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동부유럽의 유럽회의주의에 관한 실증연구 : 거시 데이터를 통한 결정요인 분석

        강유덕(Yoo Duk KANG) 통합유럽연구회 2022 통합유럽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중동부유럽에 유럽회의주의(Euroscepticism) 움직임이 확산되어 온 점에 주목하고, 그 특징을 여론조사 결과와 정당 득표율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유럽회의주의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중동부유럽의 유럽회의주의가 갖고 있는 독특한 정치‧경제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유럽회의주의 현상의 원인이 된다고 간주되는 설명변수 중에는 중동부유럽 국가들에 대해서는 설명력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률, 실업률 등 경제 변수는 2010년 이후 유럽회의주의의 확산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중동부유럽 국가들에 관해서는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U 기금의 수혜 정도, 산업 및 무역구조는 예상과 반대로 영향을 미치거나 설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EU의 ‘민주주의 결핍(democratic deficit)’에 대한 일반의 인식은 중동부유럽의 유럽회의주의 성향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국 정치기관에 대한 신뢰도 또한 EU에 대한 신뢰에 투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중동부유럽의 유럽회의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기존의 경제적 이해관계의 틀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오히려 정당정치와 민족주의 부상에 따른 우파적 논리의 확산 등 국내 정치의 동적 움직임 속에서 그 원인을 파악하려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pread of Euroscepticism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CEECs) and examines its trend following the opinion polls and turn-out rate of the Eurosceptic parties in the European Elections. It also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urosceptic opinions in the CEECs with explanatory variables obtained at the country level.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some conventional variables have an excellent level of explanatory powers to explain the skeptical attitude to the EU in the CEECs. However, other explanatory variables do not have explanatory power or influen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ur expectation. Economic variables such as economic growth rate and unemployment rate explain the spread of Euroscepticism since 2010 in Western Europe, but they have no explanatory power for CEECs. In addition, our findings show that the EU fund and industry and trade structure have opposite effects to our expectation or have low explanato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EU s democratic deficit was found to explain well the Euroscepticism in CEECs, and trust in its domestic political institutions is highly associated with trust in the EU.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economic interests to understand Euroscepticism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stead,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the cause of dynamic movements in domestic politics, such as the spread of right-wing logic following the rise of party politics and nationalism.

      • KCI등재

        중동부유럽의 유럽회의주의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미시데이터를 통한 실증분석

        강유덕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3 동유럽발칸연구 Vol.47 No.1

        이 연구는 중동부유럽의 유럽회의주의 여론과 그 추이를 서유럽의 경우와 비교하고, 미시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체제전환과 EU 가입 등 서유럽과 다른 경험을 한 중동부유럽의 특수성이 EU 체제에 대한 시각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중동부유럽의 유럽회의주의는 2010년 이후 급부상한 극우성향의 대중영합주의 정당과 그 활동,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된 여론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유럽통합의 초국가성과 국가 주권 사이의 갈등에서 발생했던 서유럽의 유럽회의주의와는 차이가 있다. 중동부유럽의 정치에서 EU 체제에 대해 회의적인 정치세력은 주로 기성정당이 우경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미시데이터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 중동부유럽은 유럽회의주의의 결정요인에 있어 서유럽과 대체로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교육수준이 높고, 사회적 지위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젊은 연령층일수록 EU 체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육수준이 EU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중동부유럽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정치적 성향에 따른 유럽선호적 또는 유럽회의적 경향은 서유럽과 중동부유럽에서 반대로 나타났다. 비숙련 노동자에 관한 변수도 서유럽과 중동부유럽에서 다른 계수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서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유럽회의주의 관련 연구와 분석의 틀이 중동부유럽에도 대체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일부 변수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점은 집합 데이터 분석 외에 중동부유럽 내의 정치적 담론에 대해 정교한 정성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 ‘초월하기’와 편승전략을 중심으로

        김신규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Since the east and central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taking different measures on the energy problem, it seems to be an impossible to settle the energy crisis for them which are almost totally dependent on Russian energy as soon as possible. If the European Union (EU) copes with it in combination with member states, the problem will be simple. But each countries have a tendency to take one’s own policy to solve energy problems.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the energy policy of the EU and separate states through the concept on the energy security. Classifying the energy policy of the each countries into ‘transcending-uniform measures of EU,’ ‘banwagoning’ and ‘mixing the two measures’, I analyze the different policies which each countries of the east and central European states have taken. Since the CEE countries have been more dependent on the Russian energy than the west European countries, they will have to explore every possible avenue. With these different backgrounds, EU have a problem to cope with energy security in union. But it seems to be an advantage for CEE countries in union with the EU to cope with energy security. 러시아 에너지에 절대적으로 의존해 있는 중동부유럽은 에너지 문제에 대해 EU와의 공동 대응을 추진하고 있지만 동시에 개별 국가별로 상이한 접근을 하고 있어 에너지 문제에 대한 조속한 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만약 유럽연합이 러시아에 대해 공동의 대응을 한다면 문제는 단순해지겠지만, 개별 국가별로 러시아와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공동의 대응이 어려워지고 이로써 유럽연합 내에서도 에너지 문제를 둘러싼 이견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문에서는 에너지 안보에 대한 개념을 통해 유럽연합 공동의 대응방안과 중동부유럽 각국의 대응방안을 분리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각국별 에너지 전략을 ‘초월하기’-EU와의 공동 대응, 편승 그리고 양자의 혼합형 등으로 구분해 살펴본다. 우선 제2장에서는 기존의 안보의 의미를 확장해 에너지 문제가 단순히 정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안보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을 ‘초월하기’-EU와의 공동대응, 러시아에의 편승 그리고 혼합정책으로 분리해 살펴본다. 특히 새로이 유럽연합에 가입한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경우 기존 유럽연합 국가들보다도 훨씬 더 에너지 종속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에 유럽연합 수준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대응을 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유럽연합의 에너지 문제 공동대응을 살펴보며, 4장에서는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대응을 사례별로 구분해 살펴본다. 이런 논의를 통해서 중동부유럽은 전통적인 안보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에서도 여전히 취약하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상이한 정책을 선택하는 것 보다는 오히려 공동의 대응이 적절한 위기 극복의 방안임을 제시한다.

      • KCI등재

        중동부유럽 자동차산업과 운송분야 기후변화대응: 체코와 헝가리 사례를 중심으로

        안상욱(Sang Wuk AHN)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4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동서냉전질서 속에서 중동부유럽은 사회주의 진영에 편입되었다. 舊소련 붕괴이후 중동부유럽국가의 공산주의 체제도 해체가 이루어졌다. 냉전 붕괴 후 유럽공동체는 중동부유럽국가의 체제전환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2003년 4월 16일 아테네에서 EU회원국은 몰타, 사이프러스 그리고 舊소련 영향 아래 있었던 8개 중동부 유럽국가 등과 신규 회원국 가입협정에 조인하였다. 2004년 5월 1일부로 유럽연합은 유럽통합 역사상 가장 대규모의 회원국 확대를 달성하였다. 중동부유럽국가들이 EU가입에 따라 유럽단일시장 혜택을 갖게 되었고, 서유럽에 비해 양질의 저임금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서유럽의 생산기지가 중동부유럽으로 이전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프랑스, 벨기에 등 서유럽 국가에서 자동차 생산이 급감하였고,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에서 자동차 생산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특히 체코의 경우는 EU회원국 내 자동차 생산규모에서 독일, 스페인, 프랑스에 이은 제 4위의 자동차 생산대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또한 세계 유수의 자동차 부품기업 역시 체코에 유치되어 체코의 자동차생산 관련 생태계가 구축되었다. 그러나 운송분야 기후변화 대응에서 체코와 헝가리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체코는 개인구매자에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로의 이행에서도 기술중립 원칙에 따라서,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CNG자동차 등에 같이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에 헝가리에는 세계 10대 전기자동차 배터리기업인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이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의 헝가리 내 배터리 생산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유럽이 2020년 세계 최대의 전기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하였지만, 전기자동차의 핵심부품인 배터리 생산에서는 EU의 입지가 약한 상황이다. EU와 EU회원국은 EU내에서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의욕적인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의 EU주요 수출품 중에 자동차, 전기자동차배터리, 자동차 등이 포함된 것을 감안하면 유럽 현지 기업과 광범위한 협력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 in 2018 the European Commission adopted “2020 Climate & Energy Package”. The 2020 climate & energy package aims to expand the share of renewable energy from final energy consumption to 20%, increase the share of renewable energy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to 10%,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 and reduce the EU"s primary energy consumption by 2020. The EU has adopted continuously initiatives on climate change. For example, in 2011 “A roadmap for moving to a competitive low carbon economy in 2050”, in 2014 “2030 Policy Framework for climate and energy policy framework in 2020”, in 2019 “European Green Deal”. The EU"s climate change initiatives have reduced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EU.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had European Single market benefits as they joined the EU. Their high quality and low-wage labor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stimulated the relocation of the industry from Western European countries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utomobile production plunged in Western European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Belgium, and automobile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zech Republic, Slovakia, and Hungary. The Czech Republic has become the fourth-largest automobile producer after Germany, Spain, and France in terms of automobile production among the EU member countries.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50 leading suppliers have facilities in the Czech Republic, establishing an ecosystem related to automobile production in this country. Meanwhile, the transition to electric vehicles is requir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transport sector, and electric vehicle batteries are a key component of electric vehicles. In Hungary, Samsung SDI and SK Innovation, one of the world"s top 10 electric vehicle battery companies, operate production plants, and their battery production in Hungary has continued to expand. Europe has emerged as the world"s largest electric vehicle market in 2020, but the EU has a weak position in battery production, a key component of electric vehicles. The EU and EU member states are implementing policies to develop the battery industry within the EU. Considering that Korea"s major exports to the EU include automobiles, electric vehicle batteries, and automobi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EU.

      • KCI등재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 ‘초월하기’와 편승전략을 중심으로

        김신규(Kim, Shin Kyu)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4 No.1

        러시아 에너지에 절대적으로 의존해 있는 중동부유럽은 에너지 문제에 대해 EU와의 공동 대응을 추진하고 있지만 동시에 개별 국가별로 상이한 접근을 하고 있어 에너지 문제에 대한 조속한 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만약 유럽연합이 러시아에 대해 공동의 대응을 한다면 문제는 단순해지겠지만, 개별 국가별로 러시아와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공동의 대응이 어려워지고 이로써 유럽연합 내에서도 에너지 문제를 둘러싼 이견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문에서는 에너지 안보에 대한 개념을 통해 유럽연합 공동의 대응방안과 중동부유럽 각국의 대응방안을 분리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각국별 에너지 전략을 ‘초월하기’-EU와의 공동 대응, 편승 그리고 양자의 혼합형 등으로 구분해 살펴본다. 우선 제2장에서는 기존의 안보의 의미를 확장해 에너지 문제가 단순히 정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안보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을 ‘초월하기’-EU와의 공동대응, 러시아에의 편승 그리고 혼합정책으로 분리해 살펴본다. 특히 새로이 유럽연합에 가입한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경우 기존 유럽연합 국가들보다도 훨씬 더 에너지 종속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에 유럽연합 수준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대응을 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유럽연합의 에너지 문제 공동대응을 살펴보며, 4장에서는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대응을 사례별로 구분해 살펴본다. 이런 논의를 통해서 중동부유럽은 전통적인 안보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에서도 여전히 취약하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가별로 상이한 정책을 선택하는 것 보다는 오히려 공동의 대응이 적절한 위기 극복의 방안임을 제시한다. Since the east and central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taking different measures on the energy problem, it seems to be an impossible to settle the energy crisis for them which are almost totally dependent on Russian energy as soon as possible. If the European Union (EU) copes with it in combination with member states, the problem will be simple. But each countries have a tendency to take one’s own policy to solve energy problems.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the energy policy of the EU and separate states through the concept on the energy security. Classifying the energy policy of the each countries into ‘transcending-uniform measures of EU,’ ‘banwagoning’ and ‘mixing the two measures’, I analyze the different policies which each countries of the east and central European states have taken. Since the CEE countries have been more dependent on the Russian energy than the west European countries, they will have to explore every possible avenue. With these different backgrounds, EU have a problem to cope with energy security in union. But it seems to be an advantage for CEE countries in union with the EU to cope with energy security.

      • KCI등재

        EU 자동차 생산의 중동부 유럽이전: 체코사례를 중심으로

        안상욱 한국유럽학회 2019 유럽연구 Vol.37 No.3

        Since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automobile industry, the world automobile industry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Western Europe countries USA, Japan, and Western Euro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and Italy. However, automobile production in the US and Western Europe has been transferred rapidly into other regions. Especially in Europe, sinc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eis’ accession to the European Union, industrial production in the EU has been rapidly relocated from Western European countries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relocation of automobile production from Western European countries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is an example. For example, in Belgium, multinational automotive corporations relocated its production to other countries. It resulted in the collapse of Belgian domestic automobile production. In France and Italy, automobile production is declining sharply. However, automobile production has increased rapidly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such as Czech Republic. Since the accession to the EU,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have benefited from EU single market. However, unlike the case of France and Italy, Germany has maintained its automobile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automobile industry.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elocation of automobile production from Western European countries to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it analyzes also the reason for the rapid increase of automobile production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the case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Czech republic. In Korea, new automobile assembly plant has not been built since 1998 when Renault Samsung Motors' Busan plant was built. In particular, Hyundai Motor Company has not built a new car assembly plant in Korea since 1996 when Asian plant was built. Since 2012 Hyundai Motor Company’s oversea production has been larger than its domestic production. 세계 자동차 공업은 자동차 산업이 시작된 이래로 미국과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서유럽 국가들 및 일본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미국과 서유럽에서의 자동차생산이 빠른 속도로 다른 지역으로 이전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중동부유럽국가의 EU가입이후 EU내 산업생산은 빠르게 중동부유럽으로 이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서유럽국가에서 중동부유럽국가로 자동차 산업생산이 이전하고 있는 점이다. 벨기에와 같은 국가에서는 다국적 기업이 생산기지를 이전하면서 자국 내 자동차 생산이 붕괴되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자국에서 자동차 생산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런데 똑같은 EU 단일시장의 혜택을 받게 된 중동부 유럽국가 중에서도 체코 등 특정국가에서 자동차 산업생산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또한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사례와는 다르게 독일에서는 자동차 생산의 급격한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서유럽에서 중동부 유럽으로 자동차 산업이 이전하고 있는 현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또한 중동부 유럽국가 중 체코에서 자동차 생산이 급증하고 있는 원인에대해서 체코투자청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통해서 분석을 진행하도록 한다. 특히 한국에서 자동차 생산이 급격하게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에서 중동부 유럽으로의 자동차 생산기지 이전 사례가 주는 함의를 도출한다. 한국의 경우, 국내에서신규 자동차 조립공장은 1998년 완공된 삼성자동차의 부산공장을 마지막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특히 국내 자동차 산업의 대표기업인 현대자동차 그룹은 1995년 아산공장 준공이후 신규 자동차 조립공장을 국내에서 건설하지 않았다. 반면에 현대자동차 그룹은해외생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Ⅰ.

      • KCI등재

        유럽연합 가입 이후 중동부유럽 노동 이주 현황과 양상: 루마니아를 중심으로

        김면회,이하영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0 EU연구 Vol.- No.5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flow and aspects of labor migration in Central-Eastern Europe after joining the European Union an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it. The case that this research is to focus on is Romania, which became a member of the European Union in 2007.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idea that the work of understanding of the Central-Eastern Europe, which joined the Western Europe-centered integration ord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should be done with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inclusion in the European integration order should not be asserted that the homogenization has been immediately achieved in all areas. Although it is clear that integration is a process of reducing difference, difference still exists for long between each unit depending on the level and phase of integration. The same applies to the issue regarding the labor migration of Central-Eastern Europe including Romania. Issues of labor migration have recently become the most sensitive topic in the realpolitik of Europe. The issue of massive labor migration results from economic inequality and uneven living standards between the Western European states and former Communist states. This issue not only affects the Western European labor market. The issues related to labor migration that occur in the Central-Eastern Europe can be summarized into the labor shortage due to accelerating population outflow and the brain drain caused by the massive migration of professional personnel to Western Europe. The efforts to ease the rift within the European Union caused by labor migration issues have become a pending issue for Europe which hopes for deepening of integr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measures for this may include active policy-making by the Central-Eastern European states to attract a leaked population,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by Western European states to foster their own citizens for human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joint policies and compromise on the European level in pursuit of integ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 가입 이후 중동부 유럽인들의 노동 이주 흐름과 양상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구명하는 데 있다. 그 중 본 연구가 집중하고자 하는 사례는 2007년에 유럽연합 회원국이 된 루마니아이다. 본 연구는 냉전 종식 이후 서유럽 중심의 통합 질서에 합류한 중동부 유럽 국가에 대한 이해 작업은 유럽통합 과정과의 관련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서 출발한다. 아울러 유럽 통합 질서에 편입됐다는 것이 곧바로 모든 영역에서 동질화가 이루어졌다고 단언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통합이 이질성을 줄여나가는 과정임에는 분명하지만, 통합의 수준과 단계에 따라 각 단위 간의 상이성은 상당 기간 엄존하기 때문이다. 중동부 유럽의 노동 이주에 관한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노동 이주의 문제는 최근 통합 유럽의 현실 정치에서 가장 민감한 주제로 되었다. 대규모의 노동 이주의 문제는 서유럽 국가군과 구사회주의체제 국가군 사이에 엄존하는 경제적 불균등과 생활수준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대규모의 노동 이주 문제가 서유럽 노동시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노동 이주와 관련되어 중동부유럽 국가에서 제기되는 문제는 인구 유출의 가속화로 인한 국내 노동시장의 구인난과 아울러 전문 인력이 서유럽으로 대거 이동함으로써 야기되는 두뇌유출로 요약된다. 노동 이주 문제로 야기되는 유럽 연합 내의 균열을 완화하는 노력이 통합의 심화와 균형적인 지역 발전을 바라는 통합 유럽의 현안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출된 인구를 유인하려는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적극적인 정책 수립과 아울러 자국민 인재 양성을 위한 서유럽 국가들의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 그리고 통합을 지향하는 유럽 차원의 공동 정책 수립이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동부유럽으로의 독일 진출과 그 결과

        김용덕(Kim Yong-Deo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독일은 이미 10세기 작센 왕조 시대부터 슬라브족과 발트족을 희생으로 하여 대 중동부유럽 진출을 시작했 다. 독일의 진출이 중동부유럽에 끼친 영향은 실로 막대하다. 정치적 영향력은 말할 것도 없이 경제, 문화, 사회 등 모든 면에서,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는 20세기까지 천년이상 중동부유럽에서 고정적이고 변동을 유 발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10세기말부터 독일의 작센 공과 주교들에 의해 북서 슬라브 종족 오보드쥐체인과 비 엘레치인-루티치인이 정복되어갔다. 11세기 볼레스와프 흐로브리 통치하에서 폴란드는 절정기를 누리며, 독일 황제와 독자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12세기에 지역분할시기로 접어들게 되며, 폴란드는 독일 변경백들 의 공격으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게 됐다. 10세기 프르제미슬 가문 통치하의 체코는 독일제국의 패권을 인정 하며 친 황제 정책을 폈다. 독일의 대공위시대로 체코는 정치적으로 독일로부터 독립하게 되어 이후 팽창을 하 게 된다. 11세기 왕위 투쟁이 벌어진 것을 이용하여 독일제국은 헝가리에 영향력을 끼치게 됐다. 12세기에 헝 가리왕국은 독일의 공격을 막아내며 번성기를 맞게 된다. 독일 동부 지역 공들과 변경백들이 12세기에 또 다시 슬라브 북서 지역 정복을 시도하며, 오드라강과 노테치강 그리고 브르다강까지 독일 국경을 확장시켰다. 독일 공들은 새로 장악한 영토 내에 사전에 준비한 식민 정책을 도입하면서 통치 기반을 강화시켰다. 발트해로부터 북해까지 해상 무역 독점권을 장악하기 위해, 13세기 후반 독일 북부 도시들과 독일 밖 발트 해안 도시 간 연맹 체인 한자 동맹이 탄생했다. 독일인의 예루살렘 성지 순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1190년 팔레스타인에 세 워진 튜튼기사단이 헝가리를 거쳐 1226년 폴란드에 의해 프루시 지역에 도입됐다. 이후 튜튼기사단은 정복한 영토에 강력한 국가를 세우고, 주변 폴란드, 리투아니아, 러시아에 심각한 위협을 끼치며 독일 진출의 선두에 섰다. 중세 독일의 동부 팽창으로 중동부유럽에서 심각한 민족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리하여 독일-슬라 브 접경 지역에서 민족의식이 발전하고, 그 결과 발생하던 충돌은 서구보다 앞섰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German expansion towards Central-Eastern Europe during the 11th to 14th centuries. Already at 10th century, from Saxony dynasty Germany launched the expansion towards Central-Eastern Europe at the sacrifice of Slavic and Baltic nations. The effect carried by the German expansion in Central-Eastern Europe has been really enormous. From the political aspects and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as well, Germany had been acted as a stable but changeable element over thousand years until the end of World War II. From the end of 10th century, Saxony dukes and bishops had been conquered a north-eastern Slavic tribes, Obodrzyce and Wieleci-Lutycy. At 12th century again east German dukes and margraves tried undertake a conquest of north-eastern Slavic area. In a captured reign, German dukes had been consolidated a rule introducing a colonization. At the second half of 13th century, Hanseatic League came into being as a alien of north- German cities and Baltic seaside towns, in order to seizure a monopoly of maritime trade from the Baltic Sea to the North Sea. The Teutonic Order which was founded at Palestine in 1190 with the purpose to protect German pilgrims to Jerusalem was introduced to Prussian territory by Poland through Hungary, in 1226. Then the Teutonic Order organized powerful state, and it was been at the head of a German expansion which threatened the neighbor countries-Poland, Lithuania and Russia. Under this consider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nation problem resulted by eastern expansion of medieval Germany which began get to serious aspect in Central-Eastern Europe. Consequently, I propose that the national consciousness had been developed at a German-Slavic border and the collision between two sides was followed by Western Europe.

      • KCI등재

        저임금 생산기지의 고용관계 : 폭스바겐과 현대기아 중동부유럽 자회사를 중심으로

        김철식 한국산업노동학회 2018 산업노동연구 Vol.24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mployment relations of TNC subsidiar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CE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employment relations of Volkswagen subsidiaries, which has led the restructuring the CEE’s automobile industry since the collapse of socialist regimes, and Hyundai subsidiaries, which has sought to cast employment relations through Greenfield Investment as a latecomer. After the collapse of socialism, with the massive inflow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social legacy of weak labor unions, CEE has been included in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as low-wage production base. Both VW and Hyundai have entered the CEE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global strategie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eir home countries and have developed the local production. In the process, both have formed local employment relations, combining low-wage, unstable employment, and weak labor unions of CEE under their own strategy. In recent years, however, it has been doubtful of the sustainability of employment relations based on the advantages of low-wage production bases, as the pools of low-wage workforce decline and new union movements occur in CEE. These changes in CEE are an indication of the inherent contradiction of low-wage production base strategies. 본 연구에서는 중동부유럽 소재 초민족기업(TNC) 자회사들의 고용관계를 규명한다. 중동부유럽 생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주의 몰락 이후 현지 자동차산업의 구조재편과 고용관계 형성을 사실상 주도해온 폭스바겐(VW)과, 후발주자로서 그린필드 투자를 통해 고용관계를 새롭게 주조하려 한 현대기아 현지 자회사의 고용관계를 분석한다. 사회주의 몰락 이후 해외직접투자의 대규모 유입과 약한 노동조합이라는 사회적 유산을 배경으로 중동부유럽은 저임금 생산기지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 편입된다. VW과 현대기아는 본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신의 고유한 특성과 글로벌 전략을 가지고 중동부유럽에 진출했다. 양자는 저임금과 불안정고용, 약한 노조라는 중동부유럽의 특징을 자신의 전략 하에 결합시키면서 현지 고용관계를 형성해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중동부유럽에서 저임금 노동력 풀이 줄어들고, 새로운 노조운동이 발생하면서 저임금 생산기지의 장점을 기초로 전개된 고용관계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중동부유럽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는 저임금 생산기지 전략의 내재적 모순을 잘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트위터 분석을 통한 유럽문화수도의 이니셔티브에 관한 연구: 2019년 불가리아의 플로브디프와 이탈리아의 마테라 사례를 중심으로

        송현주,이하얀 한국유럽학회 2023 유럽연구 Vol.41 No.1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is a project that organizes and conducts cultural events on a pan-European level for a year by selecting a city in a member state of the European Union as a cultural capital. It i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added on top of each European country's common European culture. As the European Union, an economic community centered on Western Europe accepted the countrie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that had undergone regime transition as member countries, a new type of integration to create "one Europe" emerged. The European Union believes cultural cooperation can ultimately lead to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Since 2007, it had selected cultural capital, each from the EU-15 member states that joined before May 1, 2004, and from member states that joined afterwar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se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initiatives are working smoothly, we analyzed the official Twitter accounts of Plovdiv in Bulgaria and Matera in Italy, which were selected as cultural capitals in 2019. We analyzed 4,317 tweets (4,317 from Plovdiv and 21,850 from Matera). We found that the two cities introduced themselves to each other as twin cities, partner cities, and sister cities four years prior to their selection as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We also found that they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by organizing various joint projects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uropean Capital of Culture initiative established by the European Union was working as expected. 유럽문화수도(European Capital of Culture)는 유럽 연합 회원국의 도시를 문화 수도로 선정하여 1년 동안 범유럽 차원으로 문화 행사를 조직하고 진행하는 사업이다. 각 유럽 국가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유럽 문화를 바탕으로 그 위에 더해진 국가적 특색 및 다양성을 소개 할 수 있는 기회이다. 서유럽 중심의 경제공동체였던 유럽연합이 체제전환을 한 중동부유럽 국가들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이면서 ‘하나의 유럽’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유형의 통합 유형이 부상하였다. 유럽연합은 문화협력이 궁극적으로 정치 및 경제 통합을 이룰 수 있다고 보고 2007년 이후부터 2004년 5월 1일 이전의 유럽연합 EU-15 회원국과 이후에 가입한 회원국 중에서 각각 1개의 도시를 공동으로 문화도시로 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럽문화수도의 이니셔티브가 원활히 작동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2019년 문화수도로 선정된 불가리아의 플로브디프와 이탈리아의 마테라의 공식 트위터를 분석하였다. 각 트위터의 트윗(플로브디프 4,317개/ 마테라 21,850개)을 분석한 결과 두 도시는 문화수도 선정 4년전부터 쌍둥이도시, 파트너도시, 자매도시로 서로를 지칭하며 서로를 소개하였다. 또 유럽문화수도의 성공적인 사업 개최를 위해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를 개최하며 연대를 강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유럽문화수도의 이니셔티브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