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상조경 시설의 유형별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 서울시의 백화점을 중심으로 -

        김은진,정태열,김용수,Kim, Eun-Jin,Jung, Tae-Yeol,Kim, Yong-Soo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최근 옥상조경은 휴식 등의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경향이 있으며, 공간 활용도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휴식을 주목적으로 조성한 옥상조경은 이용이 저조하면 유지관리가 소홀하게 되어 조성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옥상조경의 이용 만족도가 높으면 이용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옥상조경의 다양한 효용을 인지하는 것이 이용을 만족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옥상조경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먼저 옥상조경의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변수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옥상조경의 시설현황에 따라 이용자의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서울시에 위치한 3대 브랜드 백화점 11개소의 옥상조경 시설현황을 조사하여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5개소 백화점을 직접 방문하여 옥상조경의 이용자 및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옥상조경의 유형별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이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대상지를 폭넓게 선정하여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Green roofs are being created in various purposes to use spaces. Most of them have been built with a goal as a resting place. However, the use of the green roofs needs to be raised. Otherwise,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of green roofs can be loosened. In addition, budget or cost involved can be wasteful. Therefore, this study makes a proposition if the satisfaction of green roofs is higher, the use of green roofs could be increased more. We are willing to analyze how beneficial the awareness can affect for th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green roofs. The findings can be helpful to provide a foundation data for raising the use of green roofs. We believe that the awareness benefits and satisfaction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cility's status on green roofs. Therefore, we classified green roofs of 11 department stores, in Seoul, into four types. Among them, we paid attention to five department stores that were able to represent each type. We analyzed the awareness benefits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green roofs. We analyzed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expect that the landscape architecture scholars will expand research on the various determinants in using green roof. een Roof; Type of Green Roof; Benefit Awareness; Satisfa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한 조경시공 연구경향 분석

        석영선,반권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6 No.3

        This study aimed to deriv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from various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1980 to 2022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through VOSviewer, the big data analysis program, and focused on keywords for landscape construction. As a result, first, a total of 226 research papers related to landscape construction showed a gradual increase by an average annual average of 5.8. This is caused by the increase landscaping- related various academic journals since the 1980s, and the increase in research opportunities on landscape construction, methods of construction, and material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landscape industr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occurrence keywords related to landscape constructio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Plant, Management, Improvement, Species, etc. In addition,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research clusters: (1) Post-management and Function improvement, (2) Plant and Plant growth environment, (3) Space and Usability, and (4)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eld of landscape construction based on the passage of time, the research trend of the field of landscape construction tends to embrace various topics. However, in the future, research on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mart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considering climate change, will be more necess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in detail through bibliographic analysi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as fundamental data for deriving the developmental research direction in the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paradigm and technological trends changing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조경 시공 분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핵심 단어 분석 프로그램인 VOSviewer를 이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연구논문은 총 226편이며, 연평균 5.8편이 발표되었다. 이는 1980년대 이후 조경학 관련 학회 수의 증가 및 다양화, 조경 산업 확대에 따른 조경시 공, 공법, 재료 등의 연구 기회와 필요성 증가 등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동시 출현 빈도가 높은 핵심 단어를 분석한 결과, Plant, Management, Improvement, Specie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관성이 높은 핵심 단어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사후관리, 기능개선’, ‘식생, 생육환경’, ‘공간, 이용성’, ‘시공성, 경제성’ 등 4개 주제로 연구 영역이 분류되었다. 셋째, ‘조경시공’과 관련된 주요 연구영역별로 시간의 흐름에 기반하여 연구 경향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대 변화에 따라 점차 다양한 주제를 포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도록 첨단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조경 시공·유지관리 기술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소재, 공법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경 시공 분야에 대해 국내에서 최초로 빅데이터 기반의 서지 분석을 통해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조경 산업의 사회적 패러다임과 기술 트랜드 변화 추이를 고려하여 조경 시공 분야의 발전적인 연구방향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의 지붕부 연구

        정다인 ( Jeong¸ Da-in ),김충식 ( Kim¸ Choong-si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3

        정자는 전통 조경에서 중요한 경관적 장치이자 공간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시설이다. 전통 조경공간에 대한 해석과 계승을 위해서는 전통 정자의 형상과 구조에 대한 연구도 동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통 정자의 양식과 구조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정자의 형상을 결정짓는데 가장 비중이 큰 지붕부를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의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15개의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한 칸 정자의 지붕부의 유형을 구분짓는 주요 부재는 보, 종도리, 동자임을 확인하였다. 지붕 부재의 유무에 따라 정자는 보, 보+종도리보+동자, 종도리, 동자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지붕부의 형상 분류를 토대로 보에 작용하는 하중과 결구를 분석한 결과 한칸형 전통 사각정자에서 보가 수장과 하중의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자 지붕부의 형태와 부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크기, 비율, 하중 등으로 면밀하게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avilion is an important landscape installation i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and a representative facility that organizes space. To interpret and succeed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researches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pavilion are also needed. However, researches on the style and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pavilion are difficult to be found.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oof part that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in determining the shape of pavilion. Ou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15 traditional Single-room square pavilions whose structure could be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the main building elements that distinguished the type of roof part in the Single-room square were crossbeam, ridge pole, and baluster.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roofing members, pavilion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crossbeam, crossbeam+ridge pole, crossbeam+baluster, ridge pole, and balust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oad and joint that worked on crossbeam based on the shape classification of roof part, it was found that in the traditional Single-room square pavilion, crossbeam was designed to play a balancing role between pillar and loa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make a close interpretation of the shape of roof part in the pavilion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building elements in terms of size, ratio, and load.

      • KCI등재

        ‘숙천제아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

        신상섭,김현욱,박영관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3

        Han Pilgyo (1807~1878) was a scholar-official in the la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results on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techniques of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reviewed through the Sukcheonjeado(宿踐諸衙圖) album collection edited by Han Pilgyo are as follows. First, Sukcheonjeado(宿踐諸衙圖) using Sabangjeondomyobeob(四方顚倒描法, a Korean traditional drawing type) is uniquely proven historical data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er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landscape. Secondly,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located in Yookcho(六曹) Street which is the outside Gwanghwamun(光化門) of the Main Palace(Gyeongbokgung, 景福宮) of the Joseon Dynasty has a center facility(Dangsangdaecheong, 堂上大廳) and attached buildings which are distributed from high to low or from left to right, according to its order of presidency in square-shaped portion of land. The main building was located facing south and by considering the administrative convenience, the environmental effect and the practice of Confucian norms this structure reflects a hierarchical land-use system. Thirdly, the main buildings such as Dangsangdaecheong and Hyangcheong(鄕廳), which are the working place for government officials had large square front yards for constructing a practical patio garden. The back garden was tended to reflect the meaning landscape, with such as pond and pavilion. A particular point was the repeated crossing of active space and passive space(movement and stillness, building and yard, yard and garden), which implements the Yin-Yang principle. Fourth,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landscapes are ① expandability of outdoor space, connects of front gardens, emphasizes the characteristic of serviceable gardens and back gardens, which in turn emphasizes scenic sides, ② introduction of water features(square-shaped ponds) that can be used as fire-water and considers environmental-amenity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③ introduction of pavilions for relaxation, mental and physical discipline, and the development of back gardens, ④ significance of Jeongsimsoo(庭心樹) in such things as selection of concise landscape plants like lotus, willow, pine, zelkova and so on, and limited plant introduction, ⑤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which set importance on not only aesthetics and ideality but also practical value. Thus, these aspects of the government office landscape can be said to be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technique and can be extracted similarly in the palaces, temples, lecture halls, and houses of the upper clas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후기 고위관료였던 한필교(1807~1878)의 화첩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본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방전도묘법(四方顚倒描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는 조선시대 중앙 및 지방관아의 공간구조와 문화경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독보적 실증사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조선의 정궁(경복궁) 광화문 밖 육조(六曹)거리에 자리 잡은 중앙관아는 장방형 부지에 중심시설(당상대청)과 부속 건물이 서열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분산되는 구조인데, 주 건물은 남향으로 배치되었으며, 행정편의와 환경성, 그리고 유교적 규범성의 실천 등 위계적 토지이용 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관리들의 직무공간인 당상대청과 향청 등 주요건물은 너른 네모꼴 앞마당을 두어 실용성 위주의 중정(中庭)을 구축하였고, 중심건물(당상대청)은 연못과 정자 등 의미경관을 반영한 후원을 가꾸었다. 특히, 토지이용에 있어서 적극적 공간과 소극적 공간이 교차 반복〈동(動)과 정(靜), 채(棟)와 마당(庭), 정(庭)과 원(園)〉되는 중용적 사유체계를 보여준다. 중앙관아조경의 특징은 실용적 성격의 앞마당과 경관적 측면이 강조된 뒤뜰을 연계시킨 외부공간의 확장성(前庭+棟+後園), 그리고 환경쾌적성, 경관성, 상징성, 방화용수 목적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된 수경시설(方池)의 도입을 들 수 있다. 또한 휴양과 심신수양을 도모하기 위한 정자의 도입 및 후원의 발달, 정심수(庭心樹 : 연, 버드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등)로서의 의미부여와 제한적인 식물 도입, 그리고 심미성, 관념성, 실용적 가치 등을 중시한 환경설계기법이 추출된다. 이러한 중앙관아의 조경기법은 우리나라 궁궐, 사찰, 서원, 상류주택 등 전통공간에서 유사하게 추출되는 보편성이자 특수성이라 하겠다.

      • KCI등재

        대한민국 국토경관헌장 형식 도출을 위한 국내외 헌장사례분석 - 해외 경관헌장 및 국내 헌장 사례를 중심으로 -

        장혜원 ( Jang Hye-won ),권윤구 ( Kwon Yoon-ku ),김유림 ( Kim You-rim ),김다영 ( Kim Da-young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17 한국경관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토경관헌장 수립을 위한 형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재 경관법 제정 10주년을 맞아 경관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 주요한 과제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 제고를 위해 국토교통부 역시 경관정책기본계획에서 제시한 경관헌장을 수립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하지만 헌장 수립을 위한 헌장형식의 기준이나 관련 선행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아 이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실효성 있는 국토경관헌장 수립을 위해 국내외 관련 헌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해외 경관헌장사례 10개와 국내의 헌장사례 10개 총 20개의 헌장을 선정하였다. 국내에서는 경관헌장이 먼저 제정된 바가 없기 때문에 경관 인접분야 헌장 및 타 분야 헌장을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으며, 해외 사례는 경관헌장뿐 아니라, 경관협약이나 협정이라는 용어가 쓰였지만, 그 목적과 형태가 유사한 사례를 포함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20개의 국내외 헌장사례를 분석해 보았을 때 헌장의 형식은 크게 구조와 어투 및 서술방식 2가지로 나누어지며, 각 형식에 따라 헌장의 특성이 분류되었다. 구조는 서두와 본문으로 구성된 축약형과 축약형의 구조에 맺음말이 추가된 확장형으로 구분되었고, 서술방식의 경우 대중성을 띄는 간결체와 공식적인 문서로의 활용이 가능한 만연체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구조와 서술방식에 따라 헌장의 특성이 선언형, 활용형, 홍보형, 귄위형으로 구분된다. 대체적으로 국내 헌장의 경우 축약형에 간결체의 형식으로 선언형의 특성을 지녀 메시지 전달에 효과적이고 공식석상에서의 선언문의 활용에 적합한 반면, 해외의 경관헌장의 경우 확장형에 간결체와 만연체의 형식으로 각 활용형과 귄위형의 특성을 지녀 헌장의 실질적 활용성을 높이고자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한민국 국토경관헌장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어 형식에 관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essential basi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landscape charter. As the Korean landscape law established since decade,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social settlement of the landscape fiel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thi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ct to found for the Korean landscape charter. Absence of precede study concern with charter's format make this act struggle with, so analysis on charter case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e efficient sources for charter establishment.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10 foreign landscape charters and 10 domestic charters were selected. In case of foreign, 'Charter', but also 'Convention' and 'Initiative' are included. And in case of domestics, none of landscape charter before, select relative fields such as landscape architecture, city planning and ect. As a result, there's two types can be divided on charter formation and each type are categorized in two. First type is structure of text which is shown visually; abbreviation style and extention style. Second type is method of description that decide character of charter; concise style and continuous style. Though these styles, character of charters can be defined by four models ; Declaration (model. 1), Application (model. 2), Publicity (model. 3), Authority (model. 4). Usually domestic charters have tendency to have combination of abbreviation and concise style (model. 1) that is effective for delivering message and usage at official events. Otherwise, foreign landscape charters have tendency to have combination of extention and both description styles (model. 3 and model. 4) that is effective for develop to political basis or regulation. Give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a basic resources of formation of the Korean landscape charter.

      • 공동주택 다층구조 식재설계를 위한 일조조건별 최적소재 연구

        이지영(Lee, Ji-Young),한승원(Han, Seung-Won),박준성(Park, Joon-sung)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2

        In order to introduce a multi-layer planting which have ecological and landscape benefits in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growth and leaf color of ground-cover species submitted to different shading conditions(0%, 50%, 80%) for 6 months. Nandina domestica Thunb., llex cornuta Lindl.&Paxton and Salix integra Hakuro – nishiki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st change in leaf color under 50% shading, Photinia glabra (Thunb.) Maxim. showed the highest change in leaf color under 0%shading. The total growth was overall best under 80%shading. Hosta ‘Golden Tiara’, Heuchera sanguinea and Carex okamotoi f. variegara showed the highest leaf color change under 0%shading, but the growth showed better under 50%shading. The growth of Hosta longipes, Aquilegia buergeriana, Aceriphyllum rossii, Veronica linariifolium, Physostegia virginiana, Dianthus chinensis and Pachysandra terminalis ’Variegata’ also showed better under 50~80%shading.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plants as ground-cover species should be planted under about 50~80%sh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