, perceived enjoy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haring behavior. Fourth, both perceived enjoyment and flow experience exerte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both sharing behavior and revisit intention.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enjoyment formed by using Instagram for tourism-related content among respondents contributes to increase continued sharing behavior and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y, tapping on the Chinese youth market, and provide the Korean tourism industry with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communications on social media. 소셜미디어, 특히 인스타그램은 관광관련 정보를 전파하고 관광경험을 공유하는 플랫폼으로서한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에게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에서 중국인 유학생이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여행과 관련된 온라인 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에 체류 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인스타그램을 통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요인이 지각된 즐거움, 몰입, 공유행동,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데이터를수집하기 위해 중국의 한 리서치 회사에 의뢰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404부 중 불성실한 응답 56부를제외한 348부를 후 AMOS 24.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델로 연구 가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율성과 관계성 요소 모두 지각된 즐거움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유능성은 지각된 즐거움에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각된 즐거움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지각된 즐거움은 공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지각된 즐거움과 몰입모두 공유행동과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응답자들 사이에서 관광 관련 콘텐츠로 인스타그램을 활용함으로써 형성된 지각된 즐거움이 지속적인 공유행동과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중국의 젊은 층을 공략한 마케팅 전략 개발에 기여할뿐 아니라, 한국의 관광산업에도 소셜미디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여러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이 인스타그램 팔로우 의향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즐거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지영,여민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1

        다양한 외모와 성격의 가상 인플루언서가 지속적으로 탄생하고 있으며, 기업이 직접 가상 인플루언서를 제작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가상 인 플루언서의 SNS를 팔로우 하며,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가상 인플루언서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라고 인식되 고 있으며, 기업은 가상 인플루언서를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기회로 보고 있다. 국내 가상 인플루언서 연구는 아직 미 흡한 단계이며, 대부분 가상 인플루언서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긍정적인 측면 뿐만 아니 라, 실재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존재'에 대한 소비자의 반발감이나 거부감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가상의 인플루언서의 어떤 속 성이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가상 인플루언서 로지 (Rozy)에 대해 시나리오 기법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공신력을 구성하는 요인(매력성, 신뢰도, 전문성) 중 매력성 와 신뢰도는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즐거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전문성은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즐 거움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지각된 불쾌감은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지각된 즐거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인스타그램 팔로우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등 가상 인플루언서의 공신력을 구성하는 요인을 구 체화하고 가상 인플루언서의 부정적 요인인 지각된 불쾌감을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소비자 지각 을 정교화하고 가상 인플루언서 요인이 인스타그램 팔로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Virtual influencers with various looks and personalities are constantly being created by companies and agencies. Consumers follow virtual influencers' SNS and communicate with them. Virtual influencers are recognized as something that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thus companies see virtual influencers as a new marketing opportunity to connect companies and consumers. Domestic studies on virtual influencers are still insufficient, and most of them are focusing on the positive aspects of virtual influencers. This study identified not only the positive aspects of virtual influencers, but also the negative aspects such as consumer backlash against 'virtual humans' existing in virtual reality.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what attributes of virtual influencers affect consumers' perceptions and intentions. To investigate those, an online survey based on scenario techniques was conducted on 332 college students in Seoul using virtual influencer Roz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three factors(attractiveness, trust, and expertise) of credibility, attractiveness and trus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njoyment. On the other hand, expertise did not affect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njoyment. Perception of the uncann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ocial presence,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Social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and also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stagram follow intentio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embodied credibility factors such as attractiveness, trust, and expertise and added the perception of the uncanny, which is a negative factor of virtual influencers. Next, we elaborated consumer perceptions beyond existing studies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s of virtual influencers’ factors on Instagram follow intention.

      • KCI등재

        VR 체육 수업이 초등학생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임영재(Im, YoungJae),이경희(Lee, Gyeo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VR 체육 수업이 학생들의 운동노력,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5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모형을 적용한 준실험 연구를 설계하여, 총 10회기(20차시)에 걸친 VR 체육 수업을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VR 체육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 집단과 전통적인 체육 수업을 받은 학습자 집단 간에 운동노력, 지각된 즐거움, 자기효능감, 운동지속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남학생은 지각된 즐거움, 여학생은 지각된 즐거움과 운동지속의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지각된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운동노력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VR 체육 수업의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students exercise effor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pleasur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ustainability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design model was designed for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total of 10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ly,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exercise efforts, perceived pleasur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ustainability between learners who experienced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those who received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pleasure for male students and perceived pleasure and exercise sustainability for female students. Third, perceived pleasure and exercise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sustainability, and exercise efforts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exercise sustain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VR physical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